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선명 선생의 이상사회론과 세계공동체 비전 : ‘국경철폐’와 ‘평화의 길’을 중심으로

        안연희 한국평화종교학회 2017 평화와 종교 Vol.0 No.3

        지구촌의 상호의존성과 연관성이 확대되는 세계화 경향 속에서 이상적 ‘세계공동체’가 인류 의 현실적 과제로 대두하고 있다. 한편 다문화사회화로 인한 새로운 사회적 갈등, 자원고갈과 환경위기, 글로벌 테러리즘, 사회양극화, 난민문제 등 국제적 난제도 증가했다. 세계의 평화공 존을 위해 국제적 협력을 조율해온 유엔 등이 일정한 역할을 했지만, 강대국의 영향에 좌우되 어 결국 근대국가의 틀을 넘어선 비전을 제시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그 점에서 본 논문은 최근 브렉시트나 미국의 자국중심주의 추세가 극명하게 노정한 세계공 동체의 위기에 대한 대안으로 문선명 선생의 종교적 이상사회론을 검토하고자 한다. 종교가 최 근 지구촌 분쟁과 갈등의 요인으로 지목되곤 하지만, 종교의 이상사회론은 초월적인 피안의 세 계만이 아니라, 그 초월적 세계와 관련하여 인류역사에서 새로운 공동체의 가능성을 예시하고 실험하는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의 종교는 여전히 민족, 국가차원에 머물거나 보 편적이고 세계시민적인 이상이 있다 해도 사회적 실험을 통해 그 이상을 현재화할 수 있는 동 력을 상실한 채, 정교분리적인 근대체제에 순응해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종교가 총체적 해답 의 체계라면, 절박한 물음을 제기하는 삶의 자리에서 새로운 삶의 방식과 이상적 사회를 상상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은 정교분리의 논리에 매이지 않는 종교적 상상력을 통해 평화이상세계를 염 원하고 실천했던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창시자 문선명 선생의 세계공동체 비전에 주목하 고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현 세계공동체의 위기의 원인을 새로운 장벽과 갈등을 만드는 신고립주의, 국가중심주의로 보고, 국경철폐와 평화의 길을 주장한 문선명 선생의 평 화사상에서 그러한 고립주의와 국가주의를 넘어설 수 있는 새로운 세계공동체의 원리를 발견 하였다. 선생의 평화이상세계의 비전은 신과 인간의 사랑의 관계에 대한 그의 깊은 종교적 경험을 통해 타자(상대)의 존재를 전제하고 상대와 화합하고자 하는 ‘참사랑’을 인간의 존재원리(창조 이상)로 보는 근본적 종교사상에 뿌리를 두고 있다. 그에 따르면, 상대를 배제하고 화합을 막는 모든 경계선은 인간의 타락에서 기인한 악의 산물이므로, 경계선을 넘어 소통하는 것이 선의 이상이며 평화의 기원이 된다. 국경선 철폐와 평화의 길을 통해 선생이 제안한 평화이상세계 는 인류의 양심과 선의가 막힘없이 자유롭게 오가며 사랑을 주고받아 수평을 이루는 세계이다. 국제교차교체합동결혼, 국제평화고속도로, 해저터널, 베링해협프로젝트, 평화유엔 등은 각종 경계선을 철폐하고 분쟁지역을 평화적 중립지대로 만들며, 막힌 곳은 다리로 연결하고 평화의 길을 내어 신적 평화의 이상을 세계공동체로 현실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이었다. 문선명 선생의 이러한 종교적 세계공동체 비전과 실천적 청사진은 국경선으로 상징되는 근 대국가의 질서를 절대화하기보다 비판적으로 극복하며 ‘세계’라는 표상에 종교적 가치를 부여 할 뿐 아니라, 지구촌의 절실한 현실적 과제로서 ‘세계공동체’에 대한 현실적 논의에도 중요한 통찰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ideal of the world community is becoming a reality for mankind amid globalization where the interdependence and connection of the global village is expanding. Meanwhile, international challenges such as new social conflicts, resource depletion and environmental crises, global terrorism, social polarization, and refugee problems have also increased due to multicultural socialization. Although the United Nations and other global goveranances have coordinated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peaceful coexistence, they have not been able to provide a vision beyond the framework of modern national state. For it has often been influenced by the great powers. Therefore,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religious ideal society theory of Rev. Sun Myung Moon as an alternative to the crisis of the world community that has been raised by the trend of the Brexit and Donald Trump elections of the United States in recent years. Although religion has recently been pointed out as a factor of global conflict and terrorism, Religion’s ideal social theory has not only presented a transcendent utopia, but has also played a role in demonstrating and testing the possibility of a new community in human history in relation to the transcendent world. This paper focuses on the world community vision of Rev. Sun Myung Moon, the founder of the World Peace and Unification Family Association, who longed for and practiced the ideal of peace through the religious imagination that is not tied to the frame of modern separation of politics and religion. In conclusion, we can see that the cause of the crisis of the present world community is the new isolationism and the nationalism that create new barriers and conflicts, and discover the principles of a new world community in the pacific thought of Rev. Sun Myung Moon, who insisted on eliminating borders and making path of peace. His vision of peaceful world through the elimination of borders and the path of peace is rooted his religious thought from his religious experie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human beings. It basically presupposes the existence of the other as a partner of love, and sees 'true love' which tries to harmonize with the other, as a principle of existence of man (ideal of creation). Therefore, all boundaries that exclude others and prevent harmony are the products of evil caused by human corruption, and communication beyond the boundary is the ideal of good and the origin of peace. The ideal world of peace, proposed by Rev. Sun Myung Moon through the messages of the elimination of the borders and the peace bridge project, is a world where human conscience and good will freely come and go. International Cross-Joint Marriage, International Peace Highway, Submarine Tunnel, Bering Strait Project, Peace United Nations were part of efforts to realize the ideal of divine peace in the world community by eliminating various boundaries, connecting the blocked areas with bridges, and making the conflict area a peaceful neutral zone. This religious world community vision and practical blueprint of Rev. Sun Myung Moon is characterized by overcoming the order of modern nation represented by the border line critically rather than absoluteizing it, and giving religious value to the representation of ‘the world’. This will give important insights into the quest and debate about the ‘global community’ as an urgent and realistic task for the global community.

