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콤포머의 NaOH 용액 내에서의 화학적 분해

        박미란,양규호,최남기,이영준,김선미 大韓小兒齒科學會 2004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1 No.2

        이상적인 수복재료는 치아의 저작기능과 심미성을 회복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생체 적합성과 구강 내 환경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수복물이 장기간 구강 내 환경에 노출되면 수복물 표면의 마모와 변색 및 수복물 자체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다. 콤포머도 복합 레진처럼 낮은 마모 저항성을 주요한 단점으로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치 수복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Dyract (Dentsply, USA), Elan(Kerr, USA), F-2000(3M, USA)의 3종의 콤포머(polyacid modified resin composites)를 알칼리성 용액(0.1N NaOH)에 보관하였을 때 각 제품의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및 시편내에서 용출된 Si, Al과 Ba의 농도를 평가하여 제품간의 분해저항성을 평가하고 비교를 하고자 하였다. 각 제품 당 6개의 시편을 제작하여 무게 측정을 한 후, 0.1N NaOH용액, 3㎖에 저장하여 60℃에서 보관하였다. 2주후 제거하여 1.23% HCI로 2시간동안 중화하고 증류수로 세척한 60℃에서 건조하였다. 분해저항성은 무게손실, 분해층 깊이 및 시편내의 Si, Al과 Ba의 농도 변화를 근거로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각 제품의 무게 손실량은 1.43%~2.14%까지 다양하였으며 제품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각 제품의 표면하 분해층 깊이는 182.92㎛~227.70㎛였으며 제품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각 제품으로부터 용출된 Si, Al양은 각 제품마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5), Si는 Dyract에서 Al은 F-2000에서 가장 많은 양이 방출되었다. 용출된 Ba양은 각 제품마다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무게 손실량과 표면하 분해층 깊이 사이의 상관 관계에서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64, p<0.05). 5.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시 0.1N NaOH용액에 보관한 후 콤포머기질과 필러사이의 결합의 파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기질이 소실되어 필러입자가 두드러진 양상을 보였다. 또한 필러입자의 표면은 분해에 의해 탈회된 모습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현재 유치 수복에 사용되고 있는 3종의 콤포머는 분해저항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of three commercial compomers in an alkaline solution. Dyract(Dentsply). Elan(Kerr) and F-2000(3M) polyacid modified resin composites(compomers) were used in this study. The resistance to degradation was evaluated on the basis of mass loss(%), degradation depth(μm) and Si, Al, Ba loss(pp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mass loss of each brand was 1.42%-2.14%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mass loss among Dyract, F2000 and Elan. 2. The degradation layer depth of each brand was 182.92-227.7μm a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degradation layer depth among Dyract, F2000 and Elan. 3.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i-loss and Al-loss among three compomers (p〈0.05). Si loss was the highest value in Dyract and Al loss was the highest value in F2000. 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ass loss and degradation layer depth (r=0.60, p〈0.05). 5. In SEM finding, there was some destruction of compomer matrix-filler interface in post-exposure specimen to NaOH solution. As the matrix decreased, the filler particles distinguished and the periphery of the filler particles appeared whitish color due to degradation.

