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인터넷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책임

        이충훈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7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38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 Transac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CPECT") enacted in 2002 provides legal liability of mail order seller or internet sale intermediary and mechanism for consumer protection. In terms of internet sale intermediary, ACPECT defines its scope broadly and thus treats as an internet sale intermediary a person who is substantially involved in e-commerce and will be classified into a mail order seller. This is one of ACPECT's shortcomings. Furthermore, section 20 of ACPECT is criticized in that a broad range of safe harbor provisions for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weakens their legal liability specifically stipulated for consumer protection. It is because every internet sale intermediary can avoid his or her legal liability imposed on him or her by including safe harbor provisions into standardized form contract for consumers or into a contract related to offer for mail order sale. ACPECT need to clearly define legal concept of internet sale intermediary for the purpose of sound consumer protection and to add new provisions related to duty to identify an offeror. Also, ACPECT will function as a statute effectively protecting consumers when it is amended in a way to limit the scope of safer harbor provisions for internet sale intermediary. 2002년 제정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이라 약칭한다)은 통신판매업자와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책임 및 소비자보호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서는 통신판매업자나 통신판매중개자가 자신의 면책을 주장할 가능성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으며, 법 규정에서도 통신판매중개자의 면책을 규정함으로써 소비자보호가 아니라 사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서는 통신판매중개자와 관련하여 통신판매중개자의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아, 거래에 실질적으로 관여하기 때문에 통신판매업자로 평가받아야할 자에게도 통신판매중개자의 지위를 부여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 제20조에서는 통신판매중개자의 면책가능성을 넓게 인정함으로써 소비자보호를 위해 특별히 마련된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책임을 무력화 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모든 통신판매중개자는 소비자이용약관에 자신의 면책을 규정하는 방법과 통신판매의뢰자와의 통신판매의뢰계약에서 자신의 면책을 규율하는 방법을 통해 통신판매중개자에게 부과된 법적 책임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올바른 소비자보호를 위해서는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개념을 명확하게 규정해야 하며, 현행법에서 통신판매중개자에게 통신판매의뢰자의 신원 등에 관한 정보의 제공의무를 부과하고 있는 것 외에 의뢰자의 신원에 관한 정보확인의무를 새로이 부과해야 할 것이다. 또한 통신판매중개자가 면책을 주장할 수 있는 경우를 제한하는 방향으로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 개정되어야 진정으로 소비자를 보호하는 법률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지위와 책임 -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자책임의 재구성 -

        서희석 한국소비자법학회 2021 소비자법연구 Vol.7 No.1

        This paper analyzed the ‘platform operator responsibility’ under the E-commerce Act by dividing it into ‘basic responsibility’ and ‘strengthened responsibility’, and tried to reorganize the responsibility. As a result of the review, the basic responsibility is generally recognized for its legislative significance, but the strengthened responsibility was found to be problematic from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point of view. Accordingly, this paper suggests that recognition of “unique obligations and responsibilities arising from the status as architect and operator of platform” is preferable rather than attempting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the platform operator as a e-commerce seller. In summary of this paper’s conclusions: As the “architect and operator of platform”, the platform operator is obliged to form rules of transaction and maintain and manage the transaction order to ensure that transactions on the platform are carried out appropriately within the limits permitted by law. The order of platform transactions needs to be made in three respects, the legality of the supply of goods, the legality of the seller’s conduct, and the proper resolution of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In each respect, it is desirable to form a principle of civil responsibility and give autonomy to platform operator if possible. 본고는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자책임을 기본적 책임(①고지의무와 연대배상책임, ②신원정보제공의무와 연대배상책임, ③분쟁해결 등을 위한 조치의무)과 강화된 책임(④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자의 책임, ⑤거래관여형 통신판매중개업자의 보충적 책임)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한 후 통신판매중개자책임의 재구성을 시도해본 것이다. 검토의 결과 통신판매중개자의 기본적 책임(①②③)에 관한 규정은 대체적으로 입법의의가 인정되지만, 강화된 책임(④⑤)에 관한 규정은 이론적⋅실무적 관점에서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이에 따라 입법론적으로는 통신판매중개자에게 통신판매업자로서의(④) 또는 그를 대신하는(⑤) 책임을 부담시킴으로써 책임을 강화하려는 시도보다는 “플랫폼의 설계⋅운영자로서의 지위로부터 발생하는 고유한 의무와 책임”을 인정하는 방향의 책임론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시론으로 제시하였다. 본고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통신판매중개자는 “플랫폼의 설계⋅운영자”로서 플랫폼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법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사적자치에 따라 적절하게 이루어지도록 거래의 규칙을 형성하고 거래질서를 유지⋅관리하여야 할 주의의무를 부담한다. 플랫폼거래의 질서는 재화등의 공급에 있어서의 적법성, 판매자의 판매행위의 적법성, 당사자간 분쟁의 적절한 해결 등 세 가지 측면에서 유지⋅관리될 필요가 있다. 각각의 경우에 민사책임의 원칙을 형성하되 가능한 한 통신판매중개자에게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KCI등재후보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 개정안」의 검토 : 통신판매중개자의 책임을 중심으로