      • KCI등재

        탈냉전과 한반도 평화 그리고 민주주의

        김근식(Kim,Keun-Shik)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0 평화연구 Vol.18 No.2

        탈냉전 이후 한국의 민주주의는 냉전의 적대적 대결관계 약화, 민족화해의 진전 및 상호 인정과 관용의 정치문화가 확산되면서 한 단계 발전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한반도 평화는 완성되지 못했고 답보상태였다. 따라서 한반도 평화체제가 온전히 정착되어야 탈냉전이 완성될 수 있고 이는 곧 확장된 한반도 평화의 제도화를 통해 한반도 민주주의가 완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반도 평화체제의 과제로는 동북아 차원의 냉전 유제인 북핵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한반도 차원에서 정치적 화해협력과 군사적 신뢰구축을 진전시키는 것 그리고 대내적 차원에서 북의 선군주의와 남의 반북주의 및 안보이데올로기를 극복하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체제는 단지 군사적 측면에서가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과 민족화해의 증진이라는 핵심 요인을 통해 진전되고 촉진되고 구축되는 것이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의 핵심으로서 남북관계가 질적으로 개선 발전되면 북핵 해결을 통해 북미관계가 개선되고 이는 곧 북한 내 선군주의와 반미주의가 약화되고 한국 역시 남북의 적대관계 해소를 통해 남남갈등과 반북주의가 약화되면서 민주주의가 공고화될 수 있을 것이다. 즉 평화가 민주주의인 것이다. 민주주의 체제가 전쟁을 피하고 평화를 보장하듯이 한반도 평화가 역으로 한반도의 민주주의를 진전시키고 공고화시키는 셈이다. 천안함 이후 한반도 정세는 남북관계 경색이 한반도 평화를 위협하고 다시 한반도 긴장고조가 민주주의를 위협할 수 있음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탈냉전의 완성으로서 한반도 평화체제가 자리매김되고 다시 되돌이킬 수 없는 화해와 협력의 남북관계가 한반도 평화의 핵심임을 전제로 한국의 민주주의는 한 단계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Cold War, democracy in South Korea was able to make a progress with the weakening of confrontations and proliferation of political culture that acknowledged the progress of national reconcili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Howeve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was still at a standstill. This signifies that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established to conclude the Cold War and to realize democracy in South Korea. Major tasks for the peace regime in the region involves the resolution of North Korean nuclear issue, political reconciliation and military trust-building, and overcoming the conflicting ideolog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ongun politics of the North and anti-North Koreanism of the South, as well as security ideology.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must be pursued not only from the military standpoint but should move forward with emphasis on improving inter-Korean relations and national reconciliation. As the core constituent of th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nter-Korean relations is the key to improving the US-DPRK relations through resolving the nuclear dilemma. This in result will weaken the songun politics and anti-Americanism within North Korea as well as decrease the domestic political strife and anti-North Koreanism within South Korea, and bolster democracy. In other words, peace is democracy. Through democratic system, war can be prevented and peace be guaranteed. Likewis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is promoting and advancing democracy on the peninsula. Cheonan incident was a clear illustration of demonstrating how insecure inter-Korean relations can threaten the peace and democracy in the peninsula. With the establishment of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can return to the relationship of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hich in effect will also bring out positiv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South Korea.

