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네덜란드공화국 유입 중국도자가 델프트 도기에 미친 영향

        방병선 ( Bang Byungs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7 강좌미술사 Vol.48 No.-

        본 논문은 네덜란드공화국 시절 유입된 중국도자가 델프트도기에 미친 영향과 그 한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델프트도기의 최대 수장처인 암스텔담의 라익스박물관(Rijksmuseum)과 생산지였던 델프트의 로얄델프트 공방, 델프트의 네덜란드 동인도회사 유적 등지를 답사하여 관련 자료의 촬영과 문헌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자료 분석을 바탕으로 17 세기 네덜란드공화국의 성립과 동인도회사의 성립, 델프트도기의 생산배경을 분석하였다. 더불어 17 세기 네덜란드 정물화에 나타난 중국도자의 문양과 기형, 양식 등을 실제 델프트도기와 비교, 고찰하여 당시 네덜란드인의 생활에 스며든 중국도자의 용도와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중국 도자 모방의 변천과 델프트도기에 미친 중국도자 영향의 한계를 고찰하였다. 델프트도기는 전통적인 네덜란드 도기 제작의 토대와 수요층을 바탕으로 막대한 양으로 수입되던 중국자기의 모방과 변용을 시도하였다. 전통적인 중국 크락 양식의 기형과 문양의 불완전한 모방에서 점차 중국적인 기형 혹은 기본 문양 구도에 유럽 장식이 더해지거나 완전한 네덜란드식 도기로 변용되었다. 델프트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솜씨 좋은 네덜란드의 화가와 장인들은 유럽식 풍경을 청화 화면에 담기 시작하였고 기형 역시 네덜란드 음식기나 장식기명을 제작하기 시작하였다. 델프트도기는 원료의 한계로 18 세기 이후 독일 마이센자기에 밀려 최고 수준의 자리에 머물지 못했지만 쉬느와즈리의 열풍 속에서 중국 청화백자를 주석 백유 도기 위에 모방, 재현하였고 유럽 도기생산에 있어 중요한 자리를 점하였다는 점에서 그 도자사적 의의가 크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n Delftware and its limitations during the Dutch Republic era. This research is based on the literature references and images collected from the field trips to Amsterdam Museum (Rijksmuseum) and former producer of Delft Royal Delft ruins of the workshop, the Dutch East India Company in Delft. Furthermore, I have analyzed previous studies and analyzed relevant literature on 17th-century Dutch Republic and the also the establishment of the East India Company, and background history of Delft pottery production. I have also compared images of Chinese porcelain depicted on 17th century Dutch still-life painting with actual Delftware for patterns and forms to study the usage and its influence on Delft pottery. Based on traditional ceramics production, Delft pottery substituted domestic market with imitations of imported Chinese porcelain. Its shape and form were various from Kraak style in traditional form of Chinese export porcelain or added Europe decorations which gradually changed to Dutch pottery. A skillful Dutch painter and artisans decorated Delftware and the forms were also accustomed to Dutch life style. The production of Delftware decreased when Meissen in Germany produced its fine wares in 18th century. However, Delftware is significant in European ceramic production history by imitating and recreating Chinese porcelain on its tin glazed pottery.

      • KCI등재

        皇帝ㆍ文人ㆍ景德鎭

        방병선(Bang Byungsun)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08 美術史學 Vol.22 No.-

