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위 학교의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 실태 연구

        최숙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3 敎員敎育 Vol.39 No.4

        Purpose: The purpose is to find problems derived from the elements and selection process and waysto improve them. Considering that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has further expandedthe type and number of high school elective courses in prepar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in preparation fo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Method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Focus Group Interviews (FGIs) with 9 Koreanlanguage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in unit schools based on the revise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sults: 1) Korean language teachers mainly adopted the "overall textbook evaluation approach" dueto the high burden of evaluation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evalua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2) Variables influencing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process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included"appropriate sanctions," "adequate amount of learning content,"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and availability of supplementary materials," as well as "authors and publishers." 3) The primaryproblems identified in the selection and evaluat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under the verificationand approval system were the excessive amount of textbooks to be evaluated, resulting in "excessivecontent and insufficient evaluation time," and the emergence of "complex and abstract textbookevaluation criteria."Conclusion: Proposed solutions to address these issues include "securing evaluation time andsimplifying procedures" and "providing and utilizing objective textbook information for each publisher." 연구목적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개발된 검인정 국어 교과서의 사용을 위해 단위학교국어 교사들이 국어 교과서를 평가하고 선정하는 과정에 대한 실태를 조사하고, 국어 교과서의 평가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선정 과정에서 도출되는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있다.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고교학점제를 대비하여 고등학교 선택 과목의 유형과 수를 개정 2015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더욱 확장된 바를 고려할 때 향후 단위학교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에 관한 부담은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고려할 때, 검인정 교과서 체제에서 단위학교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과정의 어려움을 탐색하고 선제적으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연구방법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기반하여 단위 학교에서 국어 교과서의 평가와선정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국어 교사 9명을 대상으로 하여 FGI(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Krueger와 Casey(2009)의 FGI 질문 구성과 자료 분석의 절차를 통해 검인정 국어교과서의 단위 학교의 선정 실태,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1) 본 연구에서는 검인정 국어 교과서 선정과 평가 과정에서 국어 교사들은 평가에 대한 고부담에따라 '전체 교과서 평가 방식'을 주로 채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국어 교과서 평가와 선정 과정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적정한 제재', '적정 학습량', '다양한 교수 학습 활동과 보조 자료 유무'와 더불어 '저자와 출판사' 등으로 도출되었다. 3) 검인정 국어 교과서 선정과 평가의 주도적인 문제점으로는 평가대상 교과서 종수의 과다에 따른 '과도한 분량과 이에 따른 부족한 평가 시간'의 문제와 '복잡하고 추상적인 교과서 평가 기준'이 도출되었다. 결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평가 시간 확보와 절차 간소화, 각 출판사별 객관적 교과서정보 제공 및 활용' 등의 방안 등이 도출되었다.

