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배움공동체와의 비교를 통한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방법론 개선 방안

        오창진(Chang Jin Oh),김회용(Hoy Yong Kim) 한독교육학회 2010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5 No.3

        본 연구는 아동의 인지적 발달과 공동체 활동 모두에 효과적인 립맨의 탐구공동체 프로그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립맨 탐구공동체의 강점과 단점을 명료히 하기 위해 이 이론의 이론적 전제인 콜버그와 리코나의 도덕교육론을 고찰하여, 탐구공동체의 의미와 성격을 명료히 하였다. 립맨 탐구공동체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개선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최근 한국의 교육혁신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는 사또 마나부의 배움의 공동체에 주목하였다. 탐구공동체와 배움의 공동체는 비고츠키 이론을 심리학적 배경으로 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조하는 면에서 공통점이 있었다. 반면, 교사 연수와 교재에서는 뚜렷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배움공동체에서 강조하는 교사들의 수업연구회 조직, 학교의 조직개편, 지역과의 연계 지도 등은 교재에 기반한 추론식 수업을 강조하는 탐구공동체 수업에 접목될 필요가 있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improve the community of the philosophical inquiry proposed by Matthew Lipman. The teaching method of this program is based on the conversational method - Socratic dialogue and the community of inquiry. Kohlberg s justice community serves as a mean to attain person s moral development. Lickona s moral community critiques autonomous moral judgment and emphasizes moral education. But in Lipman s community of inquiry, person s autonomous judgment and community are related organically. Psycho and theoretical framework of his philosophy for children is based on Vygotsky.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is based on the constructivism by Vygotsky.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serves as a method for improving autonomy of individual and communitarian education.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was based on the dialogue such as Lipman s dialogue. There are some limitation in Lipman s community of inquiry. First, his thought is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logical reason of rationality. Second, the community doesn t have questions related with social implications. If we want to overcome limitation of Lipman s philosophy for children, Sato manabu s learning community could be an alternative to our education. To this end, we should introduce the teacher s community into Lipman s community of inquiry such as Sato Manabu s study groups made by teachers spontaneously. And the link with local communities to foster autonomous citizenship education is needed.

      • KCI등재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방법: 대화(Conversation)와 내러티브(Narrative)

        박선영 ( Seon Young Park ),김회용 ( Hoy Yong Kim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9 No.-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 교육의 효과적인 종합을 구상한 립맨은, 철학적 탐구공동체를 통해 개인 사고능력의 계발과 합당한 공공선의 성취를 동시에 모색한다. 이러한 가능성은 프래그머티즘에 바탕한 탐구공동체의 특성에서 발견된다. 개인과 공동체는 `탐구`라는 활동으로 상호관련 지어져 연속적으로 발전되어 나갈 때 개인 혹 공동체 어느 한 요소만 교육목적으로 고정되지 않고 수단-목적으로 그 역할을 바꾸어나가며 발전할 수 있다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은 대화(conversation)를 통해 이루어진다.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내적 특성상 대화는 불확실성이 내재된 고유한 상황에서 체득한 질적 경험(qualitative experience)을 유도하며, 개인에게는 사고와 감정의 종합적인 발달을 이끌어내고 공동체 차원에서는 문제해결에 가장 적절한 해결책을 합당하게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실제 대화가 실천되는 과정에서는 언어훈련과 논리훈련, 텍스트분석에 의존해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내적 특성을 미처 발휘하지 못한 채 사고기술 훈련에만 치우칠 수 있다 나아가 사고의 종합적 발전을 통해 좋은 판단을 학습하는데 목적을 두는 철학적 탐구공동체 교육은 단지 개인과 공동체의 인식론적 변화를 가져다줄 뿐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자신의 존재론적 변화의 경험 추구라는 본연의 목표와 거리가 생길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개인의 구체적 맥락에서 의견을 재구성하고, 개인의 감정적 혹은 비논증적 배경을 설명함으로써 타인에게 깊이 공감할 기회를 주는 내러티브(narrative) 활동이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구성과정에서 병행될 것을 제안했다. 내러티브와 대화가 적절히 구성된 철학적 탐구공동체 속에서 개인은 질적 충만감이 있는 체험을 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discuss the role of narrative which can supplement the conversation used in the situation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To reveal the nature of conversation and narrative in detail, researchers first identify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Matthew Lipman`s Community of Philosophical Inquiry for Children model can integrate the educational purpose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While the purpose of liberal education lies at autonomy of individuals, communitarian education aims at achievement of the common good. Therefore, these two educational models inevitably conflict each other in the educational practice. Lipman`s model doesn`t aim at the fixed educational goals because his model is based on Dewey`s thought, pragmatism In the actual practice of conversation, Lipman focused on training the logic of language or thinking skills which are based on the mental acts. In these cases, these conversations do not lead to holistic autonomy and community hardly experience the rational judgement. That`s why narratives should be formed in personal and concrete context. The narratives are characterized as being illogical, emotional. Furthermore, they can create and reconstruct the events in the human life and meaning to a human life. Narrative can help to achieve its intended objectives of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and successfully make up for the activity of the conversation.

