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re-Imjin Kugyŏl Sources in North American Library Collections

        Ross King 구결학회 2010 구결연구 Vol.25 No.-

        본 논문은 해외에 소장된 한국 고서 중 구결기호가 기입된 것을 소개하여 구결연구자료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지리적으로 북미의 주요 학술도서관 소장자료를, 시기적으로 훈민정음 창제와 반포 이후의 자료 중 16세기 말에 일어난 두 차례의 왜란 이전의 자료를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조사의 상한선을 고려시대로 정하여 고려구결자료까지 포함시키려 하였으나, 아쉽게도 북미소장 구결자료들 중 고려자료는 찾지 못했다. 본 연구자가 방문한 도서관은 남가주 클레어몬트대 특별자료 도서관의 프레데릭 맥코믹 한국장서, 프린스턴대 도서관, 뉴욕공립도서관, 예일대의 바이니키 귀중본 및 필사본 도서관, 미국립문서기록보관소, 미국의회도서관, 버클리대학의 C. V. 스타 동아시아도서관 아사미문고, 하버드대 연경도서관, 시카고대 도서관, 하와이대 해밀턴 도서관, 콜롬비아대 C. V. 스타 동아시아 도서관이다. 각각의 도서관에 모두 한국고서가 소장되어 있으나, 그 중 구결자료가 소장된 곳은 네 곳으로, 미국의회도서관, 하버드대 연경도서관, 아사미 문고, 그리고 콜롬비아의 C. V. 스타 동아시아 도서관이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attempt to fill a double gap in current research on Korean kugy?l glosses and the texts that carry them. First is its geographic focus on materials located in major North American research libraries. Second is its focus on kugy?l materials post-dating the invention and promulgation of the hunmin chong' m in the mid-15th century, and especially those kugy?l materials thought to have originated before the Hideyoshi invasions of 1592-1598, this period at the end of the 16th century being the widely accepted rule of thumb cut-off point between 'Late Middle Korean' and 'Early Modern Korean'. I would gladly have extended the focus of the paper into the Kory? period and Kory?-era kugy?l materials in North American collections, but unfortunately, no such materials appear to exist. The library collections either consulted or visited as part of this research project are many: the Frederick McCormick Korean Collection held by Special Collections of the Libraries of The Claremont Colleges in southern California (see Boltz 1985);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the New York Public Library; the Beinecke Rare Book and Manuscript Library at Yale University; the US National Archives; the US Library of Congress; the C. V. Starr East Asian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the Harvard-Yenching Library at Harvard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Library; the Hamilton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Hawaii-Manoa; and the C. V. Starr East Asian Library at Columbia University. While all of these libraries contain in their holdings some old (Chos?n) Korean editions, only four proved to have any pre-Imjin editions with kugy?l annotations: (1) the US Library of Congress, (2) the Harvard-Yenching Library, (3) the Asami Collection at the C. V. Starr East Asian Library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and the C. V. Starr East Asian Library at Columbia University. This paper introduces these materials in order, and points out possible directions for continued research on kugy?l materials held in North America.

      • 미국(美國) 컬럼비아대학 대학 도서관(圖書館) 소장(所藏) 한국본(韓國本) 고전적(古典籍) 고찰(考察)

        윤동원 ( Dongwon Yu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6 디지틀 도서관 Vol.83 No.-

        분석결과 주제별 분석에서는 집부의 개인문집과 사부의 전기류가 많이 소장되어 있었다. 국내에서의 傳存되지 않는 전적은 295종이었다. 장서인이 찍힌 전적은 132종이며, 장서인의 종류는 257종이었다. 내사인과 내사기가 있는 전적은 44종이며, 내사인의 종류는 5종이 있었다. 해외에 산재되어 있는 우리의 전적을 제대로 발굴하고 세계화 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일은 반출된 한국 전적의 반환운동과 함께 전적의 수집은 보다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이다. 그 첫 단계로 소장 국가의 우리 전적에 대하여 심도 깊게 파악하고 양측이 모두 합리적인 방향으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협정을 맺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any books in the Jip-category of personal collections and Sa-category of biographies were found to be part of the theme analysis. 295 kinds of these books no longer exist in Korea. The books with ownership stamps were 132, and the kinds of owner stamps were 257. The books with inner stamps and records were 44, and the different kinds of inner stamps were 5. In order to locate Korean books scattered overseas and make them known to the world, it is most important to establish long-term plans and promote them consistently with the aim of having them returned from overseas. As part of the first stage of such efforts, we should throughly understand the attitudes of the countries toward the Korean books that are housed by them, and try to reach an agreement to reasonably share the information of the books.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 : 사학(史學) ; "대조선" 한글 국호 표기에 관한 연구

