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헤로도토스와의 여행 (Podróże z Herodotem)』에 나타난 리샤르드 카푸시친스키의 저널리즘 철학

        최성은(Choi, Sung-Eun)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12 동유럽발칸학 Vol.14 No.1

        2006년에 출간된 『헤로도토스와의 여행 (Podróże z Herodotem)』은 카푸시친스키가 남긴 마지막 르포르타주이다. 이 작품은 하나의 장르로 규정짓기 힘든 새롭고 독창적인 저서이다. 르포르타주이면서 역사책이기도 하고, 기행문이면서 회고록이기도 하며, 철학적인 단상을 담은 에세이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헤로도토스와의 여행』에서 카푸시친스키는 자신이 체험한 다양한 취재 여행을 회고하면서 동시에 고대 그리스의 역사가인 헤로도토스가 남긴 역작 『역사』를 수시로 인용함으로써 자신보다 무려 2500년을 앞서 살았던 헤로도토스와 화자(話者)의 역할을 나누는, 새롭고 독특한 문학적 실험을 시도하였다. 유구한 역사의 현장, 혹은 생생한 사건의 한복판에서 가상의 길동무인 헤로도토스를 등 장시켜 역사적인 맥락에서의 성찰과 분석을 감행한 것이다. 『헤로도토스와의 여행』에는 언어와 문화, 공간과 시간의 경계를 넘나들면서 기자로서, 르포르타주 작가로서 성장해가는 카푸시친스키의 자전적 스토리와 더불어 그가 고민해왔던 저널리즘 철학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기자라면 취재를 위해 아무 때나 주저 없이 길을 떠날 수 있어야 하고, 늘 사실을 확인하고, 다양한 동기를 조사하고, 정황을 면밀히 분석하는 태도를 가져야 한다는 것, 진솔한 대화를 통해 인터뷰이의 진심을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며, 사람에 대한 애정을 잃지 않고, 사람에 관한 이야기를 써야 한다는 것, 상대방의‘다름’을 받아들이고, 그 ‘다름’을 자신의 참모습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거울로 삼는 것, 다(多)문화의 가치를 인정하고, 모두가 평화롭게 더불어 사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라는 것, 어떻게 보면 저널리스트가 가져야 할 가장 기본적인 덕목이라고 할 수 있는 이러한 내용들이 바로 카푸시친스키의 저널리즘 철학의 본질 이다. Ryszard Kapuściński (1932-2007) is one of the most famous polish journalists, reporters and writers. Travels with Herodotus published in 2006 was the last reportage of Ryszard Kapuściński. This is an hommage to the life of Herodotus and his work History but is also an autobiographical story of Kapuściński. Kapuściński's books changed the way many of us think about nonfiction and made many of us want to travel for ourselves and see for ourselves. Herodotus, Kapuściński reasonably imagines, interviewed many of his subjects by campfire. Kapuściński described his own work as "reportage essay". And, although he was personally a modest man, he believed in its importance for understanding the world. "Without trying to enter other ways of looking, perceiving, describing, we won't understand anything of the world." The European mind, he believed, was often too lazy to make the intellectual effort to see and understand the real world, dominated by the complex problems of poverty, and far away from the manipulated world of television. He spoke always about the importance of reportage, and delivered stinging attacks on news as a commodity, and on the flying "special correspondents" who report on instant drama without context or follow up. He hated what he called the "metamorphosis of the media". The value of news in his day, he said, had nothing to do with profits, but was the stuff of political struggle, and the search for truth.