      • KCI등재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교육적 의의

        강기수(Kang, Gi-Su)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6 敎育思想硏究 Vol.19 No.-

        이 논문에서는 어린이 철학교육의 방법론인 탐구공동체에 대하여 교육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우선 탐구공동체의 선행개념인 어린이철학교육의 성격을 이해하고, 탐구방법으로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와 그 교육적 실제를 고찰한 다음, 철학적 탐구공동체의 교육적 의의를 논구(論究)하였다. 어린이 철학교육의 방법론으로서의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어린이에게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철학적 개념들을 함께 탐색하고 추론하는 대화식 토론 수업을 통하여 어린이에게 고차적 사고력과 타인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민주적 태도를 길러주기 위한 교육활동이다.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대화적 탐구를 주요 방법으로 하며, 교수-학습 과정은 철학함으로서의 과정적, 구성적 성격을 지닌다. 또한 탐구과정에서 교사는 탐구 분위기를 조성하고, 탐구활동을 촉진하는 전문가, 안내자 협력자,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결론적으로 철학적 탐구공동체는 학습자에게 주체적 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케 하고, 경쟁보다는 협동을 지향하며, 인성교육과 인간교육, 민주시민 교육에 기여한다는 점에서, 그리고 현대 사회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교육적 의의가 크다 아니할 수 없다. Wir haben schen verscucht, bei dieser Dissertation an Forschungsgemeinschaft f?r kindliche philosophie-p?dagogischen Methodemlehre p?dagogisch nahe zu kommen. Um das Ziel von der Forschung zu erreichen, haben wir ?ber die p?dagogische Bedeutung von philosophischer Forschungsgemeinschaft diskutiert, nachdem wir vor allem kindlichen philosophie p?dagogischen Charakter von Forschungsmethod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und mit dem Forschungsmethod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und p?dagogische Realit?t davon betrachtet haben. Die kindliche philosophie-Erziehung macht unter den Voraussetzungen auf dem Weg, daß sich die Kinder einander zusamenensammeln, eine "Forschungsgemeinschaft machen, und viel besseren Erfolg bekommen, als sie sich allein lernen, wenn sie sichr aber anregend denken. Also lernen die kinder nicht mit den vorgehandeten B?chern, sondern k?nnenen von der konkreten Lebens-und Philosophischen Geschichte die Fragen und die Antworten dar?ber suchen. Di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von dieser kindlichen Philosophie- Erzieh-ungsmethodenlehre ist die p?dagogische Aktivit?t, um die ihnen wichtge Bedeutung erhaltendem philosophischern Begriffe zusammen nach zu suchen und daraus zu schließen und den unterricht von unterhaltungsdiskussion an die kinder hohe Gedankensf?higkeit zu nehmen, die anderen zu respektieren und ihnen besorgende demokratische Haltung zu erh?hen.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ist f?r unterhaltungsforschung eine bedeutende Methode und der Verlauf von Unterricht-Lernen erh?lt philosophierend den verlaufenden konstruierenden Charakter und auch im Forschungsverlauf setzen die lehrer Forschungsatmosph?re usammen, und Fachleute, Forschungsaktivit?t zu beschleugen, F?hrer und Mitarbeiter spielen als Beschleuger eine Rolle. Schließlich macht es m?glich, die philosophische Forschungsgemeinschaft an die Lerenden den subjektiven und sich f?hrenden unterricht zu nehmen und im punkt, mehr die zusammenarbeit als Konkurrent zu bezwecken, und zur Erziehung von menschlicher natur und Menschen und demokratischer B?rger beizutragen und die moderne Gesellschaft erfordliche erwartende Lehrrersrolle vorzulegen ist die Erziehungsbedeutung groß zu sein.

