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사회의 출산택일 문화에 대한 연구

        마효정(hyojeong M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논문은 예전부터 전승된 출산택일 문화를 현재의 관점으로 재검토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우선 택일의 기원과 그 역사를 살펴본 후 택일하는 방법을 선택기요 등의 고전문헌을 통해 알아보았다. 역사 속의 택일 문화는좋은 날(吉)을 받는 혼례, 상장을 중심으로 초기에는 왕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사대부와민간에게도 전해져 풍속으로 자리 잡아 현재까지도 많은 곳에서 이사, 혼례, 산송 택일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택일과는 달리 출산택일의 경우 좋은 사주를 만드는 과정이 포함되었다. 그러므로 전통문화의 택일과는 현저히 차이가 나고, 그 근원이 고서(古書)에서는 찾아 볼 수 없었다. 명리학은 사주팔자를 통해 태생에서주어진 바꿀 수 없는 운명을 논하는 조건부의 예측이지만, 택일은 현재 시점에서 앞으로 좋아지기를 기원하는 개념에서 좋은 날짜를 선택하여 일을 추진하는 개념이기 때문에 이미 정해진 조건으로 판단하는 사주팔자와는 기본매커니즘이 다르다. 현대 사회에서도 역술인들의 홍보가 많고, 이왕이면 좋은 삶을 선물해 주고픈 부모들의 수요는 저출산시대에 오히려 더 늘어나고 있다. 출산택일을 통해 만들어진 사주로 아이의 운명이 바뀔 수 있을까? 이것을 단정 지을 수는 없다. 그러나 적어도전통에 대한 맹목적 수용이 아닌 비판적 의식을 갖고 우선 바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선결되어야 한다. 그 후 전통을 재해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학계에서 현대적으로 수용 가능한 대안을 도출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traditional culture of childbirth selection from the current perspective. The Taek-il culture in history was centered on the royal family in the early days, centering on weddings and awards that receive good days, but as time passed, it was passed on to the four masters and the private sector, and it has become a custom. However, unlike general selection days, in the case of childbirth selection days, the process of making a good fortune was included. Therefore, it is remarkably different from the selection of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ource was not found in old books. Even in modern society, there is a lot of publicity from reverse artists, and the demand for parents who want to present a good life is increasing in the era of low birth rates. Can a child's fate be changed by the fortune-telling made through childbirth options? I can't conclude this. However, at least it should be prioritized to provide correct information with a critical consciousness, not blind acceptance of tradition. After that, we hope to reinterpret the tradition and derive a modern acceptable alternative in the academic world based on it.

      • KCI등재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에 있어서 인과관계와 객관적 귀속 : 다중인과관계의 논리적·사실적 긍정과 결과귀속에 관한 새로운 논의

