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강우시 축산의 비점오염물질 유출 특성

        이수인 ( Suin Lee ),신민환 ( Minhwan Shin ),전제홍 ( Jehong Jeon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국내 축산업의 형태가 집약적 축산 농가로 변화하면서 축산업의 사육가구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반면, 가구 당 가축 사육두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축산 비점오염원발생량이 특정 지역에 집중되면서 축산 비점오염원의 배출부하량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은 관리 주체가 모호하며, 축산비점오염물질의 정량화와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여 관리 및 대책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와 자원화 시설을 포함한 소유역을 선정하고 강우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축산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대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인 가평군 유역 내에는 약 6.300두의 돈사 두 곳이 위치하며, 연간 65만 포의 퇴비를 생산하는 자원화 시설이 포함되어 있다. 모니터링 기간은 2013년 4월~ 2014년 7월까지 총 15회 강우사상을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지점은 축산 농가에서 배출되는 배출수를 포함하여 유역 상류부터 말단까지 하천을 따라 5개 지점(두밀천상류(No.1), 축산농가 상류(No.2), 축산 농가 배출수(No.3), 축산농가 하류(No.4), 유역말단(No.5))을 선정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수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수질분석결과 유역의 배경농도라 할 수 있는 두밀천 상류지점에서의 평균농도가 BOD 1.81 mg/L, SS 49.04 mg/L, TN 4.833 mg/L, TP 0.135 mg/L로 나타났으며, 축산농가의 상류지점에서의 평균농도는 BOD 1.74 mg/L, SS 106.69 mg/L, TN 5.061 mg/L, TP 0.143 mg/L, 축산 농가 배출수의 평균농도는 BOD 7.60 mg/L, SS 22.23 mg/L, TN 37.874 mg/L, TP 0.212 mg/L로 나타났다. 축산 하류에서는 BOD 5.74 mg/L, SS 98.03 mg/L, TN 6.364 mg/L, TP 0.173 mg/L로 나타났으며, 유역의 말단에서는 강우시 평균농도가 BOD 2.21 mg/L, SS 48.72 mg/L, TN 4.600 mg/L, TP 0.146 mg/L 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강우시 축산배출수의 경우 고농도로 하천으로 유입되지만, 유역말단(No.5) 지점의 수질 농도는 배경농도(No.1)와 큰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축산 농가 배출수의 양이 매우 적고 강우시 늘어난 유량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희석되어 그 영향이 매우 적게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SS 농도의 경우 축산 배출수의 농도가 축산 상류의 농도보다 낮게 측정 된 것으로 보아 강우시 하천의 탁수유발은 축산 농가 배출수의 영향보다는 유역 내 밭, 산림 등의 기타 오염원의 영향이 더 크게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축산농가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평가하기 위해서는 유역내 축산 농가뿐만 아니라 그 외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평가 기준을 마련하고, 다양한 방법의 정량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축산비점오염원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축산 비점오염원 배출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밑바탕 되어야 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여타 분야의 비점오염연구 및 유역·수질관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산간지역 소규모 유역의 축산 비점오염물질 배출 특성

