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주 高達寺址의 浮屠와 塔碑에 대한 고찰

        엄기표 동악미술사학회 2015 東岳美術史學 Vol.0 No.18

        高達寺는 통일신라시대 창건된 禪刹로 원감국사 현욱이 머물면서 번창하기 시작하여, 불교가 國是로 채택된 고려시대에 원종대사 찬유가 주석하면서 大刹의 면모를 갖추었다. 그리고 그동안 수차례의 발굴 조사 결과 상당한 규모의 사찰이었으나 조선후기에 폐사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현재 고달사지에는 당대의 위상을 전해주는 많은 유물들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부도와 탑비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상당히 우수한 치석 수법과 양식을 가지고 있어 미술사적으로 중요한 유물이다. 이들에 대해서는 오래전부터 연구되었는데, 여전히 부도의 조성시기의 선후 관계, 탑비와 한 쌍으로 건립된 부도의 주인공 등이 미해결이 상태이다. 그 이유는 부도의 양식이 유사하고, 관련 기록도 많지 않으며, 주인공을 추정할만한 결정적인 근거 자료 등이 없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최근 부도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가 완료되어 원위치임이 확인되어 부도와 탑비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산상사지에 대한 새로운 검토 등이 요구되어 본 논문을 작성하였다. 현재 고달사지 부도와 탑비의 주인공으로 유력하게 추정되는 승려는 원감국사 현욱과 원종대사 찬유이다. 이중에서 원종대사 찬유의 탑비는 비문이 남아있어 주인공을 분명하게 알 수 있으며, 일명 귀부는 조성 시기가 신라말기이고 여러 정황으로 보아 원감국사 현욱의 탑비가 건립된 것은 분명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원감국사 현욱의 탑비에 활용되었던 것으로 확실시된다. 그리고 보물 제7호 부도가 양식사적으로 국보 제4호 부도보다 먼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며, 부도와 귀부의 조각 기법 등 다양한 비교를 통하여 볼 때 국보 제4호 부도의 주인공이 원종대사 찬유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비문의 기록으로 보아도 국보 제4호 부도의 주인공이 원종대사 찬유일 것으로 보인다. 보물 제7호는 향후 산상사지에 대한 정밀 조사가 이루어져야만 구체적인 양상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감국사 현욱의 부도와 탑비가 고달사에 건립된 것은 확실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고달사지의 역사와 석조미술의 양식사적 정립을 위해서 향후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Kodalsa temple site at Yeoju city was founded by the late of Shilla dynasty. It was estimated the late in the 8th century or early in the 9th century. The monk HyunWook at the time stayed. He took the side of Shilla’s royal court in terms of politics. The temple emerged to be one of the major temples in the early Goryeo period from the monk Chanyou’s actively effort, support of the king and royal family. Buddhism was recognised as state religion is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excavate the many times on the Kodalsa temple site, the temple was destroyed in the late of Joseon. Now, the most important thing of Kodalsa temple history is the Stone Stupa and Tabbi. A long time ago research which were built to a stupa order of the composition of the time, paired with a Stupa and a Tabbi still excess capacity, and the owner of the Stupa is unresolved. The reason the verge of stupa is many are similar in style. Recently, arthritic to excavate the sites is completed in around Stupa and verified that a Stupa and Tabbi for understanding on. Contributions and a new review on the Stupa, Tabbi, and Sansangsaji temple site write this paper is required. Currently, the hero of Stupa and Tabbi at Kodalsa temple site is variously estimated monk Hyunwook and Chanyou. The damaged turtle base of a stone monument was made when the late of Silla period, for the monk Hyunwook. It is clear. Monk Shimhee, disciple of monk Hyunwook, opened the Bongrimsanmun with the foundation of the namesake temple. The temple took over the religious heritage and political stance of the Kodalsa temple. Monk Chanyou, Shimhee’s disciple, accepted the doctrine of the while declaring his allegiance to Goryeo dynasty. The number 7 of the treasure was built ahead of the number 4 of the national treasure from the style and form. Also, Heyjin-Tabbi resembles the staff of national treasure No. 4 on the carved method and style. All points of view, the hero of the national treasure No. 4 is the monk Chanyou. Treasure No. 7 is next on the scrutiny of Sansangsaji temple site is be realized if can track the specific aspects will be correlated. The Kodalsa temple site of stone art and history of the private arrangement form for future sustainable research is needed.

