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무역 제도의 역사적 전개에 대한 일고찰 -근대 유럽의 경험에 비추어-

        최은주 ( Choi Eunju ),이남형 ( Lee Namhyung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7 사총 Vol.92 No.-

        경제제도의 변화는 강제력을 제약하는 제도와 계약을 강제하는 제도의 성격, 그리고 이 제도들과 관련된 정치 행위자와 경제 행위자의 관계로 파악될 수 있다. 강제력의 제약 정도는 재산권 보호 수준을 결정하고, 계약을 강제할 수 있는 공적 질서의 발달 정도는 시장의 범위를 결정한다. 근대 유럽의 경제사는 경제 주체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계약을 강제할 수 있을 만큼 강하지만, 동시에 재산권과 계약을 임의로 침해할 만큼 강하지는 않은 권력 기구가 만들어질 수 있는 조건과 동학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틀에서 북한의 현재 경제 제도는 독점 강제력과 최소 행정력을 토대로 하는 계획경제이자, 공적 질서와 사적 질서에 의한 계약 강제가 공존하는 상태이다. 김정은 정권 이후 북한은 경제주체의 권한을 보장하고 경제활동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공적 질서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현재의 제도화 수준만으로도 북한의 재정수입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면 북한 당국은 강제력을 기반으로 시장을 관리하면서 경제력을 갖춘 집단의 성장을 통제하고자 할 것이다. 그러나 북한 당국이 지속적으로 재정압박에 시달린다면 선택은 달라질 수 있다. 강제력을 가진 북한 당국과 경제력을 가진 주체의 이해관계가 일치하여 공생하는 제도로 변할 수도 있고, 강제력과 경제력이 분화되어 서로를 견제하는 제도로 나아갈 수도 있다. We can understand the change of economic system with both the characteristics of two institutions, coercions constraint institution (CCI) and contract enforcement institution (CEI), and the conflicts between political agents and economic agents. The levels of CCI determine the level of property rights protection and the degrees of public order to enforce contracts determine the extent of the market. Modern european economic history demonstrates the conditions and dynamics that make it possible to create a powerful authority that is strong enough to protect the property rights of economic agents and to enforce contracts, but not strong enough to arbitrarily violate property rights and contracts. In this framework, the current economic system in North Korea is a planned economy based on monopoly of coercive power, minimum administrative power, and coexistence of public and private order for contracts enforcement. Since Kim Jong Eun regime, North Korean authorities seem to shifts their objectives toward establishing a public order to strengthen the powers of economic agents and to vitalize their economic activities. With the current institutions if North Korea's financial revenues would steadily increase, North Korean authorities will want to control the growth of economic power groups by managing the market with coercion. However, i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ontinue to face financial pressure, their choices may change. The interests of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with the enforced power and of the economic agents could be coincided then they become symbiotic, or the coercive power and the economic power could be separated enough to check each other.

      • KCI등재

        백인 지배담론 가로지르기: 미 식민지 시기 기간계약노역제도(Indentured Servitude System)에 대한 소고

        오영인 ( Oh Young In ) 한국미국사학회 2019 미국사연구 Vol.49 No.-

        식민지 시기 적어도 노예제도가 정착하기 이전 신대륙 경제의 핵심적인 노동력은 백인 노동력이었던 기간계약노역자들이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흑인노예제가 정착되면서 소멸되었다고 간주된 백인 기간계약노역자들은 연구대상에서 부차적인 것으로 주변화 되었고 대부분의 연구는 흑인노예 노동연구에 집중해왔다. 물론 흑인노예 노동연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그렇다고 백인 기간계약노역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축소되어서도 안된다. 기간계약노역자들은 그 이주 구성원과 노동의 성격이 변화되었을 뿐 노예제도 정착 이후에도 노예제와 공존하면서 식민지와 초기 미국 사회의 수천수만의 노동주체의 삶을 구성하고 대변했다. 더욱이 식민지시기 백인 기간계약노역자들 또한 부자유 강제노동을 경험하며 유사노예상태에서 부당한 노동현실에 끊임없이 저항했다. 본고는 기간계약노역자들의 실제 구체적인 식민지 경험을 들여다봄으로써, 비(非)자유 노동이었던 기간계약노역제도 또한 정도의 차이가 존재했을 뿐 노예노동의 안과 밖에 공존했음을 재확인한다. 이것은 가해자 백인과 희생자 흑인노예라는 극단적 이분법을 넘어 식민지시기 노동연구를 전체 비(非)자유 강제노동이라는 큰 틀에서 조망하는 하나의 기회가 될 것이다. White indentured servants were a pivotal labor force before the slave system in colonial America. Recognizing that the increasing reliance on racial slavery in the late 17th century led to a reduction of indentured servants, however, historians have emphasized the declining significance of servants in colonial society. Scholars have overlooked, noting both the continued-importance of servants and the likelihood as unfree forced labors. They also suggests that by the end of the 18th century, servitude was virtually nonexistent, having been replaced by racial slavery. But this position have marginalized real historical experiences of thousands of indentured servants in Colonial America. I insist a fact that the indentured servitude system and slave system had co-existed with similar historical experiences and indenture servants as a historical subject never diminished in historical value. Looking closely to the realities of indentured servants, I also explain how indentured servant system as the term-bound chattel property made a legal foundation for the laws of slavery system. Instead of setting indentured servant system and slavery system in opposition to one another, it is important to consider how these two systems had affected each other. This is the better way to enrich studies of unfree forced labors in colonial America.

