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도로서의 기구 ; 특집논문 : 1950년대 후반 시단의 재편과 현대시 개념의 논리 -<한국시인협회>(1957~1962)를 중심으로-

        박연희 ( Youn Hee Park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1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3

        이 논문은 조지훈을 중심으로 <한국시인협회>(이하 시협)가 구성되는 과정을 통해 1950년대 후반 독자적인 시단(詩壇)의 재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지훈은 ``예술원 파동`` 이후 문단이 분열되거나 전문 분과 기구의 창설이 증가하는 등 문화계의 전환기적 흐름과 맞물려 시협을 구상하고 결성하였다. 특히 시협은 해방후 이른바 ``문협 정통파``가 주도하던 전통서정시의 계보에 포함될 수 없었던 모더니스트들을 그 운영조직과 기관지의 지면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도 안에 편입시켰다. 전통시와 모더니즘시가 대립되는 시단의 구도를 염두에 볼 때 이는 전통시와 모더니즘시를 포괄하는 새로운 한국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그러나 조지훈은 무엇보다 ``한국적인 것``의 특수성을 강조하며 ``서정시``로 대변되는 현대시 개념을 설정하였다. 이는 모더니즘시를 타자화하여 전통서정시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문학권력의 또 다른 제도화, 이념화의 산물이다. 이처럼 서정시의 미학성과 정치성을 논리로 삼았던 조지훈의 현대시 개념은 김수영의 제1회 ``시협작품상`` 수상이라는 제도화 과정을 통해 본격화되었다. 시협은 문단이력, 문학성향, 세대 등 작품 외적 요소를 배제한 범문단적인 문학상을 표방하면서 세련된 방식의 시 전문단체를 지향하였다. 따라서 제1회 시협상은 현대시의 전범이 될 만한 작품을 선정함으로써 전통시와 현대시의 논쟁을 불식시키고자 했던 그 입장이 충분히 반영될 수밖에 없었다. 김수영의 시는 195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자주 언급되지 않았으며 최일수가 독특한 모더니즘시로 평가했을 뿐이었다. 김수영의 수상은 「눈」이 인간, 자연, 동양이라는 전통서정시의 표상에 근접하여 이에 대한 각론이 활발하게 진행되던 시기와 겹친다. 다시 말해 김수영의 수상 작품은 전통과 현대의 통합 가능성을 시사한 텍스트로 독해되었고 조지훈의 현대시 개념의 논리를 이행하는 데 활용되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independently reorganizational aspects of the Korean poetical circles in the late 1950s through the process of the organization of the Korean Poets Association (Si-Hyup hereinafter) with Cho Jihoon as a central figure. After the ``shock of the art academy (the Yesul-won)``, Cho Jihoon planned and organized the Si-Hyup follow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cultural circles such as the division of the literary circles and the increasing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sub-committees. Particularly, the Si-Hyup, after the Korean Liberation, actively incorporated the modernism writers who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traditional epic poem`s genealogy that has been dominated by ``the orthodox writers of The Korean Writers Association`` into its new organization through their appearance on the literary magazine and the operational activities within the organization. Considering the structure of the poetical circles had been in confrontation between traditional and modernism poetry, this shift suggests the new possibility of Korean poetry embracing the traditional and modernism poetry. Above all, by emphasiz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ness, Cho Jihoon set up the notion of the modern poetry represented as the ``lyric poetry``. This is the product of another institutionalization and idealization to extend the denotation of the traditional lyric poetry with making the modernism poetry into the Other. The Cho Jihoon`s conception of the modern poetry which was based on the logic of the aesthetics and politics of the lyric poetry began to appear in earnest when Kim Suyoung was rewarded the first Si-Hyup Best Writing as the course of the institutionalization. The Si-Hyup claimed to stand for the pan-literary awards which excluded the external aspect of the works, such as the literary careers, literary tendencies and kinds of generation, and moved toward the specialized organization of poetry with the sophisticated style. Therefore, the first award of the Si-hyup could not but to fully reflect the Cho Jihoon`s position that tried to calm controversy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oetry by selecting the exemplary works of the modern poetry. The poems of Kim Sooyoung were not mentioned frequently in the poetical circles until the mid-1950s and only a literary critic, Choi Ilsoo put a high valuation on his uniqueness of modernism poetry. The Best Writing Award of Kim Sooyoung matched up the period that his poem Non has come to close to the symbols of traditional lyric poetry, that is, human, nature, and the East, and an active itemized discussion on each subject was taking place within the literary world. In other words, his works for best writing award were appreciated as the text that implied the integrating possibilit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sm, and used for fulfilling the logical conceptions of the modern poetry in Cho Jihoon.