      • KCI등재

        1910년대 국어(조선어) 교육의 식민지적 근대성 : ≪少年≫, ≪靑春≫, ≪學之光≫을 중심으로

        조희정 국어교육학회 2004 國語敎育學硏究 Vol.18 No.-

        한 사회의 근대성을 진단하는 주요 지표 중 하나인 문해력이 우리 사회에서는 일제 강점기 보통학교 교육을 통해 대중화됨으로 인해 일제 강점기 문해력의 확산과 관련된 현상이 국어(조선어)교육사 내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제에 의해 수용되고 시행된 문해력 교육의 제반 측면을 식민지적 근대성이라는 개념으로 포착하여 그것의 특성을 고찰하고 현재의 국어교육에까지 미치는 영향력을 밝혀내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초점화를 위해 본 논문은 1910년대로 시기를 한정하여 국어(조선어)교육 관련 담론 속에서 드러나는 국어(조선어)교육의 식민지적 근대성을 파악하였다. 1910년대 국어(조선어)교육은 문해력 일반 차원에 대한 접근을 전제하고 있다. 일본어에 대한 교육, 국어(조선어)에 대한 교육이 동일 문해력 차원의 교육이라는 관점에서 범주화되고 연관되었다. 또한 국어(조선어)교육은 일반적으로 이해 교육이 우선적인 목표로 설정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어(조선어)교육 관련 담론 속에서는 표현 교육과 관련된 논의들이 두드러졌다. 표현 교육은 쓰기 분야에서는 ‘편지쓰기’라는 시대적 유행과 맞물렸으며, 각종 토론회과 관련하여 상세한 연설 방법론이 소개되기도 하였다. 다양한 세계 문학의 소개와 함께 민족 문학의 정립이 구체적으로 시도되는 과정에서 시조 갈래에 민족 문학적 가치가 부여되며 문학교육 의 정전 텍스트로 자리잡기 시작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lonial modern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1910'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1910's was considered the linguistic policy and the movement up to the present. But people carried out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1910's in terms of general literacy, with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There were set the goal at the comprehension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1910's firstly, but the 'writing a letter' and 'speech' in the expression education were noticed to and came into fashion in the 1910's. So the method of letter-writing and method of speech was an important factor of the study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Various literature of the world was introduced to Korean people, the other side national literature was established. So Si-Jo(時調) was considered the valuable canon of the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초,중등학교 국어과 평가의 실태와 개선 방안 ; 국어과 평가의 반성과 전망

        박인기 ( In Gee Park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2 No.-

        국어과 평가 논의에서 전제되어야 할 점은 국어과 평가가 교육 평가 일반론으로 환원되지 않는 국어과 평가의 특수성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이다. 아울러 국어과 하위 영역 간의 공통성과 차별성을 살리는 평가 담론들이 지속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 국어과 평가의 역할 위상을 학교 내에서뿐만 아니라 학교 밖으로도 확장해 나아가야 한다. 지난 반세기 동안 국어과 평가는 학문중심교육과정 하에서 규준지향평가(Norm-referenced evaluation)가 주조를 이루었다. 또한 표준화와 공식적 평가(Formal evaluation)의 양태가 국어과 평가의 전부인 것처럼 단조롭고 획일적이었다. 이후 국어사용과정과 기능에 초점을 두는 활동중심 평가가 강조되고, 이어서 학습자중심의 언어체험의 수행성과 탐구과정을 강조하는 비공식성이 강한 평가들이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최근에는 다양한 문식성과 언어사용의 소통성을 강조하는 평가가 부각되고 있다. 국어과 평가는 1) 평가를 공학적 체제(engineering system)로 보려는 관점이 지배적이었고, 2) 언어수행에 대한 평가가 소극적이었으며, 3)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 중심의 평가 관습에 지배되었고, 4) 수행평가 정착이 실패했으며, 5) 문학교육 평가의 답보가 두드러졌다. 이런 점이 국어과 평가의 결함으로 지적될 수 있다. 국어과 평가가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요구된다. 1) 국가 수준의 국어 능력 평가 체제를 상시 체제로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서 각급학교 학생들의 국어 능력과 일반 국민의 국어능력을 종단 평가(縱斷平價)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2) 국어 수행 평가에 대한 다양한 배려가 필요하며, 평가 도구의 다양성을 확보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국어사용 생태 변화를 반영하는 살아 있는 평가 자료들을 개발해야 한다. 3) 국어과 평가의 자료와 피드백 방식을 질적으로 풍요롭게 해야 한다. 이는 국어사용과 관련한 지식, 기능, 태도, 윤리 등 국어과 평가 요소의 통합을 지향해야 한다. 4) 문화적 리터러시에 대한 국어과 평가의 새로운 영역을 확충해야 한다. The matter to presuppose in discussion about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is that it should pursue the peculiarity of Korean subject evaluation which is not restored to generalization of education evaluation. Furthermore, evaluation discourses that increas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subcategories of Korean subject should be provided continuously. Moreover, the role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should be expanded from inside to outside the school. The mainstream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has been norm-referenced evaluation under academic-oriented curriculum for the past half of a century. Moreover, the pattern was monotonous and uniform as if only standardized and formal evaluation were existed. However, activity-oriented evaluation that was focused on function of the process to use Korean were started to be empathized. And then, some informal evaluations that were focused on performance and exploration process of learner-oriented language experience were started to get attention. Recently, evaluations that emphasize diverse literacy and communication of language use become significant.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was 1) predominant with the perspective to see evaluation as an engineering system, 2) passive for evaluation language performance, 3) predominant with summative evaluation, 4) failed to settle performance assessment, and 5) evaluation on literature education was clearly standstill. These can be pointed out as defects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Therefore, the following efforts are demanded for futuristic development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1) Stat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evaluation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regular system. So Korean proficiency of all the students of nation should be chronically evaluated with a system. 2) Diverse concerns on Korean performance evaluation are necessary, and the evaluation tool should be diversified. So Korean subject evaluation should pursue to integrate knowledge, function, attitude, and ethics. 3) Material of evaluation in Korean subject evaluation and feedback method should be plentiful with good quality. Living evaluation Material that reflects the change of Korean use mode are required. 4) Korean subject evaluation should establish a new field for cultural literacy.