        이용식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2012 法學論叢 Vol.19 No.3

        택일적 인과관계란 단독으로도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는 복수의 독립한 행위가 경합하여 결과를 발생시키는 경우의 인과관계 판단을 말한다. 이에 대하여 기존의 조건설은 가정적인 사고작업에 기인하여 어떤 선행사실이 없었다면 후행사실이 없었을 것이라는 필요조건적 조건관계를 표명한 것으로 이해되어 왔다. 한편 우리나라의 통설적인 입장인 합법칙적 조건설은 인과관계가 당연히 긍정된다고 하면서도, 어떠한 방식으로 어떠한 과정을 거쳐 그러한 결론에 도달하는지에 대한 설명은 전혀하고 있지 아니하다. 택일적 인과관계에 있어 기존의 조건공식을 형식적으로 적용할 경우 양자 모두 인과관계가 부정되게 된다는 견해와, 일방의 제거를 역으로 타방의 인과관계를 긍정하는 근거로 사용하여 양자 모두에게 인과관계가 긍정된다는 견해가 있다. 이에 대하여 누적적 인과관계와의 불균형을 시정하기 위하여 택일적 인과관계의 조건관계를 긍정한다는 결론에 맞추어 기존의 조건공식을 수정함으로써 양 조건을 일괄적으로 제거하는 방법이 제시되기도 한다. 한편 합법칙적 조건설에서는 일반적 인과법칙이 존재함을 전제로 구체적인 인과관계를 판단하게 된다.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의 경우 일반적인 법칙성이 인정됨에는 아무런 의문이 없기 때문에 합법칙적 조건설 자체만으로는 아무런 해결에 도달할수 없게 된다. 그러나 조건공식으로부터 합법칙적 조건설에로의 이행은, 필요조건을 발견하는 조건 공식의 경우 택일적 인과관계의 사례에서 논리필연적으로 조건관계의 부정에 이르게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에 대한 해결의 모색으로서, 인과관계를 충분조건에서 찾을 수 있다는 전환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형법에서 의미를 가지는 충분조건은 전체조건으로서의 복수사정의 총체가 아닌, 개별조건의 원인으로서 충분조건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를 최소충분조건이라고 일컫고, 조건관계의 내용을 결과에 대한 최소충분조건의 필요적 구성부분이라고 판단하는 논증과정을 통하여, 비로소 합법칙적 조건설은 택일적 인과관계에서 양자 모두에 조건관계가 인정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이에 대하여 최근에는 하나의 결과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최소충분조건은 한 개만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복수의 최소충분조건을 긍정하는 최소충분조건설을 비판하며, 조건공식, 즉 필요조건설을 취하면서도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에서 조건관계를 긍정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요약 하자면 A와 B를 각각의 필요조건으로 볼 것이 아니라, (A 혹은 B)를 하나의 필요조건으로 보아 ~(A∨B)→~P가 되는지를 판단하자는 것이다. 이러한 사전적이고 논리적인 인과관계의 판단을 택일적 인과관계가 문제되는 구체적 사례에 대하여 사후적이고 사실적으로 판단해보면, 결국 택일적 인과관계는 누적적 인과관계 사례와 동일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에서처럼 복수의 조건이 모두 완전히 결과에 효력을 미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존재하기 어렵다. 사전적으로 보면 각각의 조건이 독립적으로 결과발생에 영향을 미칠 것을 상정해 볼 수 있다 하여도, 실제로는 단지 각각의 조건의 일부만이 결과발생에 효력을 미치게 된다. 인과관계 존부의 판단은 사후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보면,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는 누적적 인과관계 사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의 구조적 특징을 고려해보건대, 택일적 인과관계 사례의 양 조건 모두의 인과관계가 긍정되지만 결과의 객관적 귀속을 부정하여 각각의 미수를 인정하는 것이 반드시 불합리하다고 말할 수 없다. 