      • KCI등재

        봉림산문의 인물과 사상

        정성권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2024 한국불교사연구 Vol.25 No.-

        본문에서는 봉림산문의 대표적인 인물인 玄昱(787~868), 審希(855~ 923), 璨幽(869~958), 忠湛(869~940)의 행적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욱은 봉림산문을 개창한 심희의 스승이다. 현욱은 중국 유학 후 실상사에 머물다가 940년경 여주 혜목산으로 거처를 옮겨 그곳에서20여년 이상 거주하였다. 현욱이 혜목산으로 거처를 옮긴 이유는왕실의 요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고달사의 창건은 9세기중반경 한강유역을 본격적으로 경영하고자 하는 신라 정부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심희는 신라의 국사였다. 심희는 현욱의 제자로 혜목산에서 출가하였으며 무주와 명주 일대에도 머물렀다. 장년기에는 김해 봉림사에머무르며 봉림산문을 개창하였다. 봉림산문 개창 이후 심희는 적극적으로 신라 왕실의 안정에 기여하였다. 심희 입적 후 경명왕은 친히 심희의 탑비문을 작성하였다. 심희의 탑비를 세운 경명왕은 심희의 명성을 빌려 신라의 권위를 높이고자 하였다. 충담은 심희의 제자이며 유학을 갔다 온 후 태조 왕건을 찾아가 왕사가 되었으며 원주 흥법사의 주지로 활동하였다. 살아생전 적극적으로 고려 왕실의 안정을 도운 충담은 입적 후에도 자신의 탑비를통해 새로운 통일왕조 고려의 탄생을 구 신라 지역민들에게 알리는역할을 하였다. 찬유 역시 심희의 제자였다. 찬유는 젊은 나이에 중국으로 유학을떠났으며 유학에서 돌아온 후 태조 왕건을 만나 천왕사의 주지가되었다. 찬유는 태조 왕건의 요청으로 한강 유역 및 주요 교통로의주지가 된 선승들과 다르게 천왕사에 오래 머무르지 않고 고달사로거처를 옮겼다. 본문에서는 그 이유를 광주지역 호족세력의 변화로해석하였으며 혜종과 충주유씨세력의 권력투쟁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았다. 봉림산문의 주요 인물은 왕실과 결합된 강한 현실참여형 활동을 보여주고 있다. 봉림산문의 주요 인물은 모두 당대를대표하는 실천적 지식인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topic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presentative characters of Bongrimsanmun, Hyeonwook(787~868), Simhee(855~923), Chanyu(869~ 958), and Chungdam(869~940). Hyeonwook is the teacher of Simhee, who founded Bongrimsanmun. Hyeonwook lived in Hyemoksan Mountain in Yeoju since around 940 after studying in China. It was presumed that the reason why Hyeonwook moved to Hyemoksan Mountain was at the request of the royal family. Sim Hee was the state secretary of Silla. Simhee is Hyunwook’s student. Sim Hee stayed at Bongrimsa Temple in Gimhae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nd opened Bongrimsanmun. After opening Bongnimsanmun, Sim Hee actively worked to stabilize the Silla royal family. When Sim Hee died, King Gyeongmyeong of Silla personally wrote the inscription on the monument for him. This is intended to increase Silla's authority by borrowing Simhui's reputation. Chungdam was a disciple of Simhee and became the abbot of Heungbeopsa Temple in Wonju after returning from studying abroad. Chungdam became the king's teacher and actively helped the Goryeo royal family run stably. When Chungdam died, Taejo Wang Geon personally wrote the epitaph on his monument for him. Chanyu was also Simhee's student. After Chanyu went to China to study, he met King Taejo Wang Geon and became the head priest of Cheonwangsa Temple. Chanyu did not stay at Cheonwangsa Temple for long and moved to Godalsa Temple. In the main text, the reason was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power of noble families in the Gwangju region and was seen as being related to the power struggle between Hyejong and the Chungju Yu family. The main characters of Bongrimsanmun can all be said to be practical intellectuals representing their time.