        이민식 ( Min Sik Lee )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조선은 이성계가 1392년 개성 수창궁에서 즉위하면서 반포한 국호는 ``고려``였다. 1393년에 국호를 ``조선``이라고 고쳤다. 이후 우리나라는 1910년까지 ``조선→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어 사용하였다. 한자식 표기인 ``大朝鮮國``은 종주국 중국에 대하여 우리나라를 칭할 때 사용한 것이었다. 강화도조약에서 우리나라를 독립국 ``대조선``이라는 국호를 표기하였다. 그래서 19세기 문호개방기에 ``대조선`` 한글 국호를 쓰는 경향이 생겼다. 이때 한글 국호는 나라에서 반포한 국호는 아니었다. 처음 ``대조선`` 한글 국호는 민영익이 미국에서 사용하였다. 민영익이 독립국 견미사절로 미국에 갔을 때 뉴욕으로 아더 대통령을 찾아가 만난 자리에서 인사말 가운데 우리나라를 ``디됴선국``이라고 하였다. 만난 곳은 뉴욕 23가 제5애비뉴 호텔 응접실이었고 만난 때는 1883년 9월 18일이었다. 민영익의 인사말은 고종이 보낸 국서와 함께 뉴욕 타임스 헤랄드지 9월 19일자에 한글로 게재되었다. 10년 뒤 우리나라는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박람회에 정경원을 파미하였다. 정경원은 사무원 1명, 통역관 1명, 국악사 10명을 대동하고 시카고에 갔다. 정경원은 1893년 9월 5일 오후 7시부터 오디토리움 호텔 7층 간즈홀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이를 위하여 정경원은 초대장을 각국 전시관에 보냈다. 정경원은 초대장에서 우리나라의 한글 국호 ``디죠션``을 명기하였다. 그리고 기념품 표지에 구리로 환내(環內)에 ``대조선`` 한글 국호를 써 넣어 손님들에게 주었다. 이 초대장과 기념품은 시카고 도서관과 메릴랜드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초대장과 기념품 표지와 메뉴가 소개된 것은 2001년부터 뉴 멕시코의 G. L. Dybward와 Ms Joy V. Bliss로부터 Annotated Bibliography: World`s Columbian Exposition, Chicago 1893(New Mexico: The Book Stops Here, 1999) 구입과정에서 이들 자료가 소개되기 시작하여 2004년 『세계박람회와 한국』, 2006년의 『콜럼비아 세계박람회와 한국』의 출간과정에서 상세히 소개되었다. ``대조선`` 한글 국호 사용은 속방론이 지배하고 있었던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의 독립론에 힘을 실어 주었다. 한글 국호 사용은 조선이 중국과 차별성이 있는 국가라는 것을 세계에 인식시켜 주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정경원이 한글 국호를 애용하였다는 것은 정경원은 독립정신이 투철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디죠션``을 쓴 사람은 영어를 가장 잘 하였던 박용규였는데 그는 귀국 후에 『대한매일신문』에 다니면서 독립정신 고취에 열을 올린 점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또 다른 한 대목이기도 하다. It was said that the name of Chosen was Goryeo at initial Chosen age. Afterwards, the name of county changed into Chosen→Tah Han Empire. Then it used to write into ``Tah Chosen`` by Korean Alphabet through 19C. Of course it was not declared by King, but the people used to write into it by themselves. Early Min Yong Ik used to write it in USA. Min had called on President Chester A. Arthur in the Fifth Hotel, 23th St. New York. He said that the name of his country was ``Tah Chosen``(디됴선) by Korean language. It was reported with his speech and His Majesty the King of Tah Chosen to His Excellency Chester Arthur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September 19, New York Times Herald by Korean Alphabet. After 10 years, Korea sent Chung Kyung Wan as Commissioner to the world fair with 2 suites and 10 traditional musicians in 1893. It was opened at Chicago, USA. Chung held a feast on Ganz Hall in Auditorium Hotel in Sept. 5, 1893. Chung sent an invitation to all foreign commissioner. He wrote the name of country ``Tah Chosen``(Great Chosen=디죠션) on the invitation by Korean Alphabet. At the same time, he gave a souvenir to the foreign commissioners. Also here it was written ``Tah Chosen`` by Korean Alphabet. It was written by copper. The souvenir and menu was kept in Chicago Pulic Library and University of Maryland. In the course of buying, Annnotated Bibiography: World`s Columbian Exposition, Chicago 1893(New Mexico: The Book Stops Here, 1999) by G. L. Dybward and Joy V. Bliss, I got it from them in May 7, 2001 and wrote World Expo and Korea(2004) and Chicago Columbian World`s Exposition and Korea Exhibits(2006). I think that using of Tah Chosen by Korean Alphabet i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which Korea is originally different from the existence of China on the global world. We can recognize that Chung have always a doctrine of independence in his mind.

