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광양항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비표준화 화물의 컨테이너화에 관한 연구

        최성희 한국항만경제학회 2019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5 No.3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containerization plan for non-standardized cargo; it also reveals the significance of containerization in facilitating freight inducement and cargo creation for increasing the competitiveness of the Gwangyang port container terminal and checking excessive competition among terminal operator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containerization plan and its significance by dividing 14 items, ones with low containerization ratios or undergoing containerization, bulk, and liquid cargoes. In the case of general cargo, it will be necessary to raise the utilization rate by remodeling a general container or improving cargo loading techniques. In the case of bulk cargo,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it the benefits of containerization in preventing product deterioration due to rain, facilitating the sale of small orders, ensuring clean cargo handling, and reducing logistics cost, among others. In the case of liquid cargo, it will be necessary to order and sell liquid cargo in small quantities by using superior quality, safe, and durable Flexitank or Flexibag products, which offer transportation convenience and reduce time and costs. 본 연구는 광양항 컨테이너부두의 경쟁력을 높이고 터미널운영사 간 과도한 경쟁을 해결하기 위한컨테이너 화물유치 및 신규화물을 창출 할 수 있는 방안으로 비표준화 화물의 컨테이너화 방안과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컨테이너화 비율이 낮거나 최근 들어 컨테이너화가 진행되고 있는 14개 품목을 일반화물, 산적화물, 액체화물로 구분하여 컨테이너화 방안 및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일반화물의 경우 일반 컨테이너의 개조나 적재방법을 개선하여 이용률을 높일 필요가 있으며, 산적화물은 우천에 의한 제품 변질 방지, 소량 주문 및 판매 가능, Clean 화물 취급, 물류비 절감 등 컨테이너화 장점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액체화물은 높은 품질과 안전하고내구성이 강한 Flexitank나 Flexibag을 활용한 소량 주문 및 판매, 운송의 편리성, 시간과 비용 절감 등이 필요하다.

      • KCI등재

        특수 컨테이너를 사용한 철강 제품의 운송 방안 및 효과에 관한 연구

        김영기(Youngki Kim) 한국국제상학회 2020 國際商學 Vol.35 No.3

        본 연구는 강철 코일을 특수 컨테이너로 운반하는 컨테이너화를 연구하여 실제 사업에 도움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 Neo-bulk 화물과 곡물, 석탄, 목재 펄프, 액체화물 등의 컨테이너화에 대한 이전 연구를 요약하고, 컨테이너로 운송되는 물품과 화물의 원인과 배경을 요약하였다. 특수 코일 컨테이너에 의한 운송의 장점은 각종 사고로 인한 위험이 감소하고 운송 안정성이 확보되며 안전을 위해 필요한 shoring 및 lashing 작업이 필요 없어 적출입이 용이하고 비용이 절감된다. 컨테이너 적재 가능한 중량은 일반 컨테이너 보다 1.5 배 이상 높으며 고강도 철판 사양으로 안전성이 우수하다. 비용 절감 효과는 벌크선, dry 컨테이너 운송, 코일 컨테이너 운송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비교하였다. Non-match-back 운송의 경우에도 코일 컨테이너는 약 8%의 비용 절감 효과를 보였고, match-back의 경우 경쟁력이 높아져 22.1%에서 37.3%로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났다. 벌크 운송에 비해서는 2% ~ 23.3%의 절감 효과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확산이 느린 이유는 공컨테이너의 재배치 문제와 중량 화물을 선호하지 않는 해운회사들의 입장으로 성수기에는 선복 확보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 점, 현재 코일 컨테이너가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점 등이 있다. 코일 컨테이너가 가지는 안전성과 효율적인 운영시에 확보될 수 있는 비용 경쟁력, 소량 화물에 의한 수요 등으로 점차 코일 컨테이너에 의한 철강 제품의 컨테이너화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이 가능하겠다. Purpose : This study aims to be helpful in practical business by researching the containerization that transports steel coils in special containers.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e research centered on the data of a company that currently provide the service, and this is a practice-oriented research in the industry. The cost savings were compared through simulations of bulk carrier, dry container transport, and coil container transport. Results : The advantages of transportation by coil containers are that the risk from various accidents is reduced and the transportation stability is secured, and there is no need for shoring and lashing work for safety. Even in the case of non-match-back transportation, the coil container had a cost reduction effect of about 8%. Conclusions : Due to the safety of coil containers, cost competitiveness and demand for small cargo, it is expected that the containerization of steel products using coil containers will increase gradually.

