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경제학의 방법론적 토대들: 사상사적 흐름과 이론적 비판

        지주형 ( Joo Hyoung Ji )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論叢 Vol.32 No.-

        본 연구는 정치경제학의 여러 흐름들을 사상사적, 방법론적 맥락 속에 위치지음으로써 그것들이 가능하게 된 역사적 조건을 드러내는 동시에 이론적으로 유형화하고 비판한다. 정치경제학의 역사는 정치적, 사회적, 제도적, 역사적 방법론과 추상적, 수리적, 모델링 방법론의 대결 속에서 정치와 경제의 관계를 특정한 방식으로 개념화하는 역사였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치경제학의 제 조류는 정치 경제 관계라는 그 방법론적 토대의 측면에서 환원주의(경제주의, 정치주의), 절충주의를 포함한 연성경제사회학/정치경제학, 경성정치경제학, 탈일국적 지구정치경제학, 문화 정치경제학 등으로 보다 세분화될 수 있다. 정치경제학은 초기에는 자율적 경제영역의 독자적 논리에 기초한 자유주의적 통치술과 정책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했으며 제한적이지만 여전히 정치적으로 유의미한 분석을 지향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후에 정치경제학은 본래와 달리, 정치를 완전히 탈각한 경제학 혹은 정치현상에 대한 경제학으로 변모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반동으로 정치의 우위성을 주장하는 정치주의/정치환원론이나 정치학-경제학의 절충론이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경제 및 사회질서의 정치적, 역사적, 제도적, 문화적 성격에 대한 균형 잡힌 분석과 일국 단위를 뛰어넘는 지구적 분석 또한 발전하였다. 그럼에도 종래의 경성 정치경제학은 정치분석을 상대적으로 경시할 뿐만 아니라 정치경제의 지구적 차원을 경시하는 등의 약점을 가지고 있다. 탈일국적/지구적 정치경제학은 방법론적 일국주의적 편향을 극복하고 경성정치경제학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였음에도 경제의 상징적·문화적 측면을 경시하고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경제적 범주(예:시장, 자본, 화폐, 상품, 이윤, 경쟁력, 위기 등)가 마치 자연적으로 본래부터 존재했던 것처럼 물화하는 경향이 있다. 필자는 이러한 비판에 기초해 경성정치경제학과 지구정치경제학에 가장 최근에 발전된 문화정치경제학 방법론을 결합시킨 지구문화정치 경제학을 하나의 방법론적 지향점으로 제시한다. This study locates various currents in political economy in their historical and methodological contexts to reveal their historical conditions and theoretically categorize and critique them. The history of political econom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truggle between political, social, institutional, and historical methods and abstract, mathematical, and modelling methods around the problem of how to relate politics and economy. Through this struggle, political economy has developed a number of competing and contrasting methodological foundations:reductionism(economism and politicism), soft economic sociology and political economy including eclecticism and separatism on the one hand, and hard political economy, post national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on the other. In its earliest stage, political economy did not fully abandon political analysis although its main role was to provide theoretical grounds for liberal governmentalities and policies in line with the(supposedly) autonomous logic of the economic sphere. However, soon it broke with its origins and transformed into(allegedly) politics free economics or even economic analyses of political phenomena. Then this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reactions such as eclecticism, politicism or political reductionism. Nonetheless, political economy also developed hard political economic methods for analyzing political, historical, institutional nature of the economic and social order as well as global analysis beyond the national scale. However, conventional hard political economy tend to neglect political analysis as well as the global dimension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its actual practice. Post-national or global political economy tends to neglect the symbolic and cultural dimensions of the economy and naturalize economic categories such as market, capital, money, commodity, profit, competitiveness and crisis as if they were pre-given rather than being socially constructed. From this perspective, this article suggests global cultural political economy as a methodological orientation by combining hard political economy, global political economy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 KCI등재

        방송통신 융합 시대의 정치경제학

        이남표(Nam-Pyo Lee),김재영(Jae-Young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6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3 No.-