      • KCI등재

        고려 혜목산 高達寺의 소속종단 변천과 배경

        한기문 한국불교연구원 2022 불교연구 Vol.57 No.-

        I examine this thesis on grand masters` inscription and Godalsa`s site excavation result. From 860s to 890s Godalsa kept Hyeoimogsan school`s base. In Kyeongmyeong King Simheui moved its base to Kimhai Bonglimsa. In Goryeo Chanyu rebuilt Godal Temple. Also Gwangjong decided this temple as Bonglimsan school`s base. It had the traits of Zen temple`s structure with Sangwon. When Euicheon`s establishing Cheontaijong, Godalsa became one of 5 Cheontai schools. Because Chanyu`s Cheontai thinking was succeeded by his pupils. When making 6 Cheontaidarma`s factions after Euicheon`s death, Godalsa was its group. In this time its force was the best. When Guktong Jeongo reassociated 6 Cheontai mountains on the base of Gukcheongsa in Chungsuk King, Godalsa kept Cheontaijong`s ethos. 신라말에서 고려말까지 혜목산 高達寺의 소속종단 변화와 그 배경을 고승비문과 고달사지 발굴결과를 통해 고찰하였다. 860년대 경문왕이 玄昱의 하산소로 지정한 때를 기점으로 혜목산문[고달사 종풍]은 고달사를 본거로 890년대까지 계승자 심희(審希, 855~923)에 의해 유지되었다. 그 후 경명왕대 심희가 국사례를 받고 하산한 김해 봉림사로[봉림산문] 본거를 옮겼다. 고려에서 고달사 재건은 심희의 계승자이자 이 절에서 출가한 璨幽에 의해 이루어졌다. 찬유의 교선일치 사상경향이 광종의 국왕권 강화와 연결되자 고달사는 찬유의 하산소로 되고 봉림산문[혜목산문]의 본거도 되었다. 고달사지는 법당, 승탑, 비, 影堂 등으로 이루어진 上院을 통하여 선종사원 구조의 특성을 보였다. 고려중기 義天이 숙종의 국왕권을 강화하는 배경으로 천태종을 창립할 때 고달사는 천태 五門[5개 소 사원]의 일원으로 합류하였다. 고달사를 재건한 찬유의 천태사상경향이 문도에게 계승되었기 때문이다. 고달사는 국내 산파 계열로 보아 봉림산문[혜목산문]으로서 천태종에 합류하였다. 의천 사후 九山門계열에서 直投한 翼宗계열이 주도한 남숭산문[선봉사]이 으뜸이 된 ‘天台六法眷’ 형성시에도 고달사는 그 일원이었다. 건물 유적과 고급청자 유물로 볼 때 寺勢가 절정이었다. 원간섭기 충렬왕이 기존 불교계를 재편하기 위해 천태종을 지원하였다. 충숙왕대 국통이 된 丁午가 승정권을 가지고 國淸寺를 ‘六山根本’으로 재건하고 ‘天台六山’을 다시 결집하였다. 그 일원으로서 고달사는 14세기 후반에도 천태종 소속과 종풍을 유지하였다.