      • 초등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의 국어자료 분석 : 6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이해리 광주교육대학교 초등국어연구소 2020 초등국어과교육 Vol.27 No.-

        이 연구에서는 국어교과서 매체단원에 제시된 국어자료를 매체의 종류와 언어 사용 목적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이를 분석함으로서 초등학교 매체교육의 이해제고와 필요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7차 교육과정에서 현재 2015개정 교육과정까지의 교육과정과 6학년 교과서를 범위로 설정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6학년 국어교과서의 매체단원을 선정하여 국어자료를 두 가지의 기준에서 분석하였다. 먼저 국어 자료 본래의 매체나 혹은 자료를 제공하는 매체의 종류를 기준으로 하여 국어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으며 향후에도 학습자의 흥미유발이나 이해력 제고를 위해 영상자료의 활용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새로운 정보검색매체로‘스마트 폰’이 등장하였다. 셋째, 조사한 내용이나 자신의 생각을 효과적으로 발표하기 위한 매체를 탐색하고 발표하는 활동에서는 글과 그림, 사진 뿐 아니라 영상, 프레젠테이션 등의 점차 다양한 시각자료들이 제공되었다. 또 언어 사용 목적의 기준으로 국어자료를 분석하였다. 7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07개정 교육과정까지 모든 매체 단원의 국어 자료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글이나 담화, 영상, 그림, 사진이 전부였다. 2015개정 교육과정에 이르러서 다양한 언어 사용 목적(정보 전달, 설득, 친교·정서표현)이 나타남은 물론 학생들에게 보다 친숙한 주제의 국어자료가 제공되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 속 매체 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살펴 향후 국어교과서에 매체 관련 국어자료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에 대한 기초 조사 자료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자서전 쓰기를 통한 국어교사의 자아성찰과 목소리 탐구

        고춘화 ( Ko Chunhwa ) 국어교육학회 2017 國語敎育學硏究 Vol.52 No.4

        국어교육을 교실 현장에서 직접 실행하는 국어교사의 역할은 상당히 중요하다. 국어교사의 삶의 가치관과 교육 경험, 그리고 국어교육철학에 따라 국어교육은 다양하게 구현된다. 이 연구는 자서전 쓰기를 통해 국어교사의 목소리를 탐색하고 국어교사의 자아정체성을 복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어교사의 자서전 텍스트를 연구자의 질적 해석과 텍스트 분석 프로그램을 활용한 양적 해석의 양 방향으로 분석함으로써 해석의 객관성을 높였다. 분석의 결과, 국어교육의 인문학적 특성과 국어교사의 실존성, 국어관과 국어교육의 역할 인식, 국어 수업의 현실과 이상 사이의 갈등과 선택, 국어교사로서의 정체성 탐색과 타자성 인식, 다양한 국어교사의 지향과 꿈 등으로 국어교사의 정체성 회복의 과정을 제시할 수 있다. The rol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directly execut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classrooms is very important.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in accordance with the values of life, educational experience, and philosophy of Korean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voices of Korean teachers and to restore their self-identity through autobiographical writing. By analyzing the autobiographical text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the objectivity of the interpretation was uphel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the process of restoring identity of the Korean language teachers is based on the human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existence of Korean language teachers, the philosophy and the rol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conflict between the reality and ide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various orientations and dream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 국어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구성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최종윤(Choi, Jongyun) 한국어문교육학회 2014 어문학교육 Vol.48 No.-