      • KCI등재

        치과용 수복재의 수분흡수도와 압축강도의 변화에 관한 연구

        장우혁,최영철,Chang, Woo-Hyuck,Choi, Yeong-Chul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레진계열의 심미성 수복재는 구성성분에 따라 각기 다른 특성과 물리적 성질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수복물 주변의 환경도 물성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특히 수분의 흡수는 수복재 물성 변화에 큰 역할을 하며, 재료의 조성과 친수성 정도, 경화기전, 침지기간과 배지 등의 다양한 요소와 관련되어 수복재마다 각기 다른 양상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는 레진계열의 수복물 중에서 복합레진, 레진변형 글라스아이오노머 및 콤포머의 침지기간에 따른 수분흡수도와 압축강도의 변화를 계측하여 비교하고, 수분흡수도와 압축강도 간에 나타나는 상관관계를 밝히고자함이다. 복합레진으로는 Z-100(3M, U.S.A.), 콤포머는 F-2000(3M, U.S.A.), 레진변형 글라스아이오노머는 Vitremer Restorative(3M, U.S.A.)를 이용하여 수분흡수도와 압축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을 각각 제작하였다. 각 시편을 1일, 2주, 4주, 8주간 $37^{\circ}C$ 증류수에 넣어 보관한 후 수분흡수도는 침지 전과 후의 질량차를 부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하고, 압축강도는 Instron(Instron Corporation Headquarters, U.S.A.)을 이용하여 측정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세 가지 수복재 모두 침지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수분흡수도가 증가하였으며 수분흡수의 대부분은 초기 2주 동안에 나타났다(P<0.001). 2. 레진변형 글라스아이오노머의 수분흡수도가 복합레진과 콤포머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3. 세 가지 수복재 모두 침지시간에 따라 압축강도가 감소하였으며(복합레진과 콤포머: P<0.001, 레진변형 글라스아이오노머: P<0.05), 특히 복합레진이 다른 재료에 비해 가장 큰 감소 경향을 나타냈다. 4. 세 가지 수복재 모두 수분흡수도가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가 감소하였다(P<0.05). The aesthetic restorative materials are widely used in recent dentistry, showed not only the different quality between each component but also showed that the environment of the material has important effect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Especially, when the restoratives are restored in the mouth, and since saliva is existing, the restoratives are always exposed to water and affected by the saliv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compare the change of the degree of water sorption after water immersion of three types of the resin-based material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observe the 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the water absorbing degre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Z-100(3M, U.S.A) as a composite resin, F-2000(3M, U.S.A) as a compomer and Vitremer Restoratives(3M, U.S.A) as a resin-modified GIC were used, and each specimen was made to measure the water sorption and to evaluate the compressive strength. The specimens for measurement of the water sorption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were divided into 4 groups(1 day, 2 weeks, 4 weeks, and 8weeks). Each specimen was filled in the 30cc vial with 20cc of distilled water during the fixed amount of period in $37^{\circ}C$. The water sorption is decided by dividing the difference of weight before and after the immersion by the volume,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measured by using the instron after the immers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The more the water sorption increased, the more the immersion period of three restorative materials was long. And the most of water sorption was obtained during the first 2 weeks(P<0.001). 2. The water sorption of resin-modified GIC was higher than composite resin and compomer. 3. The more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 the more the immersion period of three restorative materials increased(composite resin and compomer: P<0.001, resin-modified GIC: P<0.05). Especially, the amount of the reduction in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mposite resin was the highest. 4. The more the water sorption of all materials increased, the more the compressive strength decreased(P<0.05).

      • KCI등재

        광중합 방법 및 레진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유치 수복물의 미세누출

        정영남,김대업,이광희,Jeong, Young-Nam,Kim, Dae-Eop,Lee, Kwang-Hee 대한소아치과학회 2002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9 No.4

        광중합형 복합레진 및 다양한 레진 접착제는 최근 소아의 유치 수복에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치의 복합레진 수복 시 중합방법과 접착제에 따른 미세누출의 차이를 실험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다. 탈락기에 있는 건전한 유전치 150개의 순면에 직경 1.6mm, 깊이 1.6mm의 와동을 형성하였다. 와동의 충전재로써 1종의 복합레진, 1종의 콤포머, 4종의 레진 접착제를 사용하였다. 중합 광원은 3종을 사용하였다. 충전이 완료된 각 시편은 Sof-Lex 폴리싱 디스크로 표면을 연마한 후 $5^{\circ}C$와 $55^{\circ}C$에 각 30초씩 계류시켜 1,000회 열순환하고 2% methylene blue 수용액에 넣어 색소를 침투시킨 후 저속 diamond cutter($Isomet^{TM}$, Buehler, USA)를 이용하여 순면을 근원심으로 절단하였다. 각 재료별 미세누출의 정도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충전재 및 광중합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콤포머를 사용한 5군에서 충전방법과 관계없이 가장 작았고, Clearfil SE bond를 Optilux 501로 중합한 군에서 가장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2. 충전재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콤포머를 충전한 5군에서 $1{\sim}4$군의 복합레진 충전군에 비해 더 작은 미세누출을 보였다(P<0.05). 3. 광중합 방법에 따른 미세누출을 측정한 결과, Optilux 501을 사용한 군에서 가장 작았고, Flipo를 사용한 군에서 가장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다(P>0.05).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everal light curing methods and several adhesives on the microleakag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primary teeth. Materials and methods : In 150 extracted human primary anterior teeth, O-shaped cavities were prepared in the labial surface ; the cavity diameter and depth were 1.6mm. The cavities were filled with light-activated composite resin, Compoglass. Four kinds of adhesives were used. Each filling materials were polymerized with three light cure methods. The restorations were polished using Sof-Lex discs(3M Co., USA). The samples were thermocycled 1,000 times between $5^{\circ}C$ and $55^{\circ}C$ with a 1-minute dwell time. Then, they were immersed in a 2% methylene blue solution(pH 7) for 12hours. Subsequently they were sectioned labio-lingually through the center of the restoration with a diamond saw at low speed with a water coolant, and evaluated by stereomicroscopy. Microleakage analyses were done, using scores from 0 to 4. Results : Results showed the least microleakage in Compoglass group(P<0.05). There were less microleakage in SBMP group among the adhesive group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P>0.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depending on curing methods(P>0.05).

