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사회변혁이론과 민주-통일 변혁론의 재정립

        박영균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통일인문학 Vol.72 No.-

        This paper deals with the debates on Korean Social formation in the 1980s. The debate sought to find a way of revolution by dealing scientifically with the contradictions of Korean society at the time and was based on the three spirit of 'people, nation, democracy'. Therefore, the debate was not only a product of a Ideological radicalization, but a product of a very Korean movement that actively sought to overcome the problems Korea had at the time. The debate on Korean Social formation in the 1980s started from a debate of CNP to seeking a combination of class contradiction and national contradiction and Hyun-Chae Park’s theory of national economy tried to clarify the "discordance between the national economy and the national economy" with Korean specificity. Thus, the activist group NL/PD can not be classified as ‘national liberation’ and ‘people’s liberation.’ Both groups sought a NLPDR(National Liberation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 They did not deny ‘national liberation’ or ‘people’s liberation.’ Rather, the issue was in the ‘PDR.’ Because the NL claimed ‘anti-feudal PDR’ but the PD claimed ‘anti-monopoly PDR.’ However, the NL/PD reduce the task of unification rooted in the Korea’s division to the task of ‘anti-imperialism national liberation.’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anti-imperialism against the oppressive military dictatorship of the 1980s, the conflict between NL / PD has led to ‘over-ideologization reducing to anti-imperialism’ and ‘over-ideologization reducing to class struggle.’ Here, unification became identifiable with national liberation and unable to occupy its own place. Therefore, this paper sets ‘contradiction of division’ in addition to ‘class contradiction’ and ‘national contradiction’ and diagnoses the situation from the view of over-determination of contradictions. Also, this paper argues that we arrange a sectoral movement such as labor, unification, women movement around the center of ‘democratization’ and must make ‘unification’ itself a process of realizing universal values ​​of mankind. 이 논문은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을 다루고 있다.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당시 한국사회가 가지고 있던 모순들을 과학적으로 다룸으로써 변혁의 길을 찾고자 했던 논쟁으로, ‘민중, 민족, 민주’라는 삼민의 정신 위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단순한 이념적 급진화의 산물이 아니라 그 당시 한국이 처한 문제들을 적극적으로 타개하고자 했던 대단히 한국적인 해방운동의 산물이었다. 1980년대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CNP논쟁에서부터 ‘계급모순과 민족모순의 결합’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시작되었으며 박현채의 민족경제론은 “국민경제와 민족경제의 불일치”라는 한국적 특수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NL/PD는 ‘민족해방’과 ‘민중해방’으로 단순하게 분류될 수 없다. NL/PD는 모두다 NLPDR(National Liberation People’s Democratic Revolution)을 추구했다. 따라서 NL도 PD도 ‘민족해방’이나 ‘노동해방’을 부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쟁점은 ‘PDR’에 있었다. 왜냐 하면 NL은 ‘반봉건PDR’이라면 PD는 ‘반독점PDR’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NL/PD는 분단현실에 대한 문제로부터 출발한 통일이라는 과제를 ‘반제민족해방’으로 환원했다. 아울러 1980년대 폭압적인 군부독재에 대한 반정립의 과정 속에서 NL/PD의 대립은 한편에서 ‘반제환원론적 과잉이념화’로, 다른 ‘계급투쟁환원론적 과잉이념화’로 나아갔다. 여기서 통일은 민족해방과 동일화되었고 자신의 고유한 자리를 차지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논문은 ‘계급모순’, ‘민족모순’ 이외에 ‘분단모순’을 설정하고 모순의 중층결정이라는 관점에서 정세를 진단하고 ‘민주변혁’을 중심으로 노동, 통일, 여성운동과 같은 분야별 운동을 배치하고 ‘통일’을 인류보편적 가치의 구현과정으로 만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 KCI등재

