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민지향적 도시재개발 및 재생정책을 위한 실증연구: 쇠퇴지표에 의한 지각차이를 중심으로

        이세규 ( Se Kyu Lee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1 地方行政硏究 Vol.25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주민지향적 도시재생정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나주시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지역주민 간의 도시쇠퇴지각에 대한 차이의 양상과 정도를 검증하는 데 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과 지역주민의 쇠퇴지각을 측정하기 위한 도시쇠퇴지표를 구성하기 위해 이론고찰과 선행연구를 실시하였다. 또한, 분석모형을 설정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모형의 확증적 요인분석을 고찰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결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과 지역 주민이 경제적 쇠퇴요인을 제외한 모든 부문에 대해 지각의 양상과 정도가 상당히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공무원의 쇠퇴지각에서는 환경부문과 교육·복지의 쇠퇴지각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검증되고 있어, 주민들이 체감하는 쇠퇴와는 차 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주민지향적인 도시재 생정책마련을 위해서, 지방자치단체는 우선 지역주민의 의견수렴과 참여를 위한 제도적 장치와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는 지역특성과 주민수요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공공고객관리(PCRM)와 같은 주민맞춤형 행정서비스 개념의 체계를 도입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the perception of the urban decline between the citizens and the local bureaucrats in Na-ju city, and to find policy implications on successful local urban regeneration`s strategie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reviews the existing literatures about the peculiarity of urban decline index and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erifies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using a high-order factor model within SE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xcept the economic decline, Na-ju city local official recognize differently every local decline perception compared with resident`s. In the local civil servants case, even the environmental decline and the education & the well-fare decline perception are not proved statistically.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eses finding is as follow. In order to make successfully the resident-oriented urban regeneration strategy of local small-median city, the local government should make the PCRM system and make the partnership with the citizens. In other words, the public servants should be changed their administrative service by the customer satisfaction style.

      • KCI등재

        고객지향적 행정서비스 품질과 주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향수,안형기 서울대학교 한국행정연구소 2011 行政論叢 Vol.49 No.4

        Evaluations of resident satisfaction towards administrative services have been conducted for more than ten years since they commenced in the late 1990s. Most local governments currently assess resident satisfaction but the assessments of the government are skeptical. In this study, the resident's awareness of the quality of five service factors was analyzed. How the five service quality factors, as independent variables, influence resident satisfaction was also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awareness of the quality of the five service factors is substantially average. In addition, the study results indicate that access, responsiveness, and capability variables were all significant in affecting resident's satisfaction. Less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management leadership are presented. 행정서비스에 대한 주민만족도 평가는 1990년대 후반이후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래 약 1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대부분의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정기적으로 행정서비스에 대한 주민만족도 측정을 하여왔으나 행정서비스의 품질에 대해서는 아직도 회의적인 평가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군소재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5개 고객지향적 행정서비스 품질요인들에 대한 인식분석 및 이들 서비스 품질요인들이 주민만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5개서비스 품질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보통수준이었으며, 아직도 개선의 여지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민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주요 서비스품질요인으로는 접근성, 업무처리능력, 대응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서비스 만족도 제고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일본에 있어서 농촌지역개발주체의 존재형태와 변화방향에 관한 연구

        윤원근 한국농촌지도학회 2011 농촌지도와 개발 Vol.18 No.3

        The implementation of an place-based rural policy requires changes in the intra-governmental relation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ivil society. Over the past decades, Japan has been increasingly devolving and decentralizing public responsibilities and resources to sub-national government levels. There is assumption that such transfers produce more efficiency in terms of public management and create better conditions for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se transfer respond to new expectations of citizens and civil society to participate more closely in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Coordination is also needed at the local level to integrate sectoral approaches,to involve private partners and to achieve the appropriate geographic scale. Local public and private actors join a partnership and pool knowledge and resources. This type of local partnership is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actors, including municipalities, sub-regional government institution and development agencie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actors(private firms, cooperatives,associa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farm organizations, other categories organizations, etc,) is also important.

      • KCI등재

        일본에 있어서 농촌지역개발주체의 존재형태와 변화방향에 관한 연구

        윤원근 ( Won Keun Yoon ) 한국농촌지도학회 2011 농촌지도와 개발 Vol.18 No.3

        The implementation of an place-based rural policy requires changes in the intra-governmental relations and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civil society. Over the past decades, Japan has been increasingly devolving and decentralizing public responsibilities and resources to sub-national government levels. There is assumption that such transfers produce more efficiency in terms of public management and create better conditions for economic development. At the same time, these transfer respond to new expectations of citizens and civil society to participate more closely in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process. Coordination is also needed at the local level to integrate sectoral approaches, to involve private partners and to achieve the appropriate geographic scale. Local public and private actors join a partnership and pool knowledge and resources. This type of local partnership is characterized by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actors, including municipalities, sub-regional government institution and development agencies.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actors(private firms, co- operatives, associations, non-profit organizations, farm organizations, other categories organizations, etc,) is also important.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들의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여현철(Yeo Hyun Chu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5 사회사상과 문화 Vol.18 No.3