커피잔에 들어 있던 A의 독과 B의 독이 각각 치사량 이상의 것이었다고 해도, 실제로 A가 투입한 독의 전부가 사망의 결과를 발생시켰다고 단정지을 수 없는 이상 조건관계는 긍정되지만 결과의 객관적 귀속은 부정하는 결론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Es wird der Bestimmung einer Einzelursache als notwendige Bedingung eines Erfolges (condicio-sine-qua-non-Formel) entgegengehalten, dass sie in den Fällen der alternativen Kausalität, also bei Vorhandensein mehrerer Kausalerklärungen eines Erfolges, versagt. Dies setzt voraus, dass es mehrere schlüssige und wahre Kausalerklärungen geben kann. Die Lehre von der hinreichenden Mindestbedingung löst das logische Problem der Mehrfachkausalität dadurch, dass sie die konkurrierenden Ursachen in verschiedene hinreichenden Bedingungen einstellt, in denen sie dann als notwendige Teilbedingungen erscheint, d.h. als notwendig dafür, dass die Bedingung hinreichend ist. Neulich ist die Ansicht vertreten, dass es aus logischen Gründen nicht gleichteitig mehrere hinreichende Bedingungen für ein und denselben Erfolg geben kann. Diese These ist grundlegend neu. Dann wird ausgeführt, dass man allein mit Hilfe codicio-sine-qua-non-Formel zu dem Ergebnis kommt, dass alle konkurrierenden Teilbedingungen Ursachen sind. Man findet auch die Meinung, dass es aus tatsächlichen Gründen unmöglich ist, dass mehrere hinreichende Bedingungen vollständig erfüllt sind. Im Standardfall der doppelten Giftdosis tritt der Tod tatsächlich stets durch Teilmengen beider Giftgaben aufgrund nur einer hinreichender Bedingung ein. Die überschießenden Giftmoleküle aus beiden Giftgaben kommen nicht mehr zur Wirkung, weil das Opfer vorher stirbt. Durch eine Feinanalyse der Kausalverlaufs ex post kann mann bei alternativer Kausalität beide Ursachen feststellen ganz gleich bei kumulativer kausalität. Auf der Ebene der objektiven Zurechnung kann man einerseits anführen, dass es unzulässig ist, sich auf eine Erfogsverursachung durch eigenes oder fremdes rechtswidriges Alternativverhalten zu berufen. Der vorliegende Beitrag verneint die objektive Zurechnung bei alternativer Kausalität mit der Begründung, dass der Erfolg nicht einmal aus ausschließlich nur einem Täter kommt.

