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화성호 유입하천 오염부하량 산정

        최선화 ( Sunhwa Choi ),박구성 ( Kuseong Park ),김상진 ( Sangjin Kim ),홍대벽 ( Daebyuk Hong ) 한국농공학회 201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0 No.-

        화성호의 수질은 유역의 개발과 도시화로 인한 점오염부하량의 증가 및 강우 유출에 의한 비점오염원부하량의 증가로 수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화성호 유역의 주 유입하천인 남양천, 자안천, 어은천에 대한 점오염원 및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여 화성호의 수질오염 기여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한 유역내 오염원 자료는 2005년도 자료를 기초로 하여 산정하였다. 유기물(BOD) 오염부하량은 남양천이 202.4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201.5kg/day, 자안천 195.5kg/day, 기타 소유역 71.6kg/day 순으로 나타났다. 총질소(T-N)에 대한 점오염부하량은 남양천이 303.3kg/day로 다른 하천에 비해 아주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자안천, 기타 소유역이 각각 188.9kg/day, 166.5kg/day, 78.0kg/day로 나타났다. 총인(T-P) 부하량도 남양천이 32.8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자안천, 소유역이 각각 15.3kg/day, 9.5kg/day, 4.2kg/day로 나타났다. 화성호 유입하천의 유기물(BOD) 비점오염 부하량은 남양천이 127.3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116.6kg/day, 자안천 54.1kg/day, 소유역 56.3kg/day 순으로 나타났다. 총질소(T-N)에 대한 비점오염 부하량은 남양천이 41.7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소유역, 자안천이 각각 26.9kg/day, 7.3kg/day, 6.6kg/day로 나타났다. 총인(T-P)은 어은천이 19.8kg/day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안천, 남양천, 소유역이 각각 7.1kg/day, 6.4kg/day, 6.2kg/day로 나타나, 다른 항목들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화성호 유입하천의 점오염부하량과 비점오염 부하량은 대부분 남양천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은천, 자안천, 소유역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양동의 도시화로 인구가 가장 밀집되어 있고, 어은천은 주변에 농경지가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화성호로 유입되는 오염부하량은 우기인 6월∼9월 기간에 가장 높은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유기물(BOD)과 총인(T-P) 항목은 다른 시기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오염부하량을 나타났다. 이는 화성호 유역내에 산재하고 있는 소규모 축산농가에서 나지에 방치하고 있는 축분과 유역 내 소규모 산업체시설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가 우기시 지천으로 유입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화성호의 수질오염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축산폐수공공처리장, 하수종말처리장 등 환경기초시설의 확충뿐 만아니라 주민들의 환경보전의식이 함께 제고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신, 구 원단위 적용에 따른 배출부하량과 유달율 변화