        이 연구의 목적은 방송통신 융합 환경을 설명하는 하나의 인식론이자 접근 방법으로서 정치경제학의 가치를 재고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정치경제학 연구의 특징과 맹점을 밝히고 변화하고 있는 미디어 환경의 특징적 현상을 도출함으로써 정치경제학이 본격적으로 다루어야 할 무엇인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정치경제학의 역사적 총체성이란 거시적 문제 틀을 방송통신 융합 시대에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그에 입각해서 정치경제학의 원리와 연구경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디어 자본의 소유구조에 대한 비판만으로 정치경제학의 범위를 한정시켰던 ‘경제주의적’ 경향을 극복하기 위해서 수용자 이론의 적극적 재개념화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아울러 재개념화의 이론적 출발점으로 신자유주의적 시장론의 문제점, 능동적 수용자론의 왜곡, 수용자 상품론의 한계와 창조적 긴장을 논의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미디어 정치학의 현장 속으로 들어가기 위한 수용자 중심의 정책 이념의 확보 방안을 제안했다. This study attempts to reconsider the significance of political economy as a theory of knowledge and/or a method for explaining the convergence of broadcast and telecommunications. It is going to suggest what the domains of political economy should be in the future by both highlighting the characteristics and blind spots of previous studies and drawing some distinctive features of a new media environment. The principals and recent research trends in political economy are reviewed in order to make clear that the historical totality as a meta-framework of political economy needs to be reexamined in the era of convergence. Although the scope of political economy has been limited to criticize the structure of media ownership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dia consumer theory. It also discusses the problems of free market theory, distortion of active media audience theory, and limitations and creative tension of audience commodity. Finally, this study stresses the significance of audience-oriented policies in order to make approach to practical sides of media politics.

      • KCI등재

        분석적 마르크시즘의 공과(功過)

        이상기(Sang-Khee Lee)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5 No.1

        마르크스가 스스로 자신은 마르크스주의자가 아니라고 밝힌 것처럼 오늘날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결코 마르크스의 위기와 동의어가 될 수 없다. 마르크스주의의 위기는 마르크스의 방대한 이론 체계에서 일부분만 떼어 설명하는 데서 나타난 결과일 뿐이다. 이런 맥락에서 ‘마르크스주의 정치경제학’이 아닌 ‘마르크스의 정치경제학’이 재고될 필요가 있다. 마르크스는 독일 관념론, 프랑스 공산주의, 영국 고전파 경제학을 두루 섭렵했고, 이들을 종합하여 다수의 프롤레타리아가 더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길을 제시했다. 마르크스는 이를 위해 무엇이든 조사했으며, 무엇이든 알고자 했다. 이러한 학문적 자세는 복잡한 현대사회를 설명코자 할 때 반드시 필요하다. 그럼에도 현대의 학문은 분화ㆍ발전되어 소통 및 총체적 설명의 부재를 경험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마르크스주의 경제학과 신고전파 경제학의 소통 가능성을 검토함으로써 본연의 정치경제학을 되살리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경제학사적 접근방법을 시도했고, 분석적 마르크스주의 시각을 도입했다. 분석적 마르크스주의는 신고전파 경제학은 물론 기존의 사회과학에서 발전되어 온 방법론을 총동원하여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이론이 빠뜨렸던 현실과의 간격을 메우고자 했다. 그렇다고 이들의 작업이 모든 이들의 동의를 획득한 것도 아니며,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은 더더욱 아니다. 결국 생산과 소비, 거시와 미시, 구조와 행위를 아우르는 이론체계를 정립하는 것이 정치경제학에 남겨진 과제이다. 이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에도 해당된다. 특히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 분야는 철학(미학), 인문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공학까지 걸쳐 있고, 실재 미디어/커뮤니케이션 현상과 그와 관련된 정책 또한 다양한 정치경제적 역학구도 속에서 결정된다. 따라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은 여전히 유효하며, 좀 더 많은 사람의 동의를 획득하기 위해 더 정교해질 필요가 있다. 모든 이론에 열린 자세를 가지고 학제 간 연구가 활성화된다면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정치경제학의 설명력은 더 증대될 것이다. The recent crises of Marxism do not mean Marx's crisis. Marx said that he was not a Marxist. The purposes of this essay explore (1) the modern identity of the political economy; (2) the possibilities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neoclassical economics and Marxist economics; (3) problems of the political economy in media and communication industry. I have begged for analytical Marxists, because of their good fruits. They accepted the methods of modern social science and they constituted a tremendous advance in the application of the scientific methods to the study of society. In insisting on micro-foundations(methodological individualism), analytical Marxism distinguished itself from structuralism and functionalism. I appreciate that analytical Marxism has reduced a theory to practice. But the works didn't listen to everyone(from Marxists to un-Marxists), and explain everything. Making theory with production/consumption, macro/micro, and structure/behavior is a road to the political economy in the long run. It also applies to media and communication industry. The realm of media/communication is broad, which in philosophy, humanities, politics, economics, sociology, and engineering. And media policy is more complicated by politicians who look at the same situation from different angles. By the aid of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e political economy of media/communication shall explain at full length.