      • KCI등재

        조선후기 선택서의 혼례택일 방법론 고찰

        이수동(Lee, Su-Dong)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본고에서는 민속에서의 택일의 의미와 택일방법론, 택일에 필요한 책력(冊曆), 혼례의 의미와 절차, 조선후기 선택서 『선택기요』에서의 혼례택일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혼례택일은 길월 ⇢ 길일 ⇢ 길시 순으로 한다. 길월은 ‘여명가취월분도(女命嫁娶月分圖)’를 활용하여 고르고, 길일은 7종 12개의 길신(吉神)과 18종 23개의 흉살(凶殺)로 고르며, 길시는 ‘황흑도길흉정국(黃黑道吉凶定局)’ 및 ‘육임신장살몰귀등천문(六壬神藏殺沒貴登天門)’ 이론으로 고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는 택일은 혼례택일로서 철학관, 사주카페, 사찰 혹은 인터넷상에서 운영되고 있는 관련 업소에서 날을 받아 혼례를 치르고 있다. 그런데 택일을 대행해 주고 있는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단지 수 개의 신살만으로 길흉일을 채출한 민력을 이용하거나 혹은 아예 택일이론과 무관한 사주 이론으로 택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택일문헌에 의한 택일과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선택서(選擇書)에 수록되어 있는 혼례택일 이론으로 혼례택일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A Study of Methods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Shown in the Book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Period – Centering on “Sontaekgiyo”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 and the method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the folks, the book calendar needed for the choice of best days, the meaning and procedures of wedding ceremony, and the method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shown in “Sontaekgiyo”, a book for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period.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will be made in the order of Month, Day and Hour. The best month will b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yomyong Kachwi Wolbundo (zodiacal constellations chart for marriage)”. The best day will be selected by referring to seven types of 12 lucky signs and 18 types of 23 bad signs. The best hour will be selected by referring to both the Ecliptic Chart and the Yukim Chart showing lucky and bad signs. Nowadays, in South Korea,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is made most frequently than any other ones. It is made at temple or on the internet site. However, most of the establishments make the choice of best days for ceremonies by referring to the civil calendar that records best and bad days only based on several kinds of lucky and bad signs. Otherwise, they make the choice by only referring to Saju Theory that has no relation with the orthodox theory. Such a method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ethod based on the documents.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the methods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shown in the books of choice those were pu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period.

      • KCI등재

        조선말기 선택서 『연길귀감<SUP>涓吉龜鑑</SUP>』고찰 - 건축택일 및 이사택일을 중심으로

        이수동(李洙銅)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관상감은 조선의 국립관청이다. 이 관청에서는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 각루刻漏 등의 국무를 관장하였다. 또한 이 관청에서는 이러한 국무에 관련된 서책을 편찬 · 간행하였는데 이중의 하나에 선택서選擇書가 있다. 선택서는 사례 및 일용백사에서 택일을 하는 서책이다. 본고의 선택서 문헌인 『연길귀감』이 현대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편집 · 간행되었으므로 현대의 택일에서 주목받아야 할 선택서라고 할 수 있다. 관상감의 관원이자 학자인 남병길이 편집하고 임긍연이 교정한『연길귀감』 목판본이 국내의 여러 학술기관에 소장되어 있지만 연구가 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 선택서에 수록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택일 중, 사람이 거주하는 ‘가옥건축’과 이사 및 신축한 가옥으로의 입택 택일을 연구하였다. 가옥건축 택일에서는 길한 해를 가려서 건축하고, 이사 택일에서는 길일을 가려서 이사를 한다. 그리고 현대의 이사택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손 없는 날’은 선택서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민간의 속설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혔다. Gwansanggam (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is the national government office in Joseon. This government office took charge of state affairs such as astronomy (天文) geography (地理) Yeoksu (曆數) · Jeomsan (占算) · Cheukhu (測候) · Gakru (刻漏). Also, this government office compiled and published a book relevant to these state affairs. There is a selection book (選擇書) in one out of this. A selection book is the one that chooses the date in Sarye (四禮) and Ilyongbaeksa (日用百事). 『Yeongilguigam (涓吉龜鑑)』, which is a literature as a selection book of this study, was edited and published in the period that is closest to modern times,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o be a selection book that will need to be noted in setting the date of today. A block book of 『Yeongilguigam(涓吉龜鑑)』, which was edited by Nam Byeong-gil[南秉吉], who is a Gwansanggam(觀象監) government official and a scholar, and which was corrected by Im Geung-yeon [林兢淵], is possessed by many academic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but wasn’t carried out a research. Among many selections that are contained in this selection book, this study considered the selection on ‘building a house’ where a person dwells, ‘building a shrine’ that worships an ancestral tablet, and ‘moving’ & ‘moving into a house (入宅)’ as a newly-built house. A house is constructed by selecting an auspicious year. In setting the date of building a shrine, of moving, and of moving into a house, a shrine is built to be moved by selecting a lucky day. Still, ‘day without a hand’, which is being much used in selecting the date of moving in modern times, is just a folk common saying that wasn’t included in the documentation of a selection book.

