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필사 자료의 국어사를 위하여-후기 근대국어 시기를 중심으로-

        한영균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이 글은 후기 근대국어 시기의 한글 필사 자료를 활용한 국어사 연구에서 제기되는 문제들을 정리하고 한글 필사 자료만을 이용한 국어사 연구를 위한 방법론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필사자료를 바탕으로 한 국어사적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방법론적 문제를 정리하고, 3장에서는 후기 근대국어 시기의 필사 자료를 내용상의 특징을 바탕으로 유형을 가르고 그 중에서 실기류, 연행록류, 종교서류, 필기류를 중심으로 각 유형별로 자료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한글 필사 자료만을 자료로 한 국어사 기술의 가능성을 논의하였다.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 couple of methodoloies for the descrip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based on the manuscript in Korean Alphabets, especially in Late Modern Korean periods. In chapter 2, the author reviewed methodological problems in using manuscripts for the descrip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In chapter 3, the author classified the munuscripts material into 14 categories and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Journals, travel essays in Korean Alphabets, manuscripts of Catholic church in Korean, a historical storys in Korean. In chapter 4, the author concluded that it is possible and necessary to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purely based on manuscripts and discussed methodologies how to achieve it.

      • KCI등재

        왕실 한글 필사본의 전승 현황과 가치

        김봉좌 국어사학회 2015 국어사연구 Vol.0 No.20

        본고는 조선시대 왕실 한글 필사본의 전승 현황과 그 문헌학적 특성을 밝힘으로써 학술적 연구 가치를 검토하 는 데에 목적이 있다. 왕실 한글 필사본에 대한 학문적 관심을 환기시키고 활발한 연구를 유도하는 데에 밑거 름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왕실 한글 필사본의 개념과 범위는 국왕과 그 가족이 직접 작성 혹은 사용하였거나 그들을 대상으로 한 한글 필사본으로 국한하되 낱장부터 책자까지 모든 형태의 자료를 대상으로 삼았다. 그리고 일제 강점기 하에서 분 산 이관된 왕실 자료가 이왕직과 조선총독부를 거쳐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국립문화재연구소, 국립고궁박물관에 전승되기까지의 배경을 살펴보고, 한글 필사본의 전승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왕실 한글 필사본을 유형별․주제별로 범주화하여 분석함으로써 문헌학적 특성을 검토하였고, 무엇보다도 한문본이나 인쇄본과의 관계와 차별성에 주목하였다. 더불어 왕실 한글 필사본의 연 구 가치와 방향을 고민해 보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academic application of royal hangeul manuscripts (manuscripts of the royal family of Joseon dynasty written in the Korean alphabet) by means of illuminating the current status of their phil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ransmission. In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scope of royal hangeul manuscripts, are limited to hand-written documents written or read by, or related to, the king or his family members, but inclusive of documents of all forms from a piece of paper to a boo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oseon's royal documents were managed by the Office of the Royal Yi Family and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but they have been since divided and transferred to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Jangseogak Archives at the Academy of Koran Studies,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After comprehending the current state of transmission of royal hangeul manuscripts by examining and organizing hangeul manuscripts among the numerous royal documents stored at various institutions, this article presents a method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background of royal hangeul manuscripts through thematic categorization.

      • KCI등재

        1910~192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 미국으로 보내진 한글 편지: 김장연씨 일가의 편지를 중심으로

        김양진 ( Kim Yang-jin ),이희영 ( Lee Hee-young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5

        이 논문에서는 초기 미주 지역 이주민인 김장연 씨에게 고국의 가족들이 1914년부터 1920년까지 보낸 일련의 한글 편지들을 판독하고 이를 통하여 20세기 초반 미주 지역 이민사의 편린과 고국에 남겨진 김장연 씨 일가의 사연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편지들은 한반도에서 미주 지역으로 보내진 초기 편지들로 이를 통해 김장연 씨 일가를 중심으로 한 미주 지역에서의 이주민의 생활의 편린을 확인할 수 있었고 문헌 자료를 확인하기 어려운 일제 초기 일반인의 삶과 언어 생활을 엿볼 수 있는 기초 자료를 구축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이 편지 자료들을 통해서 수원 지역 일대의 실제 지명과 다양한 언어 생활, 미주 지역 이민들과의 교류 내용 등을 알 수 있어서 20세기 초반의 이민사에서 중요한 한글 필사자료 및 언어 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밖에 편지 속 등장인물들의 행적들을 <공립신보>, <신한민보> 등 관련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고 감리교단 수원지역 순행 전도사의 활동 기록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Hangul letters which were written by Kim Chang Yeon`s family and emphasize their values as precious materials for Korean language research. Kim`s family in Korea sent letters to Kim Chang Yeon in America from 1914~1920, and these letters includes the life of the first Korean immigrants generations and fill the missing part of Korean language in this period of time of Korea. Based on these letters which were sent from Suwon area, place names of Suwon area and cultural and linguistic connections between Koreans and Korean immigrants can be studied. These letters will be provided to those who studies Korean language as important Hangul written materials that shows many aspects of Korean language. Besides, people`s past in letters such as Kim Byung Kwon, Kim Sun Kwon, Kim Sung Sik, Choi Sim Sun(Kim Chang Yeon`s wife), Kim Rose(Kim Chang Yeon`s elder daughter, Kim Eva(Kim Chang Yeon`s second daughter, Kim Young(Kim Chang Yeon`s elder son), Kim Edward(Kim Chang Yeon`s second son) was checked out in this paper. Finding out what Kim Byung Kwon`s had done as a methodist missionary of Suwon area is a collateral outcome of this study.

