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기능과 개선 방안

        김국현 ( Kuk Hyun Kim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7 윤리교육연구 Vol.0 No.14

        본 논문에서는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기능을 도덕과 교과교육학의 관점에서 분석진단하고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교육과정 해설서의 기능으로서는 교육과정의 내용 설명 기능, 교육과정의 보완 및 보충 기능, 학교도덕교육의 실행 안내 기능, 교육과정 재구성 준거 기능, 도덕과 교과교육학 정립 기능, 도덕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기능 등을 들 수 있다.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외적 체제와 내적 체제를 중심으로 분석해 보면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는 수요자인 교사들이 사용하기에 편리하지 않고 질적으로 높은 문서가 아니라는 점이 확인된다. 현행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가진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실용적이고 활용도 높은 도덕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제작·보급하기 위해서는 학교교육체계에서 해설서의 기능을 면밀히 분석진단하여야 한다. 이러한 점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진 본 연구에서는 교과별 해설서 발간, 학교 급별 교육과정/해설서 합본 발간, 발간 형태의 다양화, 가독성 높은 편집과 참신한 디자인, 학교 급별 일관성 제고, 영역별 내용 해설 강화,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관련 해설의 심화, 해설서의 지속적 수정·보완을 위한 시도별 교과교육연구회 참여 제고, 현직 교사 및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한 해설서 교육 및 연수 확대 등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reconsider the functions and role of National curriculum Guide and to discuss methods of improvement of National curriculum Guide of Moral Education. The major roles of National curriculum Guide are summarized as follows. An exploration, supplement, guide, and National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consolidation of subject matter, and the instrument of development of teacher professionalism. In the case of 7th National curriculum Guide of Moral Education, It was not user-friendly and not quality document. To overcome these problems and to create practical National Curriculum Guide of Moral Education, we should reconsider the function and role of National curriculum Guide in the school system organization and carefully analyze it. In this study, some suggestions to improv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Guide of Moral Education focused on an internal construct, design, readability, coherence, teacher education are proposed.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교수・학습 및 평가에 대한 고찰 - 1영역의 적용을 중심으로 -

        박영주 한국교원교육학회 2016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3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되어 있는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예시가 교육과정 연구진에 의해 구조화되기까지의 논의 과정을 보이면서, 더불어 도덕과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15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에서 볼 수 없었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예시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교육과정의 성격이 현장 도덕과 교육에 보다 명확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조치로 이해되며 교육과정과 현장 도덕과 교육 간의 간극을 줄인다는 의미에서 환영할 만한 조치이다. 그러나 교육과정 상에 제시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 예시는 매우 함축적으로 제시되어 있어서 현장에 즉각적으로 적용하여 활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개발 기간이 넉넉하지 않은 관계로, 교육과정 연구자들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논의의 과정이 현장 교사들의 관심을 받으며 충분히 공유되지 않아, 다소간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하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간 교육과정 연구자들의 논의 과정을 공개한다는 의미와 더불어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준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해설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1영역의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을 선정하는 논의 과정과 또 그것의 적용을 위한 고민의 과정은 다른 영역과 성취 기준의 현장 적용에 대해 한 가지 예시로 작용할 것으로도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iscussion process of researches about the curriculum examples of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distinguishingly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also to suggest a method of applying them into the lesson of ethics subject. There are examples of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ere not included in the previous curriculum. This is understandable as a measure to more clearly deliver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to the ethics subject education in the field and it is good news in the aspect to reduce the gap between curriculum and the ethics education in the field. However, the examples of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suggested in the curriculum are very implicative and impractical to immediately apply in the field. Moreover, the development period was not enough for researchers of the curriculum to sufficiently share the discussion process which now causes some misunderstanding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would interpret the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at the applicable level in the field as well as with the significance of introducing the discussion process among researchers of curriculum until now. Furthermore, the discussion process of selecting the teaching ・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s in Area 1 and the process of deliberation for applying them might work as an example for field application of other areas and for the accomplishment criteria.