      • KCI등재

        조선후기 선택서의 혼례택일 방법론 고찰-『선택기요(選擇紀要)』를 중심으로-

        이수동 실천민속학회 2016 실천민속학연구 Vol.28 No.-

        A Study of Methods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Shown in the Books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Period – Centering on “Sontaekgiyo” This paper studied the meaning and the method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the folks, the book calendar needed for the choice of best days, the meaning and procedures of wedding ceremony, and the method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shown in “Sontaekgiyo”, a book for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period.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will be made in the order of Month, Day and Hour. The best month will be selected by referring to the “yomyong Kachwi Wolbundo (zodiacal constellations chart for marriage)”. The best day will be selected by referring to seven types of 12 lucky signs and 18 types of 23 bad signs. The best hour will be selected by referring to both the Ecliptic Chart and the Yukim Chart showing lucky and bad signs. Nowadays, in South Korea,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is made most frequently than any other ones. It is made at temple or on the internet site. However, most of the establishments make the choice of best days for ceremonies by referring to the civil calendar that records best and bad days only based on several kinds of lucky and bad signs. Otherwise, they make the choice by only referring to Saju Theory that has no relation with the orthodox theory. Such a method is quite different from the method based on the documents.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the methods on the choice of best days for wedding ceremony shown in the books of choice those were published in the latter part of the Choson Dynasty period. 본고에서는 민속에서의 택일의 의미와 택일방법론, 택일에 필요한 책력(冊曆), 혼례의 의미와 절차, 조선후기 선택서 『선택기요』에서의 혼례택일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혼례택일은 길월 ⇢ 길일 ⇢ 길시 순으로 한다. 길월은 ‘여명가취월분도(女命嫁娶月分圖)’를 활용하여 고르고, 길일은 7종 12개의 길신(吉神)과 18종 23개의 흉살(凶殺)로 고르며, 길시는 ‘황흑도길흉정국(黃黑道吉凶定局)’ 및 ‘육임신장살몰귀등천문(六壬神藏殺沒貴登天門)’ 이론으로 고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하고 있는 택일은 혼례택일로서 철학관, 사주카페, 사찰 혹은 인터넷상에서 운영되고 있는 관련 업소에서 날을 받아 혼례를 치르고 있다. 그런데 택일을 대행해 주고 있는 대부분의 업소에서는 단지 수 개의 신살만으로 길흉일을 채출한 민력을 이용하거나 혹은 아예 택일이론과 무관한 사주 이론으로 택일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두 가지 방법은 택일문헌에 의한 택일과는 거리가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조선후기 선택서(選擇書)에 수록되어 있는 혼례택일 이론으로 혼례택일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조선말기 선택서 연길귀감涓吉龜鑑 고찰— 건축택일 및 이사택일을 중심으로

