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수진,박인숙 한국취업진로학회 2021 취업진로연구 Vol.11 No.3

        신입생으로 대학에 입학하면 다양한 교양을 먼저 접하고, 전공으로 학습을 확대하면서 대학생은 자 신의 진로를 탐색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진로준비를 하게 된다. 대학 생활은 발달과업 상 자아실현을 하는 시기이고, 진로 탐색과정과 준비를 통해 자신의 흥미와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하는 중요한 기 간이다. 대학 시기는 진로와 관한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되면서 이를 해결하는 태도가 미성숙하여 중도 탈락하여 학업 포기와 학교생활에 활력을 잃어버리는 부정적인 결과를 만들기도 한다. 대학생 본인의 진로에 대한 성숙한 의식과 태도를 가지고 있더라도 진로를 준비하는 행동이 수반되지 않으면 목표를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간호는 타 직업 분야와 구분되는 전문직관을 형성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 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간호사라는 직업에 대한 전문직관도 환경적 요소에 따라 변화하리라 생각된다. 간호사로서 마지막 단계 준비를 하는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에게 진로준비행동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서, 간호학의 가치를 깨닫게 하여 올바른 간호전문직관을 확립하고, 스스로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하여 준비를 할 수 있는 셀프리더십을 지지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학년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 향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진로준비행동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다. 연구결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셀프리더십이 간호전문직관에 비해서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인 간호의 독자성, 간호계의 역할, 전문직 자아개 념, 간호의 전문성, 사회적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셀프리더십은 건설적 사고, 리허설, 자기기대, 자기보상, 자기비판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 로준비행동 향상을 위해 간호전문직관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1학년 때부터 학년별 맞춤형으로 진 로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University freshmen first learn about various liberal arts subject, expand their learnings to the major courses, go through exploration on one's career and prepare for their career. Their time in university is when the self realization happens from developmental task, and it is an important time when they choose the job that suits their interest and aptitude via career exploration and preparation. During this time, some might face various difficulties regarding career, and due to lack of mature attitude toward problem solving, it may end up in negative result such as giving up the studying or losing vibrancy in school life. Even when the student has mature thinking and attitude toward career, i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not follow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goals, thus, it is important for nursing to form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occupations. It is thought that the professional intuition for the profession of a nurs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ll also change depending on environmental facto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s a very important element for graduate-year nursing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the final stage as a nurse.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supportive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rehend the influence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of graduating nursing studen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o provide the fundamental reference for developing program about systematic career preparation behavior education. As the result,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 and to improve the behavior,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each grade from the freshman to improve their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elf-leadership.

      • KCI등재

        대학생의 전공선택동기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김경아(Kyounga Kim)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2023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Vol.7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의 1, 2, 3학년 대학생 3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유효한 264명의 설문지를 연구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Hayes의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활용한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공선택동기는 직업가치관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업가치관은 고려하지 않고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 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업가치관의 하위요인에 따른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전공선택동기와 직업가치관을 함께 투입하여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 전공선택동기는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업가치관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즉, 직업가치관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 검증 결과 직업가치관은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직업가치관 하위요인의 매개효과 검증한 결과에서 내재적 직업가치관(적성, 성취감, 능력)은 내재적 동기(적성, 흥미, 재능, 미래)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진로탐색 활동을 향상시킴으로써 구체적인 진로결정과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 내재적 직업가치관이 충족 될 때 전공선택동기가 진로준비행동으로 더 많이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대학 현장의 담당자들은 학생들의 개인특성 및 전공선택동기에 따라 진로교육과 지원의 방향을 다각화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가 대학교 저학년 시기부터 학생들의 능동적인 진로준비행동을 위하여 직업가치관을 확립하고 진로 확신을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37 university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grades of the university, of which 264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study.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IBM SPSS 26.0 program, and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ayes' process macro model 4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a major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ocuupational values. Second, the total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without considering ocuupational value, and as a resul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the mediating effect according to the sub-factors of ocuupational value was confirmed in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confirmed by inputting both major selection motivation and job value,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ajor selection motivation had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 value did not. In other words, as a result of bootstrap verification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cuupational value, it was found that ocuupational value did not mediate the effect of major selection motivatio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ub-factors of job value, it was foun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ttitude, achievement, ability) mediates the influence of intrinsic motivation (attitude, interest, talent, and futur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d that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can make specific career decisions and active career preparation actions by improving career search activitie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when intrinsic ocuupational value are satisfied, the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leads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 Therefore, people in charge of the university field need to diversify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support according to the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motivation for choosing a major.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counseling and education that can establish ocuupational value and increase career confidence for students'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rom the lower grades of university.