        1970-80년대 한국경제학 논쟁과 진보경제학의 학문적 식민주의 연구

        정성기(Jeong, Seong-gi)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3

        본 논문은 학계와 사회에서 매우 중대한 1970-80년대의 한국경제학 논쟁과 사회구성체 논쟁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그 연구를 위해 개별국가 단위의 경제학의 성립 근거를 현대 학문의 역사에서 찾아내고, 한국경제학의 개념을 구체화했다. 그리고 한국적 경제학 논쟁이 전개되는 초기에 한국철학 논쟁과 비교하여 한국경제학계의 세계관의 한계를 파악했다. 1980년대의 사회 구성체 논쟁이 전개되면서 한국경제학 논쟁은 사실상 중단되었다는 것과 한국경제학 논쟁의 문제의식이 망각되고, 우파와 좌파간 이념적 논쟁으로 치환되면서 논쟁의 수준이 퇴화했음을 밝혔다. 특히 개혁적 우파와 좌파의 진 경제학 연구자들이 미국경제학 수입에 주로 의존하는 기존 우파에 대해 비주체성과 식민주의를 비판한 것은 정당하나 진보경제학 그 자체도 자생적인 것이 아니라 수입에 의존하여 학문적 식민주의에서 벗어나지 못했음을 밝혔다. 한국경제학의 학문적 독립과 남북통일을 전망하기 위해서는 이 두 논쟁을 재조명하고, 논쟁의 과제를 푸는 것이 필수적임을 주장한다. This is the first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controversy on Korean Economics and the controversy on the capitalist social formation of Korea in the 1970-8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Almost all Korean Economists think ‘Korean Economics’ do not exist, but korean philosophers think Korean philosophy which is different from western philosophy do exist. So Korean economists tend to believe in the universal validity of western economics. In fact, Some Korean Economists began to argued about universal validity of American-Western economics and making Korean Economics in 1970s, the controversy ceased in the mid of 1980s. Left-wing Economists insisted that the right wing conservetive economics is imported from, mainly, U.S.A, Korea is academic colony of U.S.A. But progressive economics was also imported from Western world, or Soviet Union in the process of controvesy on Korean capitalist social formation in 1980s. It is necessary to retrospect and re-examine the controversy on Korean Economics and on Korean capitalist social formation to develop Economics of Korea.

      • KCI등재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담론 1988~1992

        유진숙(Ju Jinso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8

        본 논문은 한국 변혁운동의 페레스트로이카 관련 저술의 번역·수용 과정과 논쟁 과정에서 이루어진 담론구조의 변화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담론분석은 구성주의적 맥락 하에서 이루어졌으며 특히 비판적 담론분석의 이론틀에 근거하여 크게 상황, 가치와 목표, 수단과 목표의 세 가지 영역으로 이루어졌다. 한국의 변혁운동은 1980년대 중·후반 전통적인 마르크스-레닌주의를 표방하는 민중민주파(PD)와 주체사상을 추종하는 민족해방파(NL)로 나뉘어 치열한 한국사회성격 논쟁을 전개한 바 있다. 페레스트로이카와 소련 사회주의체제의 붕괴라는 외적 충격에 당면하여 이 두 가지 분파의 전략적 노선과 두 분파 간의 담론적 역학관계는 근본적인 변화를 거치게 된다. 첫 번째,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은 1980년대 후반 NL -PD 논쟁구도의 종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PD가 주도하였던 ‘한국사회구성체논쟁’은 단절되었으며 마르크스주의적 패러다임은 결정적으로 이론적·실천적 영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두 번째,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은 한국 변혁운동의 전략노선 수정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그 방향성과 강도는 진영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난다. PD 진영은 전반적으로 이념적 온건화가 이루어진 가운데 수정주의·사회민주주의·중진자본주의 등의 대안적 노선들로 분화·해체되어갔다. 반면 페레스트로이카 논쟁에 소극적으로 참여하였던 NL 진영은 주체사상을 대안으로 내세움으로써 비교적 장기적으로 이념적·조직적 통일성을 유지했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 결과는 페레스트로이카라는 외적 변수가 어떻게 마르크스주의 연구의 취약성과 민주화라는 내적 변수와 맞물리면서 한국 변혁운동 담론구조의 변화와 상이한 전략적·실천적 노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보여준다. 이 결과는 또한 구성주의와 담론분석의 이론적 유효성을 검증해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political discourse of Korean radical social movements regarding Perestroika. It investigates the interaction among external factors, discourse, and political practice, focusing on the process of reaction and revision of the strategic line of the social movement. Based upon the theoretical fram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analysis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value and goals, circumstances, and means-goal. The radical social movement in Korea in the mid-1980s was divided into two factions, the PD (people’s democracy), which supported the orthodox Marx-Leninism and the NL (National Liberation), which advertised Juche ideology from North Korea. Faced with the major crisis caused by the external factors of Perestroika and the collapse of the Soviet system, these factions reacted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erceptions. Meanwhile, one of the main issues was the revision of the strategic perspectives of the social movement. The debate regarding the Korean social characteristics was stopped abruptly, and the Marxist paradigm has lost political effect. In contrast, the Juche ideology, representing itself as an alternative to Marxism, continuously gained influence in the social movement. The Juche faction could initiate the building of the Tongjin Party in 2010 as well as the Minjung Party in 2017.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s how the external factor, Perestroika, was differently interpreted, and how that different interpretation has caused the different change of the strategic line. This result demonstrates the explanatory power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KCI등재

