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東學歌辭에 나타난 侍天主 사상 연구

        이상원(Lee Sang-won) 우리문학회 2008 우리文學硏究 Vol.0 No.24

        수운 최제우가 남긴 가사 8편을 기본 텍스트로 하고, 수운이 한문으로 직접 쓴 『東經大全』을 주요 근거로 삼아 동학의 핵심 사상인 待天主의 본래 의미를 밝혀 보고, 그것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海月과 義菴의 글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자 범위이다. 천주를 올바르게 모신다는 ‘侍天主’는 동학의 가장 중요한 핵심이 되는 개념이다. 시천주는 논자에 따라 실로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으며, 특히 ‘누구나 이미 자신 안에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는 식의 범신론적 해석이 통설이 되다시피 하였다. 시천주의 뜻을 풀이할 때 가장 중요한 근거는 우선 교조 자신의 체험과 글이어야 할 것이다. 『東經大全』과 『龍潭遺詞』를 살펴보면, 수운은 1860년 4월 5일에 우주의 절대자에게서 대도를 받은 것으로 되어 있다. 이 종교 체험이 창도를 하게 된 결정적 근거임은 두말 할 나위도 없는 일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수운의 종교 체험을 중시하는 입장에서 해석하여 시천주의 의미를 살폈다. 수운이 쓴 천주, 상제, ??님은 동일한 대상이라 본다. 천주란, 수운에게 도를 내려 주신 바로 그 절대자, 인격신으로서의 최고신을 말한다. 수운은 천주를 체험적으로 깨달아서 참답게 모시면 조화가 정해지며, 영원히 잊지 않으면 만사를 아는 지혜를 얻는다고 생각했고, 시천주를 잘 하면 지극한 성인의 경지에 이르게 된다는 점을 또한 밝혔다. 시천주란, 천주라는 존재를 깨닫고 믿어서 정성과 공경을 다하여 모시는 것을 뜻한다. 결국 시천주란, 이 우주의 주재자, 조화주를 참되게 모시는 일이다. 그리고 천주를 모시는 방법은 修道에 힘쓰고 修心正氣를 유지하며 誠敬信을 다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런데 수운이 말한 시천주의 의미는, 수운을 계승한 해월과 의암의 글에서 크게 변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해월은 ‘人是天’, ‘我是天’이라 하여, 사람이 곧 한울, 한울님이며, 사람과 만물이 다 자신의 몸 안에 천주를 모시고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마침내 시천주가 아니라 ‘養天主’라는 새로운 개념을 만들어 내었다. 의암은 侍를 覺으로 해석하였다. 시천주는 覺天主라는 뜻이라 하고, 天主의 主는 ‘내 마음의 님’이라는 뜻이라 했다. 그래서 내 마음(我心)을 내가 모신다(我侍)는 해석을 했다. 이처럼 해월과 의암은 시천주 개념을, 천주의 인격적 측면을 배제하고 범신론적으로 확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운이 의도한 시천주의 뜻을 변질시켰다. 수운의 가르침과 다른 해석을 한 이유는, 수운 자신이 절대자의 존재를 분명하게 밝히지 않았던 점에서 시작되었으며, 후계자들이 그 가르침을 올바르게 파악하지 못하고, 신앙의 대상을 바르게 인식하지 못한 데에도 있었다. This paper is planned ① to reveal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thoughts of 侍天主 through 水雲 Choi-Je-Woo(崔濟愚)'s 〈the 8 words of a song〉 and 『the Oriental Sutra』(東經大全) and ② to reveal the processes of the change of its original meaning through the writings of 海月 Chio-Si-Hyung(崔時亨) and 義菴 Son-Byeng-Hee(孫秉熙). 侍天主, meaning attending on the Heaven rightly,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Dong-Hak(東學). There are the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侍天主. Especially, out of them pantheistic interpretation, which assists on the immanence of Heaven in all man, is generally being accepted. But the main key of interpretation of 侍天主 must be, first of all, the experiences and writings of the founder of the religion. 水雲 has accepted the great Tao from the Absolute of the universe 5th, April 1860 according to 『the Oriental Sutra』 and 『Yongdamyusa』(龍潭遺詞). This religious experiences must have been the decisive grounds of his new religion. Therefore in this paper I am interpreting the 侍天主 on the grounds of his religious experiences. The Lord of the Heaven(天主), God(上帝), the Heaven are the same terms in 水雲. The Lord of the Heaven is the Absolute that gave 水雲 the great Tao. He thought that if we attend on the Lord of the Heaven well, the harmony will come us and we will reach to the Dimension of high Saints, and if we never forget Him, we will get the wisdom that knows all. Accordingly, 侍天主 is to believe the Being of the Lord of the Heaven and to respect and to attend on Him with all the true hearts. In short, 侍天主 is to attend the Lord of the Harmony of the universe sincerely. And the ways of 侍天主 are to practice the religious austerities and to maintain the right-minded and the right vitality(修心正氣), and to believe in Him with all the respects. By the way, this original meaning of 侍天主 in 水雲 has slowly been changed by his disciples 海月 and 義菴. 海月 interpreted the 侍天主 as what human is the Lord of the Heaven(人是天}, what I am the Lord of the Heaven(我是天). Accordingly, he thought that the Heaven is already in man including the all creation without any excepts. Finally he made new concept of 'Bringing up the Lord of the Heaven'(養天主). 義菴 interpreted attending on(侍) as realizing(覺). He has not only assisted on 侍天主 as realizing the Lord of the Heavena(覺天主), but also the Lord(主) in the Lord of the Heaven as 'the Lord of my mind'. Accordingly, he interpreted 侍天主 as what I attend on my mind(我侍我心). Consequently, 海月 and 義菴 have distorted the original meaning of 侍天主 in 水雲 by stretching the meaning of 侍天主 into pantheistic meaning.