      • KCI우수등재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다문화 인식

        김봉철 한국서양사학회 2017 西洋史論 Vol.0 No.135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Herodotos’ multicultural awareness shown in his Historiai. After the Greco-Persian Wars, the Greeks became proud of their own values and culture, encouraged by their brilliant victory. Since then the Greeks(Hellenes) became inclined to feel their own superiority over the non-Greeks(barbaroi). This Greek-centric mind appeared in most of ancient Greek documents in those days. Herodotos, however, was an exception to this tendency, and unlike other Greeks he expressed frequently quite impartial view on the non-Greek culture. Of course, as a Greek he also often revealed Greek-centric attitude. Nonetheless his view on the non-Greeks was less partial and less exclusive than any other Greeks. For in Historiai he showed open-minded multicultural awareness in many respects. (1)He dealt with the non-Greeks in larger space of his history than with the Greeks. (2)He provided more informations about physical environment, history, institutions, and customs of various non-Greeks than any other Greeks. These (1) and (2) above could be realized as a result of his respecting of non-Greek culture. (3)He wrote history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genealogy of Persian kings, who were non-Greeks. (4)He estimated highly and praised some superior merits of non-Greeks, especially their pioneering creativity, spiritual virtues, excellent techniques, and worthy customs. (5)He claimed that many Greek customs were imported from non-Greek countries. (6)He advised that all the customs of the world have their own unique values and therefore should be esteemed equally. Herodotos did not apply the Greek standard to diverse non-Greek peoples and their culture. While he locally held Greek-centric values, he sought to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locality through cultural relativism. 이 논문은 헤로도토스의 <역사>에 나타난, 헤로도토스의 다문화 인식에 관해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스-페르시아 전쟁 이후 그리스인들은 자신들의 큰 승리에 고무되어 자신들의 가치와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우월감을 갖게 되었다. 당시 그리스의 많은 문헌들에서는 그리스 중심적인 사고가 대세를 이루었다. 하지만 헤로도토스는 이런 흐름에 매몰되지 않고 타문화에 대한 공정한 시각을 제기했다. 물론 그는 그리스인으로서 자기중심적인 관점을 자주 드러냈다. 그는 이방인과 이방인 지역에 대한 표현과 명칭에서, 또 이방인에 대한 일부 인식에서 그리스 중심적 관점을 보였던 것이다. 하지만 헤로도토스의 이방인 인식은 당시 그리스인들에 비해 덜 편파적이고 덜 폐쇄적이었다. 그는 그리스 중심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아울러 그것을 견제할 균형추를 지니고 있었다. 그것은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이었다. 헤로도토스의 다문화 인식은 여러 측면에서 확인된다. (1)<역사>에서의 이방인 서술 분량은 그리스인 서술 분량을 능가한다. (2)이방인 종족들의 환경과 역사, 제도, 문물 등에 관한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한다. (1)과 (2)의 서술 경향은 헤로도토스가 이방인과 이방인 문화의 고유한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하기에 가능한 일이다. (3)이방인에 해당하는 페르시아 왕의 계보를 역사서술의 기본적인 시대 기준으로 삼는다. (4)이방인의 장점과 우월성을 아낌없이 찬미한다. 그는 특히 이방인의 선구적 독창성, 정신적 탁월성, 기술적 우수성, 훌륭한 관습을 높이 평가하고 칭찬한다. (5)그리스인들의 많은 문물이 이방인들에게서 전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이방인들의 문화가 그리스 문화보다 더 선구적이고 우수함을 인정한 것이다. (6)모든 종족들의 관습은 각기 최상의 것으로 존중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상의 사항들에서 헤로도토스의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이 분명히 드러난다. 헤로도토스는 세계의 다양한 종족과 문화들을 서술하면서 단일한 기준을 적용하지는 않았다. 그는 그리스인과 이방인을 무분별하게 차별하지도 않고 일방적으로 그리스인을 옹호하거나 이방인을 비판하지도 않았다. 그는 지역적으로 그리스 중심적 관점을 유지하면서도 지역적 한계를 넘어서는 탈지역적인 관점을 지향했던 것이다.