        1997년 이후 한국의 신자유주의 논쟁: 1980년대 사회구성체 논쟁과의 비교

        장진호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20 한국사회 Vol.21 No.1

        Neoliberal reforms in the South Korean economy have been strongly implemented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resulting in its structural transformations. With such changes and accompanying socio-economic problems, there have been made several different groups in understanding Korean capitalism regarding such issues as the main causes of the economic crisis of 1997, key features of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economy after reforms, and its future prospects. Above all, three different groups in the discussions have become most distinctive and they can be called ‘progressive liberalism,’ ‘democratically-coordinated market economy,’ and ‘neo-developmentalism’ respectively. First, the ‘progressive liberalism’ group finds the causes of domestic economic crisis mainly in the backwardness of the chaebol system which has been made and grown up from the era of neo-mercantilism of the 1960s. The group also defines the key features of current Korean capitalism to be the ‘lack of liberalism and overabundance of neoliberalism.’ This group pursues the establishment of liberal order in the Korean economy through market-disciplinary measures such as shareholder-friendly governance reforms. Secondly, the ‘democratically-coordinated market economy’ group finds the main causes of the 1997 crisis not only in the chaebol system, but also in international finance. And the group considers the key features of current Korean capitalism to be neoliberlization by both chaebols and international finance, defining the current situation as ‘hybrid neoliberalism.’ The group seeks the stakeholder-centered coordinated market economy through social solidarity. Finally, ‘neo-developmentalism’ group finds the main causes of the 1997 crisis in international finance and its influences, and the key features of post-crisis neoliberal changes and resulting socio-economic problems are considered to be outcomes of the rule of international finance. The group suggests, on the one hand, a social big deal or compromise alternative between chaebol families and other stakeholders regarding management protection, investment and employment, and, on the other, the implementation of the welfare-state policies. These three groups also have debated with one another and their discussions and debates can remind us of and renew the past debates on Korean capitalism and social formations of the 1980s which were made regarding such issues as ‘dependency’ and ‘monopoly,’ now giving a new chance for theoretically renewed understanding of current South Korean capitalism and its empirical analyses. 1997년 한국의 금융외환위기는 그 이전부터 진행되어 오던 한국경제의 신자유주의 적 구조변화를 급격하게 진전시켰다. 이러한 국내 현실 자본주의의 변화와 그것이 낳는 새로운 문제들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면서, 다양한 입장의 논의들이 등장하여 서로 논쟁하며 차별적 담론 진영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러한 논쟁은 경제위기의 원 인에 대한 인식, 현실 한국 자본주의의 핵심 성격 규정, 문제들의 대안 등을 둘러싸 고 일어났으며, 대표적으로는 ‘진보적 자유주의’, ‘민주적 조정시장경제론’, ‘신개발 주의’라는 입장들로 정립되어 갔다. ‘진보적 자유주의’는 국내 경제위기의 원인을 중 상주의적 개발주의 시기부터 시작된 재벌 체제의 전근대성과 후진성에서 찾았으며, 위기 후 한국 경제의 핵심적 성격을 ‘자유주의 결핍과 신자유주의 과잉’에서 발견하 였다. 이 입장은 재벌 체제의 주주자본주의적 지배구조개혁을 통해 엄정한 자유주의 적 질서를 뿌리내리는 것을 개혁 과제로 상정하였다. ‘민주적 조정시장경제론’은 경 제위기의 원인을 재벌과 동시에 국제금융자본이라는 양대 기원에서 찾고 있으며, 이 후 한국 자본주의의 핵심적 성격을 재벌과 금융자본이 함께 신자유주의화를 주도해 가는 ‘잡종형 신자유주의’로 규정한다. 그리고 사회적 연대를 통한 이해당사자 중심 의 조정시장경제를 지향하고 있다. ‘신개발주의’는 1997년 위기의 원인과 이후 국 내 신자유주의화의 근원을 국제금융자본에서 우선 발견하는 대표적 입장이다. 재벌 이 야기한 위기의 원인 제공은 인정하되 국제적인 외부요인을 중심적으로 강조하며, 현실 한국 자본주의의 문제들이 국제금융자본이 주도하는 신자유주의에서 야기됨을 주장한다. 그리고 재벌과 이해당사자간 사회적 대타협 및 복지국가를 문제의 대안으 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신자유주의 논쟁은 1980년대 한국 사회구성체 논쟁에서 문제로 설정된 한국 자본주의의 ‘종속’ 및 ‘독점’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갱신하고, 현실 이해를 위한 일반 이론과 구체적 경험 분석의 적용에 새로운 계기를 제공해주 고 있다.

