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졸자 청년층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조동훈(Donghun Ch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8 한국노사관계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6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하는 대졸자이동경로조사(GOMS) 최근자료인 2015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을 실증 분석하였다. 경제학이 개인의 효용 극대화 혹은 행복을 극대화하는 과정을 탐구하는 학문인 점을 감안하면 직무 혹은 일자리 만족도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개인의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개인의 속성 및 일자리와 관련된 관측되는 여러 요인들을 적절히 통제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이런 연구에 있어서 개인의 목적의식, 성취의욕(motivation) 혹은 타고난 능력이나 가정환경 등이 직무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성취의욕이 강한 개인의 경우 탁월한 학습능력을 바탕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장을 구하고 당연히 이를 통해 높은 직무 혹은 일자리 만족도로 이어질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런 관측되지 않는 개인의 능력이나 성취동기를 통제하고자 개인의 대학시절 학업성과지표인 전 학년 평균학점(GPA)을 중요한 설명변수로 통제하였다. 예상한 대로 대학시절 학업성과가 좋았던 청년층의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가정환경을 통제하기 위하여 엄마의 교육수준도 설명변수로 활용하였다. 직무만족도 결정요인 설명변수로는 시간당임금, 성별, 연령, 대기업 종사여부, 정규직여부 그리고 현재 일자리가 졸업이후 첫 번째 직장인지가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대학재학시절 전공과 사업체 형태 그리고 산업구분을 중요한 설명변수로 고려하였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남성에 비해 여성의 직무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중소기업에 비해 대기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리고 현재 정규직으로 일하는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직무만족도는 비정규직 근로자 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직장이직의 경험과 현재일자리 만족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다. 대학재학 시절 전공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에서는 교육과 자연분야 전공자의 현재 일자리 만족도가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전공분야에서 획득한 지식은 현재 일자리에서 상대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되며 업무에 큰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자가 종사하는 산업분류별 직업만족도 차이를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제조업 기준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난 산업은 전기·운수·통신과 금융 및 보험업이었다. 그리고 근로자가 속한 사업체 형태의 경우 정부투자 혹은 공사기업과 교육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가 국내기업 종사자보다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This study empirically estimates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by recent cohort of college graduates in the workplace. Using the data of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we consider the several characteristics on determining young workers’ job satisfaction. Majors studied in college, industry affiliation and types of firms seems to affect workers’ job satisfaction. We controlled for motivation and/or innate ability which might affect workers’ job satisfaction using some variables related to the family background and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time.

      • KCI등재

        초임 유아교사와 경력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혜욱,이옥형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3

        이 연구는 유아교사가 겪는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고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자,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며, 이러한 영향이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196명(초임교사 90명, 경력교사 106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와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도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초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직무스트레스가 높았으며,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직무만족도는 낮았다. 셋째,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직무만족도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직무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직무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해 직무만족도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초임교사와 경력교사 모두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그 영향력은 초임교사가 경력교사보다 높았다. 또 초임교사는 사회적 지지를, 경력교사는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통한 간접효과가 있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influence of job stres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on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Data from 196 preschool teachers(90 beginning teachers and 106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job str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Second, beginning teachers had greater job stress than the experienced teachers. The beginning teachers had lower ego-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en did the experienced teachers'. Third, job stress had a negative influence on ego-resiliency,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urth, job stress had a directly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Fifth, job stress had a directly nega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or beginning teachers as well as for experienced teachers. Social support indirectly effected the relationships of the other variables for beginning teachers. Ego-resiliency and social support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relationships of the other variables for experienced preschool teachers.