      • KCI등재

        헤로도토스의 역사서술과 그리스 신화

        김봉철 ( Kim Bong-cheo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2 No.-

        ‘역사의 아버지’ 헤로도토스는 흔히 역사를 신화에서 해방시켰다는 평가를 받는다. 그는 그리스 신화를 허구적인 가공물로 간주한다.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와 같은 초기 시인들이 신들의 계보와 기능, 형상을 창작하여 신화를 만들었다고 보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그리스 신화를 신뢰하지 않았고 『역사』에서 그리스 신화를 중요한 소재로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그리스 신화가 전연 배제된 것은 아니었다. 그는 가끔 여담을 위한 소재나 논지전개상의 근거로 신화를 활용하곤 했던 것이다. 이처럼 그는 한편으로 신화를 배격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신화를 활용하기 때문에, 역사와 신화에 대한 그의 입장이 애매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므로 헤로도토스가 언급한 신화들을 사례별로 고찰하여, 그의 역사서술과 신화와의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헤로도토스의 신화서술에서 어느 정도 신화의 이야기 구도를 갖춘, 9개의 유의미한 사례들을 추출하여 설명한다. 그 사례들은 이오 이야기, 에우로파 이야기, 포세이돈과 아테나의 아테네 수호신 경쟁 이야기, 디오니소스의 탄생과 양육 일화, 헤라클레스의 계보 이야기, 이집트에서의 헤라클레스 기행(奇行) 이야기, 트로이전쟁과 헬레나의 행방 이야기, 에우로파를 찾기 위한 카드모스 항해 이야기, 카드모스의 보이오티아 정착 이야기이다. 이들에 대해 헤로도토스는 신화의 내용을 부정하기도 하고(이집트에서의 헤라클레스 기행(奇行)), 그 내용을 수정하여 받아들이기도 하고(에우로파 이야기, 트로이전쟁과 헬레나의 행방, 헤라클레스의 계보, 카드모스의 보이오티아 정착), 또 때로는 자신의 견해를 표명하지 않은 채 그냥 이야기를 소개하기만 한다(이오 이야기, 아테나와 포세이돈의 경쟁, 디오니소스의 탄생과 양육, 에우로파를 찾기 위한 카드모스의 항해). 이 다양한 대응 속에서도 헤로도토스는 신화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가능한 한 탈신화화한 역사를 기술하고자 한다. 그는 기존의 그리스 신화에서 신적인 요소들을 배제했으며, 신화를 부정하거나 수정할 경우 나름의 근거를 제시한다. 그는 자신의 풍부한 견문지식이나 현실적 타당성을 근거로 하여, 신화에 대한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했던 것이다. 그가 특히 신뢰한 것은 이집트인들의 전승이었다. 하지만 그는 판단 근거가 부족한 경우에는 신화에 대한 자신의 판단을 유보하고 그냥 이야기를 전달하기만 한다. 그의 이런 다양한 입장은 언뜻 보기에 이중적인 태도로 비칠 수도 있다. 그러나 그의 그리스신화 서술에서 일관되게 나타나는 특징은 그가 기존의 신화를 그대로 수용하지 않고 비판적인 재해석을 시도했다는 점이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uses of Greek myth in Herodotos’ Historiai and explain his attitude toward myth. Herodotos, the so-called father of history, usually has been appraised as liberating history from myth. In Historiai, however, Greek and foreign myths are often told, so some historians don't agree with the aforesaid appraisal of Herodotos. This article intends to suggest some solutions to the controversy over Herodotos, by surveying Greek myth examples mentioned in Historiai. When Herodotos mentions Greek myths, he denies them, or accepts them with some modifications, or just narrates them without showing his opinions of them. In this article myths denied are grouped in type I, myths accepted with some modifications in type II, myths narrated without showing his opinions in type III. I pick out nine examples where stories of Greek mythical events are somewhat sufficiently told: (1)Herakles’ queer behaviors in Egypt, (2)Europa’s journey, (3)the Trojan War and Helena’s whereabouts, (4)Herakles’ genealogy, (5)Kadmos’ settlement in Boiotia, (6)Io’s journey, (7)the competition between Athena and Poseidon for Athens, (8)the birth and rearing of Dionysos, (9)Kadmos’ voyage searching for Europa. Among these, example (1) is grouped in type I, while examples (2), (3), (4), and (5) are grouped in type II, examples (6), (7), (8), and (9) are grouped in type III. Herodotos doesn't accept Greek myths uncritically. If he has some reliable grounds for judging of Greek myths, sometimes he denies and sometimes modifies them (as in type I and II). On the other hand if he doesn't have them, he never expresses his own opinions of myths and just narrates them as they are told (as in type III). Through analyses of above nine examples, I conclude that Herodotos generally tries to criticize Greek myths as far as possible. That is why he has been called as the father of history and appraised as liberating history from myth. Also, he appears to prefer especially to Eyptian sources in judging Greek myth. Denying or modifying Greek myth, he often relies on Egyptian traditions.

      • KCI등재

        페르시아 왕의 개인적 오만과 아테네의 패권주의 -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오만(hybris)의 개념 차이를 중심으로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0 No.-