      • KCI등재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연구

        김혜진(Kim, Hye ji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2

        본 연구는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명시하고 있는 평가기준 및 방향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을 탐색하고자 했다.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평가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해, 3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기존 도덕과 평가 방향의 큰 흐름을 토대로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을 ① 통합적 평가의 구성 형태, ② 교과 핵심역량과 기능의 관계 구성, ③ 영역별 제시된 대표 성취기준에 따른 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의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도덕과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연구과제를 ① 성취기준 학습동사에 대한 균형적인 기준 마련, ② 교과 핵심역량의 평가 구성요소 마련과 기능과의 연계성 강화, ③ 과정중심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 연구 및 도구 개발로 제안하였다. 본 논문이 향후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 시 평가기준 및 방향 설정에 의미 있는 논문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ndards for, and directions of evaluation specified i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explore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rough the foregoing. In order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in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in the curriculums ranging from the 3rd curriculum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reviewed, and based on the large flow of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existing moral education curriculum, the 2015 revised moral education curriculum was reviewed separately for ① the form of composition of the integrated evaluation, ② the composi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re competency and functions in the curriculum, and ③ the characteristics of evaluation methods and precautions according to the representativ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by area.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s such, the research tasks for the direction of evaluation of the new moral education curriculum were proposed as ① preparing a balanced standard for achievement standard learning verbs, ② preparing evaluation components for core curriculum competencies and strengthening the linkage with functions, and ③ studies on evaluation standards and developing tools for curriculum-based evaluation,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be a meaningful paper for setting evaluation standards and directions whe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revised later.

      • KCI등재

        도덕과교육에서 도덕적 사고와 도덕적 판단

        고대만 ( Dae Man Ko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8

        2차교육과정에서부터 2011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의 도덕과 교육과정 기술에 있어서 도덕적 사고 내지는 사고력, 도덕적 판단 내지는 판단력의 개념 사용 상 드러나고 있는 심각한 문제점은 교육과정 변천 시기별로 볼 때 교육과정 간 영역(이를테면, 목표)을 언급한 부분에서 일관성이 결여된다는 점, 동일한 교육과정 시기 아래에서 학교급별 교육과정 간에 통일성이 결여된다는 점, 그리고 학교급이 동일한 교육과정 내에서도 영역별로 일관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덕교육연구자들도 도덕적 사고력의 개념과 도덕적 판단력의 개념에 대해 분명한 이해를 하고 있지 않는 것 같으며, 따라서 도덕적 사고력과 도덕적 판단력의 관계에 대해서도 혼란스러워 하는 것 같다.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도덕적 판단력을 하위 개념으로 자의적으로 상정함으로써 연구자들 스스로 혼선을 빚고 있는 것이다. 도덕적 사고의 과정이 곧 도덕적 판단의 과정이라는 여러 철학자들의 견해에 귀를 기울여, 도덕적 사고력을 상위 개념으로 보고 도덕적 판단력을 다른 것들과 더불어 하위 개념으로 설정하는 더 이상 실익이 없는 일에 매달리지 않기를 바란다. There is a criticism in the conceptual use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in the field of Korean moral education from the 2nd National Curriculum in 1963 to National Curriculum revised in 2011. The criticism is that the conceptual use of them is wanting in consistency through the periods from 2nd to 2011 National Curriculum, and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under the same period, and between object, content, method and evaluation under the same curriculum. It seems that moral education researchers don``t have the distinct understanding on the concepts of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y are confused about the relation between moral thinking and moral judgment. The reason they are in confusion is because they take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It is necessary for us to notice the idea that the process of moral thinking means the process of moral judgment in accordance with some philosophers. Accordingly, I hope not to cling to fruitless work any more by taking moral thinking the upper concept than moral judgment.