        최동호 ( Dongho Choi ),윤광식 ( Kwangsik Yoon ),정재운 ( Jaewoon Jung ),유승환 ( Seunghwan Yoo ),김영석 ( Youngsuk Kim ),범진아 ( Jina Beom ),조소현 ( Sohyun Cho ),최유진 ( Yuji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유역의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오염원의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유역 말단의 유달부하량 산정하는 것은 중요하다. 유달부하량을 산정하는 다양한 방법 중 오염원으로부터 하천으로 유입되는 배출부하량과 해당 유역의 출구까지 도달한 부하량인 유달부하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유달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배출부하량 산정시 토지계,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양식계, 매립계의 원단위를 적용하고 있다. 최근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환경기초조사사업을 통해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새로운 토지계 원단위를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계 원단위 변화에 따른 배출부하량과 유달율을 산정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인 풍영정천 유역은 영산강수계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역면적은 68.93 km2, 유로장은 14 km 이며, 토지이용은 도시 25.7%, 농업 46.9%, 산림 15.9%, 초지 6.0%, 기타 5.6%로 구성된 복합유역이다. 풍영정천 유역의 배출부하량은 수계오염총량관리지침에 의거해 산정하였다. 유달부하량 산정을 위해 유역 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영산강홍수 통제소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BOD와 T-P의 수질자료는 물환경정보시스템(2010~2015)과 환경기초조사사업(2014~2015) 자료를 활용하였다. 토지계 원단위 변화에 따른 배출부하량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다른 오염원의 원단위는(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양식계, 매립계) 고정하였다. 구 원단위 적용에 따른 BOD의 배출부하량은 2,845.8 kg/day(점 773.8 kg/day, 비점 2,072.0 kg/day)였으며, T-P의 배출부하량은 98.3 kg/day (점 36.4 kg/day, 비점 61.9 kg/day)였다. 신 원단위 적용에 따른 BOD의 배출부하량은 1,438.7 kg/day(점 773.8 kg/day, 비점 664.9 kg/day) 였으며, T-P의 배출부하량은 72.6 kg/day(점 36.4 kg/day, 비점 36.1 kg/day)였다. BOD 배출부하량은 신원단위 적용시 구 원단위 적용시 보다 비점오염원에서 약 70% 감소, T-P 배출부하량은 약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단위 변경 전 BOD 풍수기, 평수기, 저수기, 갈수기 유달율은 각각 24.2%, 15.3%, 8.1%, 4.5% 였으며, 유황조건에 따른 T-P 유달율은 각각 29.4%, 11.3%, 7.2%, 3.1% 였다. 원단위 변경 후 BOD의 풍수기, 평수기, 저수기, 갈수기 유달율은 47.9%, 30.4%, 16.1%, 8.9% 였으며, T-P 유달율은 각각 39.8%, 15.3%, 9.7%, 4.2%였다. 원단위 변경 후 BOD의 유달율은 원단위 변경 전 보다 1.97배, T-P 유달율은 1.35배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강우시 복합지목유역의 유출 초기 24시간 채수간격에 따른 SS와 TOC 부하량 차이 분석

        박현규 ( Hyunkyu Park ),정민혁 ( Minhyuk Jeung ),범진아 ( Jina Beom ),김영석 ( Youngsuk Kim ),윤광식 ( Kwangsik Yoon ) 한국농공학회 2018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8 No.-

        비점오염원은 주거지역이나 공장, 축사, 도로 등에 쌓였던 오염물질들이 강우 시 유출되는 현상으로 토사, 영양물질, 박테리아, 유기물질 등 종류가 다양하고 강우특성, 토지이용 등 유역특성에 따라 배출량이 다르기 때문에 관리하기가 힘들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효율적인 관리방법을 모색하여야 한다. 현재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을 관리하기 위해 강우-유출수 조사방법을을 단일피복, 복합피복을 구분하여 모니터링 방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유출지속시간이 길어 질수록 수질분석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모니터링을 위해 강우 시 초기 24시간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채수간격에 따른 부하량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지역으로는 풍영정천 유역을 지정하였으며 유역을 농촌소유역(WJ), 도시소유역(JS), 유역말단(PYJ)로 분류하였다. 대상수질항목은 TOC, SS이며, 수질 및 유량조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하였다. 13개의 강우사상 모니터링결과 평균(최소∼최대) 조사한 결과 WJ의 경우 TOC는 6.7(3.4∼28.5) mg/L, SS 46.7(3.1∼737.1) mg/L로 나타났으며 JS는 TOC 7.8(2.1∼57.5)mg/L, SS 352.7(8.37∼4025.3) mg/L, PYJ는 TOC 7.7(2.5∼30.8) mg/L, SS 90.6(3.1∼767.1) mg/L로 나타났다. 1시간 채수간격일 때 산정한 부하량과 2,3,4,6 시간간격 채수 시 부하량의 차이를 R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TOC와 SS 모두 1시간간격 채수 시 부하량과 4시간 간격채수 시 부하량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1시간간격 채수시 부하량과 각 채수간격별 부하량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TOC의 경우 WJ, PYJ에서 4시간 간격까지, JS에서 2시간 까치 차이가 10%이하로 나타났고, SS는 WJ, PYJ의 경우 2시간 간격 채수시 부하량이 1시간간격 채수 시 부하량와 10%이하의 차이가 나타지만 JS는 2시간간격 채수시에서도 10%이상의 차이가 나타났다. JS의 경우 유역면적이 작고 불투수층이 많아 강우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 차이가 크기 때문에 채수간격 시 부하량의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1시간 간격 채수빈도와 채수간격별 부하량의 차이가 10% 합리적이라고 판단하였을 때 TOC의 경우 2시간 간격에서 채수하는 것이 합리적이고 SS의 경우 농촌소유역과 복합유역에서 4시간간격 채수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 비점오염물질 채수간격이 연간부하량 산정이 미치는 영향