      • KCI등재

        한반도평화체제 구상의 이상과 현실

        황지환(Ji-Hwan Hwang)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1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북핵 문제의 해결이 전제되어야 함을 고려할 때, 북미 적대관계는 평화체제 구축이 쉽지 않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2005년 이후 베이징 6자회담에서 한반도 평화체제(peace regime)에 관한 구상이 명문화되기 시작하면서 한반도 냉전구조의 해체와 새로운 평화질서의 수립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새로운 동력은 부시행정부 당시 미국으로부터도 제시되었다. 부시행정부 2기의 대북강경정책을 변화시키는데 커다란 영향력을 발휘한 것으로 이해되는 젤리코(Philip Zelikow) 보고서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장기적인 방향을 제안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한국전쟁이후 5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한반도에서 평화를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불안정과 위기가 반복되었던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평화체제 정착의 기대를 섣불리 가지는 것은 비현실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선군평화론, 민주평화론, 경제평화론이라는 기존의 세 시각 모두 한반도의 현실을 제대로 번영하지 못하는 이상론적 신화에 머무르고 있다. 한반도 주변 동아시아의 현 질서를 고려해 볼 때, 기존의 이상론적인 평화구상보다는 조금 더 낮은 단계의 구상이 더 현실적인 모습이라고 판단된다. 실제로 6자회담의 합의문에서는 지속적으로 평화레짐(peace regime)으로 논의되어왔다. 이는 2차대전 이후 국제사회에서 발전되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는 국제레짐의 개념이 한반도 평화의 논의과정에 자연스럽게 도입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반도에서도 안보레짐 형태의 평화체제를 상정할 수 있다. 물론 한반도에서도 영구적인 평화를 위한 높은 수준의 안보제도화, 즉 한반도 혹은 동북아 안보공동체를 전제로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그러한 제도를 당장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평화를 관리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으로서 안보레짐으로서의 평화체제를 구성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한반도에서 안보딜레마와 군사적 갈등이 방지되는 갈등관리 차원의 잠정적이고 낮은 단계의 제도화가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다. Given that the Korean peace regime will follow the peaceful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it is not easy to terminate the hostile relation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and build a new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has been some optimistic expectation on the issue. Not only the Six-Party talks in Beijing have produced several provisions on the peace regime, but the the Bush administration also showed a new direction for its North Korea policy. The so-called Zelikow report played a critical role in transforming the Bush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and proposed a long-term direction for the Korean peace proces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Cold War on the Korean peninsula has not been resolved for more than half a century despite diverse efforts for peace building in the region and the end of the global Cold War. Therefore, it sounds unrealistic to expect a peace regime based on such idealistic approaches as Sungon Peace, Democratic Peace and Economic Peace. Considering the current regional politic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t is important to make efforts to build a long-term and lower level of peace regime. In fact, the Six-Party talks had continuously suggested the Korean peace regime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national regime.’ In this sense, it is necessary to propose a model of security and peace regime, adopting the theory of international regime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the Korean peace regime. Although the peace regime presupposes the permanent peace as an East Asian security community in the long term, it is more realistic to produce the peace regime as a security regime in the near future that prevents regional conflicts and resolves the security dilemma in Northeast Asia.