      • KCI등재

        싱가포르의 ‘Curriculum 2015’ 및 『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교육과정 분석

        김영은(Young-eu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8 도덕윤리과교육 Vol.- No.60

        최근 싱가포르는 미래사회에 필요한 역량 함양을 위해 초·중등 교육과정을 역량 중심 교육과정(Curriculum 2015)으로 개편하였고 이 교육과정 프레임워크는 OECD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와 연구 기관의 역량 및 교육과정 논의에서 자주 등장하고 있다. 또한 새로 바뀐 교과 『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을 통해 도덕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데 도덕 교과 교육과정이 전체 교육과정 총론에서 차지하는 위상이 매우 크다. 교육과정 총론과 도덕교육 각론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전체 교육 목표의 실현에 있어 도덕 교육의 역할이 중대하다. 도덕교과 교육과정은 총론의 프레임워크를 엄밀하게 엮어 도덕 교육의 목표 및 내용으로 그 강조점을 체계적으로 반영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싱가포르의 역량 중심 교육과정, 도덕 교과교육과정 및 그 관계의 분석을 통해 한국의 도덕 교과 교육과정과 비교하고 그 함의를 얻고자 한다. Recently, Singapore developed the national curriculum on the basis of 21st century competencies which is often recognized by various countr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including OECD when they discuss about key competencies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the coming future. Also, newly developed『Character & Citizenship Education』subject is being implemented throughout primary to pre-university for moral and citizenship education since 2014. The CCE status in curriculum is presumably high due to its rigorous alignment with the national curriculum framework. Core Values,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ies, Civic Literacy, Global Awareness and Cross-cultural Skills are inextricably linked with learning outcomes and contents of CCE curriculum. This study is to get insight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for moral education in Korea through an analysis of Curriculum 2015 and CCE curriculum and a comparison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moral subject curriculum.

      • KCI등재

        도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논의의 현황과 과제

        김현수(Hyunsoo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1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0

        도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도덕 교과를 통하여 도덕적 역량을 기르기 위해 설계된 교육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때 역량기반 교육과정 자체에 대한 논의를 교육과정사적 측면에서 살펴보면, 도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자유교육의 관점에서 인문주의적 삶의 준비, 사회적 효율성을 강조하는 진보주의 관점에서 학교 교육의 효율성 증대, 민주적 사회발전을 중시하는 진보주의 관점에서는 민주시민교육적 요소, 능력중심 및 결과주의적 관점에서는 도덕적 수행과 관련된 능력 및 결과, 기준운동의 관점에서는 성취기준의 형태로 제시되는 도덕과 내용 진술로 구체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덕과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실질적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점을 제안할 수 있다. 먼저 도덕과교육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하여 공유된 이해를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도덕과교육에서 역량에 대하여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관해 일정 부분 공유된 관점을 탐색하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서 도덕과교육을 실효성 있게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the Moral Education could be a curriculum designed to cultivate moral competencies through subject "Moral”curriculum. At this time, if we look at the discussion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tself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iculum history,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the Moral Education has a humanistic life prepa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liberal education. From a progressive perspective that emphasizes social efficiency, the increase in the efficiency of school education is illuminated. From a progressive perspective that values democratic social development, the elemen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emphasized. The ability-centered and consequentialist perspective emphasizes abilities and outcomes related to moral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andards movement, it emphasizes the moral and content statements presented in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It can be embodied as In order to enhanc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is competency-based curriculum of the Moral Education, the following points can b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re-establish a shared understanding of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Moral Education. Next, it is necessary to explore a shared perspective on how to understand competencies in moral education and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is. Last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 follow-up study specifically suggesting a plan to effectively implement moral education a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the school field.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천

        권혁환(Kwon Hyeok Hwa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5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0