        이충훈 法務部 商事法務課 2009 선진상사법률연구 Vol.- No.46

        2002년 제정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이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이라 약칭한다)은 통신판매업자와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책임 및 소비자보호를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서는 통신판매 업자나 통신판매중개자가 자신의 면책을 주장할 가능성을 폭넓게 인정하고 있으며, 법 규정에서도 통신판매 중개자의 면책을 규정함으로써 소비자보호가 아니라 사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으로 평가받고 있다. 현행법 제20조는 통신판매중개자의 면책가능성을 넓게 인정함으로써 소비자보호를 위해 특별히 마련된 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책임을 무력화 시키고 있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워 보인다. 이에 따라 제18대 국회에서는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을 개정하기 위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공정거래위원회에서도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법 개정안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그 개정논의의 핵심은 통신판매중개자의 책임을 어떻게 규율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이에 관하여 통신판매중개자에게 거래상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통신판매중개자가 책임을 부담하는 근거가 명확해야 하기 때문이다. 더불어 통신판매중개자에게 통신판매의뢰자의 신원 등에 관한 정보 제공의무를 부과함과 동시에 정보확인의무를 부과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통신판매중개자가 통신판매의뢰자와 연대배상책임을 지는 이유에 대한 법적 근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통신판매중개자도 소비자에게 거래조건 등에 대하여 표시·광고 또는 고지를 한 경우 해당 거래조건 등을 담보한 것으로 추정하도록 하며, 통신판매중개자도 표시·광고의 주체가 될 수 있음을 명문화하는 것이 타당하다 할 것이다. 전자상거래 소비자보호법 개정논의가 진정으로 소비자를 보호하는 길이 무엇인가에 관해 고민하고 이를 반영한 개정안이 도출될 수 있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Act on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 enacted in 2002 (hereinafter "the Act") provides liability of mail order sellers and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and consumer protection related to Internet sale. However, the Act broadly offers mail order sellers and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opportunity to argue immunity from their liability and explicitly prescribes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immunity from their liability. Hence, the Act is said to be law for business-persons as well as for consumers. Article 20 of the Act broadly recognizes possibility for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to be immune from their liability. Some critics argue that this provision will jeopardize the gist of the provision on liability of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which specifically aims at consumer protection. Accordingly, the 18th National Assembly has vigorously discussed the possible reform of the Act and Korean Fair Trade Commission proposed a bill revising the Act. What is key point of the reform is how to regulate the liability of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In this regard, I think that it should bear its duty of care as a good faith manager because the legal source on which its liability is based should be clear and explicit. Also, I would like to propose that it should have duty to offer information identifying its clients as well as duty to identify the information. By doing so, it and its clients can bear joint liability for damages. In addition, the Act should be revised in the way by which Internet sale intermediaries are presumed to secure contractual terms when they express, advertise or inform consumers of the contractual terms and by which they may become the subjects of representation and advertisement. I express high hope that the National Assembly will deeply take into account how to truly protect consumers and reflect the concern on consumers into the bill.