        이 논문은 청조 강희, 옹정, 건륭제 시기 청화백자의 양식변천과 경덕진 운영, 제작기술 등을, 內務府?案과 輳摺文 등의 문헌과 작품 분석을 통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강희기는 강희 20년 경덕진 어요창이 제 모습을 되찾고 장응선 같은 감독관이 부임함에 따라 안정적인 기술적 토대가 마련되었다. 양식적으로는 명말청초기에 이어 화보와 판화 발간 붐에 힘입어 문인 취향의 산수문 회화 양식들이 청화백자에 그대로 나타났다. 명말청초기부터 유행한 괴이하고 과장된 바위 표현이 등장하고 절벽과 바위 묘사에서 보다 세밀한 피마준법이 사용되었다. 주제는 소설 삽화나 화보, 판화의 내용을 그대로 시문한 것이 많았으며 詩意圖도 계속 제작되었다. 산수도 이외에도 삼국연의나 수호전 같은 역사 소설, 西廂記와 같은 애정 소설의 장면과 귀비행락도와 사녀도 등이 시문되었다. 그러나 강희 후반기로 갈수록 문양에서 절파풍의 강렬한 농담 대비가 유행하였다. 산수 문양은 형식화 내지 정형화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강희 후반기 이후 산수화 청화백자에 대한 수요층의 감소로 인한 것으로 추정하였다. 옹정기는 옹정제의 명 선덕, 성화기 그릇을 비롯하여 강희기까지를 포함한 古玩에 대한 趣味와 엄정한 성격 탓에 이전 시기 청화백자에 대한 완벽한 재현을 목표로 ?製가 이루어졌다. 경덕진 어요창도 年希堯, 唐英 등이 부임하면서 제작기술의 향상과 철저한 방작이 행해졌다. 그러나 이전까지 보이던 새로운 양식의 출현은 주춤해졌고 정형화된 문양들이 주를 이루게 되었다. 산수문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花鳥, 八仙 등의 길상문이 크게 증가하였다. 건륭기에는 황제 취향 탓에 古器 방제가 더욱 성행하였다. 경덕진 운영은 최고의 경덕진 관리인 唐英이 현지 생산 전문가인 老格을 協造로 임명하는 상호 협력 체제를 구축함에 따라 안정적인 생산 기반을 마련하였다. 양식적으로는 산수문 이외에 화훼, 화조, 길상문 등이 유행하였고 당시 서양화풍의 유행에 따라 청화 안료 사용에서 음영법이 응용되었다. 그러나 건륭 후반기에는 경덕진 관요 관리에 차질이 빚어지고 새로운 양식의 출현 없이 관습화된 모방과 고착화된 양식만이 명맥을 유지하는 결과가 빚어졌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anagement of the Imperial kiln in Jingdezhen, production technique and stylistic change of the Blue and White during the Kangxi to the Qianlong reign in the Ching dynasty. And it is also done through the survey of the archives of ministry of Interior and the petition to the emperor. Firstly during the Ching Kangxi period(1662-1722), the Imperial kiln in the Jingdezhen reopened in 1681. The painterly style of landscape which literati scholar preferred became shown on the blue and white owing to the prevailing publication of the painting album and the prints. The grotesque expression of rocks and mountains with fine brush stroke got used. Moreover the narrative scenes from the woodblock prints which illustrated the themes of landscape painting, histories, novels and drama of the late Ming were painted too. Secondly during the Yongzheng reign(1723-1735), emperor had the characteristics of collecting and appreciating the antiques including Sung and Ming ceramics. His patronage of porcelain made the potters reproduce the finest wares of the past and create new styles. Although the style of porcelain was simple and less creative, imitation was almost perfectly done. And the landscape decoration decreased while the bird and flower and the auspicious design increased. Finally during the reign of the Qianlong emperor(1736-1795), through the analysis of imperial archives and the texts of petition to the Emperor, the great innovator and controller, Tangying of imperial kiln was confirmed to establish the cooperative system with the local technicians, Laoke in Jingdezhen. He made mass production of high quality porcelains and wrote several records about the porcelain. On the blue and white were well represented the style of the Ming Xuande and the Chenghua period and even the western painting style. Fine brush strokes, color shading and gradation appeared on the depiction of animals and rocks. But entering into the late period of Qianlong, the operation of Imperial kiln got worse. And the stereotyped style got popular without new one.

      • KCI등재

        1870년대 이후 조일(朝日) 요업 근대화 비교 고찰

        방병선 ( Bang Byungs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21 강좌미술사 Vol.57 No.-