        전지홍 ( Ji-hong Jeon ),서성철 ( Seong-cheol Seo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본 연구는 전주천유역을 대상으로 HSPF를 검보정한 후, 2011년 풍수년을 대상으로 1시간단위로 출력된 모형의 결과값을 2시간, 3시간, 4시간, 5시간 간격으로 각각 선택하여 연간부하량을 산정한 후 1시간 간격의 연간부하량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모형 결과값에서 선택된 수질자료를 모니터링 자료로 간주하여 채수간격이 연간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에 미치는 결과를 분석하고 적정 채수간격을 제안하였다. 미측정 수질자료를 생성하는 방법은 미측정자료의 직전 측정수질자료와 동이랗다고 가정한 동일농도방법과 미측정자료의 직전·후 측정수질자료의 증감분만큼 증감하는 내삽농도방법으로 미측정자료를 생성하였다. 동일농도방법의 분석결과 모형의 출력간격이 동일할 경우, 유역면적이 작을수록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에 더 큰 오차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작은 유역면적의 경우 채수간격을 짧을수록 비점오염물질 부하량 산정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오차 10%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119.3 ㎢이상의 유역에서는 2시간의 측정간격이 가능하였으나, 119.3 ㎢이하의 면적에서는 상대오차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삽농도방법을 통한 미출력자료 생성은 비점오염부하량 산정에 있어 현저하게 상대오차를 줄일 수 있었다. 내삽농도방법은 모형 출력간격이 클수록 오차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동일농도방법과는 달리 유역면적은 상대오차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대오차 10% 기준시 151 ㎢의 BOD 항목을 제외한 모든 유역에서 출력간격 4시간까지 상대오차 10%이내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수질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지 못할 경우 미측정자료는 내삽에 의해 수질자료를 생성하는 것이 부하량산정의 오차를 줄일 수 있었으며, 1시간의 채수간격과 비교하여 상대오차 10%이내를 기준으로 하였을 경우, 유역면적에 따라 2시간에서 4시간사이의 채수간격이 연간 비점오염물질 부하량을 산정하는데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보령호 유역의 비점오염원 유출 특성

        이유진 ( Yujin Lee ),윤춘경 ( Chun-gyeong Yoon ),오희상 ( Heesang Oh ),류제하 ( Je-ha Ryu ),한대호 ( Dae Ho Han ) 한국농공학회 201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2 No.-

        보령방조제는 농업용수 확보, 농어촌 소득증대, 관개 및 배수개선, 편리한 영농기반 조성, 쾌적한 농어촌 생활환경조성, 육운 개선을 목적으로 대단위 농업종합개발 사업이 시행되어 2000년 완공되었다. 현재 상당수의 보령지역 주민들이 지하수를 이용한 마을상수도를 이용하고 있으나 지하수 오염에 따른 문제로 2012년까지 대부분 지역의 상수도원을 광역 상수도로 대체할 예정이다. 보령방조제 완공 이후 보령호의 수질악화 문제가 점차 대두되었는데, 보령호 유역에는 구항산업단지, 은하산업단지 이외에도 가축분뇨처리장, 하수처리장 등 오염원이 있고, 축산계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어 수질이 점차 악화되고 있다. 현재 보령호는 수질 악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수를 유입하여 순환시키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탈염과정을 통해 영양염류에 대한 유입을 차단하여야 하고 동시에 보령호로 유입되는 하천의 상류 유역의 하천 수질을 개선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수질개선을 위해 수계오염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하여 지역별로 오염물질 배출부하량을 할당하여 관리하고 있다. 따라서 수질개선을 통한 물 관리를 실행하기 전,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미리 예측하고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2단계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8)’을 토대로 홍성군, 보령시의 2010 전수조사자료(환경부)를 이용하여 오염부하량 산정을 산정하였고, 그 중 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을 구분하여 비점오염원의 유출특성을 분석하였다.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을 기초로 산정한 배출부하량은 BOD 2,730kg/d, T-N 1,824kg/d, T-P 236kg/d이고, 그 중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은 BOD 2,124kg/d, T-N 1,329kg/d, T-P 150kg/d으로 BOD, T-N, T-P 비점오염 배출부하량은 각각 총 배출부하량의 77.8%, 72.9%, 63.6%를 차지했다. 축산계 부하량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토지계 부하량이 그 다음으로 많이 차지하였다. 비점오염 부하량 점유율이 매우 높은 것을 볼 수 있는데, 비점오염원의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영산강수계 단위유역 목표수질 논 초과부하량 추정