      • KCI등재

        전자상거래법상의 거래 플랫폼 규제와 개선방안

        오병철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외법논집 Vol.41 No.4

        Consumer Protection Act was supplemented through the revision in 2016. In particular, the revision strengthened obligation and liability of the e-commerce intermediary. It is, however, still insufficient to cover the entire present market system with various commerce platforms emerging. Korea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presents an excessively long list of regulated subjects and assigns respective obligation and liability to each subject. In practice, relevant public official and legal experts, as well as e-commerce seller or e-commerce intermediary, experience difficulty discerning the liabilities. Thus, overall revision on Korea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is demanded. First, the list of regulated subjects should be simplified into e-commerce seller, e-commerce intermediary and consumers. Second, a separate business register system should be introduced in order to draw a clear line between e-commerce seller and e-commerce intermediary. Third, Korea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should not apply to individuals who run e-commerce intermediary without business pursuit.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the new types of commerce platforms is another plausible motivation for the revision of Korean Electronic Commerce Consumer Protection Act. For instance, it is necessary for the revised regulation to include the mediation of lease besides sales, and to adjust the time of offering e-commerce seller’s personal information to the consumers in consideration of competitive e-commerce. Also, for the consonance with Korea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liability to provide a way for e-commerce intermediary to access the personal information of sellers should be removed from the revision in the case of e-commerce intermediary between individuals. 전자상거래법은 2016년 개정을 통해 통신판매중개자에 대한 규율을 보충하였다. 특히 통신판매에관여하는 통신판매중개자의 의무와 책임을 강화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거래 플랫폼이 등장하고 있는거래현실을 완벽히 규율하기에는 아직도 미흡하다. 전자상거래법은 지나치게 많은 수범주체를 나열하고, 또 그에 따라 각각 의무와 책임을 달리하고있다. 통신판매자나 통신판매중개자 뿐만 아니라 관계 공무원이나 법률전문가 조차도 이를 구분하기어려운 실정이다. 이를 위한 전반적인 전자상거래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첫째로 수범주체의 수를 통신판매업자, 통신판매중개업자, 통신판매중개를 업으로 하지 않는 사업자, 소비자로 간략히 정비할 필요가 있다. 둘째로 통신판매중개업자에 대해 별도의 신고제도를 도입하여 통신판매업자와 명확히 구분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로 통신판매중개를 사업으로 하지 않는 개인에게는 전자상거래법을 적용하지않아야 한다. 그리고 새로운 유형의 거래 플랫폼의 등장에 따른 전자상거래법의 개정 필요성도 인정된다. 예를들어 ‘판매’ 이외의 ‘임대’의 중개를 포함하도록 개정하고, 경쟁적인 통신판매를 고려하여 소비자에 대해 통신판매업자의 개인정보 제공시점을 조정할 필요도 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과의 조화를 위해개인 간의 통신판매의 중개를 하는 경우에는 통신판매중개자가 판매자의 개인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방법을 제공할 의무를 수정하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Online Traders in the Change of International Trade Environment