      • KCI등재

        Création de l'art verbal et expérience du sublime

        CHUNG Seon - Ah(정선아) 프랑스문화예술학회 2012 프랑스문화예술연구 Vol.41 No.-

        포스트모던의 본질은 기존 가치를 전면 부정하는 새로움의 추구에 있다. 한편 모더니즘의 현실 모방에 맞서 새로움을 창조하려는 욕구의 과열은 포스트모던 시대의 부정적인 단면을 보여준다. 우리는 포스트모던의 새로움 추구가 드러내는 폐해를 언어예술창조의 심미경험을 통해 반성하고 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한다. 시창작이 지향하는 미지의 탐색과 포스트모던의 새로움 추구가 보여주는 외형상의 유사성으로부터 그것들의 상관성을 추출해낼 수 있는가? 이러한 물음을 출발점으로 삼은 우리의 성찰은 심미경험이 포스트모던과 상반된 가치에 근거함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역설적으로 그렇기 때문에 포스트모던 시대에 결핍된 가치를 일깨울 수 있다는 사실에 주목한다. 이와 같은 성찰의 연결고리를 우리는 숭고 개념에서 발견한다. 숭고경험은 낯섦에 대한 독특한 감수성을 요청한다는 점에서 현대의 시적 창조와 포스트모던을 연결한다. 감성과 이성, 몸과 영혼, 주체와 객체, 사물과 언어의 경계를 탐색하는 현대시는 언어예술의 심미체험이라는 차원에서 숭고 개념과 만난다. 언어이면서 언어를 벗어난 무엇을, 다시 말해, 비가시태의 현현을 가리키고자 하는 현대시는 “경계의 가장자리에서, 따라서 제시의 가장자리에서 발생하는 탈경계의 움직임”(J.-L. 낭시)을 핵심으로 하는 숭고 개념과 그렇게 공통분모를 갖는다. 현대시의 심미체험에서 숭고 개념은 어떤 양상으로 표현되는가? 오늘날 숭고는 절대부정성으로서 순수한 무(無)라는 점에서, 숭고경험은 표상 불가능한 것, ‘나타난 보이지 않는 것’, ‘이름붙일 수 없는 것’에 대한 경험이다. 현대시의 난해함과 불가해성은 그것이 표상 불가능한 것을 표현하려는 시도라는 사실과 무관치 않다. 현대시의 심미경험은 표상 불가능한 것/ 숭고를 표현하려는 심미체험이다. 이와 같은 체험은 단순히 예술창작의 문제가 아니라 궁극적으로 삶 자체를 심미화하려는 의지를 부추긴다. 예술창조의 경험은 삶의 일상 차원을 승화하는 심미체험으로서 삶의 새로운 차원을 열어줌으로써 참된 삶의 가치를 상실하기 쉬운 혼란한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존재감을 되찾게 한다.

      • KCI등재

        현대시와 이미지

        권혁웅(Kwon, Hyuk-Woong)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시에서의 이미지는 표상의 일종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의식의 산출물로서 빈약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미지의 역량을 증언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미지는 표상이 아니라 감각의 소산이다. 감각은 의미화의 기제이며, 주체의 변용을 야기한다. 시에서 이미지를 연구하는 일은 ① 감각을 통해 생성되는 시의 진정한 의미를 연구하는 일이며, 나아가 ② 주체의 변용과정 전반 - ‘나’의 운동, 신체, 감정, 사유 등 - 을 파악하는 일이다. 이미지는 또한 비유의 기본단위이다. 은유, 제유, 환유, 상징, 알레고리 등은 이미지를 단위로 삼아서 성립한다. 비유에서 비유되는 두 항은 접면하는 서로 다른 두 세계를 대표한다. 비유의 단위로서 이미지가 도입될 때, 그것은 주체가 파악한 세계의 참모습을 보여준다. 이미지는 시간의 단면(정지)이 아니라 응축이며, 운동의 배제가 아니라 포함이다. 따라서 이미지는 (통상의 서사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표현한다. 시에서의 사건은 원형적, 상징적, 잠재적인 사건이라는 점에서 ‘이미지 -사건’이다. 이미지가 가진 잠재력이 재발견되어 정체된 이미지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되기를 소망한다. The poetic image, as opposed to the literal proposition, can sometimes be regarded as a second-order product of consciousness. However, this paper attests to the power of poetic images and aims to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The image is not only a representation, but also a sensory product. Sensuousness is one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meaning, and helps cause the transformation of a poetic subject. The study of poetic imagery is ① an inquiry into the profound meaning of poems, which is generated through their sensuous effects, and ② an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poetic “I” in terms of their movement, body, emotions, and reasoning. Thei mage is also the basic unit of figurative communication. Metaphor, synecdoche, metonymy, symbolism, and allegory are all based on the unit of meaning constituted by the image. Through metaphor, for example, the two objects being compared represent two different worlds. When an image is comprised of a metaphor, it reflects the true character of the world as perceived by the subject. Finally, the image is a condensation of time. It is not representative of a single moment or a snapshot of time, and includes motion and transience. As such, it represents an event or circumstance in a manner that is unlike other forms of communication. An event in poetry is an “image-event” in the sense that it is archetypal, symbolic, repetitive, and latent. The author hopes to spur the re-discovery of the potential of the image and thereby to stimulate related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new perspectives in the field.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인천 표상 연구