      • 신문화사의 공간과 문화의 정치경제학

        장세룡 문화사학회 2014 역사와 문화 Vol.27 No.-

        이 연구는 기존의 담론 중심의 문화정치가 공간을 사유하며 문화의 공간 정치로 확장을 시도하고, 기존의 정치경제학이 공간에서 전개되는 기호와 일상의 담론에 주목하며 미시적 문화의 영역으로 섬세화시키는 양상을 검토했다. ‘문화적 전환’이 설득력을 확장하면서 문화 그 자체는 점차 생산과 소비, 노동과 놀이까지도 포섭하여 자율적인 수용과 전유를 통하여 창조력을 재생산하는 ‘신개척지’로 평가받고 있다. 그 결과 문화연구는 지적 ‘전위성’에 ‘일반성’까지도 인정받았고, 심지어 문화는 곧 정치라는 간결한 선언으로 새로운 정치 인식의 지형도를 제출하리라는 기대감마저 불러일으켰다. 그것은 문화정치, 나아가 공간을 성찰하는 문화의 공간 정치 영역을 열어 주었고, 사회학과 경제학의 문화적 전환까지도 자극하여 문화의 정치경제학에 관한 전망을 수립하는 데 기여했다. 밥 제솝이 주도하는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문화를 인간 중심으로만 보는 한계를 넘어 물질적 공간 자체가 가지는 존재론적 현실에 관심을 기울인다. 그것은 공간의 물질성 가운데서 출현한 기호학적 양상의 문화적 의미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새로 생성되는 영향력에 주목하도록 시야를 확장시킨다. 그리하여 현실에서 작동하는 인간의 담론성과 물질성의 결합과 담론성이 물질성을 거쳐 표명되는 양상에 관심을 기울이도록 촉구한다. 그러나 이 기획이 기호와 담론에만 배타적으로 관심을 쏟는 것은 아니다. 기호와 구조화가 서로 결합하여 표명하는 권력관계, 경로의존성 및 구조적으로 새겨진 선택성을, 다양한 변형, 선택 및 유지 보존의 진화적 메커니즘의 조건에서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경제활동의 행위자가 수행하는 테크놀로지의 역할을 조명한다. 문화의 정치경제학이 정치경제학 분야에서 전개되는 사건과 과정, 경향과 구조를 기호학으로 설명하는 것은, 경제와 정치의 물질성 기호의 차원으로 축소시켜 경제와 정치의 관계를 분절시킨다는 비판을 받는다. 공간 정치와 문화의 정치경제학은 기본적으로 현재진행형 이론이다. This article focused on the aspects of one that the Cultural Politics transformed to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through reflection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the another that the old Political Economy transformed to Cultural Political Economy which represents delicate and detailed spirit that implied in micro realms through attentions on semiotics and everydaylife discourse in space and place. By ‘Cultural Turn’, the culture itself was estimated as a ‘new reclaimed land’ that reproduces creative forces through autonomous reception and appropriation subsuming production, consumption, labour and play. In result, cultural studies even could acquire the intellectual avant-guardness and generality. Moreover, the proclamation that “culture is politics” provoked feeling of expectations that culture would suggest newly topographical map for political cognition. It opened up more productive realm of Cultural Politics of Space which reflects on spatiality and placeness and contributed to establish the prospect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by stimulating ‘Cultural Turn’ of Sociology and Economics. The researches for the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led mainly by Bob Jessop’s group had concerns for ontological reality based on the material space itself beyond the limit of human-centered culture. It leads to focus on the newly affective forces generated in works to explore cultural meanings of semiotical aspects that emerged in the materiality of space. This urges us to get down to the aspects of conjunctions of discoursality and materiality, the discoursality expressed through materiality. For example, as such a cultural city, entrepreneurial city etc, brand city project and Knowledge-Based Economy which seek in the name of creative economy or creative industry by local governance. But this project does not only focus on the semiotics and discourse exceptionally. It searches for power relation, path- dependency and institutionally engraved selectivity on condition of evolutionary mechanism of various transformation, selection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Economy. Furthermore, the technological roles in relation to the economic activities will be lightened in this context. But notions of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criticized for their reducing economy and politics materiality to semiotics dimension and so segm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y and politics with the accounts for accidents and processes, trends and structures developed in Political Economy in terms of semiotics. The Space Politics of Culture and Cultural Political Economy are ongoing theories which are in the process of configuration, basically.