        이 연구는 새 국어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구성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11 국어과 교육과정은 국어 교육 영역 간의 통합을 본격적으로 시도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가치는 교과서에 물리적으로 반영되며, 실제 국어 수업을 수행하는 교사들은 교과서에 반영된 내용을 토대로, 나름의 교육적 의의를 부여하여 가르치게 된다. 따라서 국어 교과서의 내용을 교사들이 바르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피는 것은 교육과정이 다루고 있는 국어 교육 영역 간의 통합이 효과적으로 실현되기 위한 필수 요건이다. 이 연구는 교사가 새 국어 교과서의 영역 간 통합 구성의 특성을 어떻게 수용하고 있는지, 영역 간 통합적인 국어 수업의 실제 사용 맥락을 효과적으로 반영하기 위해서 교과서는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를 면밀히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4년 5월 7일∼5월 12일까지 전국 초등학교 1∼4학년 담임 교사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내용은 초등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국어 교과서관, 국어 교과서 영역 간 통합의 성격, 통합 구성 원리, 통합 구성의 효과성, 지향해야 할 통합 지도, 영역 간 통합을 위한 국어 교과서의 보완점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효과적인 통합 지도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개발되는 시기부터 즉, 교육 과정의 내용을 마련할 때 영역 간 통합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마련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사들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현장 교사들이 지적해 준 바와 같이 영역 간 통합 지도는 학습 과제와 학습 활동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었을 때 진정한 통합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on the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he 2011 revision curriculum emphasis integration with several sections of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The korean language textbook is understoo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actual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liefs. So to find out various aspects of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I analyzed survey respons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who used the textbook which were collected during the May. 7 ~ May 12, 2014. I analyzed the various aspects of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according to the korean textbook's viewpoint, system, the nature of the Integration , Organizing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effect of the Integration, instruction of instruction. According to the this study results, the efficiently integral instruction has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stages of the curriculum and korean language textbook in order to perform efficiently the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of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korean language textbook, to find out efficiently instruction methods on integration of contents from other domains.

      • KCI등재

        국어 능력의 융복합적 개념화 탐색

        김규훈(Kim, Kyoo-hoon) 우리말글학회 2015 우리말 글 Vol.67 No.-

        이 연구는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시도이다. 특히 국어 능력을 융복합적으로 재개념화할 수 있는 매개 담론을 탐색하여 그 핵심 개념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어 능력은 ‘사고, 소통, 문화’의 구조를 지니고 있다. 학문 융복합의 논의를 바탕으로 융복합 교육의 중핵적 원리를 도출하면, 교과 혹은 비교과 현상의 ‘넘나듦’이다. 융복합 국어교육은 국어과를 중심으로 다른 교과 및 비교과를 넘나들 수 있는 능력의 함양을 추구한다. 이에 국어 능력의 ‘사고, 소통, 문화’ 범주에서 ‘넘나듦’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개념을 제시해야 한다. ‘사고’의 측면에서는 교육학의 융복합적 사고력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와 다른 현상을 연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소통’의 측면에서는 신문식성의 논의를 바탕으로 ‘확장된 언어로서 기호를 소통하는 문해력’을, ‘문화’의 측면에서는 언어문화의 담론을 바탕으로 ‘문화가 본질적으로 지닌 중층성을 실천하는 힘’을 설정할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conceptualize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Convergency Korean language ability is an important concep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ponding to the Convergence education, so this study would suggest core concepts for Korean language ability with searching mediation discourses of convergence. Korean language ability have a subordinate structure,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Based on convergence studies, a kernel principle of convergence education is “crossing” on subjects or activities. Convergency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ross between Korean language subject and other subjects or activities. So, this “crossing” matters could be inquired in a category of “thought, communication, and culture”. In terms of “thought”,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and others” could be set on a basis of convergency thinking discourses in pedagogy. In an aspect of “communication”, “literacy of sign as an extended language” could be set on a basis of new-literacy discourses. And in a “culture” category, “power of practicing multi-layer taken in culture essentially” could be set on a basis of language-culture’s discourses about multi-layer.