      • KCI등재

        동북아 항만도시의 성장과 재구조화: 부산항을 중심으로

        백두주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urban growth and restructuring process of Busan, a representative port city in Northeast Asia, focusing on the dynamic change of Busan Por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promote the functional transformation of the port and the restructuring of urban space are containerization and globalization that have been in full swing since the 1970s. Containerization has increased the size of container ships and strengthened the power of transnational shipping companies and alliances. Port cities had to realize their ability to adapt to new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initial containerization process, Busan Port has grown into a container-specialized port with an overwhelming share of the nation's import and export container cargo volume. Second, in response to these environmental factors, Busan expanded the port-related infrastructure along with the phased development of the container pier. The factors for the increase in cargo volume were the state-led export-oriented industrialization, the high 'intermediacy' of Busan Port, and the strategy of transnational shipping companies. The pressure factors for port city restructuring were congestion of ships and freights due to lack of port facilities, the rise of traffic and environmental problems, and competition for hub ports in Northeast Asia. Third, the restructuring of the port city in response to the above pressure factors realized port relocation and redevelopment of the North redevelopment in Busan port. As a result, the futur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future and spatial evolution of the port city of Busan will depend on how it demonstrates its ability to adapt to risks and opportunities surrounding the city. 본 연구의 목적은 동북아지역의 대표적인 항만도시인 부산의 도시성장과 재구조화 과정을 부산항의 역동적 변화에 초점을 두고 규명하는 것이다. 항만도시들은 흐름의 집중과 분산의 긴장 사이에서 진자운동을 한다. 따라서 장소와 흐름의 다양한 발전논리, 상호작용, 갈등, 조정 그리고 적응하는 방식을 도시의 성장궤적에 따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있는 연구주제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만의 기능적 전환과 도시공간의 재구조화를 촉진하는 환경적 요인은 1970년대 이후 본격화된 컨테이너화와 그에 따른 세계화이다. 컨테이너화는 선박의 대형화, 초국적 선사 및 동맹의 권력을 강화시켰다. 항만도시들은 새로운 환경변화에 적응능력을 발휘해야 했다. 부산항은 초기 컨테이너화 과정에서 전국 수출입 물동량의 압도적 점유율로 컨테이너 특화 항만으로 성장해 나갔다. 둘째, 이와 같은 환경적 요인에 부산은 컨테이너부두의 단계적 개발과 더불어 항만과 연계된 기반시설도 확충해 나갔다. 그러나 지속적인 항만개발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물동량은 시설능력을 초과하여 급격히 증가했으며, 이러한 물동량의 증가요인은 국가주도의 수출지향적 산업화, 부산항의 높은 ‘중개성’, 초국적 선사들의 기항 전략의 산물이었다.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압력요인은 시설부족으로 인한 체선・체화심화, 교통・환경문제의 대두, 동북아 허브항만 경쟁 등이 작용했다. 셋째, 위와 같은 압력요인에 대응한 항만도시의 재구조화 결과는 항만이전과 기존 항만의 재개발이었다. 전자는 대규모 신항개발로 현실화되었으며, 후자는 기존 항만인 북항재개발의 추진이다. 북항재개발은 항만과 도시 관계를 재인식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향후 부산의 미래와 공간적 진화의 방향 및 내용은 항만도시를 둘러싼 위험과 기회요인에 대해 어떤 방식으로 적응능력을 보이는가에 좌우될 것이다.