      • KCI등재

        정치경제학에 있어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

        윤형모 ( Hyung Mo Yoon ) 한독경상학회 2007 經商論叢 Vol.25 No.3

        최근 정치경제학(Political Economy)에서 미시적 현상에 대하여 많은 논문들이 발표되었지만, 거시적 현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점이 많이 존재한다. 그런 관계로 본 논문에서는 정치경제학 범주에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연구하였다. 분석에서 정치영역을 외생변수로 간주하는 고전적 정치경제학(Classical Political Economy)과 정치영역을 내생변수로 고려하는 신정치경제학(New Political Economy)로 구분하였다. 경제자유주의에 의하면 시장경제의 결과가 최상의 상태로 인식되고, 수정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 질서자유주의는 분배에 있어서 사회적 문제가 발생할 때만 최소의 수정을 할 수 있다고 인식한다. 또한, 경제체제의 내재적 취약점을 보완하여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에 최적조합을 유도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내재적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질서정책 수단을 도입하면 기존체재의 기능이 손상되기 때문이다. 정치영역을 내생변수로 고려하는 신정치경제학적 고찰을 위하여 먼저 자본시장을 분석하고 이에 의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의 관계를 도출했다. 자본시장분석에 의하면 성장과 분배의 관계는 평균 저축률에 의하여 상충영역과 조화영역으로 구분된다. 조화관계가 유지되는 영역, 즉 저소득층에 유리한 소득분배가 경제성장률을 높일 수 있는 영역에서는 경쟁적 정치체재에 의하여 소득재분배정책이 실시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정치영역의 경쟁적 체재는 정당으로 하여금 이러한 조화관계를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고, 장기적으로는 상충영역만 존재하게 될 것이다. 상충영역에서 경제성장과 소득분배의 조합이 어떤 상태로 나타날 것인지는 신정치경제학적 고찰에서는 구체적인 해답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본의 평균생산성과 소득분배에 의한 평균저축률이 상승할수록 상충영역의 법위는 좁아지고, 정치적 경쟁관계에 의하여 경제적 효율성이 달성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은 독일통일 후부터 현재까지(1991.01~2006.04), EU국가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자본시장에 대한 분석에서는 독일, 프랑스, 이태리는 상충영역에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자본의 평균생산성은 독일과 프랑스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이탈리아는 이들 나라보다 조금 낮게 나타났다. Der Begriff "Politische Okonomie" unterscheidet sich in die "Klassischen Politischen Okonomie" und "Neuen Politischen Okonomie". Aus der Analyse der Klassischen Politischen Okonomie, in der das politische System exogen behandelt wird, ergibt sich die minimale Anforderung: Wenn systemimmanente Funktionsschwachen der marktwirtschaftlichen Ordnung, besonders im Hinblick auf die Einkommensverteilung, auftauchen, ist die Ordnungspolitik fur die minimale Korrektur notwendig. Eine maximale Anforderung fur eine Realisation der optimalen Kombination zwischen Wachstum und Verteilung ist schwer zu erfullen. Das Problem besteht darin, daß in den meisten Fallen die neu eingesetzten Maßnahmen das Prinzip der vohandenen Ordnung beschadigen. Die nachste Frage ist, welches Ergebnis aus der Neuen Politischen Okonomie resultiert, in der das politische System endogen behandelt wird. Die Okonomische Effizienz ist durch die politische Effizienz im Sinne der Stimmenmaximierung im Bereich der Harmoniebeziehung zwischen Wachstum und Verteilung zu erreichen. Eine Umverteilung zugunsten der Bezieher niedriger Einkommen fuhrt durch die Nachfragesteigerung zu zusatzlichen Investitionen und damit zu einer hOheren Wachstumsrate. Da bei zunehmender Wachstumsrate die Wahler mit hohem Einkommen mit großer Wahrscheinlichkeit die Zunahme ihrer Einnahmen einkalkulieren, gewinnt die Partei, die ein solches Wahlprogramm anbietet, nicht nur die Stimmen der Wahler mit niedrigem Einkommen, sondern auch der Wahler mit hohem Einkommen. Der Konkurrenzmechanismus zwingt die Parteien, den Harmoniebereich auszunutzen. Es ist schwer nachzuweisen, welche Kombination zwischen Wachstum und Verteilung beim Bereich der Konfliktbeziehung zu realisieren ist. Deshalb wurde die Bedingung gesucht, bei der sich die LOsung die Okonomische Effizienz aus der politischen Effizienz ergibt. Die Wahrscheinlichkeit, die Okonomische Effizienz durch die politische Effizienz zu erreichen, wird umso grOßer, je hOher die verteilungsabhangige Sparneigung und die Durchschittsproduktivitat des Kapitals sind.