        Kwang-Ho, Dho,Sung-Chul, Bang 한국무역금융보험학회(구 한국무역보험학회) 2020 무역금융보험연구 Vol.21 No.3

        본 논문은 국제무역환경 변화와 함께 무역거래 주체가 되는 무역거래자의 형태가 변화하고 있음을 제시하고 국내 통신판매업자를 대상으로 글로벌화 요인을 제공하여 수출 통신판매업 자로 전환함으로써 전자상거래 무역인력양성에 기여 하고자 한다. 기존의 무역인력양성을 위 한 문헌연구를 실시하였고 새로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GTEP 참여학생 및 불특정 다수를 대 상으로 하는 교육 외에 국내 전자상거래 선행경험이 있는 통신판매업자를 대상으로 무역교육 과 글로벌 전환 핵심요인을 제공하여 글로벌 셀러(Global Seller) 및 크로스보더(Cross Border)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글로벌 셀러와 크로스보더의 역할을 하는 수출 통신판 매업자는 국경간 전자상거래(CBEC)의 활동을 이행할 수 있으며 전자상거래 무역인력양성의 저변확대를 현실화 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is to examine a method to globalize domestic online marketing dealers to make them international online trader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study analyzes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funded education system for fostering trade manpower and draws up corresponding problems and limitations. Results : Re-establishment of educational targets is required to facilitate CBEC.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services to globalize domestic online marketing dealers. Conclusions : Domestic online marketing dealers are well aware of domestic e-commerce system and are capable of analyzing and sorting out the most appropriate goods for online marketing. Therefore, it is of high importance to grant opportunities for domestic online marketing dealers to globalize and to act as an online exporter, by serving them with proper international trade education. It can be accomplished to increase CBEC-based export driven by online exporter, hence to expand the base for fostering international trade human resources.

      • KCI등재

        도서정가제의 목적과 해석의 한계 - 대법원 2019. 9. 10. 자 2019마5464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서종희 한국소비자법학회 2020 소비자법연구 Vol.6 No.3

        The book price regulation under the Publication Act, the so called fixed book price system is one of resale price maintenances that controls the rights of distributers or stores that can determine the selling price for end consumers by fixing the price determined by the manufacturer.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19 Ma5464 decided September 10 2019 extends the scope of application of Article 22, Paragraph 4 of the Publication Act, which is the basis for an invasive administrative disposition, to not only sellers but also sales intermediaries through teleological interpretation. However, the teleological interpretation in the subject decision has problems, that it is misjudged about the purpose of the book price system, that it deviated from the usual meaning of the phrase, that it is not consistent with the systematic interpretation with other legal texts, etc. In particular, the interpretation of the target judgment that acknowledges the seller’s status to a sales intermediaries can be cited as a judgment that assigns responsibility to the dealer in Internet Market Place by replacing the mail order brokerage with the dealer, so the ripple effect that the decision brings is great. Therefore, this ruling can be said to deviate from the intended “usual meaning of the phrase” through teleological interpretation. To put it in a nutshell, increasing the responsibility of open market is a problem to be solved through legislation, not by acknowledging exceptions through interpretation. 대법원 2019. 9. 10. 자 2019마5464 결정은 침익적 행정처분의 근거가 되는 출판법 제22조 제4항의 수범자의 범위를 목적론적 해석을 통해 판매자 이외에 통신판매중개자에까지 확장하고 있다. 그러나 대상결정에서의 목적론적 해석은 도서정가제의 목적에 대해 잘못 판단하고 있다는 점, 문구가 가지는 통상적인 의미를 이탈하였다는 점, 다른 법조문과의 체계적 해석에도 부합하지 않다는 점, 반사적인 불이익에 불과한 것을 방지하가 위한 필요를 논거로 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문제가 있다. 특히 통신판매중개업자에게 통신판매자의 지위를 인정하는 대상판결의 해석은 민사책임 등에서도 판매중개업자를 판매업자로 갈음하여 책임을 귀속시키는 판결로 인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결정이 가져오는 그 파급효과를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목적론적 해석이라는 미명 하에 은폐된 법형성을 하여 입법자가 의도한 ‘문구가 통상적으로 가지는 의미’를 벗어났다고 평가할 수 있다. 통신판매중개업자의 책임을 강화시키는 것은 입법을 통해 해결할 문제일 뿐 해석을 통한 예외를 인정하여 해소시킬 것이 아니다.