      • KCI등재

        ‘東’의 誕生

        최재목(Choi Jae-mok) 한국양명학회 2010 陽明學 Vol.0 No.26

        이 논문에서는 경주가 낳은 두 사상가 즉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을 ‘東’의 탄생이라는 ‘視點’에서, 관련 자료를 활용하여, 다시 조명해보면서 범부는 신라 -경주로부터 내려오는 풍류를 잇는 수운의 혈맥을 다시 잇고 있는 것이라 보았다. 먼저 수운과 범부의 ‘東’이란 은유의 배경 찾기로서 다양한 ‘東’의 의미를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근대기 일본의 논의까지 안목에 두고 살펴보았다. 즉, 〈‘東’ - ‘日出’ 지역 쟁탈전〉, 〈‘西’에 맞선 ‘東’이라는 시점〉, 〈‘東洋’의 의미〉,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옥시덴탈리즘(Occidentalism)’〉, 〈‘빛은 동쪽에서’(Ex Orient Lux) - 한국의 ‘동/동방’ 찾기: 元曉, 塞部〉, 〈타고르가 말한 ‘東方의 등불’ 코리아(조선)〉, 〈‘東’의 우월성’, ‘東洋思想’의 등장〉, 〈근대기 동아시아의 ‘동양’ 논의 - 특히 제2차 세계대전 전후 일본의 ‘동양’-‘아시아’라는 개념논의 - 이 그것이다. 이것은 최치원 등에 의해 ‘동’으로 대표되는 ‘신라 -경주’-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으로 전승되는 문화사적 고리를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어서 수운의 ‘동학’과 범부의 ‘동방학’이 서로 소통하고 있다는 것을 몇가지 증거를 들어 논의하였다. 즉, 〈최근 신라-경주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 〈수운, 범부의 ‘해동’-‘신라’-‘경주’로의 눈돌림〉, 〈수운의 ‘다시개벽’에서 범부의 ‘동방르네상스’로〉, 〈신라, 경주 문화의 특수성 규명의 방법-범부의 ‘오증론(五證論)’〉, 〈‘血證’論의 확대-범부의 「崔濟愚論」: 무속(巫俗), 계시(啓示), 한울님[天主]의 강림(降臨)에 주목-〉, 〈범부의 ‘사우맞음(대조화)=풍류’는 수운의 ‘內有神靈外有氣化-侍天主造化定’의 부활〉, 〈수운의 ‘仙道+武道+巫俗’(「劍訣」)와 범부의 ‘花郞道’=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가 그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수운과 범부에게서 공통되는 요소들 ①신라-경주에의 주목, ②‘다시개벽’론-‘동방르네상스’론, ③‘내유신령외유기화’-‘시천주조화정’과 ‘사우맞음(대조화)’=‘풍류’, ④ 예컨대 「劍訣」에서 보이는 ‘仙道+武道+巫俗’의 특질과 ‘花郞道’의 ‘종교적 요소(←巫)+예술적요소(←風流)+군사적요소(←武)’의 특질이 지적되었다. 이렇게 수운과 범부의 연결을 통해 ‘동-동방’ 논의의 평가와 그 의의를 되짚어 보는 것은 이제 시작일지도 모른다. 수운의 동학, 범부의 동방학은 ‘동=동방의 탄생’을 통해 우리 민족의 근저가 되는 ‘문화전통’의 본질적 요소들을 당시의 상황에서 재현하려는 하나의 노력이거나 운동이었음을 우리는 기어갈 필요가 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노래와 영화 ‘신라의 달밤’ 등은 모두 신라-경주의 발견과 재탄생을 의미했고 신라-경주가 근-현대 한국적 맥락에서 또 다른 ‘시공간’으로 새롭게 탄생되던 것처럼 말이다.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the two thinkers i.e. Suun Choi Jewoo and Bombu Kim Jeongsol who are born in Gyonju of Korea. Suun advanced Donghak(the east studies) against Seohak(the west studies). And Bombu advanced Dongbanghak(the orient studies) against Seobanghak(the occident studies). The Dongbanghak of Bombu, basically, succeed the Donghak of Suun. Suun is known as a close friend with Bombu’s grandfather in Gyonju. And so, Bombu seems to have many chance to hear from his grandfather or the neighbors about Suun. This study, especially, focus on how to born the viewpoint of the east in Suun and Bombu. The two thinkers pay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values and traditional ethos in korean, from the ancient and medieval history to their days, because of the erosion of traditional values Pungryu(taste for the arts and a romantic turn of mind) under the influence of foreign cultures, i.e. Jujahak(Zhuxi studies) one of the Neo-confucianism, the Christian religion, and western culture. Then Suun’s Donghak against Seohak in spirit a shamanist custom as religious ritual for the mountain spirit(仙道/巫俗). And Bombu’s Dongbanghak match for west in ancient and medieval culture, Pungryu of Silla, that is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keywords for building nation morals and ethics strategies. Thus, the two thinkers, who is as a tradition-minded person, asserted each Donghak and Dongbanghak studies, as the main purpose of alternative cultural vision for survival strategy in modern korea under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 KCI등재