      • KCI등재

        卷宇 洪贊裕 詩文學 硏究 試論 - 『卷宇集』所載 漢詩를 中心으로

        尹載煥 동양고전학회 2013 東洋古典硏究 Vol.0 No.50

        卷宇 洪贊裕(1915∼2005)는 대한민국 근․현대 시기 대표적 漢學者의 한 사람이자 시대의 知性人으로, 학계의 후예들에 의해 師表로 추앙받고 있는 인물이다. 卷宇는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독재와 민주화의 투쟁기라는 한국 사회의 지난한 혼란기를 몸소 겪으며 당대의 젊은 학자들을 교육하고 이끌었던 시대의 스승이었지만, 운명 이후 지금까지 그의 생애와 업적에 관한 학계의 조명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아직까지 학계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근․현대의 대표적 한학자 卷宇 洪贊裕의 시문학 세계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그간 학계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卷宇 洪贊裕의 문집에 근거한 최초의 작업이고, 그에 대한 본격적인 탐구의 시작으로 최소한의 의미를 지닌다는 점에서, 이 글은 그의 문집 속 시문학 작품에 대한 세부적인 점검을 우선적인 목표로 삼는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의도에도 불구하고 필자의 부족한 지식과 학문적 역량, 자료의 不備로 인해 이 글의 곳곳에서 한계가 노정될 수밖에 없다. 卷宇의 문집을 통해 본 卷宇의 시세계는 그의 시가 자신의 내적 정서의 표출을 시의 중심에 두고 있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특징은 卷宇가 지니고 있었던 시 의식이 시의 대사회적 효용보다 개인적 정서의 표출이라는 개인화에 보다 주목하는 것이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은 卷宇의 시 의식은 그의 시문학 세계 전반에서 고르게 확인이 된다. 이에 따라 卷宇는 고시보다 근체시를, 연작시보다 단형시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송별시나 증여시․만시와 같은 대사회적 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의 창작을 꺼렸다고 생각된다. 그런데 卷宇의 시문학 세계가 지니는 특성을 이렇게 정리하였을 때 몇 가지 의문점이 남게 된다. 우선적으로 지닐 수 있는 의문은 그의 문집 속 시문학 작품들이 그의 시세계 전부인가 하는 것이다. 현재 필자가 확인한 卷宇의 시문학 작품은 모두 문집 속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지만, 권유의 시문학 세계가 이 작품들만으로 정리될 수 있는 것인가 하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크다. 다음으로 지니게 되는 의문은 卷宇의 시문학 작품들이 내적 정서의 표출을 시의 중심에 두고 있으며, 興의 정서를 표출한 시와 感懷와 感慨의 정서를 표출한 시가 각기 다른 시문학 작품의 창작 공간과 상황에서도 동일한 모습으로 드러난다면, 각기 다른 성격의 興趣와 感懷․感慨라는 정서를 시문학 작품 속으로 옮겨간 구체적인 창작 방법은 어떠한가 하는 것이다. 마지막 의문점은 만약 지금까지 문집을 통해 확인한 卷宇의 시문학 세계가 그의 시가 지니는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면, 혹은 그의 생애 중 한 시기의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한다면 그 의미는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의문점은 卷宇 개인에 대한 탐색과 아울러 시대에 대한 탐색이 입체적으로 동시에 진행되어야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卷宇의 시문학 세계에 대해 던지는 새로운 방향의 심화 연구 촉구는 근․현대 한문학사의 온전한 구성과 한문학사․한문학 연구의 연속성 확보를 위해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앞으로 더 많은 연구자의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Gwonwu Hong Chan-yu is on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scholars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one of the literati of his era, so is respected as a guiding light by academic descendants. Gwonwu was a teacher of his era, who experienced all the turbulence of Korean society, such as the Japanese occupation by force, the Korean War, the military dictatorship, and the struggle for democracy, and who educated and led young scholars of his time. However, academia has not payed attention to his life and achievements since his death.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oetry of Gwonwu Hong Chan-yu, one of the representative modern and contemporary scholar of Sini-Korean literature, which has not yet been discussed by academia. The minimal meaning of this paper is that it is a first work based on his anthology,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by academia, and a first full-scale study on Gwonwu Hongchan-yu. For the reason, this paper aims at the detailed inspection of his poetic pieces recorded in his anthology. Nonetheless, despite such intentions, some limits cannot be avoided here and there in this paper for the insufficient knowledge and academic capability of this paper’s writer and for the lack of academic sources. Gwonwu’s poetry examined through his anthology shows the characteristic which is that his poems focus on exposing his own internal emotions. Such a characteristic says that his idea of poetic literature payed attention more to individuality, that is exposition of private emotions, than to social utility of poems. Gwonwu’s such an idea of poetic literature can be generally affirmed throughout his poetry. Accordingly, Gwonwu preferred classical Chinese poems to archaistic poems, and single poems to serial poems; and avoided writing poems within social relations such as farewell-poems, bestowal-poems, and mourning-poems. When the characteristics of Gwonwu’s poetic literature get summarized as such, however, some questions remain. The preferential question is whether the poems in his anthology are the whole poetry of him. Although Gwonwu’s poetic pieces that the writer of this paper have checked out till now are all in his anthology, it is very much questionable whether Gwonwu’s poetry can be summed up only with these poems. The next question is what is the writing method for taking joy(spice), sentiment, and full-heart into his poems if Gwonwu’s poems focus on exposing his internal emotions, and if poems exposing joy and poems exposing sentiment and full-heart appear coherently in various different spaces and circumstances of writing. The final question is what are the meanings of Gwonwu’s poems if his poetry checked out through his anthology directly shows either the reality carried in his poems or the reality of a time in his life. The questions listed above are thought to be resolved by the synchronizing process of stereoscopic searches both for Gwonwu as an individual and for the era of his life. Especially, spurring deeper researches toward a new direction regarding Gwonwu’s poetry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construction of a complet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and for procurement of continuous research on Sino-Korean literature and its history. For the reason, it is thought that more efforts of researchers are required.