      • KCI등재

        서비스 판매형 전자상거래의 쟁점과 과제

        이병준(Lee, Byung-Jun) 한국재산법학회 2017 재산법연구 Vol.34 No.3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한 소셜커머스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입장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3가지 해석 내지 입법적 쟁점에 관하여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통신판매업자 또는 통신판매중개업자로서의 지위는 소셜커머스 사업자가 스스로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택에 따라 법적으로 통신판매업자 내지 통신판매중개업자로서 판단되기 위해서는 플랫폼 사업자가 명확히 자신이 어떠한 지위를 가지는지를 나타내야 한다. 불명확하게 기재한 경우 소비자는 플랫폼 사업자를 계약의 당사자로 인식할것이고, 경우에 따라서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상 통신판매중개업자의 책임규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면책고지를 취하더라도 계약체결, 결제, 계약이행 등에 많은 소셜커머스업체가 개입하고 있으므로 통신판매중개자 이상의 무거운 책임이 부과될 수 있음을 유의 해야 한다. 둘째, 소셜커머스 쿠폰의 권리행사기간은 약관을 통하여 설정된 제척기간이다. 이러한제척기간으로서의 권리행사기간이 짧다고 하여 당연히 약관규제법에 기하여 불공정한 것판단할 수 없다. 오히려 높은 할인율이 제공되고 있으므로 짧은 권리행사기간을 불공정한 것으로 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권리행시기간 도과 후 쿠폰 매매대금의 환불을 인정할 것인지의 여부에 관하여도 규제기관인 공정거래위원회보다 조금 더 유연하게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셋째, 항공권, 공연의 예약처럼 기간을 정하여 제한된 서비스급부를 제공하는 경우에 철회권을 인정할 필요성이 있는지에 관하여 의문이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에 철회권을 인정하면 사업자에게 해당 서비스급부를 다시 판매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교법적으로 유럽연합의 입법지침 내용을 참조하여 우리 전자상거래소비자보호법에도 이러한 철회권 배제사유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In der vorliegenden Arbeit wurde über drei Streitpunkte in Bezug auf die Auslegung und Gesetzgebung, die zu einer Wende des Stellungnahme für die Aktivierung von social commerce business führte näher betrachtet. Daraus wurden folgende Ergebnisse hergeleitet. Erstens, Social-Commerce-Portale können nach dem Grundsatz der Privatautonomie ihre rechtliche Stellung, nämlich der Stellung als Verkäufer bzw. als Vermittler, frei wählen. Damit die rechtliche, vom Unternehmer bezweckte Stellung anerkannt werden kann, muss er den Verbraucher jedoch eindeutig darüber informieren, welche rechtliche Stellung er hat. Anderenfalls würde der Verbraucher den Plattformbetreiber als Vertragspartei ansehen. Gegebenenfalls ist die Sonderbestimmung des Verbraucherschutzgesetzes im E-Commerce, die die Gesamtverantwortung des Vermittlers im Fernabsatz regelt, anwendbar. Zudem ist zu beachten, dass Social-Commerce-Portale unabhängig davon der erfolgten Anzeige höhere Verantwortung als diejenige des bloßen Vermittlers tragen sollten, soweit sie am Abschluss, Bezahlung bzw. Erfüllung des Vertrags usw. beteiligt sind. Zweitens, die Frist für die Rechtsausübung bei Gutscheinen ist als Ausschlussfrist anzusehen, die durch die betoffenen AGB bestimmt ist. Auch wenn die Frist, in der der Gutschein einzulösen ist, kurz ist, bedeutet dies nicht ohne Weiteres, dass die Fristsetzung aufgrund der Anwendung des AGBG unwirksam ist. Vielmehr ist auch davon auszugehen, dass eine solche Fristsetzung hinsichtlich der hohen Rabatte als wirksam gilt. Ferner ist es erforderlich, die Frage lockerer zu behandeln, ob ein Anspruch auf Auszahlung des Gutscheins nach Ablauf der Frist anerkannt werden muss. Drittens, es ist fraglich, ob ein Widerrufsrecht auch dann benötigt wird, wenn der Vertrag für die Erbringung von Dienstleistungen einen spezifischen Termin oder Zeitraum vorsieht. Denn wenn das Widerrufsrecht auch in einem solchen Fall anerkannt wird, kann dies dazu führen, dass der Unternehmer die Möglichkeit verliert, die betoffenen Dienstleistung für einen anderen Verbraucher weiter zu erbringen. Es scheint daher erforderlich zu sein, eine gesetzliche Vorschrift, die dem Ausschlussgrund des Widerrufsrechts in der betroffenen europäischen Richtlinie entspricht, einzuführen.