      • KCI등재

        ‘대조선’ 한글 국호 표기에 관한 연구

        이민식 한국사상문화학회 2008 韓國思想과 文化 Vol.41 No.-

        It was said that the name of Chosen was Goryeo at initial Chosen age. Afterwards, the name of county changed into Chosen→Tah Han Empire. Then it used to write into 'Tah Chosen' by Korean Alphabet through 19C. Of course it was not declared by King, but the people used to write into it by themselves. Early Min Yong Ik used to write it in USA. Min had called on President Chester A. Arthur in the Fifth Hotel, 23th St. New York. He said that the name of his country was 'Tah Chosen'(됴선) by Korean language. It was reported with his speech and His Majesty the King of Tah Chosen to His Excellency Chester Arthur Presid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n September 19, New York Times Herald by Korean Alphabet. After 10 years, Korea sent Chung Kyung Wan as Commissioner to the world fair with 2 suites and 10 traditional musicians in 1893. It was opened at Chicago, USA. Chung held a feast on Ganz Hall in Auditorium Hotel in Sept. 5, 1893. Chung sent an invitation to all foreign commissioner. He wrote the name of country 'Tah Chosen'(Great Chosen=죠션) on the invitation by Korean Alphabet. At the same time, he gave a souvenir to the foreign commissioners. Also here it was written 'Tah Chosen' by Korean Alphabet. It was written by copper. The souvenir and menu was kept in Chicago Pulic Library and University of Maryland. In the course of buying, Annnotated Bibiography : World's Columbian Exposition, Chicago 1893(New Mexico : The Book Stops Here, 1999) by G. L. Dybward and Joy V. Bliss, I got it from them in May 7, 2001 and wrote World Expo and Korea(2004) and Chicago Columbian World's Exposition and Korea Exhibits(2006). I think that using of Tah Chosen by Korean Alphabet i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which Korea is originally different from the existence of China on the global world. We can recognize that Chung have always a doctrine of independence in his mind. 조선은 이성계가 1392년 개성 수창궁에서 즉위하면서 반포한 국호는 ‘고려’였다. 1393년에 국호를 ‘조선’이라고 고쳤다. 이후 우리나라는 1910년까지 ‘조선→대한제국’으로 국호를 바꾸어 사용하였다. 한자식 표기인 ‘大朝鮮國’은 종주국 중국에 대하여 우리나라를 칭할 때 사용한 것이었다. 강화도조약에서 우리나라를 독립국 ‘대조선’이라는 국호를 표기하였다. 그래서 19세기 문호개방기에 ‘대조선’ 한글 국호를 쓰는 경향이 생겼다. 이때 한글 국호는 나라에서 반포한 국호는 아니었다. 처음 ‘대조선’ 한글 국호는 민영익이 미국에서 사용하였다. 민영익이 독립국 견미사절로 미국에 갔을 때 뉴욕으로 아더 대통령을 찾아가 만난 자리에서 인사말 가운데 우리나라를 ‘됴선국’이라고 하였다. 만난 곳은 뉴욕 23가 제5애비뉴 호텔 응접실이었고 만난 때는 1883년 9월 18일이었다. 민영익의 인사말은 고종이 보낸 국서와 함께 뉴욕 타임스 헤랄드지 9월 19일자에 한글로 게재되었다. 10년 뒤 우리나라는 시카고에서 열리는 세계박람회에 정경원을 파미하였다. 정경원은 사무원 1명, 통역관 1명, 국악사 10명을 대동하고 시카고에 갔다. 정경원은 1893년 9월 5일 오후 7시부터 오디토리움 호텔 7층 간즈홀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이를 위하여 정경원은 초대장을 각국 전시관에 보냈다. 정경원은 초대장에서 우리나라의 한글 국호 ‘죠션’을 명기하였다. 그리고 기념품 표지에 구리로 환내(環內)에 ‘대조선’ 한글 국호를 써 넣어 손님들에게 주었다. 이 초대장과 기념품은 시카고 도서관과 메릴랜드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 초대장과 기념품 표지와 메뉴가 소개된 것은 2001년부터 뉴 멕시코의 G. L. Dybward와 Ms Joy V. Bliss로부터 Annotated Bibliography : World‘s Columbian Exposition, Chicago 1893(New Mexico : The Book Stops Here, 1999) 구입과정에서 이들 자료가 소개되기 시작하여 2004년 「세계박람회와 한국」, 2006년의 「콜럼비아 세계박람회와 한국」의 출간과정에서 상세히 소개되었다. ‘대조선’ 한글 국호 사용은 속방론이 지배하고 있었던 조선시대에 우리나라의 독립론에 힘을 실어 주었다. 한글 국호 사용은 조선이 중국과 차별성이 있는 국가라는 것을 세계에 인식시켜 주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정경원이 한글 국호를 애용하였다는 것은 정경원은 독립정신이 투철한 인물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죠션’을 쓴 사람은 영어를 가장 잘 하였던 박용규였는데 그는 귀국 후에 「대한매일신문」에 다니면서 독립정신 고취에 열을 올린 점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는 또 다른 한 대목이기도 하다.

