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국에서의 의료용 마리화나 합법화의 시사점

        허순철 ( Soon Chul Huh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3 No.4

        199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미국 내 28개 주와 워싱턴 D.C.가 의료용 마리화나를 합법화 하였다. 이처럼 마리화나에 대한 법적 규제가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 것은 마리화나가 가지는 의학적 효용에 기인한다. 마리화나는 특히 신경장애나 손상으로 인한 통증, 예컨대 메스꺼움, 발작, 녹내장, 활동장애 등의 치료에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파킨슨 병으로 인한 떨림을 완화시키고 다발성 경화증과 만성 염증성 질환인 크론병으로 인한 고통을 경감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에 마리화나는 코카인이나 필로폰과 같은 위험한 마약에 빠지는 통로로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환각이나 쾌감 등을 주기 때문에 남용될 개연성으로 인해 연방법인 「규제약물법」 상 1급 마약으로 분류되어 있다. 2005년 미국연방대법원은 Gonzales v. Raich 사건에서 캘리포니아 주법인 「의료용 마리화나법」에 따라 의료용 마리화나를 적법하게 재배하더라도 마리화나 가격과 시장 조건에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규제약물법」이 이들의 행위를 규제하는 것은 연방헌법상 주간통상조항에 위반되지 않는다고 하였다. 한편 미국 내 28개주와 워싱턴 D.C.는 의료용 마리화나를 합법화한 반면에 연방법인 「규제약물법」은 마리화나의 사용 등을 범죄로 규정하여 처벌하고 있기 때문에 여러 가지 법적인 문제들이 발행한다. 먼저 의료용 마리화나가 합법화된 주에 사는 주민이라도 연방법의 적용을 받는 시설, 예컨대 사회보장국 건물 등에서 마리화나를 소지하다가 적발되면 주법에 의해서 적법한 것이라도 연방법을 위반한 것으로서 형사처벌을 받게 된다. 둘째, 의료용 마리화나를 적법하게 이용하는 경우라도 자녀의 복리에 위해가 되는 경우에는 부모의 양육권을 제한당할 수 있다. 셋째, 공립학교에 다니는 학생의 경우 학교당국이 연방법에 위반된다는 이유로 의료용 마리화나의 사용에 협조하지 않아 학생의 학습권에 제약이 발생하기도 한다. 넷째, 근로자가 작업시간외에 의료용으로 마리화나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직장에서 실시하는 소변검사에서 양성반응을 보여서 해고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법적인 문제들은 미국이 연방국가로서 이중적인 법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데에서 기인하는 것이지만, 우리는 마리화나의 의학적 효용과 가치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특히 마리화나는 종류가 매우 많고, 이를 투여 내지 이용하는 방법도 다양하므로 기존의 약물로는 치료가 어려운 각종 질병에 대한 의학적인 효용에 관한 장기간의 연구와 실험이 필요하다. Until now 28 States and Washington D.C. has legalized medical marijuana since California legalized it for the first time as of 1996 in the United States. This radical change toward the legal regulation of marijuana results from the medical benefits from using it. It is said that marijuana can play a critical role in controlling neuropathic pain including nausea, spasticity, glaucoma and movement disorder, and can relieve the tremor of the Parkinson`s disease and the pain of the Crohn`s disease. In contrast, marijuana has been classified as a Schedule 1 Controlled Substance under the Controlled Substance Act (CSA) not only because it can be a gateway to the hard narcotics such as cocaine and methamphetamine, but also because it has abuse potential due to its hallucination or pleasant feeling. In 2005, the Supreme Court of the U.S. decided that “application of CSA provisions criminalizing manufacture, distribution, or possession of marijuana to intra-state growers and users of marijuana for medical purposes did not violate Commerce Clause” under the U.S. Constitution since their private growth of marijuana affected price and trade conditions in the marijuana market even though they grew it legally under the California statute. There are some legal problems caused by the fact that 28 States and Washington D.C. has legalized medical marijuana but the federal law, CSA, still punishes its use and possession as a crime. First, citizens who live in a State where medical marijuana is legal can be offenders when they are searched and found to be in possession of marijuana in a federal building such as the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office even though medical marijuana is legal under the State statute. Second, parents may lose custody of their child if the child was harmed by the use of marijuana by them even though they legally used it under the State statutes. Third, public school students may have some disadvantages regarding their right to study because public schools are not cooperative with the students who are prescribed medical marijuana, which is still illegal under CSA. Fourth, disabled employees who used medical marijuana are being fired for using it outside the workplace due to the positive urine drug tests. In sum, these legal problems may caused by the fact that America has the dual legal systems, the federal and the state legal systems, bu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edical benefits and values of marijuana. In particular, long-term study and tests are necessary with regard to the medical utility for the disease which is not easy to treat with the existing medicine because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marijuana and the methods of its administration and use vary.