      • KCI등재

        여객의 인적손해에 대한 해상여객운송인의 배상책임에 관한 검토

        이정원 대한변호사협회 201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446

        With the increase of national income and activation of marine leisure, it became anurgent national task to find ways to prevent damages caused by the death or injuries ofpassengers as well as to expand remedies of the victims. When compared to relevant internationallegal regimes, however, our legislation reveals some problems caused by the insufficientcompensation for damages of the victims. Especially, as the Korean Commercial Code has onlyintroduced gross limitation of liability regime, the carriers can limit their liability to a certainamount of money for damages of passengers, This means the actual compensation which will be distributed to each victims shall be determined by the number of victims. To re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limitation of liability per passenger should be introduced to the KoreanCommercial Code. Meanwhile, for the adequate compensation of passengers, carrier's liability topassengers for injury or death resulting from shipping accidents should be strict up to a specificsum of money in line with the Athens Convention relating to the carriage of Passengers and theirLuggage by Sea, 1974 (hereunder 'the Athens Convention'). Additionally, compulsory liabilityinsurance of passenger carriers and with direct action against the insurer should be enacted for theprotection of passengers. Even if the carriers are obliged to take out compulsory liability insurancepolicy, there can be a legal problem that passengers may not be compensated from the insurerwhen the insurer is exempted from indemnity against the assured. For the sake of protection ofthe victim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insurer pays a certain sum of insurance money topassengers regardless of the carrier's intention which has caused the shipping accident. Finally,where a marine insurance time policy includes 'promissory warranty of seaworthiness', theunderwriter is not liable for any loss attributable to such unseaworthiness to which the assured isprivity. Therefore,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governmental authorities' administrative supervisionof the operation of passenger ships that is tightly linked to the seaworthiness of ships as well aspassenger carriers' voluntary efforts for the seaworthiness of their vessel are directly related toinsurance compensation to victims. 국민소득의 향상과 함께 해상레저문화의 활성화 및 대형 크루즈선을 이용한 여행문화가 보편화될 경우를 상정한다면, 해상에서의 여객의 인적손해의 방지책 마련 및 피해자 구제책의 확충은 시급한 국가적 과제이다. 그러나 우리 법제는 관련 국제협약 등에 비해 여객의 인적손해의 배상에 불충분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여객의 인적손해에 대한 개별적 책임제한제도를 도입하지 않고 상법상 총체적 책임제한제도만을 두고 있음으로 인해, 피해자의 실제 배상액이 피해자의 수에 좌우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우리 상법에 개별적 책임제한제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 한편 피해자의 인적손해에 대한 충분한 배상을 위해 2002년 아테네협약 개정의정서와같이 일정한 금액한도까지는 운송인의 무과실책임제도를 도입함과 동시에 운송인으로 하여금 해당금액에 대해 강제적 책임보험 가입을 의무화하는 입법이 필요하다. 여객운송인에 대해 여객의 인적손해배상을 위한 강제책임보험가입을 의무화한다고 하더라도 법리상 원칙적으로 보험자는 피보험자인 여객운송인에 대한 보험계약상 항변사유로 피해자에 대항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으므로,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에 의한 대인배상Ⅰ의 경우와 같이 여객운송인이 강제책임보험에 가입한 금액에 한해서는 운송인의고의 등에 상관없이 보험자의 보상책임을 인정하는 방안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대부분의 해상보험계약에는 우리 상법에는 없는 담보특약(Warranty)제도가 규정되어 있고, 선박의 감항능력확보의무는 피보험자의 명시적·묵시적 담보사항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문제는 영국법상 담보특약은 피보험자가 무조건적으로 준수하여야 하는 것으로서, 이를 위반한 경우 보험사고와의 인과관계 여하를불문하고 보험자가 면책된다. 따라서 여객운송인 등의 선박의 감항능력 확보를 위한 자발적 노력과 함께, 선박의 감항능력유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선박운항감독기관의 철저한 운항감독을 내실화하는 것이 만약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피해자에 대한 보험보상과 직결되어 있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株式交換制度와 株主保護에 관한 考察

        고재종 한국기업법학회 2001 企業法硏究 Vol.8 No.-

        By America's MBCA §11.02, Share Exchange means that one corporation can own on the whole share of the other corporation by inclusive share exchange. This share exchange is introduced in 2001's amendment of Korea's Commercial Code. The aim of introducing Share Exchange is to support restructuring business forms by making the incorporation of holding company easy. That is to say, trough Share exchange, the corporation established becomes the perfect parent corporation Share Exchange should be taken steps the following process. First of all, the plan of share exchange is to draw up and is to be approved by each voting group entitled to vote separately on the plan by 2/3 or more of the attending votes entitled to be cast on the plan and 1/3 or more of the total number of votes to be given attend the shareholders' meeting. Second, the shareholders against share exchange have a right to sell their shares to the perfected parent corporation. Third, the perfect parent corporation must be serve the new shares or the existing shares on the perfect subsidiary corpora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process, the other formalities relating Share Exchange should be carried out by legal provisions. However, for the sake of the shareholders' protection, we have to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value estimate and the various systems of relating corporation. Also, it is desired that we should study on the share Exchange for the formulation of imperfect parent-subsidiary corpor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