        헤로도토스의 『역사』(페르시아 전쟁사)가 신화를 대거 포함하여 설화적으로 기술하는 반면, 투키디데스의 투키디데스의 『역사』(펠로폰네소스 전쟁사)는 전쟁사, 정치사를 중심으로 하고 또 더 분석적, 비판적 혹은 객관적이고 과학적 시각에서 기술한 것으로 평가되어 왔다. 그런데 이런 획일적 논의는 두 가지 측면에서 비판의 대상이 된다. 하나는 헤로도토스도 투키디데스와 같이 전쟁사를 중심으로 했고 비판적, 객관적 시각을 갖추고 있었다는 점, 다른 하나는 투키디데스 자신도 반드시 과학적, 객관적 진실만을 적은 것이 아니라 신화적, 비극적 구성, 혹은 우연(tyche)의 작용 등을 작품 속에 반영하고 있다는 점이다. 헤로도토스와 투키디데스는 각기 다른 전쟁을 주제로 역사를 기록하면서 당면한 전쟁의 규모가 큰 데 놀란 점에서도 유사성이 있다. 그런데 대규모 전쟁을 조장하는 인간의 오만(hybris)에 대한 이해에서 양자 간에는 차이점이 있다.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주제는 페르시아 왕 크세르크세스의 오만에 대한 신의 징벌이라고 한다면, 투키디데스는 전쟁의 숨은 원인이 아테네의 세력 성장에 대한 스파르타 인의 두려움 때문이라고 적고 있기 때문이다. 멜로스 대담에서 아테네 사신의 입을 통해 노골화되는 힘의 패권주의는 투키디데스 『역사』의 서두에 보이는 아테네의 힘의 성장에 대해 스파르타가 느꼈던 불안과도 통하는 것이다. 페르시아 왕이 요구하는 ‘땅과 물’은 직접 지배에 의한 수탈의 강화를 초래할 수도 있겠으나 그것은 노골적 힘의 지배 원리에 바탕을 두는 것과는 다르다. 헤로도토스의 마르도니오스가 아테네 인에게 항복을 권유하면서 펴는 공존과 평화의 논리는 투키디데스에 보이는 극단적 패권주의의 추구와는 다르다. 다시 말하면, 헤로도토스가 지적한 크세르크세스 왕의 오만은 지배 권력 그 자체에서가 아니라 그것이 적정 범위를 넘어섰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투키디데스의 멜로스 대담에서 절제 없는 패권주의를 추구하려 한 아테네 인의 오만은 비효율적인 지배영역의 범위와 무관하게 지배 권력의 질 자체에 있었던 것이다. 이런 힘의 지배는 순리에 따르거나 논의를 통해 선택될 수가 없으며, 군사력에 바탕을 둔 일방적 강요에 의해서만 성립 가능한 것이다. 또 이런 패권주의는 적정하거나 지배영역과 무관하게 어떤 규모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 아테네가 멜로스 섬 사람들에 대해 강요한 복종이 바로 그러하다. 투키디데스의 『역사』의 주제가 교훈을 주는 영원한 유산이라면 그 교훈은 권력 및 무력의 성장이 사회적으로 초래하는 부작용이다. 무력은 해적의 방어, 안전의 확보를 위해 필요한 것이었으나, 지나친 힘의 논리, 극단적 패권주의의 추구로 이어질 때 인간사회는 공멸의 길로 치닫는다. 투키디데스가 경계한 것은 바로 사려분별의 지경을 넘어서서 지나칠 정도로 힘에 대해 갖는 인간의 맹신과 방종, 극단적 군사적 패권주의의 추구라고 하겠다. 이런 차이점은 양자가 살았던 시대상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즉 헤로도토스가 주제로 한 페르시아 전쟁 당시에는 없던 군사적 패권주의가 투키디데스에서 나타나게 되는데, 그 배경은 페르시아 전쟁 이 후 델로스 해상동맹의 결성으로 그리스 세계에는 전에 없던 군사력의 조직화가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되고 이런 것이 결국은 아테네의 군사적 패권주의를 조장하는 데 기여하게 되었다는 점과 연관 지을 수가 있겠다. 이런 변화는 아테네 뿐 아니라 스파르타에게도 같이 적용된다. 펠로폰네소스 전쟁에서 아테네가 패배하고 델로스 해상 동맹이 붕괴된 후 스파르타가 에게 해의 패권을 대신 이어받으면서, 도시국가 간의 패권다툼은 결국 그리스 사회 전체를 질곡의 도가니로 몰아갔다. The demand of Persian king for ‘earth and water’ might possibly be deteriorated to the intensified exploitation of direct domination, but it is basically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naked domination of power. When Mardonios tried to persuade the Athenians into surrendering to the Persian king, Xerxes, he argued for coexistence and peaceful life, which differs from the extreme pursuit of hegemony approved by the Athenian envoys in the Melian Dialogue. Their arguments for power domination is more or less connected with the the growth of Athenian hegemony, against which the Spartans were feeling uneasiness. According to Thucydides, the cause of the Peloponnesian War was the Spartans' anxiety against the increasing power of the Athens. The ‘hybris(arrogance)’ in Herodotos frequently refers to the individual, Xerxes, while that of Thucydides to the systematic, collective selfishness based on the militaristic domination of Athens. That is, the ‘hybris’ of Xerxes does not concern the monarchic domination itself, but his excessive desire to occupy territory of overdue, ineffective scale, leading to the invasion so far to Hellas. The monarchy is not so bad in itself, having strong points as well as the weak, the situation being applicable likewise to the case of democracy and oligarchy. This is proved in the Herodotos’ own account(III.80~83), where, having discussed relative merits of each polity, the seven Persian rebels conferred at last to take the rule of monarchy for the Persians. The Athenian ‘hybris’(arrogance) of seeking after militaristic hegemony as presented in the Melian Dialogue in Thucydides, however, is not primarily related to width of territorial domination, but could be applicable even in small area. And militaristic ruling could never be realized by mutual consent, but just by coercion. The precepts of eternal value Thucydides intended to leave for us, in my opinion, referred to the side effects caused by the growth of militarism. Military power is inevitable to defend against enemies as well as pirates, but inordinate pursuit of power as well as militaristic hegemony results sooner or later in the self destruction of human society. The difference presented in the concepts of ‘hybris’ between the two historians reflects the difference of social environments in which each historian got along. After the Persian War, the Delian League around the Aegean Sea was organized under the hegemony of Athens, to respond against the possible invasion of the Persians. And the creation of the Delian League provided a momentum for the growth of mercenary marine soldiers, causing a great change in the Greek society which was previously based for the most part on the citizen soldiers. Furthermore, the militaristic hegemony was sought after not only by the Athenians, but also the Spartans who took over the hegemony of the Aegean sea after the final victory against Athens in the Peloponnesian War. The pursuit of militarism of each state led the whole Greek society to the whirlpool of mutual conflicts in the 4th Century.