      • KCI등재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특성

        김상훈,백병주,김재곤,양연미,박정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5 No.3

        본 연구에서는 구강 환경과 유사한 조건에서 불소방출성을 보이는 콤포짓트 레진계 수복재의 내구성과 불소방출성을 조사하기 위해 4종의 콤포머와 1종의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을 실험재료로 선택하고 5℃와 55℃ 수중에서의 열순환 처리 후의 인장강도, 열순환 처리 후 칫솔에 대한 작용력 1.5N으로 100,000회 칫솔질을 시행하였을 때의 표면조도 및 불소치약 칫솔질 후 37℃ 수중에서의 불소이온 용출 양상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인장강도는 TC(Tetric^(ⓡ) Ceram)군에서 32.3 MPa, CF(Compoglass F)군에서 16.8 MPa이고, TC군과 DF(Dyract^(ⓡ) flow)군 및 CF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2.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조도 Ra는 TC군에서 0.287, FT(F2000)군에서 1.516이고, FT군과 나머지 시험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3. 칫솔질 마모시험 후의 표면에서는 필러의 돌출과 탈락 양상이 관찰되었다. 4.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콤포머는 초기에 높은 용출을 보인 후 시간이 경과하면서 용출량이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지만, 불소방출성 콤포짓트 레진의 TC군에서는 초기단계부터 낮으면서도 지속적인 용출을 보였다. 5. 불소치약 Perio Alpine Herb로 칫솔질 한 후 1시간이 경과하였을 때의 불소이온 용출량은 CF군에서 2.064μg/cm², TC군에서 0.1119μg/cm²이고, CF군의 용출량이 나머지 시험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였다(P<0.05).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fluoride-releasing resin composite restorative materials. Four commercially available compomer materials (Compoglass F: CF, Dyract^(ⓡ) AP: DA. Dyract^(ⓡ) flow:DF, F2000: FT) and one fluoride-releasing composite resin (Tetric^(ⓡ) Ceram: TC)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materials. Rectangular-shaped tensile test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a teflon mold giving 5 mm in gauge length and 2 mm in thickness. Disk-shaped specimens were fabricated in the split teflon mold with diameter of 15mm and thickness of 1 mm. After curing for an hour, specimens were immersed in deionized water at 37℃±1℃ for 30 days. All specimens were thermocycled for 10,000 cycles with 15 seconds of dwelling time in each 5℃ and 55℃ water baths. Toothbrush abrasion test was conducted under a load of 1.5 N and the abraded surfaces were examined with surface roughness tester (SV-3000, Mitutoyo Co, Japan) and SEM (JSM-5800, JEOL, Japan). Fluoride recharging was done by toothbrushing for 3 min. using a fluoride toothpaste (Perio Alpine Herb, LG Household & Health Care, Korea).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ighest tensile strength value of 32.3 MPa was observed in TC group and the lowest value of 16.8 MPa was observed in CF group. The tensile strength of TC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F and DF groups (P<0.05). 2. The lowest Ra value of 0.287 was observed in TC group and the highest value of 1.516 was observed in FT group. The Ra value of F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3. The abraded surfaces revealed the increase of surface roughness due to the protrusion and missing of filler particles. 4. The release of fluoride of compomers after tooth brushing by Perio Alpine Herb was initially large and then followed by small and continuously. But it remains small and constant in fluoride-releasing composite resin of TC. 5. The highest value of fluoride release after toothbrushing by Perio Alpine Herb was 2.064 μg/cm² in CF group and the lowest value was 0.119μg/cm² in TC group. The amount of fluoride release of CF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groups (P<0.05).