      •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

        김호철(Ho-Chul Kim),김용태(Yong Tae, Kim),박용성(Yong-Sung Park),이익표(Ik-Pyo Lee),황선광(Sun-Gwang Hwang)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2016 대한영상의학기술학회 논문지 Vol.2016 No.1

        목 적 : 종합병원 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들을 통해 직무순환제도에 따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설문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설문은 수도권내에 소재하는 종합병원 중 19개의 병원을 편의표본 샘플링에 의해 선정하여 영상의학과내에 근무하는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크게 세부분으로 방사선사의 일반적 특성과 직무 특성, 둘째로 직무순환의 절차, 효과, 형태와 셋째로 직무만족도중 직무자체 만족도, 임금만족도, 상사와 동료만족도, 사회적 만족도이다.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여 t검정, Anova test, Cronbach s 알파 계수, Person 분석, 다변량 회귀분석법을 실시하였다. 결 과 : 총 703부를 배포하였으며, 수거한 설문지중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한 642부의 설문을 토대로 분석하였다. 첫째, 직무순환제도에 미치는 영향들은 비교적 사회경험이 적은 방사선사들에게서 많이 나타났으며(P<0.000), 경력이 많은 방사선사들에게서도 필요하다는 결과를 얻었다(P<0.000). 비정규직 근무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0), 둘째,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들 또한 직무순환제도 미치는 영향과 비슷한 결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정부서에서 만족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8). 상사와 동료 만족도 항목과 직무 순환 효과항목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았다(P<0.000). 셋째, 직무만족도에는 일반적 특성과 직무특성(13.4%) 보다 직무순환(52%)제도의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결 론 : 직무순환제도가 직무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중 경력이 많은 방사선사들에게서도 알 수 있듯 반드시 필요한 제도라 생각되며, 직무순환제도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부분은 방사선사의 순환욕구와 상사와 동료 관계뿐만 아닌 특정 부서의 만족도가 편중되지 않아야 하며, 직책에 있는 방사선사도 이에 해당한다. 또한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무순환의 효과가 매우 많은 영향이 있어 이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끌어 내는 것이 중요하다. Purpose : Radiological technologists purchased through working in hospitals to evaluate the effect on job satisfaction of the job rotation system. Materials and Methods : Were evaluated through questionnaires, surveys were intended for radiological technologists who work in the Department of Radiology selected by the 19 hospitals of hospitals located within the metropolitan convenience sample sampling. Construction of large radiation survey 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into three parts, procedures, job rotation of the second, effects, shapes and third of job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in itself, pay satisfaction, the boss and colleague satisfaction, social satisfaction. Analysis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18.0 t test, Anova test,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Pers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Result : Deployment was a total of 70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642 parts except the inadequate response of the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irst , the impact on job rotation schemes to obtain a result that is relatively social experience showed a lot from less radiation bought (P <0.000), winning requires egeseodo much radiation bought (P <0.000). nonregular nonregular workers even with a difference had appeared were that (P <0.000), second, were found to contain the effects are also similar to the results and impact of job rotation schemes on job satisfaction, it showed a difference of satisfaction in certain departments (P <0.008),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the boss and fellow satisfaction items and job rotation effect items (P <0.000). third, job satisfaction has a greater impact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job rotation (52% ) plan more job characteristics (13.4 %). it was found that. Conclusion : And a job rotation scheme having a significant impact on job satisfaction, dual career a lot of radiation bought egeseodo As you can see, be sure it is thought La required system, an important part to consider job rotation system is rather well fellowship with the radiation s circulation desire and firm and it should not be concentrated in a particular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hat this radiation apostle in office.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ere is a very large impact effect of job rotation led them to more efficiently in order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 KCI등재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별의 다중집단분석의 적용