      • KCI등재

        남한과 북한의 경제협력 확대 방안과 전략 : 경제평화론적 접근

        장영권(Young-Kwon Jang)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9 평화연구 Vol.17 No.1

        남한과 북한이 경제협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경제평화론(economic peace theory)’으로 접근하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경제평화’란 국민경제간 상생과 공동번영을 위하여 경제협력을 확대하되 상호간에 차별이나 불균형, 나아가 착취 · 억압 등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 혹은 이에 이르는 과정이라고 정의된다. 경제협력은 그 자체가 그대로 평화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경제협력의 과정에서 불평등과 착취 등이 나타나면 갈등이나 분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경제평화론을 ‘경제(자본)가 평화를 창출한다’는 기능주의적 성격이 강한 ‘평화경제론’또는 ‘자본평화론’과는 다소 다른 개념이다. 경제평화론에 의한 남한과 북한의 경제협력 확대를 위한 기본적인 방안과 전략은 다음과 같다. 즉, 한반도 평화는 존재론적으로 정치군사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정책’에 따라 협력이 가장 용이한 경제분야의 단계적, 점진적 협력 확대를 통해 경제평화를 정착하는 것이다.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Economic cooperation’ literally means the two Koreas’ cooperation in terms of economy. In order to establish the basis of co-existence and prosperity for the two countries and achieve a peaceful unification, economic cooperation should be expanded. To achieve this goal, it is appropriate and reasonable to deal with this matter with ‘Economic Peace Theory’. ‘Economic Peace’ is defined as the series of procedures or the status where there is expansion of economic cooperation for the sake of co-existence and prosperity while discrimination, inequality, exploitation, suppression, etc are eliminated. Economic cooperation does not always bring peace. It sometimes causes controversy and conflict amid the ongoing procedures, if issues such as inequality or exploitation arise. Regarding all these, ‘Economic Peace Theory’ is somewhat different from ‘Peace Economics Theory’ or ‘Capital Peace Theory’ which claim ‘Economy Leads To Peace’. One of the best ways to expand economic cooperation successfully is to proceed step by step from one procedure to another gradually. In other words, the two Koreas need to build up a comprehensive development scheme together by establishing an intermediary committee, and implement measures and proceed by degrees, focusing on sectors that are relatively easy to collaborate and making use of regional cooperation model. The fundamental assumption and steps regarding the expansion strategy of South & North Korea economic cooperation under ’Peace Economics Theory’ are as follows.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by its nature, is composed of political & military, economic, cultural factors, and expansion of cooperation In terms of economy which has more accessibility compared to other fields, in line with ‘the segregation policy.’ Since President Lee Myungbak took the office in Feb. 2008,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has shown the tendency of contraction. It must be understood that Lee Administration’s theory which claims that progress in North’s nuclear issue should be a prerequisite for expansion of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 Korea, shall be a hindrance not only to solving North Korea’s nuclear matter, but also to increasing the level of peaceful integrat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 KCI등재후보

        칸트 영구평화론의 정치철학적 조명

        정태일(Chung Tae-Il)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08 평화연구 Vol.16 No.1