        이수동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Gwansanggam (觀象監, The Royal Astronomical Observatory) is the national government office in Joseon. This government office took charge of state affairs such as astronomy (天文) geography (地理) Yeoksu(曆數) Jeomsan (占算) Cheukhu (測候) Gakru (刻漏). Also, this government office compiled and published a book relevant to these state affairs. There is a selection book (選擇書) in one out of this. A selection book is the one that chooses the date in Sarye (四禮) and Ilyongbaeksa (日用百事). Yeongilguigam (涓吉龜鑑), which is a literature as a selection book of this study, was edited and published in the period that is closest to modern times, thereby being able to be said to be a selection book that will need to be noted in setting the date of today. A block book of Yeongilguigam (涓吉龜鑑), which was edited by Nam Byeong-gil[南秉吉], who is a Gwansanggam (觀象監) government official and a scholar, and which was corrected by Im Geung-yeon [林兢淵], is possessed by many academic institutions at home and abroad, but wasn’t carried out a research. Among many selections that are contained in this selection book, this study considered the selection on ‘building a house’ where a person dwells, ‘building a shrine’ that worships an ancestral tablet, and ‘moving’& ‘moving into a house (入宅)’ as a newly-built house. A house is constructed by selecting an auspicious year. In setting the date of building a shrine, of moving, and of moving into a house, a shrine is built to be moved by selecting a lucky day. Still, ‘day without a hand’, which is being much used in selecting the date of moving in modern times, is just a folk common saying that wasn’t included in the documentation of a selection book. 관상감은 조선의 국립관청이다. 이 관청에서는 천문天文, 지리地理, 역수曆數, 점산占算, 측후測候, 각루刻漏 등의 국무를 관장하였다. 또한 이 관청에서는 이러한 국무에 관련된 서책을 편찬 간행하였는데 이중의 하나에 선택서選擇書가 있다. 선택서는 사례 및 일용백사에서 택일을 하는 서책이다. 본고의 선택서 문헌인 연길귀감이 현대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편집 간행되었으므로 현대의 택일에서 주목받아야할 선택서라고 할 수 있다. 관상감의 관원이자 학자인 남병길이 편집하고 임긍연이 교정한 연길귀감 목판본이 국내의 여러 학술기관에 소장되어 있지만 연구가 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이 선택서에 수록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택일 중, 사람이 거주하는 ‘가옥건축’과 이사 및 신축한 가옥으로의 입택 택일을 연구하였다. 가옥건축 택일에서는 길한 해를 가려서 건축하고, 이사 택일에서는 길일을 가려서 이사를 한다. 그리고 현대의 이사택일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손 없는 날’은 선택서 문헌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민간의 속설에 불과하다는 것을 밝혔다.

      • KCI등재

        기문둔갑으로 보는 혼인 택일법의 사례분석

        이청하,김기찬 산업진흥원 2023 산업진흥연구 Vol.8 No.1

        An Analysis of the Choice of Wedding Time Based on the Gimundungap Theo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utility and validity of wedding time selection based on the principles of Ungokgimun, a recent development of Gimundungap theory. Unlike the conventional way of choosing from common auspicious hours and days deemed available for important ceremonial occasions, Ungokgimun determines the propitious heavenly wedding time catered for a particular couple based on the birth table consisting of the four pillars of the bride- and groom-to-be. Using the Hong Guk-soo numbers which are drawn from the basic principles of oriental philosophy, it utilizes a deductive approach to wedding time choice, which is considered decisive and logical. Wedding time selection for a bride and a bridegroom is determined by auspicious combinations of matching and supporting HongGuk-soo numbers. Some relevant determining factors for the time choice are three number combination of samhap, two number combination of half-hap, latitudinal combination of yuk-hap, support and control relationships between related elements, two number punishment of hyung-sal, and three number punishment of samhyung-sal, etc. The specific auspicious palace of the spouse-to-be’s luck is selected on the basis of supporting or brotherly combination of numbers which are manifested on the baseline earthly plate of the bride- and groom-to-be. This is followed by the selection of the ten-year luck, and year and month luck, and finally by the selection of auspicious day and hours. The validity of this study was verifi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Ungokgimun and practical analysis of a variety of marriage cases. It was found that the way of wedding time selection using Ungok Gimundungap was relatively more effective than other conventional methods. 이 연구는 여러 가지 혼인 택일법 중에 기문둔갑으로 보는 혼인 택일법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운곡 기문둔갑 이론을 바탕으로 혼인 택일법의 효용 가치와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즉 조선 시대에서 행사했던 관혼상제, 일반적인 공용(共用)의 날로 택일(擇日) 선시(選時)를 하는 것과는 확실히 다르게, 운곡기문 택일법은 본인의 사주에 맞게 개인만의 택일을 하는 차이가 있다. 운곡 기문학은 홍국수(洪局數)로 동양철학의 기본원리를 이용하여, 논리상 필연적(必然的)인 결론(結論)을 내게 한다는 연역법(演繹法)을 활용한다. 건명 또는 곤명의 결혼 날가림을 홍국수로 합생(合生)의 기본원리인 삼합, 반합, 육합, 생극, 그리고 형살(刑殺)과 삼살(三殺)을 이용하여, 시운(時運)은 일운(日運)에 귀속(歸屬)된다. 또한 일운(日運)은 월운(月運)에 귀속(歸屬)되고, 월운(月運)은 소운(小運)에 귀속(歸屬)되고, 소운(小運)은 대운(大運)에 귀속(歸屬)되고, 대운(大運)은 세(世)에 귀속(歸屬)된다. 이러한 논점의 운곡기문 혼인 택일법에 관한 이론 고찰 및 사례 분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운곡 기문둔갑의 혼인 택일법은 타 혼인 택일법에 비하여 다소 적중률이 높게 나타났음이 확인되었다.