      • KCI등재

        Motivation of Legalizing Medical Marijuana in the US States: Case Studies on Three States (California, Colorado and Illinois)

        Kim, Gook-Jin(김국진) 한국정부학회 2019 한국행정논집 Vol.31 No.3

        최근 미국에서는 주(州)들의 의료용 마리화나 합법화 찬반에 대한 첨예한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연방정부에서는 여전히 의료용 마리화나에 대한 사용을 규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19년 현재 33개 주에서 의료적 사용을 목적으로하는 마리화 사용을 합법화 하였으며, 다른 주들도 의료용 마리화나 법률에 대한 입법화를 고려중이다. 그렇다면 33개 등 주에서는 왜 의료용 마리화나에 대한 합법화 법률을 채택하고 있는것일까? 본 연구는 3개 주(캘리포니아, 콜로라도, 일리노이주)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미국 주들의 의료용 마리화나 합법화의 동기요인 및 확산에 대하여 설명한다. 3개 주에 대한 사례연구 결과, 의료용 마리화나 사용에 대하여 합법화를 이룬 주 된 요인이 시민들의 의견(여론)의 힘이였다는 것을 공통적으로 발견하였다. 또한, 의료적 사용을 목적으로 마리화나가 필요한 환자들에 대한 지지와 경제성장에 대한 필요성이 개인적 또는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초월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캘리포니아와 콜로라도 사례연구에서는 국민발의 제도가 정치인들의 반대를 극복하여 합법화를 이루게 해준 중요한 정책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legislation of medical marijuana in some states of the United States (US) is currently a controversial topic. Despite being in conflict with the federal government, 33 US states have legalized medical marijuana, and in 2019, several other states are considering adopting similar laws. It is reasonable to questions why some US stats adopt medical marijuana laws while others do not.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ation and diffusion of legalizing medical marijuana laws through case studies on three states including California, Colorado, and Illinois. The three cases show in common that the opinions of citizens led the use of medical marijuana to be legalized in the three states. Also, it was found that sympathy for patients who need marijuana for medical purposes and the need for economic growth could be beyond the politicians’ personal or political ideology. Lastly, the cases of California and Colorado show that a ballot initiative was a good tool for medical marijuana advocates to carry out their policy intentions that were blocked through the governor and/or legislature.