      • KCI등재

        불소 유리로 본 불소 함유 수복재

        김주원(Joo-W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5

        치과용 수복재에서 불소의 치질강화와 항우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재료에서 불소 유리량의 차이와 불소 유리의 지속성을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복재는 Ionoseal, Fuji Filling LC, Quadrant Universal LC, PermaCem<SUP>ⓡ</SUP>, Dyract<SUP>ⓡ</SUP> AP 등 5종이였고, 불소유리량 실험에는 ICS-5000 Reagent-FreeTM Ion Chromatography가 이용되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종류의 수복재에서 시간 경과 후 불소 유리량이 감소하였고, 4주 후에는 유의 할 만큼 급감하였다. Fuji Filling LC(12.446 ?)와 PermaCem<SUP>ⓡ</SUP>(16.008 ?)는 장기간 불소가 유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Ionoseal(0.887 ?), Quadrant Universal LC(0.957 ?)는 1주 후부터 1 ? 이하의 소량의 불소를 유리하였고, Dyract<SUP>ⓡ</SUP> AP는 1주 후에 8.631 ? 유리하였다가 2, 4주 후에는 급감하여 각각 0.175 ?, 0.116 ?을 유리하여 많은 시간 경과 후에는 불소 유리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Fuji Filling LC와 PermaCem<SUP>ⓡ</SUP>은 1주 경과 후 각각 33.372, 1.901 ?의 불소를 유리하였으나, 2주 후에는 급격히 많은 36.370, 18.223 ?의 불소를 유리하여 2주 후에 가장 많은 불소를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치과용 충전 수복재의 불소 유리에 가장 효과적인 재료는 레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 제품으로 나타났고, 미세누출로 인한 불소의 항우식 효과를 보기위한 제품 선택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인 것 같다. 제조회사의 매뉴얼에 나타나는 항우식 효과는 본 실험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향후 In Vitro 상태에서 레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 제품에 대한 더 오랜 시간 실험을 통해 불소유리의 지속시간 확인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Restoration materials us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luorine such as enamel strengthening and anti-caries effects in several types of dental restoration materials were five kinds including Ionoseal(VOCO GmbH, Cuxhaven, Germany), Fuji Filling LC(GC Co. Tokyo, Japan), Quadrant Universal LC(CAVEX Holland BV, Netherlands), PermaCem<SUP>ⓡ</SUP>(DMG, Hamburg, Germany) and Dyract<SUP>ⓡ</SUP> AP(Dentsply GmbH, Germany), and the amount of fluorine-releasing was measured with ICS-5000 Reagent-FreeTM Ion Chromatography(RFICTM, Dionex, U.S.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all types of restoration materials, the amount of fluoride-releasing was reduced with time passage and it was declined sharply to show significance in four weeks. Fuji Filling LC(12.445?) or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 and PermaCem<SUP>ⓡ</SUP>(16.121?) or compomer were found to release fluorine for a long term(P<.001). 2. Ionoseal(0.887?) or glass ionomer and Quadrant Universal LC(0.957?) or composite resin released a few fluorine of 1? or less than 1? after one week, and Dyract<SUP>ⓡ</SUP> AP or compomer released fluorine of 8.631? in one week and its amount of releasing decreased dramatically in two and four week by recording 0.175? and 0.116?, respectively. Therefore, the effect of releasing fluorine in four weeks was observed to be poor (P<.001). 3. Fuji Filling LC or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 and PermaCem<SUP>ⓡ</SUP> or compomer released fluorine of 33.372 and 1.902?, respectively in one week and their amount of releasing increased to be 36.371 and 18.223?, respectively in two weeks. So, their amount of fluorine-releasing recorded the highest levels in two weeks(P<.00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