        본 논문은 1870년대 이후 조선과 일본의 요업 근대화 과정을 분원과 아리타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여 조선의 요업 근대화 문제를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일본은 개항과 통상조약의 체결, 유럽내 자포니즘의 유행으로 국내외 도자 수요층이 확산되었다. 1870년 폐번치현 이후 번요가 폐지되면서, 새로운 민요가 등장하여 발전하게 되었다. 일본 정부는 해외 만국박람회 참가를 계기로 도자산업 육성을 목표로 직수출 정책을 펼치는 한편, 『온지도록』같은 공예 디자인 도록을 발간, 배포하고 민간 수출 가마에 도안 지도를 하였다. 또한 생산 주체로 상인들이 등장하여 근대적 회사조직을 설립하거나 관과 공동으로 무역회사를 창립하였다. 관민 협동으로 유럽산 선진 요업 기계와 기술을 수입하고, 외국인 고용을 통한 기술 지도로 요업근대화에 박차를 가하였다. 여기에 요업 관련 은행과 공예전문학교가 아리타에 설립되어 정부와 민간의 협업에 정점을 찍었다. 다음 조선 역시 개항과 통상조약체결, 만국박람회 참가 등을 시도했으나 도자 생산과 기술개발에는 별반 영향이 없었다. 다만 누적된 폐단을 시정코자 상인들의 왕실용 자기 생산 참여를 허용하여 1883년 사옹원 분원을 상인물주와 일부 변수가 운영하는 분원공소로 민영화하였다. 일본과 같은 선진 요업 기계와 기술 도입, 요업 금융기관 설립 같은 요업근대화 작업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다만 1900년대 이후 일본 주도의 관립 공업시험소가 설립되어 요업기술 인력 양성이 일부 시도되었다. 결국 1870년대 이후 조선과 일본의 관요 민영화와 근대화 과정은 도자를 산업화하여 부국강병의 근본으로 삼을 것인가라는 인식과 국가와 민간의 협력 여부에 따라 결정되었음을 본 논문은 확인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official kiln’s privatization and modernization of the ceramic industry of Korea and Japan since the 1870s. By comparing the ceramic production affairs of Korea Bunwon with Japan Arita, this paper addresses the backgroun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the reason why Korea could not modernize the ceramic industry successfully like Japan. Through the opening port and popularity of Japonism in Europe, Japan expanded the ceramic market and abolished the Han(藩) official kiln by the act of “Haihanchiken(廢藩治縣)” as private kilns advanced. After employing the foreign specialist who guided advanced ceramic technology and participated on several international expositions, the government made a direct trade policy, published the design catalogue of crafts, and established the private-public mix trading company. In addition, the merchants launched their own modern ceramic company.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civil, advanced European techniques and pottery machines were imported from Europe to establish the financial banks and ceramic schools in Arita. The Korean government demonstrated few implementations such as opening port and commercial treaty. However Korea could neither export ceramics to the foreign countries nor expand production of ceramics. In 1900, Korea was invited to participate at the Paris international exposition to improve the production technique but failed to exploit that chance. Some merchants and potters joined to manage the public-private Bunwon ceramic company but it closed before long. There were neither import of the European advanced ceramic machine nor establishment of the ceramic bank and ceramic education school. Only the engineering lab center was established by Japan during the 1900’s to educate the ceramic technicians. Finally, this paper offers the modernization of ceramic industry of Korea and Japan since the 1870’s was dependent on the awareness of industrialization of ceramic production and the policy intention of government.