      • 조선후기(朝鮮後期) 상례택일(喪禮擇日) 방법론(方法論) 고찰(考察)

        이수동 동양예학회 2017 東洋 禮學 Vol.38 No.-

        조선의 주요 禮書에는 喪禮가 수록되어 있고, 조선의 推擇書에는 喪禮擇日이 어김없이 수록되어 있다. 학계에 喪禮에 관한 논문 발표는 있었지만 상례택일에 관한 논문 발표는 전무하다. 본고에서는 현대와 가장 가까운 시기에 편찬된 조선후기 고종 4년(1867)에 관상감 관원들이 편찬한 『選擇紀要』 하편 <造葬類>를 중심으로 入棺擇時, 破殯擇日, 破殯擇時, 發靷祭에서 유족이 절을 해서는 안되는 방위, 埋葬擇日, 下官擇時 方法論을 고찰하였다. 택일은 꺼리는 날이 없고 마땅한 날이 많은 날이 上吉하고, 꺼리는 날이 적고 마땅한 날이 많은 날이 中吉하며, 꺼리는 날이 적고 마땅한 날이 있는 날이 下吉하다. 따라서 상길 > 중길 > 하길 순으로 택일하면 된다.

      • KCI등재

        형사절차상 범죄사실과 적용법조의 예비적·택일적 기재에 대한 소고

        정진연(Chung Jin-Yeon) 한국법학회 2008 법학연구 Vol.32 No.-

        예비적 택일적 기재는, 검사의 공소제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법원에 문제점을 예고하여 심판의 신중을 기하게 하며, 무죄판결을 방지하기 위해 허용되어진다. 그러나 이것이 실무상 빈번하고 활발하게 이용되는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예비적 택일적 기재와 관련하여 형사소송법체계의 통일성을 위한 몇 가지 점들을 지적하고자 한다.첫째, 현행 형사소송법은 공소장에는 수개의 범죄사실과 적용되어지는 법 규정을 예비적 또는 택일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 형사소송법 제256조 제5항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판례도 형사소송법 제254조 제5항에 수개의 범죄사실을 예비적 또는 택일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는 규정을 글자 그대로 해석하여, 전혀 별개의 범죄사실로 경합범이 되는 경우에도 이를 예비적 또는 택일적으로 기소할 수 있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l) 소인 개념은 1개의 범죄사실을 전제로 한 개념이며, (2) 경합범 관계에 있는 수개의 범죄사실 중 일부만이 유죄로 인정되고 나머지는 유죄로 인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판결의 주문에 유무죄 판단을 함께 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3) 동일성 개념의 통일적 이해라는 관점에서 볼 때, 예비적 택일적 기재는 공소사실 동일성의 범위 내에서만 인정되는 것이라고 해석함이 타당하다고 본다. 따라서 제254조의 '수개의 범죄사실'을 '공소장 에는 공소사실과 적용법조 및 죄명을 예비적 또는 택일적으로 기재할 수 있다.'로 명문화함이 타당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법원이 선순위의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지 않고 예비적 공소사실을 유죄로 인정하는 경우에 검사의 상소가 허용되는가와 함께 판결이유에 선순위의 공소 사실에 대한 판단이 필요한가 또한 문제가 되어진다. 이 문제는 검사의 상소의 이익의 검토와 함께 판결 이유의 기재를 요구하는 이유와 관련하여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상소제도가 단순히 피고인의 불이익을 구제하는 제도가 아닌 법령해석의 통일을 기하기 위한 제도라는 점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판결 이유는 불복자료를 제공해 주는 의미도 있으므로, 거기에 불복허용 범위까지 기재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번 기회에 공소장의 예비적 택일적 기재의 문제가 범죄사실의 택일적 인정을 허용할 수 있는가의 논의로 확대되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A Reserve alternative recording is allowed to make prosecution easier, be more careful about making decision through a previous notice and prevent a decision from being not guilty. But this is not seem to be frequently and actively used in practice. For the unity of the Criminal Procedure Law System I'm going to point out some Problem about a Reserve alternative recording. First, Present the Criminal Procedure Law prescribes that Several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and an applicable rule can be recorded reservely or alternatively in a bill of complaint. This seems to be affected by the Japanese Criminal Procedure Law article 256 clause 5. A case is taking it's literal meaning of 'article 256 clause 5 in Criminal Procedure Law prescribes that Several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and an applicable rule can be recorded reservely or alternatively in a bill of complaint' and it can prosecute reservely or alternatively in the case of a concurrent offenses because of a different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However (1) the concept of the cause of a lawsuit is preconditioned about one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2) in the case of some has been convicted guilty and the others has been convicted not guilty about several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which is relatively a concurrent offenses, you have to make a judgment of guilty or not guilty in the text of a decision, and (3) in the view of unity understanding of the identity concept, it is right to understand that a Reserve alternative recording is acceptable only in a range of identity of a charge. Therefore I believe that 'several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in article 254 is right to be changed to 'you can reservely or alternatively record the name of a crime, applicable law and a charge in a bill of complaint'. Second, in the case of a court convicting not guilty about a charge of the priority order but convicting guilty about a reserve charge, appeal of a prosecutor can be allowed can be a problem as well as whether you need to record a need of judgement about a charge of priority order. This problem need to be reconsider about the cause of requiring recording reason of judgment along with examination of the gain of prosecutor's appeal. Therefore an appeal system is need to be consider as not just a relief measure for disadvantage of the accused but a measure of unity of a rule analysis. Also the reason of judgment has a meaning of providing a document for denial of one's guilt, I believe that we need to record the permissible range of denial of one's guilt. I hope this will be a good chance to think widely about wether the matter of reserve alternative recording can allow the alternative acceptance of facts constituting an offense.