        우리나라에서 현대적 의미의 도덕교육은 광복 직후부터 시작되었다. 미군정 시기에 제정된 교수요목에 따라 공민과와 사회생활과를 통해서 도덕적 내용을 지도했으며 1948년 정부 수립 후에는 정부시책으로 도의교육을 강조해 왔다. 1954년 제1차 교육과정 시기에도 비록 도덕교과는 없었지만 여러 방법으로 도덕교육에 역점을 두었으며. 제2차 교육과정시기에는 교육과정의 한 영역으로 반공⋅도덕생활을 운영했다. 1973년 제3차 교육과정 시기에 이르러 도덕과가 정규 교과로 설정되었고. 제4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도덕교육의 인지적 접근에 중점을 두었고, 제 5차 교육과정시기에는 인지적 접근에서 정의적, 행동적 목표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제6차 교육과정 시기에서는 도덕과 주당 수업 시수가 1시간으로 줄어들었지만 학교 교육 전반에 걸친 도덕교육을 통해서 실제적 강화를 시도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1,2학년에서는 범교과적 통합교과인 바른 생활과를 설정하고 초등학교 3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도덕과의 계열성을 유지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정은 중앙집권적, 주기적, 전면적, 일시적 개정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앞으로는 주변 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응할 수 있게 융통성 있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Moral education has been one of major subject in Korea. In this paper, I investigated on the transition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intend to provide valuable data for setting desirable direction and management of education in the future by reviewing of morals education curriculum revision. The 1st revision of educational course of morals had been made in 1954 and for the first time educating morals had been initiated. But it was not accepted as a regular curriculum in school education. In the 2nd revision moral education(1963) had been enforced but was not still up to the level of a regular subject. The 3rd revision enforced(1973) and the hours assigned to educate morals were 2 hours a week. The 4th revision enforced in 1982 and it was characterized more emphasis on humanism. The 5th revision enforced in 1987, it was adopted mainly cognitive approach. The 6th revision enforced in 1992, it was adopted cognitive approach and behavioral approach. The 7th revision enforced in 1998,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s partly based on the virtue education approach, and it was adopted cognitive approach, emotional approach, and behavioral approach by the integration approach. As illustrated on the above the educational course of morals in the country has been developed significantly, although it was gradual. Finally I suggested some ideas that the following ways to solve several problems in moral education curriculum. First,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s need to fix in a scientific way. Second, the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s need to reform that principle of content construc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solve problems of it's instruction models and evaluation method. Finally, In this connection new perspective and measures on the mention of the nation, education and administration with keeping this direction in mind would be required now.

      • KCI등재

        싱가포르의 시민-도덕과 교육과정 분석: 단위학교의 사회,도덕 교과군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주는 함의를 중심으로

        유솔아 ( Sol A Y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2 초등도덕교육 Vol.0 No.39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함께 도입된 교과군제와 관련하여 싱가포르의 시민-도덕과(Civics and Moral Education: CME)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단위학교의 도덕과 학교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출발은 크게 다음의 두 가지 전제에 기초한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는 교과군제를 집중이수제를 위한 수업 시수 통합 수준에 머무르고 있지만 교과군 편제에 적용된 논리적 준거와 교과군제를 통해 기대하고자 했던 교육적 의미를 고려할 때, 사회/도덕 교과군 교육과정은 수업 시수 그 이상의 것으로 교육학적으로 보다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 그리고 이는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의 자율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교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노력으로 연결되어야 한다는 것이 그것이다. 이를 위해 도덕과 사회과 교과 관계에 대한 입장들을 고찰하고, 그 가운데 상호 공조적 관점에 입각하여 도덕과와 사회과 교과를 운영하는 싱가포르의 시민-도덕과 교육과정 사례를 교과 위상 및 특징, 교육목표와 구성 원리 그리고 내용체계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측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 발견된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의 교과군제 도입과 관련하여 단위학교의 도덕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an analysis of Singaporean civics-moral curriculum to investigate implications for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curriculum on the basis of subject-cluster system.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relationship with social studies and how it i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As a result,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develope valid principles of subject-cluster curriculum between social studies and moral education; second, keep the balance of moral socialization theory and the moral development theory in teaching; third, it is necessary to launch a task of systematizing the subject structure of moral education by reflecting the nature of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fourth, have clear understanding of core values and its logical basis for effective instruction; fifth, implement moral education with efforts for changes at social community or school context.

