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투갈·스페인 시장용 명대 크락자기 연구

        방병선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0 강좌미술사 Vol.54 N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origin and the inflow background of Chinese Ming Dynasty blue and white porcelain of Kraak style imported into both the Iberian Peninsula Portugal and Spain. First of all, in the case of the Portugal market, blue and white of the Santos Palace, Lisbon, had the various kinds and styles of kraak porcelain from 16th to 18th century. Thus the delft ware that decorated the border frame of pyramid ceiling fulfilled with Chinese porcelain, showed the hierarchy of the ceramics. And the kraak porcelain from wrecked ship of 16th century was designed with both subject pattern of the center without outlines and freely positioned border patterns. In terms of the Spain market, the characteristics of kraak porcelain was very similar to the that of the Portugal’s kraak porcelain. However, from the 1600s and on, the kraak porcelain which included dishes, ewer and kundika from wrecked ship and the palace and plaza, demonstrated the stylized frame section without the space. 본 논문은 이베리아 반도 포르투갈, 스페인 양국에 수입된 중국 명대 청화백자 크락양식의 기원과 유입 배경을 살펴보고, 양식 변천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포르투갈의 경우 필자가 직접 실견, 조사한 산토스(Santos)궁 자기방 천장의 청화백자는 크락양식의 다양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피라미드 형태의 중국 청화백자 테두리를 델프트 도기로 장식하여 도자의 위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16세기 침몰선 출토 크락자기는 대체로 구획된 윤곽선 없이 중앙의 주제문과 자유롭게 배치된 테두리 문양으로 구성되는 것을 파악하였다. 다음 스페인의 명대 크락자기 양상은 16세기의 경우 대체로 포르투갈과 유사하지만 17세기 이후는 1600년 침몰선 출수품, 왕궁과 광장 등의 고고학 발굴품, 정물화 등에만력과 숭정 연간의 변화된 크락양식이 표현되었다. 접시, 정병, 주자 등 다양한 기형에 여백 없이 구연부 테두리에 윤곽선으로 구획하였으며, 구획 공간의 여백은 더 넓어지고 시문은 양식화되는 것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네덜란드공화국 유입 중국도자가 델프트 도기에 미친 영향

        방병선 ( Bang Byungs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본 논문은 네덜란드공화국 시절 유입된 중국도자가 델프트도기에 미친 영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델프트도기의 최대 수장처인 암스텔담의 라익스박물관(Rijksmuseum)과 생산지였던 델프트의 로얄델프트 공방, 델프트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유적 등지를 답사하여 관련 자료의 촬영과 문헌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17 세기 네덜란드공화국의 성립과 동인도회사의 성립, 델프트도기의 생산배경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17 세기 네덜란드 정물화에 나타난 중국도자의 문양과 기형, 양식 등을 실제 델프트도기와 비교, 고찰하여 당시 네덜란드인의 생활에 스며든 중국도자의 용도와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국 도자 모방의 변천과 델프트도기에 미친 중국도자 영향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델프트도기는 전통적인 네덜란드 도기 제작의 토대와 수요층을 바탕으로 막대한 양으로 수입되던 중국자기의 모방과 변용을 시도하였다. 전통적인 중국 크락 양식의 기형과 문양의 불완전한 모방에서 점차 중국적인 기형 혹은 기본 문양 구도에 유럽 장식이 더해지거나 완전한 네덜란드식 도기로 변용되었다. 델프트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솜씨 좋은 네덜란드의 화가와 장인들은 유럽식 풍경을 청화 화면에 담기 시작하였고 기형 역시 네덜란드 음식기나 장식기명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델프트도기는 원료의 한계로 18 세기 이후 독일 마이센자기에 밀려 최고 수준의 자리에 머물지 못했지만 쉬느와즈리의 열풍 속에서 중국 청화백자를 주석 백유 도기 위에 모방, 재현하였고 유럽 도기생산에 있어 중요한 자리를 점하였다는 점에서 그 도자사적 의의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n Delftware and its limitations during the Dutch Republic era.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ferences and images collected from the field trips to Amsterdam Museum (Rijksmuseum) and former producer of Delft Royal Delft ruins of the workshop,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in Delft. Furthermore, I hav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on 17th-century Dutch Republic and the also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 India Company, and background history of Delft pottery production. I have also compared images of Chinese porcelain depicted on 17th century Dutch still-life painting with actual Delftware for patterns and forms to study the usage and its influence on Delft pottery. Based on traditional ceramics production, Delft pottery substituted domestic market with imitations of imported Chinese porcelain. Its shape and form were various from Kraak style in traditional form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r added Europe decorations which gradually changed to Dutch pottery. A skillful Dutch painter and artisans decorated Delftware and the forms were also accustomed to Dutch life style. The production of Delftware decreased when Meissen in Germany produced its fine wares in 18th century. However, Delftware is significant in European ceramic production history by imitating and recreating Chinese porcelain on its tin glazed potter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