      • KCI등재

        두 시공간을 잇는 작업, 헤로도토스 『역사』의 번역

        김봉철 ( Kim Bong-cheol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8 서양고대사연구 Vol.52 No.-

        이 논문은 서양고대 역사문헌의 번역 문제를 헤로도토스의 『역사』 번역을 중심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먼저 2장에서는 『역사』 번역의 방법론에 대해 논의한다. 번역의 방법론은 대개 번역의 목적, 원천 텍스트의 유형과 성격에 따라 달라진다. 그에 따라 『역사』 번역에도 다양한 방법론이 적용될 수 있지만, 이 논문에서는 『역사』를 전문 학술서와 역사고전으로 읽는 독자들을 위해 원문 위주의 학술번역이 요구된다는 점, 텍스트 유형에 따른 방법론으로 원천텍스트의 내용과 형식에 충실한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역사서로서의 성격에 부합되도록 저자와 원천 텍스트 위주의 번역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런 번역방식은 넓게 보면, 베누티가 제시한 이국화 번역에 해당한다. 이국화 번역은 원천 텍스트 특유의 이국적인 언어적·문화적 요소를 수용하는 입장이므로, 학술번역과 역사서 번역에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3장에서는 그런 이국화 번역방식이 『역사』 번역과정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역사』에 담긴 시간·공간적인 이국적 요소, 저자의 이국적 요소, 텍스트의 이국적 요소가 여러 번역본에서 어떻게 다루어지는지를 점검한다. 시간·공간적인 이국적 요소로는 『역사』에 사용된 특수한 명칭과 개념 용어를 드는데, 당시의 고유명사, 의복 및 악기에 관한 명칭, 에트노스와 폴리스 같은 개념 용어가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이런 용어들은 시대착오적인 번역 용어로 대체하기보다 헤로도토스가 표현한 말을 그대로 전달할 필요가 있다. 저자의 이국적 요소는 저자 특유의 개성과 습관, 관점, 가치관 등에 관계된 것인데, 헤로도토스의 그리스 중심적 관점과 다문화 인식을 예로 들 수 있다. 그의 그리스 중심적 관점은 그리스인 위주의 방향 표현, 그리스식의 이방인 서술에서 잘 나타난다. 한편 헤로도토스의 개방적인 다문화 인식은 바르바로이와 그들의 문물을 존중하는 서술에서 잘 드러난다. 『역사』 번역에서는 헤로도토스의 이런 양면적인 관점이 반영된 독특한 표현들을 원문 그대로 충실히 전할 필요가 있다. 헤로도토스 텍스트의 이국적 요소는 그의 텍스트 구문상 독특한 관행을 말하는데, 자타 견해가 분명히 구분된다는 점, 동일한 술어가 반복 표현된다는 점, 예고적 문장이 자주 사용된다는 점, γaρ 구문을 자주 사용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이 점들은 헤로도토스 서술의 기본 방침과 통일적 연계성을 잘 보여주기 때문에, 축약이나 누락되지 않고 원문 그대로 전해질 필요가 있다. 이상의 이국적 요소들은 『역사』의 이국화 번역을 이루기 위한 구체적인 지향점들이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ims to discuss the problems of translating ancient Western historical writings, focusing on Herodotus’ Historiai. In chapter 2, it deals with the translation method of Herodotus’ Historiai. Herodotus’ Historiai needs to be faithfully translated as an academic book for readers who are concerned with ancient Western history. The text type and character of Historiai as a historical source demand source text oriented translation. These translation methods for Historiai almost accord with the concept of foreignization proposed by L. Venuti,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eorists in translation studies. I think the concept of foreignization could be a most suitable translation theory for the academic and faithful translation of some historical writings such as Herodotus’ Historiai. In chapter 3,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how the foreignizing translation could be applied in translating Herodotus’ Historiai. Here the source-text foreign elements of Herodotus’ Historiai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at is,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ose in Herodotus himself, and those in Herodotus’ text. Names(such as proper names, names of musical instruments) and conceptions(such as ethnos, polis) used by Herodotus in his Historiai belong to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ese names and conceptions should be translated faithfully to Herodotus’ own words in order to retain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world.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himself include some ideas, habits, and characters of Herodotus. In this article, Herodotus’ two opposing viewpoints, i.e. his Greek-centric mindset and multicultural awareness are treated as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himself. Some words and sentences showing those viewpoints also should be retained in translating the source text. The foreign elements in Herodotus’ text mean some peculiarities occurring frequently in his text. These are the division between the opinions of Herodotus’ and any other’s, use of introductory participles that repeat the main verb of the previous sentence, use of prospective sentences accompanied by forward-looking demonstratives(such as oδε, wδε, τοιoσδε), and use of γaρ sentences introducing the reason or cause of what precedes. These peculiarities are important for preserving the characteristic form of Herodotus’ text, and therefore should be retained unless they severely impair readability in the target language text.