      • KCI등재

        卷宇 洪贊裕의 師承 考察

        정후수 동양고전학회 2017 東洋古典硏究 Vol.0 No.67

        본고는 홍찬유의 학문 계보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홍찬유는 경기도 연천군 마전 지역에서 출생하여 그곳의 서당에서 글을 배우기 시작하였다. 특히 어려서 嵋左 書堂에서 嵋左 鄭炁 선생에게 글을 읽음으로써 홍찬유의 공부는 기초를 다지게 되었다. 본 원고에서 특히 중점을 둔 것은 미좌 선생과 미좌 서당의 모습을 살펴보는데 있었다. 그것은 홍찬유 선생 학문의 계통을 밝히려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기 때문이다. 미좌 서당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홍찬유의 학문 계보는 미수 허목의 계통을 이었다는 것이다. 미좌 선생은 許穆의 제자인 鄭東岳의 후손이었으며, 정동악의 제자 겸 후손이 바로 마전 지역의 큰 학맥이었던 미좌의 가문이었음으로 알 수 있는 것이다. 이 마전 지역은 경주 정씨 황산공파의 후손이 大姓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미수 허목의 영향을 입어 오고 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바로 미수의 본거지인 隱居堂과 홍찬유의 집, 그리고 미좌서당, 미수 허목을 모신 미강서원은 한 일자로 늘어서 있는 중간에 각각의 위치를 점하고 있는데서 그러한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경 후 활동에서는 鄭寅普와 林圭 선생을 만남으로써 학문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종전의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현실을 직시하는 영향을 입었음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봉익동 근처에서 임흥순과 김태선을 만나 斯界에 발을 들여놓는 계기가 되었다고 하는데 이는 앞으로 좀 더 고찰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cademic genealogy of Hong Chan-yoo. Hong Chan-yoo was born in Majeon, ​​Yeoncheon-gun, Gyeonggi-do, and started to learn writing at the village school. Around 20 years old, he widened his scope of academic study. This study is a part of Hong Chan-yoo’s life. It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Hong Chan-yoo and Jeong Byeong-jo, Lim Gyu, Jung In-boh, Lim Heung-soon and Kim Tae-sun whom he met at the hometown village school and Mijwa village school, and afterwards going up to the capital since his birth. In particular, the emphasis of this study is on examining the teachers of Mijwa and Mijwa village school because it is an important factor in clarifying the line of Hong Chan-yoo's studies. Mijwa village school confirmed that the academic genealogy of Majeon was the line of Misu Huh Mok. Next, from the activities after going up to the capital, it revealed that encountering Jung In-boh and Lim Gyu affected expanding the scope of study and facing reality without being bound to the former form. It was found that meeting Lim Heung-soon and Kim Tae-sun around Bongik-dong became the opportunity to enter the field but it needs to be reviewed more closely.