        권혁기(Kwon, Hyukki),김병주(Kim, Byoungjoo)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2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일치 그리고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서, 변수 간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7년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6GOMS)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육만족도는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대학 재학 중 경험한 전공교육과 교육인프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장에서 부여받은 업무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둘째, 직무일치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직무일치도에 따라서도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여성 대졸자의 대학교육만족도가 취업 후 직장에서 경험하는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남성 대졸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일한 교육을 경험하더라도 성별 변인에 따라서 취업 후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효과가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대학은 재학생들이 취업 후 만족스러운 성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교육의 질적 제고에 힘쓰면서도, 성별에 따라 나타나는 성과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그 원인을 면밀히 검토하여 적합한 대학 운영을 위해 노력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job match, and job satisfaction of college graduates, and to find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paths between variabl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data on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2016GOMS) for college graduates in 2017 was us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university education satisfaction has been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job satisfaction after employment.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education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experienced while attending colleg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work assigned. Second, job matching has been confirmed to have a partial parametric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with university educa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s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college graduates may directly affect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but indirectly, it also has a significant impact on job matching. Third, it was confirmed that female college graduates satisfaction with college education had a relatively higher static impact (+) than male college graduates in terms of job satisfaction experienced at work after employment. This means that even if the same education is experienced, the effect on post-employment job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gender variables. In conclusion, universities should work hard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so that students can achieve satisfactory results after employment, but should closely examine the causes of gender-specific differences in performance.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분석 : 대구·경북 유아교육기관 원장이 유아교사에게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경민(Kim, Kyoungmin),유지윤(Yoo, Jiyoon),도수관(Doh, Soogwa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0 지방정부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이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이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리더십 유형을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유형화 한 뒤 구체적인 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가 원장의 리더십 유형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소속기관의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이든 거래적 리더십이든 원장의 리더십 발휘 수준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유아교사의 보수와 승진에 대한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가 원장이 발휘하는 리더십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유아교사는 원장이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하고 있다고 인식할수록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이 유아교사의 전반적인 직무만족도를 제고하는데 기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바는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는 있지만 유아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이 어떤 리더십을 발휘하는가에 따라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과 직무만족도의 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유아교사의 직무자율성 보장은 매우 중요하며, 그러한 직무자율성은 유아교사가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원장이 카리스마와 영감적 동기 부여,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을 통한 변혁적 리더십을 발휘할 때 더욱 더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제고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는 유아교육의 질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impact of leadership type of directors of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as a moderator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this study, leadership types were categorized into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the areas of Daegu and Gyeongbuk. It is show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high level of job autonomy exhibit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It is also shown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erceive leadership style of their directors as transitional are likely to have increased job satisfaction. Regardless of whether directors ‘leadership style is transitional or transactional,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higher level of their salary satisfaction and promotion as they perceive leadership level of their directors as high.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relationship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autonomy and their comprehensive job satisfaction are different depending on leadership types of directors. In particular, the higher level of job autonom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more to do with higher level of their comprehensive job satisfaction when they recognize their directors have transitional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autonomy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job satisfaction, and yet,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satisf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ould be different depending on leadership types of directors and their work places. It is also important to guarantee early childhood teachers’ job autonomy. Such job autonomy can be contributable to their higher level of job satisfaction, when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have transitional leadership through charisma, inspirational motivation, individual caring,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and finally it will be contributable to high qual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KCI등재

        취업준비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병주(ByoungjooKim),서화정(Seo, Hwa-Joung) 한국교육행정학회 2016 敎育行政學硏究 Vol.34 No.3

        본 연구는 취업지원프로그램과 대학교육만족도가 직무일치를 매개로 직무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2013년도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13GOMS1)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만족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졌다. 이는 대학에서 제공하는 교육인프라와 교육과정에 대해 만족할수록 취업 이후의 직무만족도 가 높아짐을 알 수 있다. 둘째, 직무일치의 매개효과는 대학교육만족도와 직무만족도의 관계 에서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교육만족도가 직접적으로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도 하지만 직무일치라는 매개변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주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취 업지원프로그램이 직무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지원프 로그램 제공이 학생들의 졸업이후 취업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졸업 후 직무일치와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재학시절의 대학 교육만족도가 중요함을 확인시켜주었다. 대학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것은 대학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교육의 질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relation among university educational satisfaction,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nd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o accomplish this purpo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dopted for this study. 2013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were used for the analysi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educational satisfaction was, the higher job satisfaction is. This mean that job satisfaction after being employed is raised as satisfaction on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curriculum provided by colleges and universities was high. Secondly, employment supporting program affect negatively job satisfaction mediated by job match. This mean that employment support program not for considering individual needs and character of students but for raising just participation rate don't contribute to raise job satisfaction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Thirdly, mediating effect of jab match is valid in relation between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nd job satisfaction. This mean that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affect job satisfaction not only directly but also mediated by job match. In order to raise job satisfaction and job match of graduates after being employed,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should be raised while they are in universities. Raising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is to rais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So in order to raise college education satisfact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effort to raise and manage the quality of college education.