      • KCI등재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최태호(Tea-ho Choi),박미숙(Mi-Sook Park)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이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소재 한국폴리텍대학의 취업준비생 24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첫째, 취업준비생의 진로장벽은 우연대처기술,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과 유의한 부적상관, 우연대처기술,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서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하는 구조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고,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우연대처기술은 매개효과가 없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매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완전 이중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취업준비생의 성공적인 진로준비행동을 돕기 위해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향상을 도모해야 함을 확인하였고, 상담에서 취업준비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돕는 방안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job-seekers’ career barriers have effects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by using their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thei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as a mediator, and verifies the mediating effects. To that end, 245 job seekers in Korea Polytechnic University in Seoul and Seoul metropolitan areas were surveyed to acquire the relevant data.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job-seekers’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accidental response skills,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while accidental response skill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mselves.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the structural model in which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mediate showed a good fit. In terms of mediating effects of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ccidental response skills had no mediating effec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full mediating effects, and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completely double mediating effect.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accidental response skill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uld be promoted to help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job-seeker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Also, consultations provided a way to help job-seek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 KCI등재후보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폐광지역 전문계 여고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임윤자,유형근,조용선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폐광지역 전문계 여고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폐광지역 D여자고등학교 전문계열 2학년 학생 20명을 무선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한 후 5주에 걸쳐 총 10회기의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진로결정수준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Harren(l979)이 개발하고 Buck과 Daniels(l985)가 수정한 진로의사결정검사척도를 사용하였고,진로 준비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로,김봉환(997)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검사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을 연구자가 전문계 고등학생에 적합한 수준의 용어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진로 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교육인적자원부(2003)의‘중등학교용 진로지도를 위한 지침서’를 기본 틀로 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구대상의 특성과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진로결정수준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진로결정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학교적응,직업계획,전공계획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되었으며,그 중 직업계획이 가장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진로준비행동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진로준비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제적·지역적으로 소외되어 교육 환경이 열악한 폐광지역의 전문계 여고생의 특수성에 입각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was to improv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girl students in abandoned mine territ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sisted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y 10 students respectively in D high school, Kanwondo, Korea. 10 sessions of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arr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 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career decision level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was proved that the program revealed great effects on improvement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o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scores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in abandoned mine territory. This study should be enough considerations in the way that providing high school girls with appropriate group counseling program in abandoned mine territory.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취업준비 여부,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개발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정영해(Chung, Young Hae),강희순(Kang, Hee Sun),김정숙(Kim, Jeong Suk) 한국사회조사연구소 2011 사회연구 Vol.- No.22

        이 연구는 대학생 402명을 대상으로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개발 준비도간의 관계와 진로개발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내재적 직업가치, 외재적 직업가치는 진로개발 준비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진로개발 준비도는 내재적 직업가치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이 높을수록, 또한 취업준비를 하는 학생이 진로개발 준비도가 높았다. 회귀분석 결과 외재적 직업가치는 다른 변수의 값이 동일한 상태에서, 그 값이 높을수록 진로개발 준비도가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진로개발 준비도 관련 요인으로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취업준비 여부, 외재적 직업가치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를 향상시키고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상담 및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시 이 연구결과에서 나타난 영향요인을 고려할 것을 제언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진로개발 준비도와 대학의 취업 및 진로개발 서비스와의 관계와 진로개발의 실제적인 성과물인 취업과의 연계성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and employment preparation, work valu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402 university students.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asks about employment preparation and uses instruments such as the Work value Inventor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Scale-Short Form(CDSE-SF) and th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Inventory(CDRl). For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H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with the SPSS/PC ver 18.0 program Results: It was found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at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for university student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intrinsic work value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extrinsic work valu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48% of the variance for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intrinsic work value,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employment preparation, and extrinsic work value. Conclusion: Findings suggests that employment preparation, work valu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career development readiness.