        수운과 샌델의 생명사상 연구 - 사상적 근친성의 모색 -

        정진화 동학학회 2021 동학학보 Vol.- No.59

        이 연구의 목적은 수운 최제우(水雲 崔濟愚)와 마이클 샌델(Michael Sandel)의 생명사상 에 대한 정치철학적 접근을 통해 사상적 근친성을 모색하고 동서양 사상의 통섭에 이르는데 있다. 수운 최제우가 수립한 ‘시천주(侍天主)’ 사상은 생명의 신성함과 역동적인 원리를 담고 있으며 샌델의 생명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명공학 논쟁에 필요한 정치철학적 관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수운과 샌델의 생명사상을 연구하며 시공간적 한계를 넘어서는 사상적 근친성과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천주 사상을 중심으로 수운의 생명사상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 둘째, 샌델의 공동체적 자아관과 생명의 기원에 대한 입장을 통해 생명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며 셋째, 수운과 샌델의 사상적 근친성을 모색하고 시사점을 도출했다. 연구 내용을 검토한 결과 수운과 샌델의 생명사상은 시대적 상황과 논리 구조, 그리고 실천적 측면에서 차이점이 존재하지만 생명에 대한 도덕적 인식과 태도, 공동체적 관점, 그리고 만물에 대한 생명의 평등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상적 근친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현대 물질만능주의와 팬데믹 사태 속에서 생명에 대한 인식과 철학이 정치적 영역에서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닫는 계기를 제공하며 현대사회가 생명에 대해 보다 바람직한 인식을 갖도록 하는데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ch the consilience of Eastern and Western thoughts and explore the proximity of thoughts through research the life-thought of Su-un Choi Jeu and Michael Sandel based on a political philosophical approach. The idea of ‘Sichonju’ established by Su-un contains the sanctity and dynamic principle of life and Sandel’s recognition and attitude toward life suggests a political philosophical perspective necessary for the biotechnology debate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Su-un and Sandel's life-thought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proximity of thoughts and the implications beyond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s. The conten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examined Su-un's life-thought and its meaning focusing on the idea of ‘Sichonju’, Second, I analyzed Sandel’s perception of life through communal self and position on the origin of life, Third, I explored the proximity of thoughts of Su-un and Sandel and derived implication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Su-un and Sandel have differences in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logical structure, and practical aspects, but have the proximity of thoughts in the following respects: emphasizing the moral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life, the communal perspective, and the equality of all life. The study like this is expected that can set up an opportunity to realize how important the perception and philosophy of life are in modern materialism and pandemics, and can provide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have a more desirable perception of life in the modern society.

      • KCI등재

        수운(水雲) 사상의 특징과 사상사적 정위(定位)