      • KCI등재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및 직무심리상태와 고객만족도와의 관계

        김양구,전호문,하지원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01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6 No.2

        본 연구는 상업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직무심리상태 수준을 조사하고 고객만족도와 의 관계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연구로 각 스포츠센터별로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심리상태와 해당 스포츠센터를 이용하는 고객의 고객 만족도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2001년 8월 현재 서울·광주·목포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상업 스포츠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종사자와 이용 고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으며, 표집방법은 유층집락무선표집(stratified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500명을 표집하였으며, 그 중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444명(종사자 129명, 고객 31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인 변인, 직무만족도, 직무심리상태, 직무스트레스 그리고 고객만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에 사용한 통계적 기법은 기술통계 및 변량분석(ANOVA),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방법으로는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인구통계적 변인에 따른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의 차이검증에서는 종사자의 변인 중 교육정도 변인에서만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센타 종사자의 인구 통계적 변인에 따른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의 차이검증에서는 종사자의 변인 중 성별변인 에서만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센타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심리상태 및 직무스트레스간의 상관관계 검증에서는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 직무심리상태의 하위요인간에, 그리고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 직무스트레스 하위요인간에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업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직무만족도 수준별 고객만족도의 차이검증에서는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높은 상위 5개 센터와 낮은 하위5개 센터간의 고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상업 스포츠센터 종사자의 직무심리상태 수준별 고객만족도의 차이검증에서는 종사자의 직무심리상태가 높은 상위5개 센터와 낮은 하위 5개 센터간의 고객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the level of Customers' Satisfaction in Services of Sports Centers. This study analyzed each sports center by location. This study selected 10 general centers having more than two facilities in Seoul, Kwangju and Mokpo. To study employees, this study chose all regular staff below the level of department manager, excluding probationers and student workers. 30 to 35 clients in each center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is survey.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has been used in previous studies domestically and abroad because of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analyze data accumulated through the surve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arried as statistical methods, and the Duncan test was executed for post-inspection. Using the above methods and procedu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based on employees' demo graphical characteristics in the sports centers shows that there are only statistical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ir job satisfaction. second, analyzing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shows that only their gender makes a difference in job stress. Third, only two factors made a statistical differene in customer satisfaction: average visit frequency per month and age. Fourt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mployees' job contentment and mental state shows that there is a like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ubordinate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ir mental state as well as between subordinate elements of job satisfaction and their job related stress. Finally. 5 commercial sports centers where employees have high job satisfaction and mental state showed high customers satisfaction.

      •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백은주,서명순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08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0 No.-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는 어떠하며,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가 어떠 한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1-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1-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2-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2-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전반적인 관계는 어떠한가? 3-2. 경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3-3. 학력별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들의 사고양식은 군주적, 외부지향적, 행정적, 자유주의적인 순으로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사고양식과 직무만족도 전체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about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and wha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The research subjects were kindergarte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a Qualification Training and a Job Training by region, targeting total 761 persons in the final analysis. A research tool was sued questionnaire that comprised 6 items for background factor, 65 items for thinking styles, and 24 items for job satisfaction. The questionnaire items for thinking styles of kindergarten teachers were used the thinking-style questionnaire that Yun, Mi-seon(1997) translated 'thinking styles Questionnaire Short Version' by Sternberg and Wagner(1991). The results, which were indicat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high tendency in order of monarchic, external, executive, and liberal. Thinking styles in kindergarten teachers by career was indicated to be statistically higher significantly in kindergarten teachers with career of more than 9 years than kindergarten teachers with career of less than 9 years, as for anarchic and internal thinking styles(p<.01). Seco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were indicated to be high in whole. Third, the whol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job satisfaction in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 KCI등재