      • KCI등재

        오픈마켓의 법적지위에 관한 연구 - 전자상거래법 개정안 및 전자금융거래법 개정안을 중심으로 -

        김홍식 한국상사판례학회 2024 상사판례연구 Vol.37 No.1

        Prior research on the open market has largely been conducted on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Electronic Commerce(hereinafter Electronic Commerce Act or ECA) and the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Act(hereinafter ETA), and this paper intends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legal status of the open market, focusing on the recently proposed amendments to ECA and ETA. In this paper, the open market is classified into four types based on the roles of simple intermediary, performer of some important tasks, seller, and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 provider. Open market as simple intermediary is mail-order broker under ECA, and under ETA, it is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only when payment settlement is performed by electronic methods. Under the amendment, open market is online platform operator under ECA and is not applicable to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under ETA If open market performs some important tasks while conducting brokerage transaction, open market may be mail order broker who performs some important tasks under ECA, and under ETA,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may be included in the payment settlement or payment by electronic method. Under the amendment, open market may be an electronic payment business operator only if it is online platform operator that performs some important tasks under ECA and performs payment by electronic payment method, and under ETA, it is not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When open market makes a direct purchase while conducting a brokerage trans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ent law, open market is mail-order broker who is mail-order distributor under ECA, and according to ETA, open market may be user for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and chain store for consum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mendment, open market is online platform operator that can make direct purchases under ECA, and according to ETA, open market may be user for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and chain store for consumers as in the current law. If open market provides its own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 services while conducting intermediary transactions, open market is mail order broker and electronic payment business operator under ECA, and according to ETA, it is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An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mendment, open markets is online platform operator and electronic payment business operator, under ECA, and according to ETA, it is electronic financial business entity in the same way as the current law. 오픈마켓에 관한 선행연구는 크게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과 전자금융거래법을 중심으로 수행되었는데,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발의된 전자상거래법 및 전자금융거래법의 개정안을 중심으로 오픈마켓의 법적지위를 종합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픈마켓을 단순한 중개자, 중요한 일부업무를 수행하는 중개자, 판매자 및 전자금융거래서비스제공자의 역할을 기준으로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단순 중개자의 역할을 하는 오픈마켓의 경우에 현행법의 관점에서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상으로는 전자적방법에 의한 대금정산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자금융업자에 해당된다. 또한 개정안상으로는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온라인플랫폼 운영사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전자금융업자에 해당되지 않는다. 오픈마켓이 중개거래를 하면서 중요한 일부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현행법의 관점에서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중요한 일부업무를 수행하는 통신판매중개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상으로는 전자적방법에 의한 대금정산이나 결제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 전자금융업자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개정안상으로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중요한 일부업무를 수행하는 온라인플랫폼 운영사업자이며 전자적 대금지급방법에 의한 결제업무를 수행하는 경우에 한하여 전자결제업자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전자금융업자에 해당되지 않게 된다. 오픈마켓이 중개거래를 하면서 직매입을 하는 경우에는 현행법의 관점에서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업자인 통신판매중개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오픈마켓은 전자금융업자에 대하여 이용자이고 소비자에 대하여는 가맹점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개정안의 관점에서는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직매입을 수행하는 온라인플랫폼 운영사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오픈마켓은 현행법의 경우와 동일하게 전자금융업자에 대하여 이용자이고 소비자에 대하여는 가맹점에 해당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오픈마켓이 중개거래를 하면서 자체적으로 전자금융거래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에는 현행법의 관점에서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통신판매중개업자이자 전자결제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전자금융업자에 해당되게 된다. 그리고 개정안의 관점에서는 오픈마켓은 전자상거래법상 온라인플랫폼 운영사업자이자 전자결제업자이며, 전자금융거래법에 의하면 현행법과 동일하게 전자금융업자에 해당되게 된다.