        지금까지 북한이탈주민들에 대한 연구의 대부분은 이들을 ‘사회 적응의 대상’, ‘수용의 대상’, ‘지원의 대상’으로 명시하거나 규정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 사회 적응은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 사회의 사회문화적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하는 변화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기존 사회에서 이탈한 한 개인이 새로운 사회에 유입되어 그 사회 속에서의 상호 작용을 통해서 사회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기능을 발견하고, 그 역할에 따른 책임을 다 할 때 이를 사회적 적응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이 한국 사회가 요구하는 ‘적응’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개념화하는지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경험하는 한국 사회에 대한 만족도와 어려움의 상관관계에 대한 분석 및 결과 도출, 그리고 대안을 제시하였다. 북한이탈주민들의 한국 사회적응은 첫째,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만의 목적의식을 가지고 자신의 정체성에 따른 삶을 살아가는 ‘목표 지향적 적응’과 둘째, 한국 사회에서 자신의 지위와 역할을 인지하고 이를 수용(受容)하면서 살아가는 ‘과정 중심적 적응’으로 구분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이 생각하는 ‘적응’은 한국인과 동등한 위치에서 상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지위의 확립이며, 이 과정에서 자신만의 기준과 정체성을 확립해 가는 과도기적 단계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주민들을 대상으로 하는 적응 중심의 정부 정책에서 사회 통합 중심의 정부 정책으로 새롭게 전환시킴과 동시에 체계적인 통합 중심의 적응 모델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defectors regards these people as ‘target audience of social adaptation’, ‘society has to take care’ and ‘client who needs social support’. However, we can also define social adaptation as changing process throughout interaction in Korean society. This specifically refers an individuals who left old-society, now come to new society and starts its interaction. Through this process they recognize their role as social member and complete responsibility in a new territory. We can also call this as social adaptation.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how North Korean defectors think about ‘adaptation’ constructed by South Korean society.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studie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s’ satisfaction and their difficulties. This study also provides possible alternatives.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in South Korea can be distinguish two sub-categories. The first one is ‘goal oriented adaptation’ which means people live their life with own goal and own identity. The other one, ‘process centric adaptation’ refers that defectors live peacefully by recognizing their social status. In short, the ‘adaptation’ made by North Korean defectors means making equivalent social status which can equally associate with South Koreans. We can named this as ‘transition period’ which constructing their own standards and identity. Hence, we need a new definition which can measure North Korean defectors social adaptation more correctly. Also, social insight is required to social policy. I hope that this research can help government to change their incumbent policy based upon adaptation centric approach to social centric approach. Furthermore, I expect more systemic and statistic adaptation model will be invented.

      • KCI등재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에 따른 지역주민의 메가 이벤트 방문행동 이해

        윤설민(Yoon, Seol-Min) 대한관광경영학회 2014 觀光硏究 Vol.29 No.4

        이벤트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 지역주민들의 협조와 참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이에 본 연구는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사용하여 메가 이벤트 방문객의 행동의도를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모델링 결과 애착도와 주관적 규범은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와 긍정적 기대 감정은 열망에 긍정적으로 연관됨이 발견되었다. 마지막으로 열망, 지각된 행동 통제, 그리고 애착도는 행동의도에 긍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연구가설 외에 추가 경로(긍정적 기대 감정→행동의도)가 발견되었고, 긍정적 기대 감정은 행동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구성개념별 간접효과를 규명한 결과 애착도와 주관적 규범은 열망에 간접 영향을 형성함에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애착도, 태도, 주관적 규범, 그리고 긍정적 기대 감정은 행동의도에 간접 영향을 형성함에 중요한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애착도, 태도, 긍정적 기대 감정, 열망과 같은 정서적 요인이 이벤트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구성개념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들은 결론 부분에 더 논의되었다. For the successful hosting of the event,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s very important. This study examined behavioral intention of visitors for the mega event using an Exte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 that attachment and subjective norm had a positive effect on attitude. Also, attitude and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to desire. Finally, desire,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attachment seemed to have positively significant influence on behavioral intention. Furthermore, additional path(positive anticipated emotion→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besides the research hypotheses originally proposed,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Meanwhile, after examining indirect effect by constructs, attachment and subjective norm are important form indirect relation for desire. Also, attachment,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are important form indirect relation for behavioral intention.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 that affective factors such as attachment, attitude, positive anticipated emotion, desire are the most meaningful constructs in order to hold a successful ev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further discussed in the concluding s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