      • KCI등재

        연구논문 : 놀이를 통한 윤리적 탐구공동체 형성 방안

        이호중 ( Ho Joong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5 윤리교육연구 Vol.0 No.8

        본 논문은 한국의 인문계 고등학교 도덕과 수업에서 윤리적 탐구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윤리적 탐구공동체가 덕목 중심의 도덕과 교육과 비반성적인 교육제도가 갖는 여러 가지 문제들에 대한 하나의 대안임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문계 고등학교의 도덕과 수업에 들여오는 데는 여러 가지 한계가 있다. 필자는 이런 한계 중에서 가장 심각한 것으로 입시 위주의 교육이 낳은 경쟁적 분위기라고 본다. 이 수업의 특성상 기본적인 탐구공동체를 형성하는 것이 수업의 승패를 좌우하는데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된 탐구를 할 수 없다고 본다이런 문제의 해결은 놀이를 통해서 접근함으로써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놀이의 특성 중에서 재미와 자발성, 공동체성과 같은 요소는 윤리적 탐구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유의미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놀이 속에 포함된 규칙이나 도전적 속성들은 윤리적 탐구공동체 자체의 탐구 목표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적합한 놀이의 성격은 윤리적 탐구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것, 수업의 전체 흐름을 해치지 않는 작은 놀이 위주일 것, 놀이 속에 윤리적 탐구공동체의 고차적 사고 기술이 통합적으로 포함될 것, 단순한 놀이에서 복잡한 추론이나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놀이로 발전시켜 나갈 것 등이다. 그리고 그러한 성격에 맞는 놀이를 만드는 방법과 수업의 시기에 따라 활용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였다.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propose a method to build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at moral subject class in Korean academic high school. Although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is an alternative for various problems in moral education focused on moral principles and non-reflective education system, the current moral subject class in academic high school has several limitations in introducing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The present author understands that the most serious limitation is competitive atmosphere resulting from education focus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Because of its characteristic, the success of the class basically depends on the organization of inquiry community. Thus without solving the problem related to competitive atmosphere, we cannot expect adequate inquiry activities. In solving the problem, an approach through play can be an alterative. Factors of play such as interest, spontaneity and community may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In addition, rules and challengingness inherent in play may be associated with the goals of inquiry of the community. Plays suitable for this need t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ethical community of inquiry, to be small so that they do not interrupt the overall flow of class, and to be developed from simple ones to complicated ones that develop abilities in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addition, this study proposed a method of designing plays that meet these requirements and a model to be utilized according to the time of class.

      • KCI등재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 기반 과학 수업 인식 조사 도구 개발 및 적용