        최동호 ( Dongho Choi ),황태희 ( Taehee Hwang ),윤광식 ( Kwagnsik Yoon ),최우정 ( Woojung Choi ),정재운 ( Jaewoon Jung ),이경숙 ( Kyoungsook Lee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수질오염총량제에서는 목표수질 달성도를 평가하기 위해 단위유역 말단에서 8일간격으로 수질과 유량을 측정하여 하천의 유황과 수질변동을 파악하고 있다. 하지만, 총량제에서는 기준유량이 평수기와 저수기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량의 변화에 따른 수질 및 부하특성을 고려할 수 없고, 계절별 유량편차가 큰 유역의 수질관리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따라 계절별 유량 변동에 따른 수질변화를 파악할 수 있고, 목표수질빈도와 크기, 허용 삭감부하량의 크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하지속곡선(Load Duration Curve: LDC)이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하여 영산강수계 단위유역별 목표수질에 따른 논 오염부하 초과빈도와 부하량을 산정하고자 한다. 논에서의 부하지속곡선 작성을 위해 영산강수계에 위치하고 있는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논 지역에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수질 및 수문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조사기간동안 관측된 유량자료를 고유량부터 저유량까지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여 유량지속곡선을 작성하였으며, 영본A, 영본B, 영본C, 영본D, 영본E, 황룡A, 지석A 유역의 BOD, T-P 목표수질을 이용하여 단위유역별 목표수질부하지속곡선을 작성하였다. 여기에 실측 BOD와 T-P 부하량을 도식화 함으로써, 논 초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단위유역별로 BOD 목표수질이 2.1, 2.4, 2.7, 2.2mg/L로 설정된 영본A, 영본E, 지석A, 황룡A유역에서는 34.9, 33.2, 30.7, 34.5%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수질이 5.6, 5.2, 5.2mg/L로 설정된 단위유역 영본B, 영본C, 영본D 유역에서 8.2, 11.5, 11.5 %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초과 부하량은 15.0, 1.6, 2.3, 2.3, 13.1, 11.4, 14.3kg/ha/year 였으며, T-P 초과 부하량은 각각 1.1, 0.2, 0.4, 0.5, 1.1, 1.0, 1.2kg/ha/year로 나타났다.