      • KCI등재

        2022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이론적 토대 탐색

        이경원(Lee, Gyeong-Won),박영주(Park, Young-Ju),김완수(Kim, Wan-su),강희원(Kang, Hee-won)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2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77

        본 연구는 2022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의 이론적 배경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향후 전개될 작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총론 차원에서 ‘이해 중심의 교육과정’의 창조적 역량의 함양을 전면에 드러내어 강조하고 있다. 이에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의 시안 개발도 총론의 지침을 반영하면서도, 도덕과의 전통적인 논의를 반영하여, ‘학습자 주도성 강화’와 ‘역량 강화 실효적 도덕함’, ‘도덕성의 다중중첩’을 분석 기준으로 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22 개정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시안에 밑그림이 된 이론적 배경들의 도입 과정을 3차원 내용체계 구성원리를 중심으로 소개하면서,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를 추구하는 인간상, 도덕함의 실효성 강화, 도덕성함양의 다중중첩의 접근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이 논의는 교육과정 개발의 후속 연구 과정에서 학계와 현장의 논의를 활성화하는 데도 의의가 있겠지만, 향후 교육과정해설서와 교과용 도서 개발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는 논의가 되는 데에도 의미가 있다. This research paper analyzed the theoretical base stones of the 2022 revised moral curriculum for elementary school which is now loading on the site for hearing from critics. In this paper, we found out from the draft, that it was consists of three pillars as basic theoretic base. One of them is the multi level and dimensional approach for building of morality. It’s the reasonable way to develop it by the understanding by design. we can call it as the realization of understanding by design for the new one. Next, we analyzed the ideal goal of teaching for students as harmonizing between moral students and fair citizens. It means the citizenship education is also so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of the new curriculum. Lastly, in this paper, from the draft we were analyzed that doing moral was so important for advancing the moral capability. we are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some guidelines of understanding the revised curriculum and developing the moral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 도덕적 역량 신장을 위한 토론 수업 모형 연구 - 『생활과 윤리』 과목을 중심으로 -

        이병기,정종삼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한국윤리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05

        지난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이하 2015 교육과정)은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추구해 온 교육 이념과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함양하여 바른 인성 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2015 교육과정은 소위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라고도 불린다. 그런데 교육과정 총론에서 제시한 ‘창의 융합형’ 인간상 및 이를 구 현하기 위해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역량’ 개념은 학생들의 통합적이고 자율적인 인격을 형성하고자 하는 도덕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상충할 여지가 있다. 또한 도덕과 교육과정 내부에서도 역량이라는 개념이 기존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활용해오던 가치와 덕목 등과는 무엇이 다른지, 또한 역량을 competency와 capability 중 무엇으로 보아야 할지에 대한 논의 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생활과 윤리』 과목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는 도덕적 역량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신장시킬 수 있는가의 논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덕과에 적합한 역량의 성격 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역량 개념이 교육 분야에 도입된 배경과 2015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역량’ 개념이 지니는 문제점, 그리고 도덕과에 적합한 역 량 개념은 무엇인가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리고 도덕적 역량을 『생활과 윤리』 과목에서 효과적으로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찬반(Pro-con) 토론 방식을 보완한 ‘도덕과 협력적 쟁점토론 모형’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도덕과 협력적 쟁점토론 모형을 경기창조고등학교 『생활과 윤리』 수업 시간에 적용한 사례와 실제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 여 해당 수업 모형의 효과 및 보완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2015 개정 도덕과 교 육과정(이하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역량을 도덕과 세부 과목별로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