        일대학 부속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귀분 ( Kwuy Bun Kim ),석소현 ( Sohyune R Sok ) 경희대학교 동서간호학연구소 2006 동서간호학연구지 Vol.12 No.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에서 연령이 31세 이상이 41명으로 42.3%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 에서 30세 이상이 44%를 차지한 것과 비슷한 결과라고 볼 수 있으며 Rhu(1996)의 연구에서 28.4%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간호직 연령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전문직으로서의 발전에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보여진다. 최종학력은 전문 대학이 45.4%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연구에서 47.83%을 차지한 것과는 비슷한 결과였으나 Rhu(1996)의 연구에서 전문대학이 73.2%와 Park(1997)의 연구에서 66.7%를 차지한 것과 비교해 볼 때는 많이 감소되었다. 이 는 간호사들이 학사학위 취득기회나 대학원의 진학 기회가 넓어지고 있으며 일반간호사에게도 학사학위 이상을 필요로 하는 현대 간호교육과 실무의 영향이라고 사료된다. 이는 자기발전의 기회가 되며 전문직 발전에도 중요한 계기가 되므로 계속교육은 더욱 필요하다고 본다. 결혼상태에서는 미혼과 기혼이 거의 비슷하게 차지하고 있어 결혼이 간호직을 수행하는데 장애가 되지 않고 있으며 결혼후에도 계속적으로 간호직을 수행할 수 있어 전문직으로서 그 자리를 굳건히 하고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근무병동은 내, 외과병동이 59.8%으로 가장 많았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와 비슷하였으며 내, 외과 병동이 가장 큰 주요부서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근무경력은 10년 이하가 73.2%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서 10년 이후에는 간호직을 그만두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승진의 기회가 적고 경력이 많아지면 퇴직을 하게되는 행정상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월급여은 300만원 미만이 67명으로 69.1%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근무경력이 10년이하가 대부분(73.2%)을 차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는 만족이상이 35.1%를 차지하여 Kim(1998)의 연구에서 41.94% 보다는 낮은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통이다가 거의 과반수(46.4%)를 차지하였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에서 47.57%와 비슷하였다. 이는 만족도가 정확히 구분되지않은 상태에서 현 근무형태에 연구대상자 스스로가 적응해가는 것으로 사료된다. 현근무부서에 대한 만족여부는 대부분(68.0%)이 만족하지 않고 있었는데, 이는 간호인사관리에서 간호사들을 근무부서에 배정할 때 간호사의 의사나 의견을 고려하지 않고 행정적으로 배정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만족 영역별 점수를 비교해 볼 때 전문적 위치, 대인관계, 자율성순으로 대체로 만족하고 있었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에서 전문적 위치, 자율성, 대인관계 순으로 만족하고 있었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는 Lym 등(2001)의 연구와 Rhu(1996)의 연구결과와도 유사하였다. 그리고 필수적 직무, 보수 및 승진, 행정 순으로 만족도가 낮았던 것은 Han과 Moon(1996)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직무만족 정도의 평균점수는 2.95점으로 나타났는데 Whang, Jeoung과 Joung(1998)의 연구에서 평균점수 2.88점과 유사하였다. 연구결과를 분석해 보면, 전문적 위치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은 업무에 있어서 숙련된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이며, 자신들이 행하는 간호행위에 전문성과 관련된 자신감과 확신의 결과라고 사료된다. 또한 보수 및 승진 과 행정 영역이 만족도가 가장 낮은것은 근무경력이 높아져도 보수와 승진의 폭이 크지 않고 변화가 없기 때문이며 간호사들이 행정에 참여하는 기회가 적고 직원복지가 제대로 되어있지 않으며 문제발생시 행정체계가 잘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직무만족 문항별 점수를 비교해 볼 때 전체 39문항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로 4.15점으로, 그 다음은 대인관계 영역의 ‘동료간호사들은 내가 바라는 만큼 친절하지도 사교적이지도 않다’로 4.05점으로, 전문적 위치영역의 ‘내가 하는 일은 중요하다는 점에 추호의 의심도 없다’ 로 4.01점순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Choi과 Kim(2000), Kim(1998), 그리고 Joo(2002)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이는 Herzberg(1977)의 만족요인으로 제시한 성취감, 안정감, 도전감, 책임감, 성장과 발전, 일 그자체의 성질을 반영해주는 항목의 만족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체39문항중 만족도가 가장 높은 문항이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문항인 것이 상이하였다. 이는 최근 병원평가로 인하여 직접간호 제공기회가 많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낮은 점수를 나타낸 문항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환자와 접촉할 시간이 많다면 휠씬 더 좋은 간호를 할 수 있을 것임’이 2.08점으로 가장 낮았고 그다음으로는 행정영역의 ‘행정직 정책 결정과정에 간호사를 위해 참여할 기회 충분히 있다’가 2.11점으로 낮았다. 본 연구 결과중 특이한 것은 필수적 직무 영역의 ‘근무하는 동안에 대체로 시간이 빨리 간다고 생각한다’ 문항은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동시에 같은 영역인 필수적 직무 영역의 ‘환자와 접촉할 시간이 많다면 휠씬 더좋은 간호를 할 수 있을 것임’은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최근 병원평가로 인하여 직접간호 제공기회는 많아졌지만 직접간호제공시간은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중 연령이 직무만족도와의 차이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는데 연령이 더 많은 군이 적은 연령군보다 직무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것은 Kim(1998)과 Park(2002)의 연구에서 연령이 많은 간호사가 직무만족도가 높았다고 보고한 연구결과들과 동일하였다. 