      • KCI등재

        아마존인들에 대한 헤로도토스의 서술-서사의 분석을 통한 서술 의도의 해석

        손태창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2 서양고대사연구 Vol.64 No.-

        고대 지중해 지역에 거주했다고 알려지는 아마존인들은 여자들로 구성된 독특한 전사집단으로 주로 인식되어 왔다. 유존하는 여러 다양한 사료들 즉 문헌, 고고학 및 미술품 등의 자료들은 아마존인들이 전투적이고 타협불가의 매우 완강한 자들이라고 그려내고 있다. 문헌사료들 중에서 아마존에 대해 다른 사료에 비해 많은 내용을 담고 있으며 특히 아마존인들과 그들이 상대한 스키티아 남성들의 조우를 내용으로 하는 에피소드를 축으로 서술하고 있는 헤로도토스는 이 두 집단들의 관계의 전개에 서술의 초점을 둔다. 이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단순히 아마존인들이 호전적이거나 남성혐오적이거나 지배욕이 강하다는 평면적 사실만이 아니다. 헤로도토스의 서사는 관계학적인 면모를 지니는데 관련 당사자들의 관계의 축을 정밀하게 파고들고 있다. 이러한 면은 다른 사료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는 헤로도토스적인 독특한 매력이다. 이를 통해 아마존에 대해 좀 더 면밀히 그리고 심층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중대한 한 가지 사실은 아마존은 물리적 힘만이 여성에 비해 특출한 자들일 뿐 아니라, 남자들과의 관계에서 주도권을 장악해내는 능력이 있었다는 점이다. 이것은 19세기 이래 바흐오펜 등이 모권제사회의 유습으로 아마존을 해석하는 이론에 좀 더 구체적인 단서를 제공해주는 기능을 한다. 왜 아마존이 주목을 받는지 그리고 위협적인 존재인지에 대해 헤로도토스는 그의 섬세한 관찰(즉 그가 전해들은 바를 서사로 재구성하면서 치밀히 아마존을 상정했다는 면에서)을 통해 아마존의 또 다른 면모를 설득적으로 구현해내고 있는 것이다. 이 점은 우리가 그간 아마존 연구에서 헤로도토스의 서술에 대해 다소 간과한 면이라고도 할 것이다.

      • KCI등재

        『사기』와 『역사』에 담긴 기록학의 기초: 역사-인간[Homo Historicus], 사마천과 헤로도토스

        오항녕 한국기록학회 2020 기록학연구 Vol.0 No.65

        I examined the archival basis of two historians who wrote history books with the same title of ‘History’; Simaqian of ancient China and Herodotus of Halikarnassos. I examined a prejudice to these two history books, a misunderstanding of them as an imagination rather than a history. How can an imagination become a history? First, I explained the common characteristics found in their compilation and writing of ‘History.’ Simaqian and Herodotus did their field-works in historical sites, gathered oral-histories, and arranged archives they collected. These two historians heavily engaged in archival works in terms of verifying authenticity and reliability of their sources on the basis of historical empiricism. There are some misunderstanding on their archival endeavor and on the very nature of archives and historical studies as empirical studies. Furthermore, this misunderstanding regarding them as literature came from a confusion over the concept of literature. The creativity of literature is not equal to the “fictitiousness” of history despite historical works sometimes may give us an impression by the way of describing and providing insight into a certain event(s) and a person(s). As Herodotus said, a recognition of the differences of each race and human is a departure of historical archiving of the valuable experiences of human-beings. By doing so, natural results of archival behaviors, preservation of the records, and consistent inquiry of historian-archivists become a humanistic passage overcoming the current wrong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confined to a narrow nation-history. 이 논문은 기록학의 관점에서 동아시아와 지중해의 두 역사가, 사마천 (司馬遷)과 헤로도토스(Herodotos)가 남긴 두 역사서에 대한 오해를 검토한 글이다. 그 오해란 이들 역사서가 '나름의 상상으로 지어낸 것'이라는 류의 선입견을 말한다. 지어낸 것이 역사가 될 수 있을까? 2장과 3장에서는 사마천의 『사기』,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편찬, 집필과정을 살폈는데, 사적(史蹟)의 답사, 구술(口述)의 채록, 기록의 정리라는 공통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런 인식을 기초로 4장에서는 역사가 허구일 수 있다고 보는 일련의 오해 또는 왜곡의 저변에는 사마천과 헤로도토스의 기록 활동에 대한 오해, 경험 학문으로서의 역사와 기록에 대한 인식의 부재가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사기』나 『역사』같은 역사서를 문학적 허구라는 관점에서 보는 견해는 역사 뿐 아니라 문학에 대한 부정확한 이해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런 오해나 왜곡은 한국 역사학이 기록학이라는 기초를 소홀히 한 데도 이유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근대 분과(分科) 학문의 관점에서, 또는 국민 국가사의 관점을 중심으로 역사학의 범주를 좁게 설정하면서 나타난 부작용이 아닌가 한다. 역사를 남긴다는 것은 "이 행위, 인물, 사건은 인간 기억 속에 살아 남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데서 출발할 것이다. 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의 것이건 야만인의 것이건 간에 빛나는 공적들이 어느 날 명성도 없이 사라지지 않도록" 하였고, 사마천은 "시골에 묻혀 사는 사람들도 덕행을 닦고 명성을 세워 후세에 이름을 남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다짐하였다. 이렇듯 『사기』와 『역사』는 실제 있었던 인간의 경험을 남긴 역사서이다. 여기에는 "인간은 서로 다르다"고 이해하는 존재의 확장이 있다. 특정한 시공간(時空間)에서 ""민족들은 서로 다르며", "이집트에서 여자들은 서서 오줌을 누고 남자들은 쭈그리고 앉아서 오줌을 누는" 것처럼 풍속과 전통이 다른 것이다. 서로 다름을 인정하는 데서 출발하여 다름을 이해하기에 이르는데 초석이 되는 인간의 지적(知的) 활동으로, 그 활동이 사실(事實)을 기초로 이루어지는 인문(人文) 영역이 역사였다. 인간의 경험에 대한 호기심 넘치는 탐구와 기록, 그 결과 나타난 『사기』와 『역사』, 그리고 이의 보존과 전수는 인간이 호모-히스토리쿠스(Homo-Historicus), 호모-아르키부스(Homo-Archivus) 임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의 동일시 현상과 ‘이집트식 해석’(interpretatio Aegyptiaca)-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의 이집트 서술을 중심으로-