        정용재 ( Yong Jae Joung ),장진아 ( Jina Ch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7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7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에서 접근한 학생의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 조사 도구 개발과,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에서 과학 수업에 대한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총 417명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결과, (a) 6개의 요인(`문제인식Ⅰ: 불일치 인식`, `문제인식Ⅱ: 흥미`, `문제원인설명Ⅰ: 가설설정 및 검증`, `문제원인설명Ⅱ: 협력적 검토`, `문제해결Ⅰ: 대상관계/개념 변화 반추`, `문제해결Ⅱ: 공동체관계/탐구자 변화 반추`)으로 구성된 총 42개 문항의 `탐구수행 과정` 관련 조사 도구와, (b) 3개의 요인(`탐구실행 의지`, `탐구수행 태도`, `의사소통 구조`)으로 구성된 총 17개 문항의 `탐구수행 토대` 관련 조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 개발된 도구를 사용하여 초등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학생들은 과학 수업에 대해 과학 교실 탐구공동체 관점에서 대체로 보통 이상의 긍정적 인식을 하고 있었지만, 불일치에 기반 한 문제인식, 탐구자의 변화 및 공동체와의 관계 변화 반추를 동반하는 문제해결, 엄격성과 오류가능성 견지에 기반 한 탐구수행 태도 등 일부 요인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탐구 중심의 과학 교육을 위한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a measuring instrument for perception of science classes based on the view of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an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ceptions with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e study. A total of 417 6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result, first, we developed two set of questionnaire: (a) the questionnaire for the `process of inquiry` consisted of six factors: `problem recognitionⅠ: recognition of inconsistency,` `problem recognition Ⅱ: interests,` `problem explanationⅠ: hypothesis generation and examination,` `problem explanationⅡ: cooperative review,` `problem solvingⅠ: reflection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objects/conceptions,` and `problem solvingⅡ: reflection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community/ inquirer,` comprising a total of 42 items; (b) the questionnaire for the `basis of inquiry` consisted of three factors:`will of conducting inquiry,` `attitudes of conducting inquiry,` and `structure of communication,` comprising a total of 17 items. Second, we foun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positive recognition generally on their science classes in terms of the `community of inquiry in science classroom,` but they had relatively negative recognition on the factors of problem recognition based on recognition of inconsistency, problem solving accompanied with reflection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 with objects/conceptions, and attitudes of conducting inquiry based on severity and fallibilism, Finally, several suggestions for the science education were given.

      • KCI등재

        환경의식 함양을 위한 NIE탐구공동체 활동교수ㆍ학습과정안 개발및 적용

        문지영,이혜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0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2 No.4

        We developed the novel coursework of ‘NIE community activity teaching-learning plan’ in the unit of ‘Clothing Life’ of the 7th ‘Technology-Home Economics’ curriculum and applied it to classes in the middle school. The educational themes of ‘Textile and Cloth’, ‘Purchase, Usage and Storage of Clothes’, ‘Laundry of Clothes’, Recycling and Disposal of Clothes’ were extracted from ten kinds of textbooks. And eight lessons of NIE community activity teaching-learning plan were developed. Ninety-seven students at second grade in 3 classes of the middle school were randomly enrolled in this study. After learning, their environmental recognition and educational interest and attitude on the class of NIE community activity were investigated. The general environmental recognition of most students was improved via NIE community activity, which is emphasizing on the analysis of articles of newspapers, th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and the mutual discussion.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related to ‘Textile and Cloth’, ‘Purchase, Usage and Storage of Clothes’, ‘Laundry of Clothes’, Recycling and Disposal of Cloth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Educational interest and attitude on the class of NIE community activity were also improved of great significance. The novel contents and methods of NIE community activity were evaluat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the class better and enhance their environmental recognition higher. With these results, NIE community activity teaching-learning plan might not only improve the educational interest and attitude, but also enhance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of the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 교과 ‘의복 마련과 관리’ 단원에서 환경교육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NIE 탐구공동체 교수ㆍ학습 과정안 및 학습자료를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환경의식함양을 위한 수업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2007년 개정 기술ㆍ가정과 교육과정과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기술ㆍ가정 교과서 10종의 의생활 단원을 분석하여 환경교육과 관련된 내용요소를 추출하여 ‘의복의 소재’, ‘의복 구입 과 사용 및 보관’, ‘의복의 세탁’, ‘의복의 재활용과 폐기’ 학습 주제를 선정하고, 총 8차시 분량의 NIE 탐구공동체 활동 교수ㆍ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부산광역시 소재의 E중학교 2학년 3개 학급 학생 97명을 대상으로 수업한 후 환경의식과 NIE 탐구공동체 수업에 대한 흥미도, 태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중학생들은 다양한 신문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여 비판적, 창의적, 배려적 사고를 강조하는 토론 위주의 탐구공동체 활동을 통해, 일반적 환경인식은 전체적으로 향상되었다. 학습주제 ‘의복의 소재’,‘의복의 구입 과 사용 및 보관’ ‘의복의 세탁’,‘의복의 재활용과 폐기’ 와 관련된 환경의식도 유의미하게 높았다. NIE 탐구공동체 활동(신문토론 수업)에 대한 흥미도 및 태도도 매우 높게 향상되었다. NIE 탐구공동체 활동에 대한 학생의 평가는 그동안 접해보지 않는 새로운 내용구성과 NIE 탐구공동체 활동 학습방법이 교과서 중심의 강의식 수업보다 더 재미있어 학습 내용을 이해하고 환경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NIE 탐구공동체 활동 교수ㆍ학습 과정안은 학습의 흥미도와 태도를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의생활 환경의식 함양에도 매우 효과가 있으므로 개발된 교수ㆍ학습과정안과 학습 자료는 교육현장에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탐구공동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및 변화․발전에 대한 사례 연구