        이병태(Lee, Byeong Ta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4 No.-

        수운은 우리 철학사 및 사상사의 대전환기를 이끈 탁월한 사상가다. 그는 전통적 유학의 영향력이 약화되던 시기, 그리고 일본적 스펙트럼을 통해 굴절된 서양철학 수용사가 시작되는 전환기 사이를 한국적 철학의 시간으로 만들었다. 독자적인 언어와 개념을 통해 한국철학 및 한국사상의 역사 위에 창의적인 사유와 실천의 전통을 구축했던 것이다. 따라서 수운의 사상적 독자성과 특성이 어디서 성립하는지를 이론적으로 규명하는 일은 그의 사상사적・철학사적 정위(定位)와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이는 지속적인 발전적 재해석을 요구함과 동시에 그 독자성의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재구성하는 일 또한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는 특히 수운 사유가 유학의 지평 속에서 조망됨으로써 그 창의적 의의가 대체로 과소평가되었음을 염두에 둔 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역사적 인식이나 수양의 방법론 등에서 수운과 유학을 적절하게 변별함은 그의 사유가 지닌 독창성과 사상사적・철학사적 의의를 제대로 평가하는 일과 분리될 수 없다. 하지만 한국철학사 및 한국사상사, 나아가 ‘동학’이라는 역사적 사건에서 수운 한 사람의 비중은 신중하게 성찰・평가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그의 사유와 실천이 가로 놓인 지성사 및 역사의 지형・동학(動學)이 먼저 치밀하게 성찰되어야 한다. 역사적 사건으로서 ‘동학’은 특정한 인물이나 사상으로 환원할 수 없는 복잡다기한 요소들로 구축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동학은 몇몇 지도자와 그 사상, 혹은 교단화의 맥락 등으로 일축되거나 환원될 수 없으며, 여러 사람들의 관계 및 정서, 문화를 동시에 고려해야 그에 대한 합당한 지성사적 재구성이 가능하다. 이렇게 볼 때, 수운의 사유와 실천은 역사적 사건이자 지성사적 사건인 ‘동학’ 그 자체와 등치되기보다 그 위대한 기원으로서의 의미를 드러낸다. Su-woon(Choi Je-Woo) is a outstanding thinker who led the great turning point of Korean philosophy’s and thought’s history. He had built a creative tradition of thinking and practice o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by unique concepts and words. It is very important to analyze and investigate the uniqueness and creativity of Su-woon, for it helps us be able to understand and evaluate properly his thought’s significance. But, in this analysis and investigation, the Confucianist influence on Su-woon’s thought should be examined carefully. Because his thought’s significance and creativity would have often been undervalued in the shadow of Confucianism. Su-woon’s thinking and practice could be obviously distinguished from Confucianism by the essential concepts, methodology, and etc. Although his importance in Korean intellectual history is certainly not minor, his position in ‘Dong-hak’ as a historic event should be judged minutely and valuated properly. Because ‘Dong-hak’ as a historic event had been composed of the complex factors, it must not be reduced to one or some persons’ thoughts and activities. All the related persons’ common emotion, thought, creed, passion, culture, and practice had built Dong-hak’s gravity on real history as well as intellectual history. A study, in the light of those various factors and their combination, reveals that Su-woon’s thinking and practice are not equivalent to Dong-hak itself, but its great genesis.

      • KCI등재후보

        수운(水雲) 최제우의 남녀평등관

        양삼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2 민족사상 Vol.6 No.4

        수운 최제우는 동학의 창도를 통한 종교적 기여와 더불어 민중 의식의 제고와 자주⋅민족의식의 앙양을 통해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수운의 사상은 시천주와 동귀일체로 대표되는 인도주의적 측면과 아울러 평등의식, 자주적 국가관 등으로 대표된다. 특히 수운의 사상에는 본원적 평등관의 휴머니즘적 요소와 더불어 사회적 평등의 요소가 내포하고 있다. 사회 인식에 기초한 수운의 평등관에는 남녀평등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다. 그는 양성평등의식의 제고를 통해 근대 여성의식의 앙양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수운의 사상들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에 의해 제시된 폐정개혁안으로 구현되었던바 이것은 한국의 근대 정치사에서 여성의 평등의식을 일깨우는 데 크게 기여했으며 독립운동과 여성운동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일부 학자들은 수운의 남녀평등에 대한 인식이 기존의 유교적 윤리관의 범주를 탈각하지 못하고 있음을 근거로 부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러한 견지에서 본고에서는 남녀 차별적 관념이 배태되게 된 조선 초기의 유교관과 수운의 여성관이 나오게 된 사회적 배경, 수운의 여성관에 대한 평가와 아울러 이에 대한 논란을 중심으로 수운의 남녀평등관을 조명하고자 한다. Suwoon Choi Jewoo jas been highly evaluated for his contribution in founding Donghak and offering an ideological basis for elevating the status of the mass people and the consciousness of self-reliance and nationhood. His thought is symbolized as such elements of humanitarianism expressed in Si Chun Joo and Dong Gui Il Che, equality consciousness, and national independence as well. Suwoon's thought includes humanitarian elements of original and social equality. His view of equality, based on social consciousness, includes element of the equality of the two sexes. Suwoon contributed to enhancing modern woman consciousness through the equality of the sexes. These Suwoon's thoughts specified in Pyejunggaehyuk were pursued by the military group of Dong Hak during the period of Dong Hak revolution. His thoughts contributed to women's equality consciousness in the modern Korean political history and influenced on subsequent independence and feminist movements. Nevertheless, some scholars evaluate his thoughts negatively on the ground that his attempt to realize the equality of sexes could not overcome the limitation of established horizon of confucian ethics. In defense of Suwoon, however, this study will examine Suwoon's thought of equality of sex, by focusing on the womanhood in early and middle Chosun dynasty and the social background of his view of woman.