        김봉철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24 서양고대사연구 Vol.69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in Herodotus’ Histories and Diodorus’ Library of History. By Investigating by whom and for what reasons such identifications originated, I intend to ascertain whether they could be regarded as the process of interpretatio Aegyptiaca, not of interpretatio Graeca. The term ‘interpretatio Aegyptiaca’ in this paper is derived from, and therefore defined according to the term ‘interpretatio Romana’ mentioned by Tacitus. Interpretatio Romana is ‘a term used to describe the Roman habit of replacing the name of a foreign deity with that of a Roman deity considered somehow comparable’(from The Oxford Classical Dictionary). In the descriptions of Egyptian gods by Herodotus and Diodorus, some of the Egyptian gods are called by both their Egyptian names and Greek gods’ names whom were equated with the Egyptian gods. As an alternative, some of them are called by only the Greek gods’ names instead of their Egyptian names. These ways of calling, of course, imply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Some examples where Herodotus and Diodorus introduce the names of both Egyptian gods and their Greek equivalent gods are that of Amun and Zeus, Osiris and Dionysus, Isis and Demeter, Horus and Apollon. On the other hand, the Egyptian gods they mention only by Greek gods’ names are Typhon, Helios, Hephaestus, Hermes and so on.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origins of such identification, focusing on the examples of Amun and Zeus, Osiris and Dionysus, Isis and Demeter, Horus and Apollon. In these four examples described by Herodotus and Diodorus, we can find quite clearly the names of both gods who are equated with each other and the sources of the identification cases. Therefore, inquiry can allow us to figure out by whom and for what reasons such identification originated. My inquiry shows that it was mostly Egyptians who claimed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in the writings of Herodotus and Diodorus. Ancient Egyptians had an Egyptocentric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Their sense of cultural superiority was expressed in the pride of their own culture and the idea of their culture spreading abroad. They believed that their culture was superior to any other ones and that it spread abroad and developed into a foreign culture. This belief is also expressed in the writings of Herodotus and Diodorus. This is basically an Egyptocentric perception and corresponds to the theory of cultural diffusion. On this basis, Egyptians could identify Greek gods with their own gods. Therefore, such Egyptocentric viewpoints and the identification phenomenon of gods we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 suggest that the ethnocentrism of ancient Egyptians was an ultimate cause that led to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Among the existing ancient sources, the ones that mention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are mostly Greek sources including the writings of Herodotus and Diodorus. On the surface, since such identification cases are found in the writings of the Greeks, they may be seen as the examples of interpretatio Graeca. However, it turns out that it was mostly Egyptians who told Herodotus and Diodorus about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Given the Egyptocentric tendency of ancient Egyptian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identification cases mentioned by Herodotus and Diodorus reflected the peculiar perspective of the Egyptians.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gard the identification of Egyptian and Greek gods as an example of interpretatio Aegyptiaca, not of interpretatio Graeca. 이 논문은 헤로도토스의 역사 와 디오도로스의 역사편서 에 언급된,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의 동일시 현상을 다룬다. 특히 그 동일시 현상이 누구에 의해 어떤 이유로 발생한 것인지를 조명함으로써, 그 현상을 ‘이집트식 해석’(interpretatio Aegyptiaca)으로 간주할 수 있는지를 논의하고자 한다. 이 논문에서 사용하는 ‘이집트식 해석’의 개념은 원래 타키투스가 말한 ‘로마식 해석’(interpretatio Romana) 용어에서 파생한 것이다. ‘로마식 해석’은 ‘로마인들이 외국 신의 이름을 그 신과 동등하다고 여기는 로마 신의 이름으로 대체해 부르는 관행’을 지칭하는데, ‘그리스식 해석’(interpretatio Graeca)이나 ‘이집트식 해석’도 ‘로마식 해석’에 준해 정의된다.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는 이집트의 신화와 제식에 관한 서술에서 이집트 신들의 이집트어 이름을 그대로 소개하기보다, 그들의 이름을 그리스 신 이름과 함께 혼용하거나 아예 그리스 신의 이름으로만 부르곤 한다. 이런 호명 방식은 당연히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 간의 동일시 현상을 내포한다. 헤로도토스가 서로 동일시되는 이집트 신과 그리스 신의 이름을 둘 다 밝힌 주요 사례는 아문과 제우스, 오시리스와 디오니소스, 이시스와 데메테르, 호루스와 아폴론의 사례이고, 디오도로스가 양측 신의 이름을 둘 다 밝힌 주요 사례 역시 헤로도토스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그들이 이집트 신을 그리스 신 이름으로만 소개한 사례는 티폰, 헬리오스, 헤파이스토스, 헤르메스 등이 대표적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동일시 사례 중 아문과 제우스, 오시리스와 디오니소스, 이시스와 데메테르, 호루스와 아폴론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일시 현상의 유래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사례들을 택한 이유는, 그것들이 동일시 상대가 명시되고 또 동일시 현상의 출처도 비교적 명확히 제시된 것이어서, 이것들의 분석을 통해 그 동일시 현상이 누구에 의해 어떤 이유로 형성되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위의 동일시 사례 서술을 중심으로 그 서술의 출처를 살핀 결과, 출처는 대개 이집트인들로 나타난다. 두 역사가의 동일시 사례 서술의 출처가 주로 이집트인들이었다는 것은 그 동일시 현상이 발생한 이유를 설명해준다. 흔히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 간의 동일시는 양측의 해당 신들 간의 신성과 기능, 제식 등에서의 유사성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것은 두 신을 외형적으로 동일시할 수 있는 형식적인 유사성일 뿐이다. 이집트인들에게 그런 동일시를 가능하게 한 근본적인 동인(動因)은 따로 존재했다. 그것은 이집트 중심적인 문화적 우월감이었다. 그들의 문화적 우월감은 자국 문화의 선구성에 대한 자부심과 자국 문화의 해외전파 관념으로 나타난다. 자국의 문화가 선구적인 것이고 따라서 자국 문화가 외국으로 전파되어 그곳의 문화로 발전했다고 본 것이다. 이집트인들의 그런 생각은 헤로도토스와 디오도로스의 저술에서도 확인되는데, 이는 기본적으로 자국 중심적 인식이고 문화전파론적 입장에 해당한다. 이런 기반 하에서 이집트인들이 외국 신과 자국 신을 동일시했으니, 그들의 이집트 중심적 관점과 동일시 인식은 서로 긴밀하게 연관된 것이었다. 현존하는 고대 자료들 중 이집트와 그리스 신들 간의 동일시 사례가 언급된 자료는 거의 그리스인 자료들이다. 언뜻 보면, 그 동일시 사례들이 그리스인의 그리스어 자료들에 ...