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영역별 직무만족 차이검증에서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연령은 20-30세 군과 31-40세군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평균점수를 비교해 볼때 가장 젊은 층이 보수 및 승진영역에 만족을 더 가졌고 그다음으로는 연령층에서 가장 많은 군이 그다음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간 연령군이 가장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장 젊은 층은 처음 시작하는 직장에 대한 의욕과 정열이 있고 가장 많은 연령군은 나이가 많은 상태에서도 일할 수 있다는 의욕과 감사로 인해서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사료되며 중간 연령군은 자신들의 의욕과 업적에 비해서 보수 및 승진의 기회가 없음을 느끼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현 근무형태 만족도에서는 매우 만족하는 군과 불만족군, 매우 불만족군과의 차이때문인것으로 나타났는데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보수 및 승진영역에서도 가장 높게 만족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Park(2002)의 연구결과와 동일하였다. 경제여건은 약간 넉넉하다고 생각하는 군이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에서 매우 넉넉하다고 한 군이 보수 및 승진 영역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가진 것과는 상이결과였다. 이상의 보수 및 승진영역에서 연구결과를 볼때 현 근무형태 만족도를 높힐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여 적용할 때 보수 및 승진에 대한 만족도도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필수적 영역에서는 중환자실에 근무하는 간호사가 그 외병동보다 필수적 직무에 대해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의 연구결과 유사한 것으로써 이는환자의 생명과 보다 직결되는 직무를 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자율성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일반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이 하나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Kim(1998), Kim(2005) 그리고 Park(2002)의 연구에서 여러 특성이 자율성영역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것과는 상이한 결과였다. 전문적 위치영역에서는 현 근무형태 만족도에 대해서 매우 만족하는 군과 불만족군, 매우 불만족하는 군과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Kim(1998)과 Kim(2005)의 연구결과와 동일한 것이었다. 대인관계 영역에서는 연령이 가장 많은 군이, 월급여는 가장 많이 받고있는 군이 현 근무형태 만족도는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대인관계 영역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Park(2001)의 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연령이 더 높고 월급은 더 많이 받고 현 근무형태에 대해서 매우 만족해하는 간호사는 대인관계에서 더 만족해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행정영역에서도 현 근무 형태에 대해서 매우 만족해하는 군이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여러 가지 일반적인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 중에서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가 직무만족도와 직무만족 영역별 만족도에 가장 폭넓게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현 근무형태에 대해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적으로 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전체 결과를 통하여 직무만족도가 낮은 직무영역의 만족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접간호제공기회가 많아짐과 동시에 그에 적절하게 직접간호제공시간도 많이 주어지도록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방법을 구체적으로 강구해야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간호사의 행정 영역의 참여기회를 높이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성과 관련된 자신감과 확신을 가지고 고객만족을 위한 확대된 역할수행을 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직무만족도를 높이기위해서는 현 근무형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scribe and analyze about the degree of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a university hospital for basic data to develop the professionals and improve productivities, effectiveness in nursing practice. Methods: Design was the descriptive survey study. Sample were 97 nurses in K university hospital, and convenient sampling was used. Measures were job satisfaction of nurse for job satisfaction tool modified by Kim, S.N.(1998) and developed by Slavitt(1978).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2005 to June 2005, and analyzed using SPSS PC+12 program.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F-test, t-test, and x2 test were used for verification of differences. Results: 1. Scores in categories of job satisfaction were ranked for professional position(3.25), interpersonal relationship(3.19), autonomy(3.08), necessary job(2.88), payment and promotion(2.79), and administration(2.50) in order.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F=3.343, p=.040) and satisfaction for current job(F=10.331, p=.000) in differences of job satisfaction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job. Conclusions: On the findings, authors suggest that more opportunities for direct nursing practice, appropriate time for the practice, and the intervention improving satisfaction for current job are needed to improve job satisfaction.