      • KCI등재

        고려 철화청자의 기원

        방병선(Bang, Byungs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45 No.-

        본 논문은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로 나누어 각각의 기원과 고려 철화청자와의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고려철화청자의 기원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 성과를 고찰하고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에 대한 현지답사와 자료 수집을 통해 시각적 특징과 기법 등에 대해 보다 면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장사요는 고려철화청자의 산화철 장식 기법과 장사요의 산화철유하채 기법과의 유사성으로 인해 고려철화청자의 제작 배경으로 논의되어 왔으나 아직까지 뚜렷하게 밝혀진 바는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미 한반도로 유입된 장사요 자기를 모본으로 고려청자에 유하채 기법이 실현되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았으나 생산 시기의 차이와 조형적 이질감 등으로 쉽게 결론을 내기는 어려웠다. 다음 월주요는 고려청자 발생에 절대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주목되지만 당송대 월주요에서 생산된 철채 청자의 수가 워낙 미량이어서 확실한 근거를 찾기 어려웠다. 그러나 월주요 사룡구 요지에서 청자철화장고가 출토된 점과 소위 월주요계에 속하는 절강성의 온주(溫州) 구요(?窯)나 강서(江西) 홍주요(洪州窯) 등이 모두 송원대까지 철화청자를 활발히 생산하였고 한반도에 유입되었을 가능성 또한 높은 점 등을 고려하여 고려 철화청자와 영향 관계가 있음을 유추하였다. 다음 서촌요는 철화문양이 12세기 고려 철화청자 문양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기원에 관해 편년 차이가 심해 이를 수용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호남성 일대 송대 백매요와 형산요, 영전요의 자기에 모두 서촌요식의 화훼문이 등장하였고 북방 요주요에도 유사한 문양이 보이므로 고려철화청자에 등장하는 문양이 서촌요가 아닌 이들 가마로부터 전래되어 다양한 채회 방식으로 구현되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결론적으로 고려철화청자의 발생은 장사요와 월주요, 서촌요 같은 중국 특정 요장과 고려청자 요장과의 일대 일의 단선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하고 복잡한 단계와 중국 장사요와 월주요, 그 밖의 남방계 요장 등의 복합적 영향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the origin of the Korea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Chines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of the Changsha kiln and the Yue kiln, the Xichun kiln. For the research, I explored the previous study on this field and executed the field survey of the Chinese kilns and analysed the decoration methods and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that wares. Firstly, I supposed that Koryo potters made the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by modeling the ceramics of the imported Changsha kiln 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gap of production date and stylistic differences between Koryo celadons and Changsha wares made that assumption uncertain. Secondly, I investigated that the potters of Yue kiln which took a great affect on the production of Koryo celadon in the beginning, had made a few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during the Tang and Northern Sung Dynasty. Even so, celadon drum with iron painted decoration, similar to the Koryo celadon drum, was excavated in the Silongkou Yue kiln site. Thus I assumed that Yue kiln could be related to the origin of Koryo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Thirdly, I found that the floral motifs of series of Xicun kiln that were supposed to be affected by the Yaozhou kiln in Northern China had the common style with Koryo iron painted celadon of the 12th century. But some excavation in Korea showed that at least from the 10th century, Koryo iron painted celadon appeared, it is hardly to say that Xicun kiln should be the origin of Koryo underglaze iron painted celadon. Finally, I concluded that Changsha kiln and Yue kiln including more Chinese kilns on various ways might be engaged in the making Korea iron painted celadon.

      • KCI등재

        일본 중세 세토요의 중국도자 모방과 제작기술

        방병선 ( Bang Byungsu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1 No.-

        본 논문은 일본 중세 세토요의 중국도자 모방과 제작기술 고찰을 통해 도자무역과 교류에 따른 수용국의 대상 모델에 대한 복제와 모방, 창신과 그 한계 등을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도자문화의 차이점을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먼저 세토요의 기원과 변천을 간략히 살펴보고 세토요에 보이는 중국도자 복제와 모방에 대한 기존 연구를 토대로 모방의 한계와 창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기술의 차이에 따른 새로운 양식 창출 관련 문제에 관해 검토하고 이를 동시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중국도자 모방과 비교하고자 하였다. 중세 세토요에서 중국도자를 모방하여 제작한 기형은 사이호와 매병, 주자, 광구호, 다완과 다호등이며 철유를 사용한 흑갈색 발색 등이 시유도기로 재현되었다. 그러나 기술 전수가 동반되지 않은 한계로, 자기 태토 사용과 효율적 가마 축조와 소성 기술, 고화도 환원 유약 제조 등이 이루어지지 않았고, 중국의 용천요 청자와 경덕진 백자 등과 같은 자기는 제작되지 못하였다. 반면 세토요 특유의 기종인 狛犬, 인화문과 첩화문 장식과 문양, 분염주를 사용한 독특한 가마 구조 등은 세토요의 개성으로 이후에도 잔존하였다. 결국 동 시기 고려가 동반된 기술전수를 바탕으로 고급 청자와 백자 생산에 성공한 것과 달리 세토요는 도기에 대한 일본 수요층의 전통적인 기호를 바탕으로 내재적 변화를 겪으면서 모방과 창신을 거듭하였지만 자기 생산으로 이어지지 않았다. This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he culture of ceramics based on the imitation, creation and limitations of the original models of the recipient countries according to the ceramics trade and exchange of ceramics in Japan. First, I will briefly examine the origins and changes of Seto kiln, introduce the existing studies on the copying and imitation of Chinese ceramics in Seto ceramics, and examine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such as glaze and kiln structure for the imitation and innovation.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reation of new style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echnology and compare with the imitation of Chinese ceramics shown in the Goryeo celadon at the same time. In the Medieval times in Seto kiln, a model that mimicked Chinese porcelain were four eared jars, meiping vase, bottle, tea bowl and teapot and these were iron glazed in dark brown color.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echnology, the usage of clay body material and effective kiln building and lack of firing technology, it filed to raise temperature to manufacture reduction glaze. On the other hand, a unique model of Seto kiln with dispersion column of fire inside the kiln and unique shape with stamping and applique technique of decoration remained. In the end, contrast to the successful production of high-quality celadon and white porcelain based on technology transfer that was accompanied by the Goryeo Dynasty, Seto kiln underwent internal changes based on traditional Japanese tastes for pottery, but failed to produce porcelain.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高麗美術館 소장 19세기 조선백자 연구