        김회용(Kim, Hoy-Yong)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5 敎育思想硏究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asses using the community of inquiry in an elementary school. This case study examined an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 the classes during her preparation for community of inquiry. This study also described the teacher's and students' difficulties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appeared in their strenuous efforts in the classes. For the qualitative data collection, the 5th grade classroom participated in the philosophy program was observed for 34 weeks, and the teacher and students were interviewed to check effects of it. Analysis of the data showed that the teacher emphasized it w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skills to converse with others and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to concern about others, to improve sense of community and an ability to judge uprightly. But in the beginning of the classes, both teacher and students showed difficulties in managing and developing the abstract talks. As the classes were moved on, however, both teacher and students were able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on their philosophical discussion and discourses through their strenuous efforts to use on-going abstract talks. Finally, the students showed not only the ability to deeply think about and discuss the philosophical topics, but also the overall improvement of communicating, sharing, and discussing of their abstract ideas based on philosophical evidence and reaso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re opportunities were given to students to learn the program continuously and systematically. Though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in proceeding this study for students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class based on philosophical background, the classes of this type should be encouraged and spread to more students. 이 글은 초등학교 5학년의 탐구공동체 수업 사례를 통하여, 탐구공동체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이 경험하는 어려움, 변화 및 발전 과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탐구공동체 수업에 대한 교사의 높은 기대 및 철저한 준비에도 불구하고 초기 수업은 난해한 교재내용, 교사의 추상적 질문, 근거를 요구하는 발표 등으로 인해 주제선정, 토론규칙 위반, 발표 편중 등의 문제를 노출시켰다. 수업 초기의 이러한 어려움은 후반부 수업에는 상당 부분 개선되었다. 학생들의 주제선정과 근거를 수반한 발표 능력이 향상되었고, 발표 편중 현상도 완화되었으며, 추상적이었던 교사의 질문도 보다 구체화되었다. 그러나 발표 내용보다 개인적 친분에 따른 학생들의 차별적 공감 문제가 여전하였고, 시간이 흐를수록 학생들 사이의 발표 내용의 질적 차이가 보다 심화되는 문제도 발생했다. 1년간의 탐구공동체 수업으로 인한 가장 큰 변화는 난해한 교재 내용을 함께 읽고, 주제를 선정하고, 토론하며, 공동으로 정한 규칙을 준수하는 등 교실이 사고하는 공동체로 변화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탐구공동체 수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서는 학생들을 탐구 및 토론의 장으로 인도할 교사의 능력 신장을 위한 교사 교육과 학생들의 독해력 향상을 위한 노력들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교육의 전략 탐색