      • KCI등재

        13세기 ‘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을 통해서 본 고려의 擇日문화

        위은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5 민족문화논총 Vol.59 No.-

        This paper is to analyze “Gilhyung-chukwol-hoenggan Goryeo woodblock(吉凶逐月橫看 高麗木板)” which was compiled at Buseok tample in June, 1219. Each woodblock is composed of both sides. And this is a choice book that agricultural good and bad luck days about various crops and diverse bad luck days in normal living are recorded. The thing that was analyzed in this paper is the last. In the woodblock, bad luck days such as gucho day(九焦日), nangja day(狼藉日), jang-dan-seong day(長短星日), cheonji-ang day(天地殃日), cheoneul-jeolgi day(天乙絶氣日), cheonji-hyupei day(天地休廢日), dae-gongmang day(大空亡日), so-gongmang day(小空亡日), yongho day(龍虎日), joiji day(罪至日), and susa day(受死日) are recorded per month. Among them, by appending footnotes on the jang-dan-seong day and the cheonji-ang day, reasons that the days of bad luck should be avoided are explained. In case of not avoiding the days, it is ordered that disasters should be escaped from practicing good deeds. From the fact that it is a choice book published by not the government but an individual, it seems that the culture of choosing days was considerably popular in the Goryeo Dynasty. In Goryeo, the custom of selecting days looks to have prevailed widely among normal people as well as the national royal family. In case of a king’s announcing political actions to the imperial ancestral tablets at the shrine in a national dimension, marriage of the royal family, investiture, welcoming foreign envoys, construction of a palace or a government office building, royal progress, entering a new palace after newly building it, opening of a royal tomb, war, bestowing a public post to a retainer, and so on, auspicious days were selected. In choosing days in normal life of civilians, custom to choose proper days in funerals as seen in epitaphs was conducted broadly. Also, as stated in this woodblock, selecting days were implemented in various daily living such as marriage, going a long way, going to the government office, going into battle, guest reception, dealing, construction, moving into a new house, contestation, and so forth. In a national dimension, professional people called ilgwan(日官) who can choose auspicious days took charge of selecting days. In a civil dimension, beings called psychics seemed to play the role. However, though depending on those psychics, the highbrow class might have used choice books like the woodblock or referred to them because diverse good and bad luck days were written down in the winter solstice calendar which was issued yearly in the nation. Choosing days is a field of the divining art belonging to the study of Shushu. Shushu was regarded highly as a study supplementing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e divining art of this period was not only to calculate the operations of four seasons, subdivisions of the seasons, and ilwol-ohseong [sun and moon and five stars (Mercury, Venus, Mars, Jupiter, and Saturn)] and clarify the rules but also to include prediction of fortunes of all things through them. Therefore, the divining art was said a study to understand preallotment with susi-hak (受時學) of kings. In Goryeo, Confucianism was selected as a ruling ideology and Shushu was developed together. The culture of selecting days is not irrelevant to the prevalence of Shushu in the Goryeo Dynasty period. Selecting days is another aspect of the divining art. In Cheonin-sanggwan-ron(天人相關論)of Confucianism, it was important that humans should be in harmony with nature. Hence, in the position of Yongsa-euigi(用事宜忌) of Cheonin- sanggwan-ron that all things in the world including humans’ things are adapted to the operation of the sky (divine will), choosing days could not help being emphasized. 본고는 보물 제1647호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2면 중 일상생활에서 피해야할 각종 흉일을 기록하고 있는 부분을 분석하였다. 이 자료는 일종의 선택서로 1219년(貞祐7년)6월 浮石寺 願堂主 重太師 知○가 편찬한 것이다. 이 목판에는 九焦日, 狼藉日, 長短星日, 天地殃日, 天乙絶氣日, 天地休廢日, 大空亡日, 小空亡日, 龍虎日, 罪至日, 受死日 등의 흉일을 월별로 기록하고 있으며, 그 중 특히 장단성일과 천지앙일에는 注를 부기하여 그 흉일을 피해야 되는 이유와 피치 못해 그 흉일을 범할 경우 공덕을 닦아 재앙을 피할 것을 주문하고 있다. 고려에서는 택일의 풍습이 국가 왕실은 물론 민간에도 널리 행해진 것으로 보인다. 국가차원의 정치적 행위에 대해 국왕이 태묘에 고할 때나 왕실혼인, 책봉, 외국사신의 영접, 궁궐이나 관청건물의 공사, 국왕의 행차, 궁궐을 신축하여 入御할 때, 왕릉의 개장, 전쟁, 관직제수 등에 택일하였다. 민간의 일상생활에서의 택일은 사료가 많이 남아있지 않지만 장례에는 길일을 택하는 풍습이 널리 시행되었음을 여러 묘지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왕실 사례를 민간에 적용하면 ‘고려목판’에 언급된 것과 같은 혼인이나 出行, 上官, 進發, 손님접대, 매매, 건축, 공사, 入宅, 쟁송 등의 각종 일상생활에 있어 택일하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국가차원에서는 日官들이 택일을 담당하였으며, 민간에서는 術士 등으로 불리던 존재들이 그 역할을 한 것 같다. 그러나 굳이 술사에 의존하지 않더라도 식자들은 이 자료와 같은 선택서를 이용하거나, 국가에서 해마다 간행하던 동지력에도 각종 길흉일이 기재되어 있어 참고로 하였던 것 같다. 택일은 술수학에 속하는 역학의 한 분야이다. 술수학은 경학을 보완하는 학문으로 중요시되었다. 이 시대의 역학은 단순히 사시와 절기, 일월오성의 운행을 계산하고 그 법칙을 밝히는 것이 아니고 그것을 통해 만사의 길흉화복을 예견하는 것도 포함되었다. 따라서 역학이란 제왕의 受時學으로 ‘聖人知命之術’ 혹은 ‘至於命者’라 하여 天命을 이해하는 학문이라 인식되었다. 고려에서는 경학 즉 유학이 통치이데올로기로 채택되면서 술수학도 함께 발전하였다. 택일문화는 이러한 고려시대 술수학의 성행과 무관하지 않다. 유학의 천인상관론에서는 인간은 모름지기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였기 때문에 人事를 天의 운행에 순응시키는 천인상관론적 用事宜忌의 입장에서 택일은 중시될 수밖에 없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