      • KCI등재

        近ㆍ現代 儒學者 卷宇 洪贊裕의 儒者 意識과 文學活動 -­ 『卷宇集』, 『陰晴錄』을 중심으로 -

        鄭後洙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2

        본 연구는 근ㆍ현대의 대표적인 유학자 卷宇 洪贊裕(1915~2005)의 儒者 意識과 文學 活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권우의 문집 『卷宇集』과 일기인 『陰晴錄』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2장에서는 권우가 근,현대 대표적인 유학자, 교육자, 시인이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그의 儒者意識을 살폈다. 권우의 유자의식은 慕華나 事大와 같이 명분과 형식을 중시하지 않았다. 그는 자신이 위치한 현실과 시대를 중시하고 그것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유학의 정신으로 보았다. 이는 조선후기 실학자의 實事求是와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권우는 이를 ‘中庸’이라 하였다. 3장에서는 근,현대를 대표하는 漢詩人으로서 권우의 문학활동을 살펴보았다. 3-1절에서는 권우의 일기인 『음청록』을 중심으로 관수회 시단의 형성과정을 알아보았다. 관수회 시단은 1972년 겨울에 결성되었고, 명칭은 당시 시인들이 모이던 종로구 관수동의 이름을 딴 것이며, 멤버는 권우를 비롯한 13인이었다. 그들은 ‘詩言志’의 창작 목표 아래, 산수의 아름다움과 풍속의 번화함, 인물들의 변화, 오래된 유적 등을 접하면서 느끼는 감회를 詩化하였다. 관수회 시단은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3권의 시집을 발간하였다. 3-2절에서는 권우를 비롯한 관수회 시단의 시적 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들의 시적 경향은 세 가지로 파악할 수 있었다. 첫 번째는 영사시 계열로 유적지를 찾아가 역사적 사실에 기인해서 그 감회를 시화하는 것으로 <登扶蘇山>시를 들 수 있다. 두 번째는 풍자시 계열로 그들이 살고 있는 현실의 세태를 비판한 것으로 <北漢山新綠>시를 들 수 있다. 세 번째는 풍류시 계열로 현실을 벗어난 탈속의 공간에서 정신적 자유를 읊은 것으로 <道峰觀楓>을 들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reveal the thoughts of Confucian Hong chanyu illuminate the literary activity. Hong chanyu is representative of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In chapter 2, a Confucian scholar said the spirit of the Hong chanyu. He was considered unnecessarily cause and form. He thought it was a real need and times of where they live. Hong chanyu it was called moderation. Chapter 3 examined the literary activities of the Hong chanyu. One section made of a Chinese poetical circles for background. Gwansu meeting was created in winter 1976. member was of 13 people. They visited the natural scenery and historical sites found. And it was expressed written poetry.Section 2 says what kind is this Chinese poem they have created. The first is the content eulpeun history. The second is more satire in the world. The third is content to enjoy the tasteful in na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卷宇 洪贊裕 先生의 儒敎觀

        임헌규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5

        이 글은 평생을 국학 연구와 후진양성에 헌신한 卷宇 洪贊裕(1915~2005) 선생의 儒敎觀과 그 내면의식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지하듯이 권우 선생은 평소에 詩에 대한 뛰어난 해석과 빼어난 詩作으로 정평이 나 있다. 바로 이런 까닭에 그의 문집인 권우집은 대부분(약 3/5)이 詩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권우집 「잡저」편을 보면, 많지 않은 글들 가운데 선생의 유교관을 분명히 드러내 주는 것이 있다. 이 논문의 본론은 우선 권우 선생의 「儒敎는 宗敎냐, 宗敎가 아니냐」하는 글을 중심으로 유교의 종교성 문제를 다루었다. 여기서 필자는 유교의 종교성에 관한 논쟁을 역사적으로 개관하면서, 이러한 논쟁의 연장선상에서 권우 선생은 어느 입장에 서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吾道는 一以貫之」라는 글을 중심으로 권우 선생은 유교의 精髓를 무엇으로 규정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주자하듯이 공자의 一貫之道를 曾子가 ‘忠恕’로 해석한 이래, 이에 대한 많은 논쟁이 있어왔다. 여기서도 필자는 이 논쟁에 대한 역사적인 개관을 하고, 권우 선생은 어떤 입장을 개진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나아가 권우 선생은 이러한 一貫之道를 四書에 어떻게 확장 구현되어있다고 말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권우집에 면면히 흐르고 있는 선생의 내면의식(애국애족의 정신)과 「선비정신」이란 글에서 나타난 선생의 중도적 실용정신을 살펴보았다. This Articles intend to articulate Kwon-Woo Hong Chan-yu(1915~2005)' view on Confucianism. Kwon-Woo's Writing, Kwon-Woo jip was mainly composed of two hundred pieces's Poetry. He especially empathized learning of The Book of Poetry(詩經). Confucius said, 'In The Book of Poetry(詩經) are three hundred pieces, but the aim of them all may be embraced in one paraphrase-'Having no depraved thoughts.' Kwon-Woo reincarnated Confucius's definition of Poetics. Kwon-Woo wrote "Is Confucianism is religion or not?" This Articles manifested Kwon-Woo' view on Confucianism. And Kwon-Woo wrote "Confucius's doctrine of all-pervading unity" Confucius said also, "my doctrine is that of all-pervading unity." Jeung-ja(曾子) said that Confucius's doctrine of all-pervading unity is none other than conscientiousness(忠) and altruism(恕). Kwon-Woo uphold and reestablished Jeung-ja' doctrine of conscientiousness and altruism. He reinterpretation Jeung-ja' doctrine of conscientiousness as all-pervading unity of four books(四書)