      • KCI등재

        예수와 수운의 정의 사상 비교: 정의 사상을 통한 두 이야기의 합류

        권진관(Kwon Jin Kwan)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8

        이 논문은 동서양의 대표적인 사회변혁 종교인 그리스도교와 동학의 시조 예수와 수운 최제우의 정의 사상을 이 두 분의 이야기들의 플롯을 분석함으로써 밝히고 있다. 플롯을 분석하면 이야기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분명해 진다는 점을 착안하여 플롯 분석을 통해서 예수와 수운의 두 이야기들을 비교하고 합류시키려고 한다. 연구자의 연구진행방식은 우선 정의(justice)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를 밝히고 있다. 즉, 독일의 정치철학자 라이너 포르스트(Rainer Forst)의 최대한의(maximal) 정의 개념에 대비되는 최소한의(minimal), 근본적인(fundamental) 정의 개념을 수용하고 활용하면서, 이를 예수와 수운의 이야기에 적용시켜보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이야기 접근방법을 택하고 있는데, 특히 이야기의 갈등과 위기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통해서 이야기가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분명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예수와 수운과 갈등하는 적대자들을 초인격적인 존재인 사탄과 귀신, 세상적인 권력, 그리고 민중 혹은 뭇 대중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갈등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위기를 이야기가 어떻게 풀어나가는가에 주목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로 예수의 중심 메시지는 하나님의 나라이며, 그것의 중심에는 인간들 사이의 올바른 관계 즉 관계적 정의가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와 비슷하게 수운의 이야기 속에서, 그의 중심된 사상은 시천주 사상으로서 모든 사람이 동등하고 귀중한 존재라는 관계적 정의를 함축하며, 좀 더 구체적인 관계적 정의 사상은 수운의 확대된 가족 개념에서 발견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관계적 정의는 곧 최소한의 근본적인 정의를 가리키며, 예수와 수운은 이러한 정의론에서 합일되고 있음을 밝힌다. This study attempts at discovering the ideas of justice in the stories of Jesus and Soowoon Choi Jaewoo, the founding fathers of Christianity and the Donghak, the religions of the West and the East respectively. It attempts at revealing the ideas of justice of the two founding teachers by analyzing the plots of the stories about them. The study compares the two stories, and at the same time finds commonalities of the two stories on the idea of justic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wo founding figures from different contexts and different languages (meaning systems), commonly held highly the relational justice as the foundation of a hoped-for society. The author understands that there can be two stages and conceptions of justice. They are the minimal, foundational justice and the maximal justice. He borrows these ideas from German political philosopher Rainer Forst. He applies the idea of minimal and fundamental justice to Jesus and Soowoon, and sees if the two religious leaders had such an idea of justice in their own teachings. He employs the method of narrative analysis in order to make clear what the stories try to stand for. He believes that exposing the conflicts and suspenses of the stories can help clarify the main messages of stories. The study analyzes conflicts of Jesus and Soowoon respectively with superhuman powers such as Satan and evil spirits, worldly powers, and the multitude. It keeps eye on how the narrators deal with and resolve the suspenses and conflicts in the stories. As a result, the study arrives to the fact that the key of Jesus' teachings is the Kingdom of God, where the right relationship or relational justice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is at the center. Very similarly, in the stories of Soowoon, the study concludes, the idea of Shichonjoo (Attending the Heaven) makes all people, regardless of sex, age, status, and classes, equally regarded as esteemed humans. Soowoon's thought of the extended family to cover all people and especiall

      • KCI등재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과 철학적 글쓰기

        조극훈 동학학회 2016 동학학보 Vol.0 No.38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Suun Choi Jeu’s writings regarding Donghak Thought. Suun believed that the purpose of his writings was to train himself, develop his abilities, and have a decent mindset. According to Donghak Thought, speech and writing are necessary for recognizing true being through the enlightenment of Sicheonju (Serving the Heavenly God; 侍天主) and Mugeukdaedo (the non-ultimate; 無極大道). However, the problem of self-contradiction occurs when describing what religious language cannot describe. For this reason, there is always a tension between language and an object. The views of the religious language of religious scholars, including Paul Tillich and Mircea Eliade, were helpful in resolving this problem. These scholars suggested the symbolic views of religious language. Unlike signs, symbols are engaged in and illustrate reality, as well as show the depth of the one who deals with symbols. Symbols also serve a role in separating from the secular society and creating the glorious world. Thus, we discussed that the presentation of symbols may be helpful in analyzing Suun’s religious language. We classified the process of religious experience into three stages, and analyzed the features of the experience of the year of Gyeongsin (1860) together with the purpose of the incantation of 21 letters. While the experience of the year of Gyeongsin was to create a new symbol, the study of the incantation was not only to manifest the reality, but also to open a new heart of a person who chants it. Moreover, the applicability of Bulyeon-Giyeon (Not being So, and yet being so; 不然其然) to Suun’s writing patterns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Bulyeon-Giyeon as exploratory logic was discussed. In this way, the philosophical features of Suun’s writings were suggested. His writings were the academic ones for the independent recognition of academic disciplines, the practical ones calling for an awakening of the people, the empathetic ones toward Dongguiilche (Everything is back to one; 同歸一體), the exploratory ones for seeking the truth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 ontological ones explaining the view of panentheism, and lastly, the normative ones promoting moral equality. 이 글에서는 수운 최제우의 동학사상에서 글쓰기의 철학적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운은 자신의 글쓰기의 목적을 그 사람을 바르게 하고 그 몸을 닦고 그 재주를 기르고 그 마음을 바르게 하는 데 있다고 보았다. 동학에서 말과 글은 시천주와 무극대도의 깨달음을 통해서 참된 존재를 인식하는 데 필요한 것이었다. 그러나 종교언어에는 표현할 수 없는 것을 표현하는 자기모순이 발생하기 때문에 언어와 대상 사이에는 언제나 긴장의 문제가 존재하였다. 이 문제를 다루는 데에는 폴 틸리히, 엘리아데 등과 같은 종교학자들의 종교언어관이 도움이 되었다. 이들은 상징적 종교언어관을 제시하였다. 상징은 기호와는 달리 실재에 참여하여 실재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상징을 대하는 자의 깊이까지도 보여준다. 아울러 상징은 세계의 중심으로 속의 세계와 분리되어 성의 세계를 창조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징의 표상이 수운의 종교언어를 분석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임을 논의하였다. 수운의 종교체험의 과정을 3단계로 구분하고 1860년 경신년 체험의 특징과 21자 주문의 목적을 분석하였다. 경신년 체험은 새로운 상징을 창조하는 과정이었고, 주문공부는 실재를 현현하는 과정일 뿐만 아니라 주문자의 새로운 마음을 열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었다. 아울러 불연기연을 탐구의 논리로 재해석하여 이를 수운의 글쓰기 방식에 적용할 수 있음을 논의하였다. 지금까지 논의를 통해서 수운의 글쓰기의 철학적 특징을 제시하였다. 수운의 글쓰기는 주체적인 학문의 정립을 위한 학문적 글쓰기였다. 민중적 체험을 위한 실천적 글쓰기였다. 동귀일체를 지향하는 공감적 글쓰기였다. 문답법을 사용함으로써 진리를 탐구하는 탐구적 글쓰기였다. 범재신론의 신관을 표현하는 존재론적 글쓰기였다. 도덕적 평등을 지향하는 규범적 글쓰기였다.