      • 축산지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설경휘 ( Jing-hui Xue ),윤춘경 ( Chun-gyeong Yoon ),류제하 ( Je-ha Ryu ),최재호 ( Jae-ho Choi ),조문수 ( Moon-soo Cho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축산분뇨는 고농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함유하고 있어 자원화에 유리한 점을 지니고 있으나, 미처리된 상태로 수계에 유입되면 하천의 수질악화 및 호소의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용수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축산분뇨가 무단 폐기될 경우 토양오염 및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하여 악취 및 해충의 번식으로 인한 전반적인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며 사회환경 및 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산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배출특성 및 배출량을 파악하고자 축사시설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을 선정하여, 해당 유역의 축종별 발생량 및 농도 등의 배출 특성을 조사하고 발생/배출 부하량을 산정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경기도 여주군의 간매천 유역 일대이며 축산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해 축산시설의 퇴ㆍ액비 배출량, 배출농도 및 슬러지 발생량 등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또한 하천의 하류부의 각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달율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간매천 유역에서 총배출부하량은 BOD 192.6kg/Day, T-N 113.8kg/Day, T-P가 12.1kg/Day로 조사되었다. 이 중, 축산지역에서 배출되는 부하량은 BOD 78.5kg/Day, T-N 15.0kg/Day로 전체의 41%(BOD기준)를 차지하였으며 T-P의 경우에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달부하량의 경우는 BOD 4.68kg/Day, T-N 15.0kg/Day, T-P가 0.7kg/Day를 하고 유달율의 경우는 BOD 2.43%, T-N 13.19%, T-P 5.75%로 산정하였다.

      • KCI등재

        복합적 토지피복유역에 대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연구

        이춘식(Lee, Chun Sik),임태효(Im, Taehyo),권헌각(Kwon, Heongak) 한국방재학회 2017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7 No.4

        본 연구에서는 판문천 유역에 대해 강우 시 유량 및 수질 모니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L-Thia 모형을 보정하고 해당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모의된 비점오염원 부하량은 토지피복 군에 따라 산정하였다. BOD의 경우 대지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 부하량이 1503.49 kg/year로 가장 높게 산정되었으며 임야 746.43 kg/year > 밭 502.77 kg/year > 논 250.62 kg/year> 기타 55.93 kg/year 순으로 비점오염원 부하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T-N 항목의 경우 BOD와 유사한 형태로 대지에서 922.71kg/year로 가장 높은 부하량을 나타내었으며, 산림 853.42 kg/year > 밭 588.09 kg/year > 논 184.12 kg/year > 기타 77.73 kg/year순으로 차이를 나타내었다. T-P 항목의 경우에는 밭에서 192.15 kg/year로 가장 높은 부하량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는 산림 122.62 kg/year >대지 110.82 kg/year > 논 24.50 kg/year > 기타 20.17 kg/year 순으로 부하량 차이를 나타내었다. 토지피복을 상세화 하여 발생되는 비점오염원 부하량을 비교한 결과, 인위적 관리 또는 개발이 되는 피복의 부하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In this study, we calibrate the L-thia model using the flow and water quality monitoring results for the Pan Muncheon watershed and simulate the nonpoint source loads for the watershed. The simulated nonpoint source loadings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case of BOD, the nonpoint source load from the site was the highest at 1503.49 kg/year, with 746.43 kg/year for wood and forest, 502.77 kg/year for upland, and 250.62 kg/year for paddy, and 55.93 kg/year for other. In the case of T-N items, it was surveyed similar to BOD, and showed the highest load at 922.71 kg/year on the site, and showed the difference in loading in the order of 853.42 kg/year for wood and forest and 588.09 kg/year for upland, 184.12 kg/year for paddy, and 77.73 kg/year for other. The T-P items were the highest at 192.15 kg/year in the upland, and the loadings were shown in the order of wood and forest 122.62 kg/year and site 110.82 kg/year in the following order.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of the nonpoint source loadings with the details of the land cover, the load of the land cover to which the artificial management or development was carried out was high.

      • 국내 농업비점오염 부하량 산정방법 비교 연구

        조문수 ( Moonsoo Cho ),윤춘경 ( Chun-gyeong Yoon ),이한필 ( Han-pil Rhee ),손영권 ( Yeong-kwon Son ),최강원 ( Gangwon Choi ) 한국농공학회 2011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1 No.-