      • KCI등재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상통신판매중개자의 법적 책임

        이충훈 ( Choong Hoon Lee ),이성훈 ( Sung Hun Lee )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홍익법학 Vol.15 No.3

        ACT ON THE CONSUMER PROTECTION IN THE ELECTRONIC COMMERCETRANSACTIONS, ETC.(hereinafter The Act) provides legal liabilities of mail orderbroker and means for protection of consumers. However, I believe there are manyloopholes in the protection of consumers because The Act also provides lots ofexemption on legal liabilities of mail order broker. Korean Congress has submitted eightrevised bills to tighten consumer protection under The Act and two of those bills haveprovisions which tighten liabilities and duties of mail order brokers. Despite of therevised bills, those also have many weak points due to the inconsistent definition of legalterms and broad exemptions of legal liabilities of mail order brokers in The Act. Because I believe consistent revision is improbable due to the inconsistent legal termsin the revised bill, mail order brokers should be subdivided into a broker who hasrelation with the transaction and a broker who provides information as Korean FTCprovides and the legal liabilities of mail order broker should also be reduced followingthe revision. The revised bills should provide some provisions that mail order brokers have a dutyto notify the terms and conditions before making contract and that requesters of mailorder brokerage have a duty to provide and to confirm the information. Moreover, formore protection of consumers, the revised bill should also impose a broker who providesinformation and thus who has responsibilities in the transactions, in other words, abroker who has relation with the transaction on additional duties by decreasing theexemptions. The intent of Congress may be recognized in the bills, and the intent is consistent withpurpose in viewpoint of society. I hope the revised bills be a new act which contribute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which is the purpose of The Act by increasingconsumer protection and by increasing the market credibility.

      • KCI등재

        소셜커머스 사업자의 사업모델과 법적·행정적 규제

        이병준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학연구 Vol.53 No.3

        소셜커머스 업체의 새로운 판매방식, 즉 통신판매중개자로서 50%의 할인율로 공동판매를 하고 제한된 기간 내에서 권리행사를 하지 않으면 더 이상 권리보장을 하지 않은 사업모델이 공정거래위원회의 행정적 규제로 인하여 더 이상 유지되지 못할 위험에 처해져 있다. 과연 이러한 서비스 모델이 행정적 규제를 받을 만큼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를 위반하거나 사기적 판매행위에 해당하는지는 의문이다. 이러한 사업모델의 성장세로 보면 오히려 우리나라 소비자 구미에 맞고 그들의 이익에 합당한 모델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기본적으로 계약의 당사자들은 계약의 내용을 자유롭게 형성할 자유를 갖는다. 따라서 무엇을 얼마의 대가를 주고 살지는 당사자들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선량한 풍속기타 사회질서를 위반하거나 사기적 판매행위를 동반한 것이 아니라면 원칙적으로 법률 내지 행정적 규제는 여기에 개입하지 않아야 한다. 소셜커머스라는 새로운 판매방식이 소비자의 권리를 본질적 침해하거나 부수적 권리 내지 의무사항을 불공정하게 규율하고 있는 경우에 행정적 규제에 의한 개입이 있어야 하지만, 소셜커머스의 기본적 사업모델은 이러한 한도에서는 침해하지 않은 상태에서 법률과 행정적 규제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것이 해당 산업을 보호하고 육성할 수 있는 법률과 행정당국의 바람직한 입장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