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각장애교육 교사 양성과 배치에 관한 델파이조사

        최상배,황윤재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2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3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providing deaf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s by subdividing it fro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certificate and to scrutinize an appropriate way to nurtures teacher preparation program and placement. [Method] Research method was Delphi Survey. Fourteen deaf education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First, participants indicat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to cultivating qualified teacher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der the current special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Therefore, they recognized to provide teacher certificate according to type of disabilities. Second, participants indicated that graduate programs or teacher’s in-service training programs are appropriate for cultivating qualified deaf education teachers, instead of undergraduate programs. In addition, they stated that the deaf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 has to provide core courses such as curriculum and teaching methods, literacy education, basic to advanced sign languages, Deaf culture and society, instruction, bilingual education, and counseling. Third, participants highlighted that the deaf education teachers need incentives to be placed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deaf students as well as administrative support to continue to teach deaf studen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specific plans for the deaf education teacher preparation programs and placement for the deaf education. [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사 자격증을 세분화하여 청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제도를 운영할 필요성이 있는지, 청각장애교육 교사를 양성하고 배치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14명의 청각장애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장애교육 전문가는 현행 특수교사 양성과정으로는 특수교사의 전문적인 역량을 함양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장애 유형별 자격제도를 다양하게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청각장애교육 교사를 양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대학원 과정, 자격연수 과정을 선호하였고 학부 과정은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청각장애교육 교사 자격 과정에서 개설할 강좌로는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문해교육, 수어 중급, 수어 초급, 농문화와 농사회, 교과지도, 이중언어교육, 수어 고급, 상담 등 순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청각장애교육 교사를 청각장애학생 교육기관에 배치하고 운영하기 위해서는 인센티브가 필요하며, 인센티브는 교사 전보내신 때 청각장애학생을 계속 지도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지원을 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청각장애교육 교사양성과 배치를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특수교육 교사양성대학의 청각장애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조사

        옥정달 ( Jung Dal Ok ),윤병천 ( Byung Cheon Yo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4 No.4

        본 연구는 국내 특수교육 교사 양성 대학의 청각장애교육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특수교육 교사 양성 대학 및 현황은 40개대학교에서 1,811명의 특수교사가 양성되고 있다. 이를 자격종별로 살펴보면, 유아특수교사가 9개 대학에서 245명, 초등특수교사가 15개 대학에서 380명, 중등특수교사가 17개 대학에서 463명, 특수체육교사가 10개 대학에서 285명, 유ㆍ초ㆍ중 자격종별 구분 없이 양성하는 곳이 13개 대학에서 438명의 특수교사가 양성되고 있다. 둘째, 청각장애 관련 교과목은 특수교육과가 설치된 모든 대학에 개설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수구분(선택/필수)에서는 청각장애교육 관련 교과목에서는 전공필수가 19개 대학, 전공선택이 24개 대학에서 개설되어 있었고, 7개 대학이 전공필수와 전공선택에서 모두 개설되어 있었다. 즉 전공필수는 44%만이 개설되었고, 56%는 전공선택으로 개설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현재 교사양성체제에서는 청각장애 관련 교과목을 이수하지 않아도 청각장애학교 교사가 가능하므로 예비 특수교육 교사 양성과정에서 청각장애 관련 교과목을 최소한 몇 강좌 이상을 필수로 개설하여 수강하도록 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at how many nation’s special educator training universities offer the subjects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Firstly, there are forty universities, which train 1,811 special teachers in our nation : 245 early childhood special teachers from 9 universities, 380 elementary special teachers from 15 universities, 463 secondary special teachers from 17 universities, 286 adapted physical teachers from 10 universities, and 438 common special teachers form 13 universities. Secondly, there are subjects related to hearing impairment education on offer in every university which has special education department. According to the course, they are offered as a major required course in 19 universities. Also, as a major choice course in 24 universities and as both major required course and major choice course in 7 universities. In conclusion, while 44 percent of the universities offer the subject as a major required course. the rest 56 percent of them offer it as a major choice course. It means that some of special teachers do not complete the course in hearing disorder education and it is the problem in the special teachers training system.

      • KCI등재

        청각장애학교 교사의 청각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최상배,조성하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23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deaf school teachers regarding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Meth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employed as the research method. Six deaf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Results] First, the ratio of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tinually increased over time.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educating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due to the lack of methods for diagnostic evaluation and placement, large individual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lack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lack of knowledge related to the deaf with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o educate the deaf with multiple disabilities, deaf schools are making efforts to provide human and material support by operating classes separately, and they are providing specialized services to improve functional ability. Third, for the future-oriented education of the deaf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et the methods for the evaluation and placement of dea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train and place qualified teachers through teacher preparation and training courses. In addition, the curriculum modification and a collaborative approach between experts we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deaf with disabilit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visual communication, use various communication modes, and teach functional communicatio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for dea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future. [목적] 이 연구는 청각장애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현황과 제공하고 있는 교육적 지원 그리고 개선방안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6명의 청각장애학생 교육 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출현율이 과거에 비해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청각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진단평가 및 배치에 관한 기준의 부재, 학생 간 큰 개인차, 교육자료의 부족 및 공유 미흡, 교사의 청각중복장애 관련 지식의 부족으로 인해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어려움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학교에서는 청각중복장애 학생을 교육하기 위해 중복학급을 별도로 설치하여 인적․물적 지원을 제공하고, 기능적 학업능력 향상을 위한 특화된 서비스 제공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셋째, 발전적인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 평가 및 교육적 배치기준을 마련하고, 교사 준비교육과 연수 과정을 통해 자격을 갖춘 교사를 양성하고 배치하는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을 재구조화하고 전문가 간 협력적 접근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청각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은 중요한 과제이며, 이를 위해서는 시각적 의사소통 강화, 다양한 의사소통 양식의 사용, 기능적 의사소통 지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결론] 이 연구는 향후 청각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중재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특수교사 양성과 배치 개선 방안

        최상배(Sangbae Choi),홍재영(Jaeyoung Hong),황윤재(Yunjae Hwang),서효정(Hyojung Seo),박영근(Youngkeun Park),김원호(Wonho Kim) 한국특수교육학회 2022 한국특수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

        연구목적: 현행 특수교사 자격제도와 양서의 적절성을 평가하고, 개선 방향의 일환으로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자격제도 운영의 필요성과 양성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특수교사 양성 현황과 개선사항을 분석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초점집단면담(FGI)과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행 특수교사 양성과정이 학교과정별로만 진행하고 있으며 양성과정이 경직되고 있고 다양성이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으며, 교육실습 기회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제기되었다. 특히, 현행 특수교사 자격과정은 유·초·중등 하교과정별 기본과정으로만 운영되고 있으나, 교육의 전문성을 강조하는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특수교사 자격제도를 기본과정과 심화과정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으며, 심화과정에서는 진로진학상담 교사, 청각장애교육 교사, 시각장애교육 교사 등 교육의 수요에 적절하게 특수교사 자격과정을 세분화할 필요가 있음이 제안되었다. 둘째,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제도의 필요성이 제시되었으며,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과정을 운영하는 과정은 학부, 대학원 자격연수 과정이 제안되었다. 셋째, 청각장애와 시각장애교육 교사 자격증 소지자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해당 장애학생을 지도하도록 교사전보 유예와 자격취득 비용 지원 등 인센티브가 필요함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