      •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준(Kim, Yong-jun) 한국평생교육리더십학회 2021 평생교육리더십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취업준비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취업준비를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효율적인 진로지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을 제공하는 것이 주된 목적을 두고, C시의 M대학과 C대학의 졸업예정 학생인 2학년과 3학년과 1학년 중 취업을 준비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물질적지지, 정보적지지, 평가적지지가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정서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진로준비 행동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준비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 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1단계에서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고, 2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는 종속변수인 진로준비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매개조건을 충족하였다. 3단계 매개조건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의 회귀계수가 유의미하면서 2단계보다 감소하였고, 매개변수인 진로결정 자기효능감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별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가 진로준비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중심으로 취업상담시 사회적 지지체계를 충분히 개발해 주어 진로준비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으며, 진로 프로그램 개발 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ective career guidance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by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with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students who are preparing for employment among the second, third, and first year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graduate from University M and University C in C city. A summary and conclusion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higher the materi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ve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ffec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preparing for employment,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 parameter in the first stage,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and in the results of the second-stage parameter analysis,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met the mediating condition. In the results of the third-stage parameter analysis, the regression coefficien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an independent variable, were significant and decreased compared to stage 2, and the parameter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showing tha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support, evaluative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material support for each sub-factor of social suppor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ocial support system during employment counseling to support career preparation, and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udents with helps through program development that can increas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hen developing career programs.

      • 고등학생 대상 진로준비행동검사 개발 및 타당화

        박완성 한국교육방법학회 2003 교육방법연구 Vol.15 No.2

        이제까지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분야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주제들은 대부분이 개인의 인지나 태도에 관련되는 사항이었고 반면에 합리적이고 올바른 진로결정을 위해서 수행해야 하는 행동이나 혹은 진로결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그 결정사항을 실행하기 위한 행동 등을 포함하는 진로준비행동(career preparation behavior)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집중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로준비기에 있는 고등학교 학생을 위한 진로준비행동 검사를 개발하고 이 검사를 타당화하였다. 진로준비행동 문항을 구성하기 위하여 대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이나 진로에 관하여 하였던 행동이나 현재 하고 있는 행동 그리고 할 계획으로 있는 행동을 자유 응답하도록 하였는데 255명의 고등학생과 42명의 대학생을 합하여 총 29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 과정에서 총 54문항을 도출하였고 이 중 43문항을 추출하여 진로준비행동을 요약 정리하고 전문가 평정을 거쳐 39문항으로 구성된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또, 진로준비행동 본검사 제작을 위해 모두 403명의 남?녀 고등학생을 다양하게 표집하였다. 진로준비행동 목록에서 해석 가능한 요인을 밝혀내고 이들 요인들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요인을 추출하기 위해서 주축 요인법을 사용하였고 요인 스크리 검사를 참조하여 잠정적인 요인으로 4개를 추출하였고 요인을 산출한 결과 9개의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최적의 요인을 찾고 유의미하게 해석 가능한 요인패턴을 찾기 위해 회전을 실시하였는데, 배리맥스 회전법을 사용하여 요인 부하량이 0.3이상인 문항을 추출하여 4개의 요인과 22문항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였다. 요인분석을 통하여 추출된 4개의 요인은 ‘정보수집활동(10문항)’, ‘직업 학과 결정활동(5문항)’, ‘직업체험활동(5문항)’, ‘취업준비활동(2문항)’으로 명명하였다. 고등학교 진로상담에 있어서 학생들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진로준비행동검사를 실시해볼 필요성이 있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의 진로에 대하여 탐색해 보고 정보를 수집하며 직업체험을 해보며 직업에 대한 준비를 하는 진로준비행동이 체계적이고 계획적으로 실시되어야 하겠다. In the carer guidance and the career counseling, there was focused on the cognition and the attitude, not focused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to validate the instrument for assessing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Korean high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255 highschool students and 42 college students. They liste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they have done, which they doing and will be done about the occupation and the career. In this process 54 items were driven. And career preparation scale which was composed of 39 items was made. In the second steps, total 403 highschool students have been participated.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as composed of the 4 variables and 22 items. ① Collecting job information behavior(10 items), ② Occupation?major decision behavior(5 items), ③ Job experience behavior(5 items), ④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2 items), and it's item inter consist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was 0.89.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cale which is composed of exploring career paths, collecting job information, doing job experiences, doing employment preparation is to executed systematically for helping the highschool students.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수준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백인선,정기수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areer decision level and employment possibility on college students who represent young people. For that,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university students and 204 collection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has a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he highe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eco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s a positive (+)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s positive effect on employment possibility.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Fifth, employment possi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ix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 level, but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 level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as not significant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edness partly mediated.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진로결정수준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대학생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회수된 204부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 효과가 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결정수준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용가능성은 진로준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수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진로결정수준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고용가능성은 부분매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가 고용가능성에 의한 간접적인 경로를 거치는 것을 밝힌 것으로 사회진입을 준비하고 있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해서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증진과 함께 고용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나타낸다.