        전병준 한국인문사회질학회 2019 한국융합인문학 Vol.7 No.4

        본 논문은 한국현대시사에서 인천이라는 장소는 어떻게 표상되었고 또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살폈다. 인천이 지니는 경계 도시라는 장소적 특성에 주목하여 한국현대시사, 혹은 한국현대문학사에 나타나는 인천의 문학적, 지리적 의미를 점검하여 인천을 둘러싼 심상지리 연구 혹은 인문지리학 연구에 새로운 연구 결과를 더함으로써 이 분야 연구를 풍성하게 함과 동시에 문화 연구와 문학 연구를 결합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자 한 것이다. 본론에서는 식민지 시기의 작품들과 해방 이후 작품들로 나누어 살폈다. 식민지 시기 작품들 가운데 김소월과 김동환과 박팔양의 작품들을 살폈는데 이 작품들에서는 항구 도시 인천이 지니는 이국적 풍경과 함께 가난한 삶의 풍경이 있음과 동시에 식민지의 상처에 대한 암시적인 표현이 담겨 있다. 인천이 지니는 지리적 특성에서 비롯하였을 이러한 특징은 그대로 식민지 조선이 겪는 정신적 상처의 표현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새로운 환경은 새로운 내일에 대한 희망도 주지만 나라 잃은 상황은 현실을 암울하게 볼 수밖에 없게 만드는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해방 이후 작품들은 박인환과 장석남과 정호승의 작품들을 살폈다. 해방 이후 인천을 시화한 시들도 물론 인천이 지닌 지정학적 특성이 시적 전언의 배경인 까닭에 한반도가 겪은 비극에 초점을 맞춘 작품들도 있지만 화해와 공존의 미래에 대한 기대를 품는 시들도 있었다. 비극의 현장이기도 하지만 갈등과 대립이 종결되면 새로운 미래가 여기서 시작될 수도 있으리라는 희망이 작용하였기 때문이다. 과거에 대한 반성과 미래에 대한 기대가 함께 섞여 있는 곳, 바로 이것이 인천을 표상하는 시들이 지닌 특성이라고, 또 인천이라는 지역이 지는 중요한 의미라고 해도 될 것이다.