      • KCI등재

        『卷宇日記』를 통해 본 卷宇의 의식지향(Ⅰ)

        조상우 동양고전학회 2016 東洋古典硏究 Vol.0 No.65

        본고에서는 『권우일기』의 내용을 알아보면서 권우의 의식지향에 대해서 고찰해보았다. 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필자는 『권우일기』에 나타난 권우의 정치와 역사의식과 『권우일기』에 나타난 권우 주변 人士의 일화와 세태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권우는 경기도 연천지역에서 출생하여 가학으로 한문을 터득하였고, 이어 嵋左 鄭炁, 偶丁 林圭를 스승으로 모시고 한문을 연구하였다. 권우는 한시의 귀재로 ‘관수회’ 시단을 만들어 운영하였으며, 민족문화추진회의 번역사업과 지곡서당에서의 한문강의, 그리고 유도회 한문연수원 개설 및 장학생반 선발과 교육 등의 업적을 남겼다. 권우의 정치와 역사의식에서는 일기에 서술된 역사적 사실을 중심으로 권우가 그 사건을 어떻게 바라보고 서술하였는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권우는 박정희 정권에 대해서는 자유 민주주의가 잃어가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미국 닉슨대통력의 탄핵을 보며 부러워했다. 그리고 당시 정치인들은 믿을 사람이 못됨을 밝히고 있다. 그런데 권우는 박정희 대통령 서거 후부터는 정부에 대한 비판이 많이 줄어든다. 뿐만 아니라 전두환 정권에 대해서는 좋은 평가를 하고 있다. 1980년대가 되면서 권우는 일명 친정부 보수화 경향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이는 권우가 연세가 들어가면서 현재에 안주하고 기득권을 유지하려는 것에서 나오는 행동이 아닐까 추측해본다. 권우 주변 人士의 일화와 세태에서는 한학자, 독립운동가, 친구, 정치인 등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의 일화를 서술하고 있다. 이는 권우가 많은 분야의 분들과 친분이 있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들의 일화를 통해서 일반인들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국가와 민족을 생각하고 한문문화의 부흥을 기대하고 있다는 결론을 지을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Kwonwoo's life story briefly and investigates Kwonwoo's stream of consciousness reflected on Kwonwoo's diary. For this study, the contents of Kwonwoo's diary were divided into Kwonwoo's politic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personnel anecdotes and social conditions. In Kwowoon's politics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the focus was on his descriptions and reflections on the historical events and facts written in the diary. Kwonwoo criticized the disappearance of democracy during the Park Junghee's regime and envied President Nixon's impeachment in the United States. In addition, he revealed that politicians during that time were unreliable. However, he rarely criticized the government after President Park Junghee's death. In the 1980s, Kwonwoo became pro-government and conservative. This implies that it is natural for Kwonwoo to feel in this way with advancing years. In Kwonwoo's diary, he narrated diverse people such as the scholars of the Chinese classics, fighters for independence, friends, and politicians and so on in his personnel anecdotal stories. This shows that he was acquainted with a lot of people in diverse fields. Through those anecdotal stories,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country and the national pride and expected the revival of the Chinese language literature of Korea. One of the examples is his effort to make Confucius' birthday a holi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