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스마트오피스에서 실내 조명환경에 따른 재실자 생체신호 특성 분석 및 업무생산성 예측모델 개발

        김태근,염동우,임세헌,윤성국 한국통신학회 2022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47 No.11

        Recently, the need to make a personalized environment using personal bio-signal data from various smart devices has been increasing. To acheive optimal productivity and energy-saving for indoor environments, we conducted a human experiment and analyzed their bio-signal. Based on the results, we proposed machine learning based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We experimented at Arizona State University to obtain bio-signal at each indoor lighting condition. Among bio-signals, the pupil size and heart rate are selected. We show that pupil size and heart rate highly correlate with indoor lighting environments. Also, pupil size and heart rate correlate with produ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we propose a decision tree-based productivity prediction model using pupil size and heart rate. The proposed model almost correctly predicts each person's productivity level. 최근 여러 스마트 장치로부터 취득되는 개인 생체 데이터를 활용하여 개인 맞춤형 환경을 구성하려는 수요가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은 스마트오피스를 환경에서 최적의 업무생산성과 에너지 사용 실내환경 조성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실내 조명환경 변화에 따른 재실자의 생체신호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기계학습 기반업무생산성 예측모델을 제안한다. 실제 조명환경에 따른 재실자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하여 애리조나 주립대학교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생체신호 중 동공크기와 심박수를 고려하였고, 실내 조명환경에 따라 동공크기와 심박수가 영향을 받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동공크기와 심박수가 업무생산성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결정트리 기반의 업무생산성 예측모델을 제안하였고, 트리의 복잡성을 낮추기 위해 제한된 파라미터 범위에서 최적의 성능을 보이는 예측모델을 구성하였다.

      • LED에 의한 항로표지 시설의 감성식별 조명에 대한 연구

        오진성(Jin-Seong Oh),최조천(Jo-Cheon Choi)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춘계

        This study is the visually emotional identification lighting for easy to distinguish using 3colors LED on AtoN facility in shore and harbor, which have realized a controller for certainly express the mouth of a harbor by red light and green light of both sides a harbor and for synchronization at time of right and left or serial sequential the harbor guidance light through synchronizer or timer by GPS. There is expectation effect that is prevent a confusion about distinguish of facility by ship's operator and to beauty a night Scene of harbor, which is expressed to emotional identification lighting differ from great many lighting of harbor with variable color lighting the lighthouse body and vertical layer color lighting using LED. The function of AtoN is adapted that guidance light through synchronization or serial sequential lighting and display of harbor safety message by CW lighting, and this system is the power consumption greatly reduce by candle alternated high light LED. 해안 또는 항만에 설치되는 항로표지 시설에 3색 LED를 적용하여 식별을 용이하게 하는 시각적인 감성식별 조명에 대한 연구로 항만 양측의 홍등 및 녹등에 의하여 입구를 확실하게 표시하고, GPS에 의한 시각동기와 타이머를 통하여 항만 유도등을 좌우동시 동기 및 일렬순차 동기시키는 콘트롤러를 구현하였다. LED에 의한 등대 구조물을 다양한 색상으로 표현하고 또한 높이에 따른 층별 색상으로 조화시키는 감성적 조명으로 야간에 항만의 수많은 조명과 구별되어 항해사들의 표지식별에 대한 혼란을 예방하고, 야간항만의 경관을 미화시키는 기대효과가 있다. 선박의 항만진입을 돕는 유도등의 동기 및 순차점멸 그리고 항만안전 메시지를 전달하는 CW 발광에 대한 기능을 부가하였고, 등명기를 고휘도 LED로 대체하여 전력소비를 크게 감소시킨다.

      • KCI등재

        비영어권 외국인 내원객의 조명신호와 안내서를 이용한 검사방법 개선효과 : 흉부방사선 검사자를 대상으로

        곽종혁(Jong Hyeok Kwak),최민경(Min Gyeong Choi),김능균(Neung Kyun Kim),김아연(A Yeon Kim),김성진(Gyeong Rip Kim) 한국방사선학회 2020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4 No.5

        본 연구는 비영어권의 내원객 수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고 그에 따른 방사선 검사 시 언어의 소통 및 의사전달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검사를 위해 제작한 안내서를 배부 후 설명 전후에 따른 개선 효과를 알아보았다. 검사 부위 인지 여부는 점수 척도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고 검사의 불편 정도, 호흡 지침 이해 정도, 검사 설명 만족도는 제작한 안내서 설명 전후에 따라 점수 척도가 향상되었으며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다. 비영어권 외국인 내원객의 경우 영어나 한국어로 했을 때 보다 자국의 문자로 설명하는 것에 만족하였고, 그 방법 또한 검사실 내 조명 신호를 이용하여 외국인 내원객에게 호흡을 조절해야 하는 시기를 알려줌으로써 효과적인 검사를 시행할 수 있었다. 향후 다양한 언어 통역 프로그램과 다양한 검사 부위에 따른 안내서 제작과 도구 개발, 방사선사 및 의료진의 외국어 능력 향상 등 여러 관점에서 의사소통 수단이 구현 될 때 비로소 의료서비스 및 영상 의학적 검사의 질이 개선 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다른 영상의학 검사실에서도 영어나 한국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비영어권 외국인을 검사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매뉴얼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In this study, the number of non-English speaking visitor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accordingly, there was a limitation in language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during radiographic examination. To this end, after distributing the handbook produced for inspection, the improvement effect of before and after explanation was examined. The score scal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to whether it was the test site or not, and the degree of discomfort of the tes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breathing guidelines, and the satisfaction of the test description were improved and the score scale was improved before and after the description of the guide. Non-English-speaking foreign visitors were more satisfied with explanations in their own text than in English or Korean, and the method was also able to conduct effective inspections by informing the foreign guests when to control their breathing by using the lighting signals in the laboratory. In the futur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imaging medical examinations can be improved only when communication methods are implemen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developing various language interpretation programs, developing guides for various test sites, and developing tools and improving foreign language skills of radiologists and medical staff. There will be. In the future, it may be used as a basic resource to prepare a manual that can be used to examine non-English speaking foreigners who do not understand English or Korean in other radiology labs.

      • KCI우수등재

        건축환경에서 생체리듬을 고려한 인간중심조명 디자인에 관한 문헌고찰

        이수정(Lee, Su-Jung),윤혜경(Yoon, Hea-Kyung)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2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lighting design guide by investigating the lighting metrics of circadian rhythm for proper human-centric lighting in architectural environments. A systematic review of previous studies was examined based on experiments with biosignal responses under various lighting level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the lighting metrics of circadian rhythm were color rendering index (CRI), gamut area index (GAI), correlated color temperature (CCT), illuminance, circadian stimulus (CS), equivalent melanopic lx (EML), and monochromatic light. Biosignal responses were melatonin, cortisol, alpha, beta, theta, eye blinking, core body temperature, and blood pressure used to measure circadian rhythm, visual fatigue, and eye fatigue. The melatonin level of circadian rhythm was higher for the lighting with higher EML than for the lighting with lower EML. Visual fatigue was higher for the lighting with higher CCT, illuminance, CS, and EML than for the lighting with lower CCT, illuminance, CS, and EML. Eye fatigue was higher in the lighting with higher CIE CRI than for the lighting with lower CIE CRI. Therefore,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roper human-centric lighting design should consider a four-step process that includes characterizing the lighting application and determining the lighting levels for the melatonin level of circadian rhythm of users, visual fatigue of users, and eye fatigue of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