      • KCI등재

        현대시에 나타난 "북방"과 조선적 서정성의 확립 -백석과 이용악 시를 중심으로-

        이근화 ( Keun Hwa Lee ) 민족어문학회 2010 어문논집 Vol.- No.62

        식민지 조선의 지식인들은 국권을 상실한 상황 속에서 조선의 역사적 가능성을 확보해 줄 새로운 시각과 방향을 모색하였다. 북방에 펼쳐진 광대한 영토는 민 .족적 감정을 불러일으키고 조선 사회의 가능성을 열어줄 대안적 공간으로 주목 받았다. `북방` 은 동양과 서양이라는 차이를 인식하지 않아도 되는 공간이었다. 또한 망국의 현실을 가졌다 주었던 조선 왕조 대신에 고구려와 발해의 광대한 영토에 대한 상상과 추억은 현실을 위로해주는 강력한 힘으로 작용하였다. 즉 근대적 위계를 재편성할 수 있는 새로운 역사적 공간으로서 `북방` 은 조선인들에게 조선의 역사를 긍정적으로 사유하고 근대성 자체를 전복시킬 가능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용악의 시는 삶의 현장성과 구체성을 통해 조선 문학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서정시의 주체를 타자화하는 이용악 시의 중심에는 `북방` 이라는 역사적 공간이 자리 잡고 있다 유랑과 이주, 탈향이 불가피했던 조선 사회의 모습을 시 속에 드러내면서 그는 삶의 터전을 잃은 조선인들의 보편적 삶의 조건을 부각시킬 수 있었다. 그의 시가 조선의 현실을 예리하게 보여주면서도 정서적 친화력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바로 당대 조선의 역사가 요구하는 바를 문학의 중심에 놓았기 때문이다. 북방의 언어와 공간은 조선의 사회문화적 요구에 활로를 제시해주었던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이용악 시의 언어와 형식의 중심에 놓이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 백석은 조선이 일본을 매개하지 않고 외부 세계와 만날 수 있는 새로운 역사적 계기와 방식에 대해 고민하였다 그에게 `북방` 의 언어와 풍속은 외재적 근대화를 반성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북방은 한반도의 기원을 밝혀줄 역사적 공간이자 그 역사를 기억하는 조선인의 실존적 요구를 증명해줄 수 있는 공간이었다. 백석 시에서 이러한 공간의 차용은 개인의 경험과 민족의 역사가 매력적으로 겹치게 만들었으며, 그러한 문학적 감수성의 출현은 조선 문학의 근대적 가능성을 새롭게 열어놓았다. 조선인들이 한반도 바깥의 만주 대륙까지 확장되었던 역사적 시공간으로 시선을 던지게 된 것은 식민 치하라는 사회적 조건에서 비롯되었다. 즉 조선인들이 북방에 대한 향수를 느끼게 된 것은 국권 상실이라는 치욕적 역사를 극복하려는 대안적 감정 양태라고 할 수 있다. 상실을 회복하는 것, 즉 북방을 탈환하는 것이 유일한 구원의 길이라 믿는 새로운 역사적 상상력이 출현하였고, 이것은 문필가들에게 국권을 상실한 상황 속에서 조선의 새로운 비전으로 인식되었다. 그러한 역사적 상상력을 가능하게 하였던 조선 사회에서 조선 문학의 주체는 그 상상력을 실현 가능한 것으로 보여주고자 하였다. In the colonial Joseon society, forced by Japan to accept the modern civilization of the West, Joseon`s own tradition and culture were perceived to be always lagging and barbaric. With their national sovereignty lost, the Joseon intellectuals, rather than directly contesting Western civilization or Imperial Japan, sought a new vision and direction to secure the historical possibilities of Joseon. The vast territory spread out in the northern region, as a historical space of the Korean people, served as an alternative for opening up the possibilities of Joseon society. The "northern region" was a space that required no need of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st and West. The imagination and remembrance of the vast territories of Goguryo and Balhae, instead of the Joseon Dynasty that brought about the reality of national ruin, served as a powerful force in consoling such reality. The historical signifier known as the "northern region" occupies the center of Lee Yong-ak`s poetry that objectifies the subject of lyric poem. In revealing through poetry the conditions of Joseon that made vagrancy, migration and uprooting from home inevitable, he was able to bring into view the images of the lives of the Joseon people who had lost their foundation of life. His poetry drew emotional affinity, even as it sharply revealed the reality of Joseon, because the poet placed at the center of literature what was demanded by the history of Joseon at the time. The language and space of the "northern region" appear to have suggested a way out for meeting the socio-literary demand of Joseon, and this is considered to be the element lying at the core of the language and form of Lee Yong-ak`s poetry. The "northern region" is a key element in the works of Baek seok`s poetry. He agonized over a new historical opportunity and way for Joseon to encounter the outside world without the mediation of Japan. The language and customs of the "northern region" enabled him to do a self-reflective inspection of the extrinsic modernization. The "northern region" was a historical space that could reveal the origin of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a space that could verify the existential demand of the Joseon people remembering that history. The borrowing of such space in Baek seok`s poetry allowed the experience of the individual to attractively overlap with the history of the people, and the emergence of such literary sensibility opened up the modern possibilities of Joseon literature in a new way. In Joseon society emerged a new historical imagination of believing the recovery of the loss, that is, the recapture of the "northern region," was the only path to salvation, and this was recognized by writers as the new path of Joseon. Within the realities and conditions of Joseon which made such historical imagination possible, Joseon literature sought to show it is possible to realize that imagination. This shows the mental movement of the Joseon intellectuals attempting to change the historical direction of Joseon.