        우리나라의 하천 및 호소에 유입되는 오염물질 중 약 30% 이상이 농업활동 등에 의한 비점오염원이며 특히, 농업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는 관련 분야의 특징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내 실정에 적합하고 현실적인 정책과 제도를 개발하여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실질적인 정책과 제도의 개선안 수립ㆍ적용을 위해서는 비점오염물질 배출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정량화가 선행되어야 하나, 모니터링 자료가 충분하지 못하여 실측자료에 근거한 부하량 평가가 어렵고, 농촌지역 및 농경지의 토지이용에 따른 농업비점오염물질과 수계 유입되는 유달부하량 정량화에 대한 연구사례는 적은편이다. 현재 국내 환경정책에서 부하량 산정을 위해 사용해오고 있던 원단위는 일별 단위면적당 발생량으로 일단위 기준으로 부하량을 계산하고 있다. 특히 원단위 내에 강우유출률 등이 이미 계산되어 고정돼 있기 때문에 강우특성을 반영하기 힘들고 일단위로 계산되기 때문에 강우와 상관없이 연간 매일 같은 양의 부하량이 수계로 유입되는 것으로 계산된다. 이런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원단위도 기존의 일단위가 아닌 연단위로 계산을 하거나 미국의 TMDL에서 사용하고 있는 EMC의 적용이 필요하다. EMC는 연 총 오염부하량을 기준으로 부하량을 분석하고, 각 유역별 강우특성이 반영되어 우리나와 같이 지역별, 계절별 강우특성이 뚜렷한 지역에서 효과적이다. 따라서 국내 농촌지역 실정에 적합하고,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한 개선안 마련을 위해서는 선진 국외 정책 및 제도를 분석하고 연구하는 한편, 합리적인 오염 배출량 자료와 저감방법에 근거하여 현실적인 대안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와 자료축적을 통해 현재의 대상 항목보다 좀 더 다양하고 유역특성에 맞는 항목들을 이용하여 부하량을 산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CN의 변화에 따른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조성계획의 비점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권헌각,정강영,김신,신석호,안정민,김경훈 한국습지학회 2016 한국습지학회지 Vol.18 No.4

        낙동강수계에 속하는 안동시는 안동댐, 임하댐을 포함하여 낙동강이 흐르는 도시로 경상북도 신 도청 이전과, 지속적 도시화로 인해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강우 시 유출량 증가 및 비점오염원 부하가 증가되고 있는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선도도시에 선정된 도시 중 안동시를 대상으로 개발에 따른 유출량과 비점오염부하량을 비교・평가 하였다. 안동시 물순환 선도도시 계획(안)에 대해 시・공간적 변화를 고려한 CN값을 이용한 직접 유출량과 BOD, T-N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을 평가한 결과, 옥상녹화 및 투수포장 교체, 물순환 공원 및 거리 조성, 도심지 불투수층 개선 사업 등 4가지 scenario 모두 적용되어 개발될 경우 연간 직접유출이 10.41%, BOD 비점오염부하량이 20.56%, T-N 9.55%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4.29%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가지의 개발 scenario 중 저감률이 가 장 높은 것은 도시지역 불투수면 개선 사업으로 조사되었으며 개발 이전 대비 연간 직접유출이 6.25%, BOD 비점오염 부하량이 11.84%, T-N 비점오염부하량이 4.46% 및 T-P 비점오염부하량이 10.20% 저감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ndong belongs to the Nakdong River Basin, Nakdong River is flowing through the city, including Andong dam and Imha dam. The runoff due to provincial transfer and impervious area has been increasing by urbanization increases and nonpoint source load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runoff and nonpoint pollution loads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targeted at selected urban water cycle leading to Andong city. Andong city leading to the water cycle plan to evaluate the directly runoff and BOD, T-N and T-P nonpoint pollutant loads using the CN into account the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Evaluation, direct runoff per year is 10.41 % if the green roof and a water permeable pavement replacement, water cycle parks and streets compositions, City impermeable layer improvements to be business including four kinds of scenario is applied to both the development and the BOD non-point pollutant loads 20.56%, T-N 9.55% and T-P pollution and nonpoint loads was investigated to be reduced 14.29%. Four kinds of low lapse rate of the development scenario of the highest thing urban impervious surface was investigated by improving business development prior year annual direct runoff is 6.25 %, BOD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11.84%, T-N nonpoint pollution loads are 4.46 % and T-P was investigated by reducing pollutant loads to be 10.20%.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