        이수인 ( Su In Lee ),신민환 ( Min Hwan Shin ),최용훈 ( Yong Hun Choi ),유나영 ( Nayoung You ),최중대 ( Joong 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가축분뇨로부터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은 발생, 처리, 유통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에서 다양한 경로로 배출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축산비점오염원은 관리 주체가 모호하여 규명이 어렵고 접근 또한 어려워 그 영향이 정량화 되지 않아 관리 및 대책 마련이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의 70% 이상이 산림으로 구성되고, 유역 내에 축산농가가 포함이 되어 있는 지역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유역에서 경종 및 축산 비점오염원이 유역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2,000두 이상의 돼지를 사육하고 있으며, 돈가에서 발생하는 분과 뇨는 인근 퇴비화시설과 개별처리시설을 통해 처리하고 있다.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이 하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2013년 2월부터 7월까지 주기적(월 1회) 또는 강우시 유량과 수질농도를 분석하였다. 대상유역 말단의 수질 분석 결과 비강우기에 SS 0.33~4.67 mg/L, COD 0.8~25.0 mg/L, TN 1.818~10.212 mg/L, TP 0.007~0.425 mg/L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강우시 수질은 SS 0.8~107.3 mg/L, COD 10.4~112.8 mg/L, TN 3.884~7.801 mg/L, TP 0.002~0.452 mg/L의 범위로 나타났다. 강우시 수질항목의 최대값 및 평균적인 농도 값이 일반적으로 비강우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점별 수질 농도 비교 결과 TN은 93.08 mg/L로 축산에서 발생하는 방류수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TP와 SS는 농경지에서 배출되는 유출수가 8.445 mg/L와 2,782 mg/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결과 축산과 경종 두 오염원 모두 하천의 부영양화를 유발하는 영양염류 발생 기여도가 큰 오염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강우시 하천의 탁수 유발에 있어서는 농경지의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경종과 축산 지점의 하천 수질오염 기여율에 대한 평가는 추가적인 장기 모니터링과 유출량을 고려한 정량적인 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본 연구결과는 축산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새만금 유역 축산계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물질에 관한 연구

        설동문 ( Dong Mun Seol ),손재권 ( Jae Gwon Son ),송재도 ( Jae Do Song ),최진규 ( Jin Kyu Choi ),장태일 ( Tae Il Jang ),한평희 ( Pyeong Hee Han ),우혜진 ( Hye Jin Woo ) 한국농공학회 2014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4 No.-

        현재 새만금호는 단계별로 하수처리시설, 하수고도처리시설, 하수관거정비 등으로 구분하여 오염처리시설을 설치하고 있으나, 대부분 점오염원에 집중하고 있어 지속적인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비점오염원에 대한 개선대책도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환경부, 2011). 새만금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환경기초시설의 확충과 더불어 오염원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종합적인 사전대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호에 영향을 미치는 만경강과 동진강 유역에서 발생하는 축산계 오염원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오염원에 대한 발생유량, T-N, T-P, BOD 등의 발생부하량과 배출 부하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행정구역단위로 수계별 및 행정구역단위별로 중점관리지역을 분석하였다. 새만금유역내 오염원 현황을 2007년~2012년까지 6개년동안 축산계 오염원, 배출상황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새만금 유역내 축산계에서 발생하는 발생유량은 10,645.7~11,760.1 ㎥/day 범위로 평균 11,203.8 ㎥/day로 나타났고, 2009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배출부하량은 수계별(2012년 기준)로 동진강유역이 만경강유역 보다 BOD는 1.4배, T-N은 1.5배, T-P는 1.5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별 배출부하량은 BOD, T-N, T-P 항목에서 완주군>김제시>익산시>정읍시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축산계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관리에 있어 수계별 총량관리와 더불어 행정구역별로 축산폐기물에 대한 주민의식개선, 축산계 오염물질의 자원화 등 관리대책 또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새만금 유역 내 축산밀집 소유역에서의 수질특성 분석

