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0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42 No.4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primary vector of pine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were measured in dead pine logs from 1999 to 2002. Their distributions within pine log were also analyzed. More numbers of entrance and emergence holes were distributed on crown than trunk part as 56.2 and 27.7 holes/m$^2$, respectively Higher proportions of entrance (27.5%) and emergence holes (22.4%) were distributed on the log with 8 to 10 cm diameter; the larger or the smaller logs had fewer holes. Surface area of entrance hole was 65.8 $\textrm{mm}^2$ and diameter of emergence holes was 7.0 mm in average. Average depth of pupal chamber was 24.8 mm from surface to the bottom of the chamber, and its volume ranged from 200 to 2.000 ㎣ Average distance between entrance and emergence holes on bark surface was 3.3 cm. Gallery length from the beginning of entrance hole to the end of emergence hole was 46.2 mm.

      • 북방수염하늘소의 소나무류 수종별 산란 선호도 및 잣나무 수체내 분포

        김동수,이상명,김철수,고상현,정영진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잣나무에 소나무재선충병을 매개하는 매개충인 북방수염하늘소의 잣나무 수체내 분포상황과 성충의 탈출공 크기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2007년 1월 초 순경에 경기 광주시 소재 잣나무림의 재선충병 발생지내에서 고사된 잣나무 를 벌채하여 주간부와 가지부분으로 일정한 크기(80cm)로 조제한 후 야외 망 실(4m×2m×2.5m) 내에서 2007년 4월부터 5월까지 우화시기와 매개충 탈출공의 수체내 분포양식을 조사하였다. 또한, 망실 내에서 국내에 많이 분포하여 피 해가 우려되는 소나무류(해송, 잣나무, 낙엽송, 리기다소나무)를 선별하여 투 입하고 산란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북방수염하늘소 성충이 번데기방에서 우화하여 잣나무의 목질부를 가해하 고 탈출할 때 생성되는 탈출공의 직경을 조사한 결과(n=858) 최대 9.62mm, 최 소 2.02mm, 평균 5.83±0.74mm로 나타났고, 잣나무의 경급별 탈출공의 분포는 공시목 직경이 8-14cm 범위가 49.3%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또한, 2-4cm는 0.8%, 4-8cm는 14.3%, 14cm이상은 35.5%로 나타났다. 잣나무에 있어서 북방수 염하늘소의 분포는 주간 상부 쪽과 가지의 직경이 비슷한 크기의 수준으로 존재하기 때문에 잣나무 내 어느 위치에서도 우화탈출하여 소나무재선충을 전파 할 수 있을 가능성이 있으나 직경 8-14cm가지가 많은 중․상부쪽에 주 로 분포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소나무에 있어서 솔수염하늘소의 분포양식 과 비슷하다. 소나무류 수종별 산란선호도와 관련된 침입공수의 출현빈도는 해송 18.8%, 잣나무 54.0%, 리기다소나무 7.7%, 낙엽송, 20.2%로 조사되었으 며, 각각 8.2%, 31.3%, 23.8%, 56.4%의 우화탈출율을 보였다.

      • 광릉숲 내 장수하늘소의 서식실태 조사 및 실내 사육특성 연구

        김철학,이준석,변봉규,임종수,최익제,이봉우,임종옥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04

        국립수목원이 위치한 광릉숲 내 장수하늘소의 서식실태 조사를 2006년에서 2015년까지 10년간 지속적으로 조사한 결과, 성충 탈출공은 총 12개, 성충 3개체(2006년 1개체, 2014년 1개체, 2015년 1개체)가 관찰되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서어나무, 신갈나무, 까치박달나무에서 확인되었으며, 탈출공이 발견된 고사목의 흉고 직경은 약 40~60cm, 성충 탈출공의 높이는 지면으로부터 약 90cm~300cm사이인 것으로 관찰되었다. 장수하늘소의 실내 사육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14년 8월에 중국으로부터 성충 3개체(수컷1, 암컷2)를 도입하여 총 21개의 난(egg)을 확보하였다. 이 중 17개체(80.9%)의 유충이 생존하였으며, 종령이 된 유충은 상온처리구(8개체)와 휴면처리구(9개체)로 나누어 시험한 결과, 상온 처리구에서 7개체가 성충으로 우화되었다. 상온처리구(24±1℃)의 경우 알에서 성충까지 기간은 약 15개월(1개체), 16개월(4개체), 17개월(2개체)이 소요되었다. 휴면처리구는 상온처리(24±1℃) 후 9개체 중 8개체가 번데기로 진행되었으며, 기간은 약 34.8일 소요되었다.

      • KCI등재

        기능적 평가 측정을 통하여 전신냉기치료와 척추 감압기 적용이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게 미치는 효과

        마상렬,Ma, Sang-Yeol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21 No.6

        본 연구는 요추 추간판 탈출증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전신냉기치료와 감압치료를 병행한 그룹과 감압치료를 적용한 그룹으로 나누어 2주간 실시한 후 통증과 요추 굴곡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전반적 인지효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은 시각적 상사 척도 검사와 수정판 쇼버 검사, 그리고 전반적 인지효과척도를 검사하였다. 대응표본 T검사에서 두 그룹 모두 효과적이었다. 그러나 독립표본 T검정과 공분산분석 결과 전신냉기치료와 감압치료를 병행한 그룹에서 더욱 효과적이었다. 요추 추간판 탈출증의 통증과 관절가동범위, 그리고 전반적 인지효과를 개선시키기 위해 전신냉기치료와 감압치료 병용 시 효과적이란 것을 검증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whole body cryotherapy and spinal decompression have effectiveness on the pain, lumbar flexion range of motion, and global perceived effect scale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Thirty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ll randomly divided into whole body cryotherapy and spinal decompression group. To evaluate the effects of whole body cryotherapy and spinal decompression, subjects were evaluated by using visual analogue scale, lumbar flexion range of motion, and global perceived effect scale. The assessment parameters were evaluated before, after 2 weeks treatments. And we received a consent form whole body cryotherapy subjects. The results of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and ANCOVA analysis of variance showed that pain, lumbar flexion range of motion, global perceived effect scal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an before therapy in whole body cryotherapy group. So we conclude that whole body cryotherapy has effectiveness on the pain, lumbar flexion range of motion, and global perceived effect scale in patients with lumbar disc herniation.

      • KCI등재후보

        외이도내 양측성 자발성 측두하악관절 탈출의 1예

        정재훈,고진영,김순구,이일우 대한이비인후과학회 부산,울산,경남 지부회 2014 임상이비인후과 Vol.25 No.2

        This article is a case report of a person presenting with bilateral spontaneous temporomandibular joint hernia-tion (TMJ) in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EAC), and study is consist of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Thepatient was a 59-year-old woman who has bilateral tinnitus. Physical examination was done, but there wasnothing special except bilateral whitish eminence which was observed by mouth opening. She was diagnosedas bilateral TMJ herniation by CT scan. As there was no symptom except tinnitus, so medication was perfomedwithout any manip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