      • KCI등재

        비평사 서술의 방법과 과제

        이도연(Lee, Do-yeon)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5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34 No.4

        김영민의 한국근대문학비평사 는 엄밀한 실증을 통해 비평사 서술 작업에 과학적 객관성을 부여하였다. 한편으로 그것은 사회사와 형식사를 아우르고 종합하는 것으로서, 동반자작가와 중간파문학까지를 포괄하는 유연성과 균형감각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비평사 전체에 대한 통찰과 한국문학의 독자적 개별성에 대한창조적 직관을 드러내는 데 성공하였다. 향후 새로운 카프문학비평사의 서술은 기본적으로, 개별 비평가로서 박영희, 김기진, 임화, 김남천, 한설야, 안함광, 안막의 텍스트와 비평활동을 중심으로, 각각의 문학적 고유성을 존중하는 입장에서, 실제비평을 근간으로 하는 작가론의 층위에서 탈구축되고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문학사 방법론의 일반 과제와 더불어 마르크스주의(비평)를 역사적으로 체계화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론이 독자적인 개념으로 구상되고 고안되어야한다고 하겠다. 비평사 서술의 과제 및 전망은 이상의 진술과 관련된 몇몇 명제들로부터 도출될 수 있다. Kim, Young-min’s Hangukgeundaemunhakbipyeongsa(History of modern korean literary criticism) granted scientific objectivity to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through rigorous demonstration. On the other hand it encompasses social history and formal history, so it shows flexibility and wave balance. It succeeded in revealing the entire insight and creative intuition about singularity of korean literature. The new history of literary criticism must be based on an individual critics and critical texts of them. For example, Park, Young-hee, Kim, Gi-jin, Im hwa, Kim, Nam-cheon, Han, seol-ya, An, Ham-gwang, An mak etc. In addition to actual methodology is to be submitted which is based on a layer of deconstruction in writers’ biography and their practical criticism. As well as with the general task of literary history, a methodology of Marxist literary criticism is to be designed by unique concep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