        본 논문은 영구평화체제를 모색하는데 있어 지대한 영향을 끼친 칸트의 영구평화론을 그의 정치철학에 근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칸트는 인류가 역사의 어느 시기에 가서는 항구적인 평화상태에서 살게 되리라는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칸트는 그만큼 인류의 미래에 대해서 희망적이고 낙관적이었다. 칸트의 영구평화론은 도덕론에 두고 있다. 칸트에 의하면, 전쟁은 국가간 혹은 주권자의 권력욕과 영토적인 야심 때문인 것으로서, 요컨대 정치와 도덕의 불일치에서 오는 것이기 때문에 정치와 도덕의 일치야 말로 평화를 가져오는 근본조건이라고 보았다. 칸트는 세계의 영구평화가 성립되기 위해서는 공화제를 바탕으로 국내의 각 인간에게, 각 국가 사이에, 그리고 세계 인류 사이에 법의 지배를 확립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칸트의 영구평화론에 대하여 헤겔은 군주연맹체로 그 당시의 이데올로기일 뿐이라고 비판하면서 영구평화론은 국제정치 현실에 대한 개념적 인식이 아니라 주관적인 소망에 근거한 것으로 보았다, 또한 팀은 칸트의 영구평화구상이 인류의 불행을 자연에게 전과시키는 부당함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Recently, the international society is carrying out various studies to establish perpetual pea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Kant’s perpetual peace and to study the political viewpoint of Kantism. Kant had a strong and deep faith to realize perpetual peace in the due time. His perpetual peace is based on moral philosophy. If political affairs do not agree with match moral, it will be faced with war among states. Ultimately, Kant’s perpetual peace has an important significance with political thoughts. First, Kant’s perpetual peace is based on optimism which has realized universal cosmopolitanism. Secondly, Kant’s perpetual peace makes it a condition that every state must adopt a republican system of government. Thirdly, Kant’s perpetual peace has been fulfilled in time accomplishing the harmony of moral principles and political authority. Fourthly, Kant’s perpetual peace composed of tree the rule of law. However, Kant’s perpetual peace was criticized that it was ideological and idealistic by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Herman Timm, etc.

      • KCI등재

        동북아시아 공동체 형성을 위한 기독교 평화 교육

        김청봉(Kim, Cheong-Bong)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71

        한반도 분단의 국제적 성격은 한반도 통일이 남북한만의 문제가 아니라 동북아시아 및 국제정치적 문제임을 말해준다. 이런 점에서 한반도 문제는 민족적 문제이면서 동북아시아 및 국제적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은 한반도 평화와 통일의 문제를 동북아시아적 맥락에서 그 해결책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동북아시아 지역의 개념과 그 특징을 살펴본 뒤에, 한반도 및 동북아시아에서의 다양한 평화개념과 추구해야 할 평화 교육을 논하고자 한다. 마지막을, 한반도의 분단 극복과 평화실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동북아시아의 공존번영을 위한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 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기독교 평화 교육의 세 가지 과제를 살펴볼 것이다. 펏째는, 민족주의에 대한 비판적 교육이다. 둘째는, 냉전구조에 대한 비판적 교육이다. 셋째는, 동북아시아 평화공동체를 꿈꾸는 '시회적 상상력'으로서의 교육이다. 이를 통하여 한반도의 평화와 통일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 안정과 평화에 기여하는 기독교 평화 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d solutions on peace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 changing Northeast Asian context. To do this, this paper surveys notion and characteristics of Northeast Asia, and then presents a variety of views on peace and peace education in korean peninsula and Northeast Asia. Finally, this paper contents to build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 which is involved with overcoming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attaining peaceful reunification. To build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 first of all, we have to be aware of obstacles which block up mutual co-operation,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and destroy peace in Northeast Asia. concretely, they are 'closed nationalism' and 'new cold war' which is still going on. thus, this paper offers three proposal: first is the critical education on the nationalism. second is the critical education on the new cold war. lastly, this paper proposes peace education as 'social imaginative power' which dreams Northeast Asian peace community. Through this, this paper suggests christian peace education which contributes to peace and re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regional stabilization and peace in Northeast Asia.