        김재식 ( Jae Sik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현행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적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도덕 교육적 전략을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을 통해 보완할 부분을 살펴보고, 그 대안적 전략을 모색하는데 있다. 초등 도덕과 교육이 목표로 하는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은 개인의 덕 함양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도덕성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초등 도덕과 교육은 개인의 도덕성 함양을 위해 인지, 정의, 행동적 도덕성 함양을 도모하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계획한다. 이러한 도덕 교육적 계획은 도덕과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육 방법 그리고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를 위한 전략으로 구체화된다.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해 보면, 초등 도덕과 교육 목표는 개인의 덕 함양을 통해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겨냥하고 있고, 교육 내용은 조화로운 공동체적 삶을 위한 여러 덕목을 선정하여 지도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여러 교수-학습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교사용 지도서 부록을 통해 학교나 교실의 도덕 공동체 조성을 권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도덕과 교수-학습 전략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고자 하는 전략이 미흡하다는 것이 발견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 함양을 위해 탐구와 공동체가 동시에 고려될 수 있는 탐구 공동체 접근을 보완적 전략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lternative strategies for complementary part through analysis of teacher`s guidebook and curriculum of moral subject directing at harmonious communal life in the current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rmonious communal life that aims at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quires to cultivate personal virtues and creates morality of school community. In view of this, elementary moral education plans to rais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morality of the individual and build school and classroom into moral community. These moral educational plans is embodied in strategies for formation of moral community as well as educational goals, educational contents, educational methods of moral subject. By analyzing curriculum of moral subject and teacher`s guidebook,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m could be found. First, educational goals of moral subject aim at harmonious communal life through cultivating personal virtues. Second, educational contents of moral subject are composed of the important virtues for harmonious communal life. Third, teacher`s guidebook presents a variety of instructional strategies. Four, strategies for building of moral community in the school and classroom is presented in the supplement of teacher`s guidebook. But insufficiency is found in the strategy of teaching and learning that tries to foster a sense of community.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approach of inquiry community as a complementary strategy considering at the same time inquiry and community to cultivate the sense of community.

      • 퍼스의 탐구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본 조선 서원의 탐구공동체적 성격

        연준모 한국철학교육학회 2009 철학ㆍ윤리 교육 연구 Vol.25 No.41

        철학교육의 의미와 그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나, 어쨌든 오늘날 철학교육은 덕목 중심의 도덕교육의 대안 내지는 보완책으로서 커다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철학교육에 대한 관심과 각광이면에는, 철학교육이 너무 지나치게 서양식 탐구 패턴을 답습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도 동시에 존재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결과 일군의 철학교육 연구자들은 동양철학 내지는 한국 철학적 접근을 철학교육에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나선 바 있다. 본 글은, 우선 철학교육에 있어서의 동양철학적 접근의 타당성을 받아들이면서, 그것의 전제로서 과연 우리나라에도 철학교육의 모습이 존재했었는지 그리고 존재했다면 어떤 모습이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글을 통하여 필자는, 관직 진출이나 입신양명이 아닌 학문 그 자체의 탐구를 목적으로 모인 학문 공동체였던 ‘서원’ 을 서양의 철학교육의 방법론으로 흔히 인용되는 퍼스의 ‘탐구공동체’ 이론에 비추어 보고 동서양의 철학교육적 공통분모를 찾아봄으로써, 서양 혹은 동양적 철학교육론의 무분별한 답습이나 지나친 편중을 벗어나 ‘동서양의 철학이 조화롭게 어우러지는 철학교육’이란 어떤 것인지에 대하여 스스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고자 하였다.

      • KCI등재후보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 공동체주의의 활용에 관한 연구

        신현우 한국윤리학회 2002 倫理硏究 Vol.49 No.1

        현대 우리 사회는 개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중시하는 자유주의적 사상으로 인해 인간 삶의 근원이 되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일부 사람들은 공동체를 사회적 존재인 인간 삶의 전제 조건이 아니라 오히려 자신들의 자유와 권리를 제한하는 부담스러운 존재로 여기기도 한다. 우리 사회에는 공동체 정신 및 공동체적 유대가 거의 사라져가고 있다. 공동체와 유리된 개인은 원자화, 파편화 되어가고 있으며 그로 인해 개인의 삶은 점점 더 황폐화되는 심각한 문제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문제 해결의 단초를 공동체주의적 사고에서 찾고자 하였다. 특히, 공동체주의적 사상의 회복 및 교육, 특히 도덕과 교육을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본 논문의 목적은 도덕과 교육 특히,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에서 공동체주의의 활용 가능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논문은 공동체 및 공동체주의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주의의 도덕 교육적 특성을 살펴본 후 공동체주의를 활용한 초등 도덕과 교육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제 7차 초등학교 도덕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공동체주의적 내용 요소를 밝혔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 요소들을 지도할 수 있는 실제적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