      • KCI등재

        중국의 복합운송법에 관한 고찰

        고재종 ( Koh Jae-j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외법논집 Vol.24 No.-

        Normally, Multimodal transport means the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In compliance with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of Goods 1980, the International Multimodal Transport is provided in article 1(1) and that means the carriage of goods by at least two different modes of transport on the basis of multimodal transport contract from a place in one country at which the goods are taken in charge by the multimoal transport operator to a place designated for delivery situated in a different country. In the recent, the many people has been interested in these multimodal transport related of the east-north asia, specially, china. Also, when it tries to observe a trade present condition between our country and china, we know that it grows annual average 21% of 7,930 million dollar(2004) from 1,170 million dollar(1994) and the amount of goods transport grows the annual average 12% of 84 million ton(2004) from 27 million ton(1994) Nevertheless, the study on the multimodal transport of china is not nearly become accomplished. Therefore, In these thesis, I will investigate into the actual conditions of going into the china of our goods transport enterprise and the difference of the related law of the mentioned multimodal transport between our country and china. Consequentially, I hope that this thesis be of use the our enterprise's going into the china.

      • KCI등재

        풍력발전부품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본 국제 운송경로 분석

        윤석환(Seok Hwan Yun),박진희(Jin Hee Park)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4

        풍력에너지는 20여년 전부터 새로운 대체 연료로서 주목받기 시작하여 현재는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풍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발전량의 30%를 차지하며, 이 비율은 지난 10여 년 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근래에 들어 일반 발전방식들의 탄소 배출량 증가 및 온실효과로 인한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풍력발전에 대한 국제적 수요는 점차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풍력 발전용 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운송경로를 제안하기 위해 풍력 발전용 부품의 운송 특성에 따라 그 경로를 접근성 우선 경로, 경제성 우선 경로, 편의성 우선 경로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풍력발전부품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운송기간의 문제 뿐 아니라 운송경로의 효율성과 경제성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지금까지 선박회사나 포워더를 통해 이루어지던 운송경로의 결정을 제조업체도 해당 운송경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Wind energy began to receive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fuel since 20 years ago and is growing as a booming global business model. Global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worl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for the past 10 years, accounting for over 30% of cumulative rate compared to total power generation. Global demand for wind power generation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restriction on carbon emiss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increased greenhouse effect. Accordingly in this study, current transportation rout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access-priority route, economics-priority route, and convenience- priority route depending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ind power equipment in order to suggest transportation methods other than ships. The three types of transportation route that this study declared can make the Wind power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ies can judge not only the duration of transportation but also effe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t means that the manufacturers can analyz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proceed by the shipping company and freight forwarder until now days.

      • KCI등재

        풍력발전부품 제조업체의 관점에서 본 국제 운송경로 분석

        윤석환,박진희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4

        풍력에너지는 20여년 전부터 새로운 대체 연료로서 주목받기 시작하여 현재는 글로벌 비즈니스 모델로 성장하고 있다. 전 세계적 으로 풍력발전이 차지하는 비율은 전체 발전량의 30%를 차지하며, 이 비율은 지난 10여 년 간 꾸준히 증가해 왔다. 근래에 들어 일반 발전방 식들의 탄소 배출량 증가 및 온실효과로 인한 환경문제 등으로 인해 풍력발전에 대한 국제적 수요는 점차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 한 풍력 발전용 부품에 대한 효율적인 운송경로를 제안하기 위해 풍력 발전용 부품의 운송 특성에 따라 그 경로를 접근성 우선 경로, 경제성 우선 경로, 편의성 우선 경로 등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풍력발전부품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운송기간의 문제 뿐 아니라 운송경로의 효율성과 경제성까지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지금까지 선박회사나 포워더를 통해 이루어지던 운송경로의 결정을 제조업체도 해당 운송경 로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분석하고 비교할 수 있게 되었다. Wind energy began to receive attention as a new alternative fuel since 20 years ago and is growing as a booming global business model. Global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world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for the past 10 years, accounting for over 30% of cumulative rate compared to total power generation. Global demand for wind power generation is gradually expanding due to restriction on carbon emission and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increased greenhouse effect. Accordingly in this study, current transportation route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cluding access-priority route, economics-priority route, and convenience- priority route depending on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ind power equipment in order to suggest transportation methods other than ships. The three types of transportation route that this study declared can make the Wind power equipment manufacturing companies can judge not only the duration of transportation but also effe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It means that the manufacturers can analyze and compare the effectiveness and economic feasibility, which are proceed by the shipping company and freight forwarder until now days.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