        우혜진 ( Hyejin Woo ),최진규 ( Jinkyu Choi ),손재권 ( Jaegwon Son ),장태일 ( Taeil Jang ),고남영 ( Namyoung Goh ),오혜진 ( Hyejin Oh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환경부에서 발표한 새만금유역 가축오염원 관리방안(2012)에 의하면 새만금 유역 내 T-P 발생 부하량은 축산계가 전체의 75 %로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배출지점 불명확에 따른 집수처리 곤란과 분뇨처리에 대한 축산 농가의 인식 및 전문성 부족으로, 축산폐수의 처리 및 관리에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지역 특성에 따른 축산비점오염 배출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 수질 특성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만금 유역 8개 시ㆍ군 중 가축 사육두수가 32.6 %로 가장 많은 김제시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해 있는 공덕면 일대 소유역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1. 대상 유역은 전북 김제시 공덕면 일대 소유역으로 만경강 용암천 유입부에 위치한 부용교와 그 상류 측에 위치한 황산교, 고은교, 그리고 상리교 4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유역면적은 53 km²이고, 김제시 검산동, 요촌동, 황산면, 금구면, 공덕면, 백구면, 용지면, 백산면이 속해있다. 2. 대상 유역 내 토지이용 현황은 논이 33.6 %로 가장 많고, 밭 20.8 %, 임야 22.4 %, 대지 3.5 %, 기타 19.7 %를 차지하고 있으며, 가축 사육 현황은 총 1,787,392 두수로 용지면에서 83.1 %의 가장 많은 가축을 사육하고 있고 고은교의 소유역이 여기에 해당한다. 백산면과 공덕면이 9.5 %와 5.6 %로 뒤를 이었다. 3. 2013년 현재 평균수위는 부용교 1.66 m, 황산교 1.16 m, 상리교 0.61 m, 고은교 0.74 m로 측정되었으며, 유역내 용지면에서 측정한 강우량은 총 225 mm로 일 최대 66 mm/day, 일 평균 3.36 mm/day로 나타났다. 4. 수질 분석은 최소 월 1회, 총 4회 시료를 채취하여 T-N, T-P, TOC, BOD 항목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각 항목의 평균값은 T-N은 3.68~4.86 mg/L의 범위로 평균 4.04 mg/L로 나타났고, T-P는 0.08~0.26 mg/L의 범위로 평균 0.15 mg/L로 나타났다. TOC는 6.49~11.30 mg/L의 범위로 평균 9.21 mg/L, BOD는 4.11~6.62 mg/L의 범위로 평균 5.61 mg/L로 분석되었으며, 네 가지 항목 모두 고은교에서 가장 높은 값이 나타났다. 이는 유역 내에서 가축두수가 가장 많은 용지면이 고은교 유역 내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또한 동일기간 같은 만경강 수계인 전주 하리교에서 비교 측정한 T-N 농도는 평균 1.98 mg/L, T-P는 평균 0.05 mg/L, TOC는 평균 3.17 mg/L, BOD는 평균 1.4 mg/L로 모든 항목에서 축산단지가 밀집한 연구 대상지가 전주 하리교보다 각각 2.06 mg/L, 0.1 mg/L, 6.04 mg/L, 4.21 mg/L 높게 측정 되어 악화된 수질로 분석되었다. 5. 본 연구는 축산 농업비점오염 저감기술 개발과 관리방안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축산지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및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설경휘 ( Jing-hui Xue ),윤춘경 ( Chun-gyeong Yoon ),류제하 ( Je-ha Ryu ),최재호 ( Jae-ho Choi ),조문수 ( Moon-soo Cho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축산분뇨는 고농도의 유기물과 영양염류를 함유하고 있어 자원화에 유리한 점을 지니고 있으나, 미처리된 상태로 수계에 유입되면 하천의 수질악화 및 호소의 부영양화를 유발하여 용수의 질적 저하를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축산분뇨가 무단 폐기될 경우 토양오염 및 지하수의 오염을 유발하여 악취 및 해충의 번식으로 인한 전반적인 생활환경을 악화시키게 되며 사회환경 및 경제에 악영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산지역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의 배출특성 및 배출량을 파악하고자 축사시설이 많이 분포하는 유역을 선정하여, 해당 유역의 축종별 발생량 및 농도 등의 배출 특성을 조사하고 발생/배출 부하량을 산정하여 수질오염총량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유역은 경기도 여주군의 간매천 유역 일대이며 축산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하기 위해 축산시설의 퇴ㆍ액비 배출량, 배출농도 및 슬러지 발생량 등의 자료를 조사하였다. 또한 하천의 하류부의 각 측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유달율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유달부하량을 산정하였다. 산정결과 간매천 유역에서 총배출부하량은 BOD 192.6kg/Day, T-N 113.8kg/Day, T-P가 12.1kg/Day로 조사되었다. 이 중, 축산지역에서 배출되는 부하량은 BOD 78.5kg/Day, T-N 15.0kg/Day로 전체의 41%(BOD기준)를 차지하였으며 T-P의 경우에는 매우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달부하량의 경우는 BOD 4.68kg/Day, T-N 15.0kg/Day, T-P가 0.7kg/Day를 하고 유달율의 경우는 BOD 2.43%, T-N 13.19%, T-P 5.75%로 산정하였다.