      • KCI등재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김용근 원광대학교 경찰학연구소 2015 경찰학논총 Vol.10 No.1

        이 연구에서는 전국의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직무만족도의 차이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이를 구명함으로써 향후 경찰 공무원들에 대한 환경 및 처우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 는데 기여함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인식 수준에 따른 세 집단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직무만족 도 차이를 알아보았는데, 이 연구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직무만족도에 차이에는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상 집단이 직무만족도 가 낮으며, 하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갈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에서는 직 무만족도의 모든 하위 변인들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역할모호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에서는 임금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변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역할과다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에 서는 동료를 제외한 모든 변인들이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며, 동료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 결과적으로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별 직무만족도 차이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며,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낮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은 집단이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 났다. 즉, 직무스트레스 인식 하 집단이 상 집단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을 의미하며 직무스트레스 요인에 따라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national police officials, the duties of the police officials stress factors as rated by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reduc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the duties of police officers to improve the working environment and of the police officials who sought treatment for scabies help to provide direction. The study appeared in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gassing as follows. First, the duties of the police officials stress factors in the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by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s low, higher-phase group, the Group found that job satisfaction is high. Secondly, due to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 and job satisfaction of all of its meaning, which is why the difference between the variables. Third,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wages in accordance with the role ambiguity, except for all the variables in the still makes a difference. Fourth, the role and the difference in job satisfaction in accordance with colleagues of all but could not sense the difference, which is why the variables, note that only fellow. differences appeared. Fifth, as a result, police officials note that the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ors specific job satisfaction-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job stress, job stress higher collective, a group that has a high job satisfaction is low. In other words, job stress, job satisfaction, compared to over aggregation to recognize the collective high. This is the lower job satisfaction job stress means higher job stress factors, job satisfaction can see that there is a differ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