      • KCI우수등재

        현상학과 평화 : 평화의 현상학적 철학적 정초

        박인철(In-Cheol Park)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5

        근대의 평화론을 특징짓는 칸트나 홉스 동의 평화론은 인간의 본성이 오직 이기적이라는 전제하에 평화의 문제를 다룬다. 그러나 이러한 이론은 인간이 다원적인 존재라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는 점에서 일면적이다. 평화는 인간들의 다원성과 다양한 차이를 고려하면서 접근할 경우, 비로소 그 근원적인 문제의 해결책이 나온다고 본다. 따라서, 본 글은 인간의 다원성을 고려하는 후설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평화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여기서는 특히 이기성이 아닌 인간의 이타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를 펼친다. 현상학은 다원성과 보편성(동일성)의 중간영역을 탐구하면서 다원주의적 개방성에 근거해 평화를 양자 사이의 조화로 이해한다. 이때 평화의 실현은, 후설에 따를 때, 홉스에서처럼 이기적 충동의 강제적 억제에서가 아니라 인간의 이타적 본성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러한 의미에 부합하는 인간의 이타적 본성으로 후설이 제시하는 것이 바로 사랑이다. 사랑은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으로서 타자의 선한 내면을 통찰해 포용하고자 하는 의지를 표출한다는 점에서 평화를 실현하는 최선의 토대로서 고려된다. 후설은 이러한 사랑에 하나의 윤리적 가치를 부여하며 이를 토대로 타자와의 조화로운 관계를 통한 윤리공동체이자 평화의 공동체인 사랑의 공동체가 가능하다고 본다. 이러한 평화공동체의 현실적인 구현을 위해 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는 것은 국가가 아니라 가족이다. 가족은 원초적 사랑과 분화된 책임으로 뭉쳐진 하나의 보편적인 윤리공동체로서 외부에로까지 확산될 수 있는 강 한 실천적 자양분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 KCI등재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과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의 유효성

        정주진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2 통일과 평화 Vol.14 No.2

        평화구축(peacebuidling)은 적극적 평화의 실현을 위해 사회와 공동체 차원에서 실행되는 다양한 접근과 노력을 통칭한다. 평화구축은 무력 갈등을 겪었거나 무력 갈등에 취약한 사회뿐만 아니라 민주주의가 정착한 사회에도 적용된다. 그 당위성은 민주주의 사회에도 다양한 폭력이 존재하고 적극적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데서 기인한다. 남북한 대결의 종식과 한반도 평화의 실현이 필요한 한국 사회에도 평화구축은 적용될 수 있다. 평화구축은 사회 구성원들의 참여와 역량 형성, 그를 위한 상향식 접근을 필요로 한다. 평화 실현을 위한 사회와 공동체의 변화는 구성원들의 필요에 기반해야 하고 구성원들스스로 그 필요를 확인하고 원하는 변화를 제안 및 합의할 수 있어야 한다. 한반도 평화를 위한 평화구축 또한 참여, 역량 형성, 상향식 접근 등을 필요로 한다. 일반 국민의 참여, 논의, 합의를 통한 통일국민협약 도출을 위해 실행된 평화·통일 사회적 대화는 국민의견 수렴과 합의를 위한 사회적 기제이자 방식으로서의 정당성과 유효성, 그리고 평화구축 접근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군비통제 수준과 연계한 DMZ의 평화적 이용 방안

        한용섭(Yong-Sup Han),이규원(Gyu-Won Lee)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2010 평화연구 Vol.18 No.1