      • KCI등재

        여행기와 지리서로서의 헤로도토스의 『역사』

        정인철(In-Chul Jung)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18 문화 역사 지리 Vol.30 No.2

        이 글의 목적은 여행기와 지리서로서의 헤로도토스의 『역사』의 내용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여행기로서의 역사의 특성을 사실성, 저술목적, 문학적 여행기와의 차별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타자인식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는데, 먼곳에 위치한 타자의 타자성이 높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그가 언급한 괴물인간은 르네상스 시기까지 아시아와 아메리카 지도에 표현되었다. 『역사』의 지리학적 내용은 조사방법, 지도제작, 그리고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의 조사방법은 수집한 모든 정보를 자신이 믿지 않더라도 기술하는 것이다. 그는 기하학적 추론에 의한 지도를 거부하고 탐사결과를 근거로 한 지도제작을 제안했다. 그는 나일강과 다뉴브강이 상호 대칭이라고 생각하고, 각 하천을 생활근거지로 하는 주민의 삶을 극단적인 환경결정론적 입장에서 기술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ontents of Herodotus’ Histories as travel writing and geographical description. For this, I first looked a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as travel writing from the viewpoint of reliabiliry, purpose of writing, and distinction from literary travelogues. I also looked at otherness, and I found that the otherness located far away were strong. And the monsterous races that he mentioned continued in the maps of Asia and America until the Renaissance period. The geographical aspect was examined through investigation method, mapp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ature. His investigation was to report all of the information gathered without necessarily believing it. He refused to map by geometric reasoning and proposed mapp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ploration. Assuming that the Nile and the Danube mirror each other, he described the lives of the people tied to each river in an extreme environmentalist perspectiv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