      • KCI등재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소장 활판본 자료 연구

        유춘동(Yoo ChoonDong),이혜은(Lee Hye-Eun) 동아인문학회 2016 동아인문학 Vol.37 No.-

        이 글은 미국 컬럼비아대학(Columbia University) C.V. 스타 동아시아 도서관(C.V. Starr East Asian Library)에 소장되어 있는 활판본 자료의 총량, 서지와 특성을 검토한 것이다. 컬럼비아대학에 있는 한국학 자료의 존재는 90년대부터 학계에 알려져 있다. 그리고 이 자료들의 총량과 일부 귀중본 자료는 디지타이징(Digitizing)을 통해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한적(韓籍)을 중심으로 하여 이들 자료의 선본(善本)과 귀중본(貴重本)을 위주로 이루어졌고 이 대학에서 소장하고 있는 상당수의 활판본 자료들은 논의에서 제외되어 있다. 활판본 자료는 고소설(古小說), 신소설(新小說), 시가류(詩歌類), 척독류(尺牘類) 전체를 말한다. 이 자료들은 컬럼비아대학에서 마이크로필름으로 제작하여 국내 주요 기관이나 대학도서관에 배포한 상황이다. 하지만 마이크로필름에는 빠진 것들도 있고 이를 반영한 자료의 전체 목록, 서지사항, 국내 소장 여부 등은 논의되지 못했다. 그 결과 이 분야의 관심 있는 연구자들과 일반인들은 이 자료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이 글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이 자료들의 전체 목록(총량), 연구에 필요한 서지사항, 국내외 존재 여부 등을 제시하여, 차후 이 분야 연구의 편의를 돕고자한다.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modern Korean printed materials preserved in the C.V. Starr East Asian Library at Columbia University. The Korean studies collection of the library began to be known by the 1990s. The library has been providing the digitizing service for some rare books of Korean studies collection since 2009. But a decent number of modern Korean printed materials in the library received little attention. Though these materials were transferred onto microfilm at Columbia University and widely owned by many institutions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re exit something missing in the microfilm thus it became impossible to evaluate the total bibliography and collection of the materials. This prevents the researchers in this field and common users from well utilizing the materials. With the recognition of this problem, this research analyzes the situation, bibliography,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modern Korean printed materials for further fundamental resource of this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