        방병선(Bang Byungsun) 한국미술사학회 2007 美術史學硏究 Vol.- No.253

        본 연구는 高麗美術館 소장품 중 59점의 19세기 백자를 현지에서 실견 및 실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백자의 색상과 제작기법, 기형, 문양 시문 등을 자세히 고찰하여 그 양식 특성을 소개하고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고려미술관은 일본 교토에 소재한 사립미술관으로 1988년 재일교포인 故정조문씨가 기증한1,700여 점의 기증품이 중심이 되어 문을열었다. 고려미술관 소장 19세기 백자들의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면 우선 다양한 器種과 技法, 文樣을 들수 있다. 기종의 경우 완ㆍ발ㆍ찬합ㆍ주병 같은 飯食器皿과 항아리ㆍ향로 등의 儀禮用器, 연적과 필가ㆍ묵호 같은 문방구류, 묘지석 등 19세기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백자 기종이 망라되어 있다. 문양도 운룡문과 산수문, 십장생, 박쥐, 불수, 모란. 포도, 다람쥐. 대나무 등으로 筆致와 농담 처리 등에서 일부 열악한 것도 있으나 대부분 타 박물관 소장품들과 비교할 때 우수한 편이다. 장식기법도 다양해서 靑畵와 鐵畵, 銅畵가 다 시용되었고 이들을 혼용하기도 하였으며 양각청화와 문양 이외의 여백을 청화로 채색하여 화려함을 돋보이게 하였다. 성형 기법을 보면 향로의 경우 귀걸이 연결 부위에는 유약을 칠하지 않고 번조하여 움직임이 가능하게 하였고 이층 찬합도 일그러짐 없이 이가 잘 맞물리도록 하였다. 또한 30여 점의 다양한 형태와 장식의 연적에서는 19세기 문방구류에서 느낄 수 있는 해학과 서정성, 괴장과 치졸함이 공존하는 공예미를 그대로 드러내었다. 이들은 모두 우수한 조형성과 제작기술 등을 갖춘 작품들로 조선시대 19세기 백자를 조명하는 데서 귀중한 자료로 보전되었다. In this paper, I examined 59 porcelain works from the nineteenth century in the collection of the Koryo Museum of An in terms of the production techniques, colors, shapes and motif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works. The Museum was established by the late Jung Jo-mun in 1988 and located in Kyoto, Japan, It has 1,700 works donated by its founder, Among them the Joseon-dynasty porcelain works are superior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Especially me blue-and-white works dating from the 19th century, which amount to 200 pieces, are of excellent quality compared with those in any collections in Korea an overseas. Diversity in their techniques and decoration motifs is the prime characteristics of style. Various types such as tableware, ritual ware, stationery (water dropper, pen stand, ink container) and even epitaphs, are present in me collection, Motifs of dragons and clouds, landscapes, bats, the Buddha hands, peonies, grapes, squirrels and bamboos were painted. Decorations in underglaze blue, underglaze iron-brown and underglaze red-copper were used separately or sometimes together on me vessels. Blue coating on the porcelain and relief carving make ceramics look better and luxurious. Various shapes of water droppers showed the aesthetics and beauty of me nineteenth-century porcelain.