      • KCI등재

        수운의 이상사회론 -개벽과 청우당의 이상국가를 중심으로

        임형진 동학학회 2011 동학학보 Vol.21 No.-

        수운 최제우에 의해 창도된 동학은 조선봉건사회의 해체기에 발생한 민족이념으로서 그것은 특히 당시의 피폐화된 민중의 힘을 하나로 결집시키어 반봉건 반외세운동의 구심적 역할을 완수해 지상에서의 군자국가 건설을 목표했다. 개벽의 이름으로 동학은 그때까지의 민중적 사고의 총결산이자 그들의 이상적 세계관이 수운 최제우를 통하여 구체적인 이상사회의 건설로 완결된 것이다. 수운의 개벽관에서 인간평등의 원리는 가장 민주주의적인 이념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즉, 인간은 누구나 천을 모신 존재라는 시천주의 사상은 곧 인간이 하늘이므로 인간을 이 우주의 가장 최고최영의 자리에 위치한 위대한 존재로 보는 것이다. 또 수운이 지향했던 이상적 사회의 모습은 시천주를 자각한 신인간들의 세상이다. 안과 밖으로 한울님의 마음과 기운을 회복하므로, 한울사람으로서의 삶을 살아갈 때에 비로소 신인간의 민중적 자각을 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운의 가르침에 의한 ‘민중적 자각’이란 단순한 체제혁명을 기도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습관적인 삶을 새로운 질서에 의한 새로운 차원의 삶으로 바꾸는 ‘삶의 개벽’을 의미한다. 삶의 개벽을 이루는 신인간은 도성덕립으로 완성된다. 동학에서의 신인간의 도성덕립은 성․경․신을 통하여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성․경․신은 인격 완성의 길인 것이다. 수운 최제우에게서 추구되는 동학적 이상국가의 구상은 종교적 차원의 비현실적인 가상의 세계가 아니라 구체적인 현실세계에서의 인간들의 삶의 변화를 목표로 한다는데 그 특징이 있다. 그것은 후천개벽의 단계를 통하여 내부적으로는 구성원들의 도성덕립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인간(新人間)들의 세상, 이른바 군자공동체의 실현을 목표로 한다. 수운의 득도 이후 60여년 뒤에 탄생하는 천도교 청우당은 수운이 구상한 이상사회를 현실세계에서 구체화시키기 위한 정치적 결사체였다. 그것이 비록 종교적 외피를 쓰고 있었지만 내용은 전적으로 수운의 이념과 사상을 계승해 실현가능한 이상적 국가를 설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수운의 이상적 사회질서는 종교적 영성의 세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실생활 속에서 구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Donghak was founded by Suun Choi Jeu had a ideology for utopian nation in the crisis in identity Chosun Dynasty. It endeavors toward a good society in antifeudalism and independence state. Renovation for a utopian nation was people's hope for new life and new society. choi Jeu influenced people in the age and enlightened people's consciousness for a new community. The view of renovation in Suun thought is a equality society and need for a democratic order. The thought of God in my mind is a creed human being as religious mind. Everyone has a unique existence in his God in his mind. The mind of people is heaven and therefore everyone must be given the right of individual happiness and economic life. Everyone is a Heaven in political order and absolute existence. The New Mind in creed in Suun is a self-enlightened man of utopian hope and the will to establish the new society. Material force Heaven gives the new man in accordance with the belief system for new nation movement. It was revolution of modern society for Chosun dynasty. Sincerity, mindfulness and belief are Essence of character in teaching of Suun. In Suun teaching the utopian order is not a ideal but a reality order in political movement. The value of establishing creed is essence in activity. The New Man is the morality for new society and the community of great man. The association for political order for new creed is Chungwoodang(Chungwoo political renovation association). Since the Suun awakening experience after sixty years. It was made by his believers. It was a spiritual mind and political movement in society. Philosophy and belief in mind is a need for social renovation movement. The order of Heaven is for establishing in the earth. The love for people in earth is their belief system. the end spiritual mind is possibility of everyone practice and endeavor for the new man.