      • KCI등재

        미국의 대마초 합법화 과정 및 주요 쟁점 연구

        허경미 한국경찰연구학회 2018 한국경찰연구 Vol.1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연방정부의 대마초 규제법 및 주정부의 의료용 및 기호용 대마초의 합법화 과정 및 특징, 그리고 주요 쟁점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한국의 관련 입법 및 정책 방향설정에 기여하는 것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대마초, 즉 마리화나를 규제약물로 간주하고 그 사용 및 판매 등을 금지하고 있지만, 2018년 4월을 기준으로 30여개 주는 의학적 사용을, 그리고 9개 주와 콜럼비아 특별구는 기호용 대마초 판매 등을 합법화하였다. 또한 미국의 대마초산업은 블루오션 산업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미국의 대마초 합법화의 과정은 연방정부의 대마초 금지를 표방한 연방주의와 대마초 합법화주의를 주장하는 주정부들의 분권주의의 100여 년에 걸친 투쟁과정의 연장선상에 있다. 미국의 대마초 합법화 과정에서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료용 대마초의 합법화 과정에서는 시민의 건강추구권, 행복추구권적 차원의 대마초 수요, 대마초 처방전 발급 불허와 반발, 대마초 판매자에 대한 제재와 갈등이 노출되었다. 기호용 대마초의 합법화 과정에서는 연방정부의 불명확한 입장, 주민청원 입법 방식의 합법화 경향을 뚜렷하게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국의 대마초 합법화 과정에서 첫째, 대마초의 약리적 효과에 대한 법원의 긍정적 해석, 둘째, 대마초 규제 또는 허용에 대한 연방정부의 모호한 태도, 셋째, 기호용 대마초 합법화 조건의 통일성 문제, 넷째, 주정부의 수입원창구로서의 대마초 합법화 전략과 갈등, 다섯째, 청소년의 대마초 접근에 대한 통제 문제 등의 쟁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한국 역시 의료용 대마초에 대한 유엔의 태도 변화 및 캐나다와 미국의 합법화 전략 등을 바탕으로 개인의 건강권과 행복추구권 그리고 국가의 국민에 대한 건강보건책무 등을 고려한 대마초 전략을 준비해야 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전반적인 사회적 논의와 정책진단, 그리고 입법정비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relevant legislative and policy directions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 federal government 's cannabis regulation and the state' s legalization of medical and marijuana use. The US federal government considers cannabis(marijuana) as a regulated drug and prohibits its use and sale, but 30 states in April 2018 have used medical use, and nine states and the District of Columbia have legalized cannabis sales. In addition, the cannabis industry is becoming a blue ocean industry. The process of legalization of the US cannabis is the result of a struggle over the past 100 years between federalism as a prohibit and decentralization as a decriminalization.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 legalization process of cannabis are as follows. In the process of legalization of medical cannabis, the right to pursue citizens' health, the demand for cannabis for happiness seeking rights, the impossibility of issuing cannabis prescriptions, and the sanctions and conflicts on cannabis sellers were exposed. In the process of legalizing cannabis for recreation, the federal government's ambiguous position, and the tendency to legalize cannabis for recreation in the way of petitioning the residents became clear. Based on this, in the process of legalization of US cannabis first, the court's positive interpretation of the pharmacological effects of cannabis, second, the ambiguous attitude of the federal government to regulation or permitting cannabis, third, the unity of cannabis legalization conditions, fourth, the legalization strategy and conflict of cannabis as a revenue source, fifth, the issue of control of access to marijuana by juveniles was identified. Therefore, South Korea should also prepare a cannabis strateg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rights of the individual to pursue happiness, the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the health and health responsibilities of the nation, based on changes in the attitude of the United Nations on medical cannabis and the legalization of Canada and the United States. And overall social discussion, policy diagnosis, and legislative maintenance are needed.

      • KCI등재

        Motivation of Legalizing Medical Marijuana in the US States: Case Studies on Three States (California, Colorado and Illinois)

        김국진 한국정부학회 2019 한국행정논집 Vol.31 No.3

        The legislation of medical marijuana in some states of the United States (US) is currently a controversial topic. Despite being in conflict with the federal government, 33 US states have legalized medical marijuana, and in 2019, several other states are considering adopting similar laws. It is reasonable to questions why some US stats adopt medical marijuana laws while others do not. This study analyzes the motivation and diffusion of legalizing medical marijuana laws through case studies on three states including California, Colorado, and Illinois. The three cases show in common that the opinions of citizens led the use of medical marijuana to be legalized in the three states. Also, it was found that sympathy for patients who need marijuana for medical purposes and the need for economic growth could be beyond the politicians’ personal or political ideology. Lastly, the cases of California and Colorado show that a ballot initiative was a good tool for medical marijuana advocates to carry out their policy intentions that were blocked through the governor and/or legisl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