      • 축산 농가 밀집지역 비점오염물질 분석

        이수인 ( Suin Lee ),신재영 ( Jaeyoung Shin ),주소희 ( Sohee Ju ),유나영 ( Nayoung Yu ),최중대 ( Joongdae Choi ) 한국농공학회 2015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5 No.-

        축산 농가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은 관리 주체가 확실하지 않으며, 축산 비점오염물질의 정량화와 하천에 미치는 영향에 연구가 미흡하며, 이에 따라 관리 대책 마련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축산농가가 밀집되어있는 소유역을 선정하고 강우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축산 비점오염이 하천 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경상북도 영천지 북안면 지역으로 유역 내 7개의 돈사가 위치하고 있으며, 가축두수는 약 18,000 두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축분뇨는 1개의 시설의 제외한 나머지 6개 시설에서 개별 처리하여 퇴·액비화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니터링 기간은 2015년 3월부터 8월까지이며 총 6회의 강우사상에 대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유역의 상류 지점부터 말단 지점까지 하천을 따라 총 6개 지점을 선정하여 유량을 산정하고 수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축산 농가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단기간의 모니터링에 의한 결과로 보다 장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축산농가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량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영산강유역의 수질오염총량제에 따른 할당량 초과원인분석

        송창수 호남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13 녹색산업연구 Vol.19 No.1

        수질오염총량제는 공공수역의 목표수질을 달성․유지하기 위해 수역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총량(배출총량)을 허용된 양인 할당배출량 이하로 관리하는 제도로서, 허용총량을 초과하는 지역은 환경기초시설의 개선 및 확충, 오염원의 적정 관리 등을 통해 오염물질 배출량을 할당량 이하로 관리해야 한다. 목표연도인 2010년도를 기준으로 할당량 초과원인을 단위유역별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영산강유역의 주요 초과요인은 토지계와 축산계로 나타났다. TMDLs(Total Maximum Daily Loads) is that the maximum amount of a pollutant that a waterbody can receive and still meet applicable water quality standards. It is the sum of the allocations for point sources and allocations for nonpoint sources and natural background with a margin of safety. The cause of over loading of target year in Yeongsan River was analysised in this study. The main factors are the land-use and stocks.

      • KCI등재

        축산단지 비점오염물질 저감을 위한 자유수면형 인공습지 적용

        이정용,강창국,이소영,김이형 한국습지학회 2011 한국습지학회지 Vol.13 No.3

        금강수계의 논산 양지리에 위치한 인공습지는 축산폐수처리시설에서 방류되는 처리수의 추가처리와 함께 강우시 유역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다. 본 시설은 2008년 설치된 이후부터 시설검증을 위한 모니터링을 수행중에 있으며 본 연구결과는 시설의 설치 직후로부터 1년간의 모니터링 결과를 정 리한 것이다. 모니터링 결과, 평균 오염물질 저감효율은 TSS가 86%, BOD가 60%, TN은 45%, TP의 경우 70%로 산정되었다. 대부분의 모니터링에서 입자상 물질과 인의 평균 저감효율이 60% 이상의 높은 저감효율을 보이는 반면 질소의 경우 축산폐수의 높은 질소농도에 비해 낮은 유기물 농도에 의하여 낮은 저감효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유출수내 질소제거능 향상을 위해서는 긴 수리학적 체류시간 및 추가적 DO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 KCI등재