      • KCI등재

        은적암과 초기 남원지역의 동학전파―김홍기와 유태홍을 중심으로

        임형진 동학학회 2014 동학학보 Vol.0 No.33

        Suun Choi Jae-Woo starting the DongHak didn't spread the DongHakimmediately on April, 1860. In other words, he was confident after toughtraining throughout the year in order to determine the degree earned himselffinally starting to spread around. But soon escape the attention of the jealousyand criticism and subsequent tube of Yu-lim, he left the road. Above all, thereason why he was in the house needs to leave helical far as writing what heclaimed. He knew well that his ideas and pass on to posterity should be leftin the glow also be spread to the public. So he needed a place to stay quietlywithout a trace. Suun Choi Jae-woo come on Eunjeokam of Namwon in winter 1861 wasnamed the DongHak and also he had made to organize in June of that year. Promise Avenue was born into the DongHak of the so-called official name. Eunjeokam is such a place that is very meaningful DongHak completed. Healso completed the main content of the scriptures of the Dongkungdeajern andYongdamyoosa similar to the DongHak here. If you think the proportion ofThought in Korea accounted DongHak can not pass Namwon Eunjeokam also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matter. Above all, the major gaebyeok place inthe political history of ideas is complete DongHak also Eunjeokam. He willdance song sung knife that just represents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whoaspire to acquired Huchungaebyeok. Also, is the origin of the Honam region Namwon DongHak. Unlike quietly lurking intention of sea transport to be hoped Eunjeokam people came to havea large number of Hunan. After all Suun would have been able to completethe DongHak of ideology that contains the aspirations of the people of thatconversation to talk to them again. Moreover, he preached the DongHak oozingthroughout the surrounding areas of Honam. This was the revolution of theoutbreak DongHak Gapohnyeon(갑오년) like wildfire around the Honam firstpodeok is the fruit of the seed is just 120 years ago Honam. DongHak Revolution participants in Namwon area to reach the 70,000 mostof them at about 50,000 DongHak was also a forward to the world Suun isshouted gaebyeok. Thus, Namwon is a two holy day called Kyungjoo localDongHak with today race. 1860년 4월 동학을 창도한 수운 최제우는 곧바로 동학을 전파하지 않았다. 즉 그는 스스로 얻은 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1년여에 걸친 수련을 거친 뒤에확신을 하고 비로소 주변에 전파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곧 이은 유림들의 비난과 질시와 관의 주목을 피해 그는 길을 떠났다. 무엇보다도 그가 집을 나선이유는 그동안 자신이 주장한 바를 글로서 남길 필요가 있어서였다. 그는 자신의 사상이 글로 남겨져야 후대에 전수되고 또한 대중 속으로 확산될 것임을잘 알았다. 그래서 그는 흔적도 없이 조용히 지낼 곳이 필요했다. 1861년 겨울에 남원의 은적암에 온 수운 최제우는 그 해 6월까지 자신이 만든 도를 정리하여 동학이라고 명명했다. 무극대도가 이른바 동학이라는 정식명칭으로 탄생한 것이다. 은적암은 이처럼 동학이 완성된 매우 의미있는 장소이다. 또한 그는 이곳에서 동학의 경전인 동경대전과 용담유사의 주요한내용들을 완성했다. 한국 사상사에 있어서 동학이 차지하는 비중을 생각하면 남원 은적암의 소중함을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칠 수 없다. 무엇보다도 동학의 정치사상에서 주요한 개벽사상이 완성된 곳도 은적암이다. 그가 춤추며 부르던 칼노래가 바로 후천개벽을 열망하던 민중들의 염원을 대변하고 있는것이다. 또한 남원은 호남지역 동학의 출발지이다. 조용히 숨어 있기를 바랬던 수운의 의도와는 달리 은적암에는 수많은 호남 사람들이 찾아 왔다. 결국 수운은 그들과 대화하고 또 대화하는 가운데 민중들의 염원을 담은 동학사상을 완성할 수 있었을 것이다. 더욱이 그는 호남의 주변 지역을 두루 돌아다니며 동학을 전파하였다. 이것이 호남 최초의 포덕이고 그 씨앗의 결실이 바로 120년전 호남을 중심으로 들불처럼 번진 갑오년의 동학혁명이었다. 호남의 최초 입교자는 남원지역의 서형칠이었다. 그는 수운에게 은적암을 소개해준 인물로 수운이 경주로 돌아간 뒤에도 경주를 오가며 동학을 전수받은 인물이었다. 수운이 죽자 지하로 들어간 동학을 비밀리에 전파한 인물이 해월 최시형이다. 그를 통해 전파된 동학은 특히 1890년대에 들어서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다. 특히 남원지역 포덕의 중심인물은 김흥기와 류태홍이었다. 이들 모두는 갑오년의 동학혁명에 지도자급으로 참여한 인물로 남원성점령과 방아치전투 등에서 고락을 함께했다. 동학혁명 당시 남원지역의 참여자는 대략 5만명에서 7만명에 이르는데 이들 대부분은 수운이 외친 개벽세상을 향해 전진한 동학도들이었다. 이처럼 남원은 오늘 경주와 더불어 동학의 2대 성지라 일컫는 지역이다.