      • KCI등재

        현대시와 이미지― 감각, 비유, 사건으로서의 이미지

        권혁웅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The poetic image, as opposed to the literal proposition, can sometimes be regarded as a second-order product of consciousness. However, this paper attests to the power of poetic images and aims to determine their significance. The image is not only a representation, but also a sensory product. Sensuousness is one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meaning, and helps cause the transformation of a poetic subject. The study of poetic imagery is ① an inquiry into the profound meaning of poems, which is generated through their sensuous effects, and ② an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the poetic “I” in terms of their movement, body, emotions, and reasoning. The image is also the basic unit of figurative communication. Metaphor, synecdoche, metonymy, symbolism, and allegory are all based on the unit of meaning constituted by the image. Through metaphor, for example, the two objects being compared represent two different worlds. When an image is comprised of a metaphor, it reflects the true character of the world as perceived by the subject. Finally, the image is a condensation of time. It is not representative of a single moment or a snapshot of time, and includes motion and transience. As such, it represents an event or circumstance in a manner that is unlike other forms of communication. An event in poetry is an “image-event” in the sense that it is archetypal, symbolic, repetitive, and latent. The author hopes to spur the re-discovery of the potential of the image and thereby to stimulate related research and the emergence of new perspectives in the field. 시에서의 이미지는 표상의 일종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의식의 산출물로서 빈약하게 취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이미지의 역량을 증언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려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이미지는 표상이 아니라 감각의 소산이다. 감각은 의미화의 기제이며, 주체의 변용을 야기한다. 시에서 이미지를 연구하는 일은 ① 감각을 통해 생성되는 시의 진정한 의미를 연구하는 일이며, 나아가 ② 주체의 변용과정 전반―‘나’의 운동, 신체, 감정, 사유 등―을 파악하는 일이다. 이미지는 또한 비유의 기본단위이다. 은유, 제유, 환유, 상징, 알레고리 등은 이미지를 단위로 삼아서 성립한다. 비유에서 비유되는 두 항은 접면하는 서로 다른 두 세계를 대표한다. 비유의 단위로서 이미지가 도입될 때, 그것은 주체가 파악한 세계의 참모습을 보여준다. 이미지는 시간의 단면(정지)이 아니라 응축이며, 운동의 배제가 아니라 포함이다. 따라서 이미지는 (통상의 서사물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건을 표현한다. 시에서의 사건은 원형적, 상징적, 잠재적인 사건이라는 점에서 ‘이미지-사건’이다. 이미지가 가진 잠재력이 재발견되어 정체된 이미지 연구에 새로운 돌파구가 마련되기를 소망한다.

      • KCI등재

        1950년대 모더니즘 시에 나타난 과학기술의 표상

        강계숙(Kang, Gye-Sook) 한국시학회 2014 한국시학연구 Vol.- No.41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science was a very important thesis in 1950’s Korean modern poetry. Modernist poets in 1950’s believed that it was a main task of Korean modern poetry to have science characteristic. So, they more radically pursued their aesthetic ideals of the combination of poetry and science than Kim-kirim in 1930’s. This poetic tendency resulted from their strong opposition to traditional poetry of the same age. They thought that traditional poetry to express oriental nature was old-fashioned, and that it was an effective way of innovation of modern poetry to write developed mechanisms and represent contemporary scientific civilization. Meanwhile, they named themselves a ‘citizen’, which meant a cosmopolitan followi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urse. It was regarded a fundamental condition to have science characteristic for establishing cosmopolitan identity. They considered the urgent retention of internationality as a historical precedence, and believed that establishing cosmopolitan identity and securing internationality depended on ‘becoming science’ in themselves. To them, the essence of modernity was the achievement of science. This ideas of 1950’s modernists were created by their senses of cosmopolitan identity and viewpoints of regarding with the best science. This thoughts about the modernization of Korean poetics were reflected in the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technology in 1950’s modern poetry. For example, the ‘earth’ represented a wide residence of cosmopolitans, and a ‘international train’ symbolized their self-image in many poems. Comparing with an sad local train expressing their hidden femininity, a loudly international train embodied the ideal masculinity to desire to possess. But the fact that many advanced produ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were not theirs could not help causing double alienation from their ideals because modernists in 1950’s did not even have partial symbols, namely ‘jet plane’, ‘aircraft’, ‘helicopter’ and so on. Due to this, the poetic representations of scientific technology were often likened to various ‘tearful natures’. This sorrow was necessarily caused by double alienation from high technology and by a failure of establishing strong masculine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