      • KCI우수등재

        『상원사 중창 권선문』의 조성 경위에 대한 연구

        김무봉(Kim, Mu-bong) 불교학연구회 2011 불교학연구 Vol.30 No.-

        이 연구는『오대산 상원사 중창 권선문』을 대상으로 하여, 그 속에 편철(編綴)되어 있는 권선문(勸善文) 및 어첩(御牒)의 작성 연대, 한문본 및 언해본의 제작과 관련된 문제, 첩장(帖裝) 조성의 경위 등 아직까지 해명이 되지 않은 몇몇 문제에 대해 논의한 것이다. 자료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판단으로 해결하지 못했던 과제의 상당 부분을 풀었다. 첫째, 어첩을 쓴 시기 문제의 해결이다. 권선문과 어첩의 편철 순서, ‘조선왕조실록’, 김수온(金守溫)이 쓴 ‘상원사 중창 사적기(1475년)’, 권선문과 어첩의 내용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살핀 결과 세조 11년[성화(成化) 1년, 1465 A.D.]인 을유년(乙酉年) 2월 20일 무렵에 작성한 글임을 밝혔다. 둘째, 언해본과 한문본을 별도로 조성한 이유에 대한 해명이다. 언해본의 뒤에는 공덕주로 많은 여인들이 등장한다.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언해본 조성이 왕실이나 내·외명부의 여인들은 물론, 주로 여성들을 위해서라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권선문과 어첩을 언해한 시기 문제의 해결이다. 권선문과 어첩 모두 중창 불사에 필요한 재화(財貨)를 모으기 위해 쓴 글이라는 점에 착안했다. 한문본에 이어 바로 언해본이 만들어졌음을 밝혔다. 넷째, 언해를 행한 당사자가 누구인가를 밝혔다. 상원사 중창 불사와 관련된 승려 중 권선문 이후 진행된 언해사업을 고려하여 학조(學祖)로 보았다. 다섯째, 신미와 세조가 시차를 두고 쓴 두 건의 권선문이 같은 첩장에 묶인 이유이다. 보관하여 많은 이들에게 불은을 입게 하고, 길이 간직할 목적에서 행한 일이다. 중창 불사의 실질적인 책임자였던 학열(學悅)의 주재 하에 동참 승려들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Odaesan Sangwonsa Jungchang Kwonseonmun(五臺山 上院寺 重創 勸善文)』which was written in 10th year of the age of Sejo(世祖)(1464 A.D.) who was a King of the Chosun(朝鮮) dynasty. This literature which forms the Cheopjang(帖裝) includes Kwonseonmun(勸善文) written by Sinmi(信眉) and Eocheop(御牒) written by Sejo(世祖). I discuss subjects related to this literature below.The first subject is that finding out the era during which the Eocheop was written. It is well-known when the Kwonseonmun was written(1464.12.18 A.D.), but the writing year of the Eocheop was unknown. As a result of this study, I discovered that the Eocheop was written in February 20th Eulyunyeon(乙酉年), 11th year of Sejo(1465 A.D.). The second subject is that of finding a reason why the Eonhaebon(諺解本) and Hanmunbon(漢文本) were written separately. I discovered the reason, which is that the Eonhaebon was mainly written for women including women of the royal family, such as Naemyeongbu(內命婦) and Oemyeongbu(外命婦). The third subject is determining the time at which the Kwonseonmun and Eocheop were translated into Hangeul. I focused on the purpose of the Kwonseonmun and Eocheop that of gathering wealth for Jungchangbulsa(重創佛事). By regarding various evidence, I conclude that Eonhaebon was written immediately after the writing of Hanmunbon. The fourth subject is determining the person who was directly involved in the translation of Hangeul(Eonhae). By regarding various evidences that were related to Eonhae after writing Kwonseonmun, I conclude that Hakjo(學祖) translated the Kwonseonmun and Eocheop into Hangeul. The fifth subject is determining the reason why Sinmi’s Kwonseonmun and Sejo’s Kwonseonmun are compiled into one Cheopjang, although they were written in different years. Those two Kwonseonmuns have similar handwriting and are in a same Cheop(帖). This aims at showing those two Kwonseonmuns to people and to keep the Kwonseonmuns for a long time. It is highly possible that Buddhist monks compiled the Kwonseonmuns into one book under the supervision of Hakyeol(學悅) who was substantially responsible for Jungchangbul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