      • KCI등재

        1870년대 이후 分院 官窯 변천

        방병선(Bang Byungs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한국학연구 Vol.49 No.-

        본 논문은 1870년대부터 1910년까지 조선시대 왕실용 자기 생산을 담당했던 사옹원 분원의 변천 과정과 원인, 이와 관련된 장인과 관리, 제작에 관한 내용을 다루었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대상 문헌은 『分院邊首復設節目』(1874)과 『分院各項文簿抄錄』(1873-76), 『分院磁器貢所節目』(1894)과 같은 분원 관련 문헌과 『조선왕조실록』과 내장원『完文』과 같은 관찬사료, 지규식의 『荷齋日記』(1891-1910)와 같은 민간자료 등으로, 시기는 고종 연간인 1870년대부터 1910년까지로 하였다. 먼저 1870년대 분원은 여러 가지 적폐가 노정되어 제대로 된 자기진상이 어려웠다. 16명에서 24명에 이르는 원역들과 복설과 폐설을 거듭한 두 명의 변수들은 자본을 모으고 이를 통해 이익을 챙기려 하면서 서로간의 갈등으로 분원의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었다. 이에 조정에서는 변수를 파하였다가 1874년 변수복설의 조치를 내리고 낭청과 원역, 변수의 협업 체제를 지원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복설이 된 이후도 분원의 병폐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다. 한편 장인들은 분원응역에 응하지 않는 수가 누적되어 타지역의 장인을 불러오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장인들의 경제적 보상을 위한 사번 자기의 판매는 매우 제한적이어서 이익을 얻기 어려웠다. 반면 퇴임한 분원 관리들은 設店하여 판매에서 여러 이득을 취하고 있었다. 1880년대 들어 왕실재정의 축소와 재정 운용의 합리화에 따라 1883년 낭관 파견금지와 허민번조를 중심 내용으로 하는 감생청의 공안이 발표되었다. 이어 원역 가운데 공인 12인을 지정하여 자기를 진상토록 하는 내용의 『分院磁器貢所節目』이 1884년 공표되면서 분원은 분원공소로 탈바꿈하였다. 이후 지규식의 『荷齋日記』에 따르면 분원공소(1884-1895)는 정부의 원료 공급과 일부 재정 부담에도 불구하고 진상과 판매에서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새로운 기술 개발의 부재와 경영 실패로 문을 닫았고 이후 번자회사(1896-1905), 번사회사(1906-1910), 자기회사(1910) 등과 같은 회사체제로 전환되었다. 그러나 이 역시 정교한 디자인과 대량생산을 위한 철저한 분업화와 기술 혁신, 학교 교육을 통한 근대식 기술자 양성, 금융지원 등이 거의 전무하거나 미진하여 결국 근대화된 회사로 성공하지 못하고 문을 닫았다. 반면 일본인들은 채기 제작과 청화 안료 유통을 장악하며 조선 자기 시장의 상당 부분을 잠식하고 있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Joseon royal kiln from 1870 to 1910. Some of the major issues are as follows: the cause of the change, the activity of potters and officers, production and technique. I have analysed several public and private documents, such as The Reinstatement of the Kiln Master of the Royal Kiln(分院邊首復設節目, 1874), The Abstract of Provision Document of the Royal Kiln(分院各項文簿抄錄, 1873-76), The Regulation of Tribute System of the Royal Kiln(分院磁器貢所節目, 1894), other government compilation of the royal kiln and the Diary of Ji Kyusik(荷齋日記, 1891-1910). In 1870s, due to the inner corruption, the royal kiln failed to pay the tribute. There were 16 to 24 officers stationed at the royal kiln. The officers and the royal kiln masters made efforts to make profits from the porcelain production and sales, however the continuous corruptions and inner conflicts deteriorated the situation. Thus in 1874, the kiln master, who had been dismissed for neglecting his duties of the tribute, was reinstated in the service. But it failed. On the other hand, the public potters continued to drop out and the government officers had to reemploy potters for substitute. The private sale of public potters was highly restricted and less profitable. In the meantime, retired officers from the royal kiln opened the ceramic shops and started to make profits. From 1880s, the government reduced budget of royal kiln and banned dispatching officers in 1883. Futhermore, The Regulation of Tribute System of the Royal Kiln was enacted in 1884 and appointed 12 officers in charge of tribute system. Thus, the royal kiln was designated as the Bunwon tribute office. According to the Diary of Ji Kyusik, the tribute office(1884-1895) closed down because of the financial difficulty. Later it was run by the Beonja company(1896-1905), the Beonsa company(1906-1910) and the Porcelain company(1910). However it failed to make regular tributes and profitable sales. Lack of innovative ideas in design, mass production technology, training school for potters and financial support were inevitable to the consequence. On the other hand, Japanese merchants cornered the Joseon market in porcelain with overglazed wares and sales of cobalt pigment.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