      • KCI등재

        역량 기반 교육과정에서 국어 능력과 핵심 역량의 관계

        서영진 ( Youngjin Seo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1

        본 연구는 최근 교육계의 화두인 역량 담론에 대해 교과적 이해가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출발한다. 이에 국어 교육적 맥락과 시각에서 역량 기반 교육의 출발이 되는 국어 능력·국어과 핵심 역량·범교과 핵심 역량의 의미와 관계 구조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을 비교 분석하며 국어과 핵심 역량의 의미에 보다 선명하게 다가가고자 하였으며, 범교과 핵심 역량과 국어과 핵심 역량의 관계 정립 방식도 탐색하며 국어과 핵심 역량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였다. 국어 능력과 국어과 핵심 역량은 국어 교육을 통해서 습득해야 할 능력을 가리킨다는 공통점이 있으며 상호 조응하는 속성도 공유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관점이나 그 개념에 접근하는 방식에 다소 차이가 있다. 국어 능력에 대한 기존 논의를 참조할 때, 국어 능력은 언어.인지 기반 관점이 반영되어 있으며 구인 분석적 방식으로 접근되어 왔다. 이에 반해 국어과 핵심 역량은 사회 기반 관점이 반영되어 있으며 총체적 수행 능력 중심으로 접근되고 있다. 국어과 핵심 역량은 국어 능력을 구성하는 의미 요소를 포함하기는 하지만, 국어 교육에 대한 사회 다양한 분야의 기대와 요구가 응축되어 있는 보다 확장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국어과 핵심 역량과 범교과 핵심 역량의 관계를 설정할 때는 교과 친화적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교과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확보하고, 총론을 향한 수렴적 지지력을 보여주는 관계를 추구해야 한다. This paper starts from the recognition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competency-based educ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ence this paper tried to clarify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relation among Korean language ability,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A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an analysis was done on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Lastly, the paper explored the relations of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and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have a common goal in achieving important abilities thr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modes and perspectives of getting access to th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This paper found that previous and current discussions and papers on the Korean language ability mostly reflected the perspectives based on the linguistics or the general cognition and approached in a construct analysis method. In comparison,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should reflect the perspectives based on current demands in the society and the holistic approaches in performance abilities. This broadened concept encompasses current expectations and demands from the society. In addition, its autonomy and uniqu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spected in relation to th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and the Korean language key competence should be able to support the crosscurricular key competence in a harmonious way.

      • KCI등재

        안자산(安自山)의 언어관과 국어 연구

        구본관 ( Koo Bon-kwa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3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1 No.1

        本稿는 自山 安廓의 國語 硏究 成果를 점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다음 두 가지를 集中的으로 다루어 보았다. 첫째, 自山의 言語觀 내지 國語觀이 그의 國語 硏究에서 어떻게 表出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다루었다. 우리는 이를 통해 自山이 그 당시의 國語學者들과는 달리 外來語 사용 등에 있어서 유연한 입장을 가졌던 것이 그의 進化論的인 言語觀과 관련이 있음을 알게 되었다. 둘째, 『修正朝鮮文法』(1923)의 내용을 中心으로 自山의 國語 硏究의 구체적인 내용을 檢討해 보았다. 이미 自山의 國語 硏究에 대한 論議가 있었지만 『修正朝鮮文法』을 포함하여 그의 國語 硏究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깊이 論議된 바가 없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해 보면, 自山의 文法이 高橋亨(1909), 『韓語文典』 등의 文法書의 영향을 받았으며, 유길준과 박승빈 등 일본을 통해 西洋 文法을 받아들여 國語 文法을 기술한 國語學者의 系譜의 중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Ahn, Hawk[安廓]’ studies of korean linguistics. In order to achieve the aim, we consider 2 problems:(1) We examine Ahn, Hawk[安廓]’ point of view of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Specially, we make a comparative study of other scholars (point of view of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2) We make a profound study of Joseonmunbeop[修正朝鮮文法]. As the result of this study, we can decide Ahn, Hawk[安廓]’ position in the past 100 years of studies on korean linguistics.