      • KCI등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

        박신영,이동형 한국직업교육학회 2013 職業 敎育 硏究 Vol.32 No.1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s(CPB) in the relationship of career decision level(CDL)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SAC) in multiple domains. The Career Decision Scal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rvey and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o 150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one of four universities in Busan metropolitan area in Korea. The SAC was measured in four domains including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a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 of CDL and CPB, and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DL and four SAC domains. Correlations between CPB and SAC domains, except for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were also positi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indicated that the moderating effects of CPB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DL and SACQ were significant in academic adjustment and college attachment; whil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academic adjustment was significant only if CDL was very high or low (not moderate), the positive effect of CPB on college attachment was significant only when CDL was very high. Results also indicated that CDL, but not CPB,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on social adjustment. Finally, CDL had a unique positive effect and CPB had a unique negative effect on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n contrast to consistent positive effects of CDL on SAC domains, the nature of effects of CPB can vary across different CDLs and SAC domain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in detail. 본 연구는 진로결정수준과 다양한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역할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150명을 대상으로 진로결정수준, 진로준비행동 및 대학생활적응(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4 영역)의 상호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진로발달의 이차원적 개념화에 기초하여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그리고 진로결정수준과 모든 영역의 대학생활적응 간에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진로준비행동도 개인·정서적응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의 대학생활적응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진로결정수준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준비행동의 조절효과는 학업적응과 대학환경적응 영역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이 매우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학업적응이 뚜렷하게 높아지는 반면, 진로결정수준이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이러한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경우에는 진로준비행동을 많이 할수록 대학환경적응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지만, 진로결정수준이 낮거나 중간 정도인 경우에는 대학환경적응이 오히려 낮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 동시에 회귀식에 투입되었을 때, 진로결정수준만이 사회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개인·정서적응에 진로준비행동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활적응에 있어서 진로결정수준의 전반적인 긍정적 효과와는 달리 진로준비행동의 효과는 그 크기와 방향에 있어서 개인의 진로결정수준과 구체적인 적응 영역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대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은선,이희수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recogni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in employment and socioeconomic achievement may influence the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to prepare for career when blind adoption is spreading.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constructed and the empirical analysis was planed to investigate whether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affects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gender and the grade level among the three factors. For this study, structured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on the percep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career resilienc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ith students in a local university. Of the total 482 data, 415 answered sincerely were collected and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d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were conducted. For the hypothesis test, t-test, multiple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verific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roups, male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female students in opportunity inequality perceptio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erms of grade, grade 4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an students in grades 1-2 or grade 3.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hree factors of opportunity inequality perception,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the factor of recognition of opportunity inequality is a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career resilience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means that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affec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career resilience. Opportunity inequality recognition and career resilience factors were analyzed to explain about 30%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systematic education and counseling support is needed from the lower grades in the education and counseling field of the career pa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issues in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In order to facilit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and programs to increase career resilience. It also raises the necessity to continue to set up and spread the system that guarantees equality of opportunity such as blind adoption and fairness in recruitment process under youth career crisis. 본 연구는 블라인드 채용이 확산되고 있는 시점에서 취업이나 사회경제적 성취에서의 기회불평등 인식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이 세 요인은 성별, 학년별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가설을 세우고 실증적인 분석을 계획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지방대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회불평등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및 개인별 특성에 관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482명의 자료 중 결측값을 제외하고 415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문항의 신뢰도분석과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하여 t-검증과 다중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적 특성에 따른 차이검증에서 성별로는 기회불평등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 요인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학년별로는 4학년 학생이 1-2학년이나 3학년 학생보다 진로준비행동 요인에서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회불평등인식, 진로탄력성, 진로준비행동의 세 요인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고, 기회불평등인식 요인은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변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탄력성 요인은 부분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나 기회불평등인식이 직접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진로탄력성을 통해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두 요인은 진로준비행동을 30% 정도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교육 및 상담 현장에서 저학년부터 체계적인 교육과 상담 지원이 필요하며, 노동시장의 구조에서 젠더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진로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이나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 취업난 속에서 블라인드 채용과 같은 기회의 평등과 채용과정에서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제도의 정착 및 확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할 당위성을 제기해 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