        DMZ의 평화적 이용은 북한이 핵을 포기하기로 합의한다면 현실화될 수 있는 중요한 사안이다. 하지만 그동안 이 논의는 현실성이 부족한 제안들이 주를 이루어 왔다. 본고는 남북한의 정치적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기 위한 DMZ의 평화적 이용방안은 군비통제와 연계되지 않고는 그 실현가능성이 낮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북핵폐기 운용적 군비통제 구조적 군비통제로 단계화한 DMZ의 평화적 이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는 북핵폐기 단계와 연계한 평화적 이용 단계로서 북한이 핵을 포기한다는 원칙을 담은 그랜드바겐에 합의한다면 남북은 DMZ의 평화적 이용에 관한 세부합의서를 도출하여 제한된 협력을 추진해야 함을 제시했다. 둘째는 운용적 군비통제 단계와 연계한 평화적 이용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호간의 군사력을 투명하게 하는 신뢰구축조치와 DMZ와 더불어 인근의 남북군사력의 배치를 제한하고 NLL에 평화지대를 설치하는 제한조치 등의 군비통제 조치를 취해야 하며 이와 연계하여 남북은 DMZ 인근 지역에 경제협력사업을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셋째는 구조적 군비통제와 연계한 평화적 이용 단계로서 이 단계에서 고려할 수 있는 군비통제조치는 확대된 경제협력지대 안에서 재래식군사력의 감축을 주요 정책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와 연계하여 남북은 DMZ 인근 지역에서의 특별경제지대와 관광특구지대를 설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인식 속에서 한국 정부는 군비통제와 연계한 DMZ의 종합적인 평화적 이용 방안을 국가전략적인 차원에서 통합하고 본고를 바탕으로 범정부기관을 통합한 추진체계를 정립해야 할 것이다. To use the DMZ for a peaceful purpose has been explored in the past with a limited avail. Once again peaceful utilization of the DMZ will likely gain a momentum if North Korea agrees to abandon its nuclear program through restarted six party talks. However deliberation of a peaceful DMZ use without linking conventional arms control to reduce political and military tension in the inter-Korean relations will be less effective. Thus this paper suggests a three-phase plan to promote a peaceful use of the DMZ. Three phases include: (1) abandonment of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2) operational arms control and (3) structural arms control. At the first phase the two Koreas needs to agree on the principles for a peaceful DMZ use within the grand-bargain framework on condition that North Korea declares to abandon its nuclear program. At the second phase deployment of military forces by the two Koreas along the DMZ will be constrained and establishment of a peace zone including a little expansion of the NLL will be agreed and implemented to foster South-North economic cooperation within and near the DMZ. At the third phase the structural arms control is linked with the expansion of the DMZ by taking advantage of the progress in the second phase. The expansion of the DMZ will include establishment of special economic zone and sightseeing zone beyond the DMZ and arms reduction of conventional military forces in the special zones. To build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needs to integrate all the efforts taken by various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for a peaceful DMZ use and for arms control at the same time and endeavor to materialize such an integrated policy.

      • KCI등재

        글로벌 평화학습의 교재구성방식에 관한 사례연구

        남호엽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eaching material in global peace learning. Cases of this study are ‘The Classroom: A Place for Peace Education’as children’s book series which are published in Japan. The result of analysis is that these book series represent the sequence of peace learning. Namely, The authors focused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peace in the volume 1 and in-depth understandings of the meaning of peace in the volume 2, 3. Also, in the case of volume 4, 5, they were interested in social construction of peace builder. The meaning of peace is represented as the opposite of fight, violence and war in the case texts. The authors also deal with the meaning of peace in light of the value system of human rights and justice. Meanwhile, authors focused on ways of peace building and peace learning for the formation of peace maker. 이 연구는 글로벌 평화학습의 교재 구성 방식에 관한 사례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 대상은 종합적인 평화교육책을 표방한 어린이 도서, <평화를 배우는 교실> 시리즈이다. 분석 결과, 이 시리즈의 교재구성방식은 평화학습의 인식 계열성을 일정하게 표상하였다. 거시구조적으로 볼 때, 평화의 개념 정립(1권)과 평화의 의미 심층 이해(2, 3권)에서 평화 만들기의 주체 형성: 공감과 참여(4, 5권)로 나아가는 흐름이었다. 미시적으로 볼 때, 평화의 의미 탐색은 대조 효과와 관계 상황의 구도라는 표상 방식, 전쟁과 반대되는 의미 추구, 그리고 기본적 필요의 만족이라는 견지에서 지구촌 평화론 모색이라는 양상이었다. 또한 평화 만들기의 방식으로공통의 소망과 3자의 중재 역할 중시, 비폭력 및 공정한 갈등 해결, 제대로 된 전후 청산 등에 주목하였다. 마지막으로 평화 추구 주체의 형성을 위하여 평화를 지킨 사람들에게 공감하기, 평화학습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기에 초점을 두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