      • KCI등재

        국어학 :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와 그 음운론적 해석 -향가를 토대로 중세국어와 연계하여-

        박종덕 ( Jong Deok Park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7

        이 글에서는 인접하여 경계하고 있는 두 시기의 언어 현상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리라는 전제 아래, 고대국어 주격조사의 실현 양상을 중세국어의 것과 결부하여, 음운론적인 시각에서 논의하였다. 고대국어의 실체를 재구해내는 일은 쉬운 작업이 아니다. 그 난점 중의 하나가 바로 자료의 해독 문제로서, 고대국어를 반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모든 자료를 한꺼번에 낱낱이 다루어 해독하는 일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고대국어를 재구할 수 있는 주 자료인 향가를 대상으로 고대국어의 주격조사 실현 양태를 밝혔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대국어 주격조사 형태: ㅣ(伊, 是)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 조건: ·ㅣ(是, 伊)/C―·ㅣ(伊)/V―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 정도: 수의적, 주격조사 미분화형 공존 이에서 보듯이, 고대국어 주격조사 실현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세국어에서 어떠한 환경에서도 반드시 실현되는 ㅣ주격조사가 고대국어에서는 수의적으로 실현된다. 둘째, 중세국어에 존재하는 ``ㅣ라셔, ㅣ셔, 겨셔`` 등과 같은 주격조사가 고대국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셋째, 고대국어 주격형에는 중세국어에서 발견되지 않는 유형인 ``체언+조사`` 미분화형이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로 미루어 볼 때, 고대국어 시기에는 중세국어 시기에 비해 주격조사 표기형에 대한 의식이 뚜렷하지 않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대국어에서 보이는 ㅣ주격조사는 중세국어 ㅣ주격조사 발달의 동인이 된 것으로 보인다. In this writing, on the premise that language phenomena are intimately connected to each other between earlier times and later ones, I have examined the realized aspects of the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in relation to those in Middle Korean. Particularly, in this writing, from a phonological perspective I have translated the process of the realization of nominative case in Middle and Ancient Korean. It is not easy one to reconstitute the facts of Ancient Korean. One of the challenges is to decipher Ancient Korean, which is a realistic difficulty, meaning deciphering in detail at a time all the data presumed to include Ancient Korean. In this writing, therefore, I have examined the realized aspects of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regarding only Hyang-Ga which could be the main material to reconstitute Ancient Korean. The study shows as follows. First, "ㅣ" of the Nominative was used in Ancient Korean as in Middle Korean. Second, while "ㅣ" of the Nominative was surely realized in Middle Korean under any circumstances, it was not in Ancient Korean. It was common in Ancient Korean for "ㅣ" of the Nominative not to be realized even when it should be. Third, The list of nominative case is fewer in Ancient Korean than in Middle Korean. ``irasyeo(ㅣ라셔), isyeo(ㅣ셔), gyesyeo(겨셔)``, etc, which were realized in 16th century, were not to be seen in the list of nominative case in Ancient Korean. In conclusion, the closer to Middle Korean it got, the more strictly nominative case was used. In contrast, nominative case was not still realized more often in Ancient Korean. It seems that the Nominative "ㅣ" in Middle Korean might have developed in the foundation of Ancient Kor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