      • KCI등재후보

        수운 최제우의 사상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성과 정치 인식 ―『용담유사』를 중심으로 ―

        양삼석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4

        The philosophy of Suwoon leaves an impressive lesson for us in that it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Dong Hak Revolution which stood for 'Non Violence and Save the People.' In Suwoon's most representative work, Yong Dam Yu Sa, a strong ideological element of thought is contained, as well as elements of literary and religious thought. ‘Si Chon Ju(Heaven is in my Mind),' regarded as the key to Suwoon's philosophy, boils down to 'Dong Gui Il Che(Spiritual Joint)'; and it includes within itself the following ideological character. The first part of it concerns humanitarianism. This comprehends the whole of Suwoon's philosophy in which there is a lane of thought, standing for the respect towards fellow human beings; and this has become the philosophical basis for In Nae Chon(Human is Heaven) thought. The second part of Suwoon's ideological thought concerns fundamental equality of all human beings. In Suwoon's philosophy, an attitude of vigilance exists on such discriminating elements among humans as elites-plebeians(Bansang), masters-subjects(Jujong), the rich-the poor(Binbu), legitimate child-illegitimate child(Jokseo), man-woman(Namyeo). It was expressed ultimately as equality consciousness. The third part of Suwoon's ideology concerns enlarging the consciousness of people's rights. Suwoon's view of the people was pointed to political and economic equality; and this has become the basis for Dong Hak thought to be widely supported by the people. The fourth part of Suwoon's ideology concerns patriotism. It originated from critical consciousness towards the reality to which he was exposed. This was realized through applying his humanitarian thought of 'Non Violence and Save the People' to the political reality of his times. The fifth concerns his view of foreign countries. This was expressed as overcoming the small-China-consciousness for erecting an autonomous state, anti-Western forces and anti-Japanese force. Especially his anti-Westernism reflected a vigilance on the Western forces and their increasing encroachment of the East. Suwoon's philosophy was institutionalized at the time of Dong Hak Revolution through a proposal, suggested by the Dong Hak army, for reshuffling government structure and reform. This aspect of his philosophy awakened the slumbering people's consciousness on their rights, their life, and autonomy spirits; and it worked significantly as a cause for the occurrence of revolution, and later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수운 최제우의 사상은 제폭구민을 기치로 발발한 동학혁명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는 점에서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 수운의 대표작으로 인식되고 있는 『용담유사』에는 문학적 측면과 종교적인 의의 못지않게 강한 이데올로기성이 내포되어 있다. 수운 사상의 핵심으로 일컬어지는 ‘시천주’관은 ‘동귀일체’로 수렴되는 바 그것은 다음과 같은 이념성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는 인도주의 사상이다. 이것은 수운의 사상을 포괄하는 것으로 그의 사상 전반에는 인간에 대한 존중의 정신이 내재되어 있는 바 이것은 인내천(人乃天) 사상의 기초가 되었다. 둘째, 본원적 평등사상이다. 수운의 사상에는 반상(班常), 주종(主從), 빈부(貧富), 적서(嫡庶), 남녀(男女)간 차별에 대한 경계가 반영되어 있다. 이것은 궁극적으로 평등의식으로 구현되었다. 셋째, 민권의식의 제고이다. 수운의 민중관은 정치적 평등과 경제적 평등을 지향하고 있는 바 이것은 수운의 동학사상이 지역과 신분을 초월한 광범위한 지지를 얻게 되는 바탕이 되었다. 넷째, 구국정신으로 당시의 현실에 대한 비판의식에서 발원하였다. 이것은 그의 인도주의적 ‘제폭구민’ 사상이 정치 현실에 적용되어 구현된 것이다. 다섯째, 대외관으로 이것은 소중화를 탈피한 자주국가관과, 서세동점에 대한 경계를 드러낸 반서구관, 대일관 등으로 표현되어 있다. 수운의 사상들은 동학혁명 당시 동학군에 의해 제시된 폐정개혁안으로 구현되었다. 이러한 관념들은 당시의 민중들의 민권, 민생의 정신과 자주의식을 일깨워 동학혁명이 일어나게 되는 기폭제가 됨으로써 한국민주주의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