        축사가 밀집된 농촌지역 천부지하수의 질산염 오염특성

        김연태,우남칠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3 지하수토양환경 Vol.8 No.1

        지하수 의존도가 큰 농촌지역에서 주로 사용하는 천부지하수는 오염에 민감하므로, 인간활동에 의한 질산성 질소 오염이 생활용수 공급에 큰 문제가 되고 있다. 농경활동과 함께 다양한 규모의 축사가 운영되고 있는 경기도 일죽지역 천부지하수에 대한 질산염 연구결과, 인위적 오염물질 유입이 예상되는 지점이 77%, 먹는물 수질기준을 초과하는 지점이 32~42%로 나타났다. 질소동위원소 분석 결과, 인위적 오염물질 유입이 예상되는 지점은 모두 $\delta^{15}$N-$NO_3$가 5$\textperthousand$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59%지점이 동물분뇨에서 유래된 질소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 천부지하수의 질산성 질소 주 오염 원인은 밀집된 축사로 밝혀졌으며, 운영이 종료된 축사라도 오랫동안 지하수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축종에 따라 오염원의 화학적 특성이 다른데, 지표수게는 그 영향이 나타나지만, 지하로 유입되는 동안 반응에 의하여 일부 용질이 제거되므로 지하수에서는 오염원 차이에 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다. Nitrate contamination by human activities is a serious problem to water-supply in agricultural area. Shallow groundwater is the main source of water-supply, but it is very sensitive to contamination. Study area for nitrate contamination is a region of Iljuk, Kyunggi where is an agricultural area having many livestock facilities in various scales. As a result, the points having availability of incoming of external contaminant are 77%, and the ones over the Drinking Water Limit (DWL) are 32~42%. For a nitrogen isotope analysis, all the points having availability of incoming of external contaminant have $\delta$$^{15}$ N-NO$_3$ values over 5$\textperthousand$, and the points of 59% are strongly affected by nitrogen originated from animal wastes. The major source of nitrate in this area is intensive livestock facilities. Even though a livestock facility had enclosed, it affects groundwater quality for a long time. The chemical property of contaminant source is various according to animal species in surface water, but not in groundwater since some solutes are removed by reactions during an inflow to subsurface.

      • KCI등재후보

        다계열 항생제 동시분석법을 통한 축산분뇨처리시설의 잔류 항생제 검출특성 조사

        강철호(Chul-Ho Kang),차석문(Seok-Mun Cha),변석종(Seok-Jong Byun) 유기성자원학회 2019 유기성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9 No.추계

        항생물질은 축산농가에서 가축의 각종 질병 치료, 감염예방 및 생산량 증대를 목적으로 사료와 함께사용되고 있다. 한국동물약품협회의 보고에 따르면 2017년 국내 항생제 판매량은 1,026톤 이었다.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소, 돼지, 닭을 대상으로 5톤 이상 판매된 항생제는 총 12개 계열 27종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항생제는 다양한 경로를 통해 토양 및 하천의 오염과 생태계 교란 등 잠재적인 위해를 야기할 수 있다. 환경부에서 고시한 가축분뇨실태조사 방법에는 가축분뇨, 하천 등에서 주기적으로 잔류 항생제의 농도 측정을 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세부 항목과 시험방법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사용량이 많고 LC-MS/MS로 동시분석이 가능한 17종의 다계열 항생제를 선정하였고, 제시된 분석방법을 기초로 축산폐수처리시설에 유입되는 원수와 생물학적처리수, 방류수 및 슬러지에 잔류하는 항생제거동을 파악하였다. 분석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직선성과 방법검출한계, 정량한계, 추출효율에 따른 회수율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0.99 이상의 직선성을 나타내었고, 방법검출한계는 (0.030 ~ 2.448) μg/L, 정량한계는 (0.097 ~ 7.795) μg/L으로 나타났다. 추출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추출 용매 종류와 pH조건, 고상추출용리액과 탈착용량에 대한 회수율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78.6 ~ 127.6)% 회수율을 나타내는 조건을 얻을 수 있었다. 사용된 시료는 액상의 경우 1 μm로 여과하였고 슬러지의 경우 건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17종 항생제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축산폐수처리시설에 유입되는 원수와 생물학적처리수, 방류수 및 슬러지에 잔류하는 항생제의 거동을 파악하였다. 축산폐수처리장 A1의 유입원수, 생물학적처리수, 방류수 및 슬러지의 잔류 항생제 농도는 각각 (198, 10, 4)μg/L 및 57 μg/kg으로 검출되었다. A2는 (1,585, 7, 0.3)μg/L 및 269 μg/kg으로 검출되었고 A3는 (76, 7, 0.9)μg/L 및 130 μg/kg으로 검출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