      • KCI등재

        박정희경제학 : 한국적 경제발전 이론과 정책

        좌승희 한국제도∙경제학회 2021 제도와 경제 Vol.15 No.4

        한국경제의 지난 60여년은 세계 경제발전사에서 대단히 흥미로운 역사적 경험이다. 5.16 혁명으로 시작된 전반 30년 동안은 인류 경제발전사에 유례없는 초고속 성장과 분배의 지속적 개선으로 당대 ‘최고의 포용적 동반성장’을 실현했다. 반면, 1987년 정치민주화 이후 30여년은 지속적인 성장률 하락과 동시에 분배의 악화를 경험해 왔다. 본고는 이를 배경으로 전반 30년의 한강의 기적을 이끈 박정희경제정책패러다임을 새로운 발전경제학으로 정립하여 현재 한국경제는 물론 세계경제가 직면하고 있는 저성장과 분배악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처방으로 제시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제II장에서는 지난 60여년의 한국경제 발전사를 박정희경제학 지우기의 정치경제학적 관점에서 개관한다. 제III장에서는 박정희경제학이 실현한 한강의 기적을 중심으로 지난 60년간의 한국경제의 성과를 간략하게 개관한다. 제IV장에서는 주류경제학을 포함한 현대적 경제발전이론들의 경제발전 처방으로서의 취약성을 간략히 언급한다. 제V장에서는 박정희시대의 경제정책의 성공원리를 ‘경제 적 차별화원리, 정치의 경제화, 기업주도 성장원리’ 등 세 가지로 추출하여 그 시사점을 살펴본다. 이를 기초로 제VI장에서는 박정희경제학을 자본주의 경제발전의 ‘일반이론’으로 구현하고 그 의의 와 시사점, 나아가 새로운 경제발전정책에 대한 공헌에 대해 논의한다. 제VII장에서는 박정희시대의 성공경험과 세계 자본주의경제 발전사를 간략하게 비교사적으로 검토하여 박정희경제학의 세계성 과 보편성을 논증한다. 마지막으로 제VIII장에서는 한국경제학계에 박정희경제학의 심화를 통해 한국경제와 세계경제가 직면한 성장정체와 분배악화 문제의 해결책 모색에 나설 것을 제안한다. 본고는 경제발전의 노하우에 관한 한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며, 따라서 경제학이 박정희경제학에 길을 물을 때가 됐다고 주장한다. The past 60 years of the Korean economy are an exciting historical experience in the history of global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first 30 years that began with the 5.16 Revolution, “Park Chung Hee Economics” realized the most inclusive and shared growth of the time through rapid growth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the income distribution, probably unprecedented in the history of human economic development.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30 years after political democratization in 1987, Park Chung Hee Economics was denied in earnest, and the economic growth rate continued to decline with income distribution deteriorating at the same time. With this background in mind,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Park Chung Hee economic policy paradigm”, which led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in the first 30 years, as new development economics, and to present it as a prescrip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low growth and worsening income distribution now facing the world economy as well as the Korean economy. Section Ⅱ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s economic development history over the past 60 years from a political-economic perspective. This section examines how today’s anti-capitalist policies emerged under the guise of democracy in the process of discarding Park Chung Hee Economics by the economics academia, polities, and intellectual circles of Korea. Section Ⅲ provides a brief overview of the achievements of the Korean economy over the past 60 years, focusing on the miracle of the Han River realized by Park Chung Hee Economics. Section Ⅳ briefly mentions the vulnerabilities of modern economic development theories, including mainstream economics, as economic development prescriptions. It is pointed out that they are difficult to explain the history of economic development in Korea and also have problems as a general economic development prescription. In Section Ⅴ, the principles of economic policy success in the Park Chung Hee era are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1) the economic differentiation principle, (2) the economization of politics, and (3) the business-led growth strategy, and their implications are examined. Based on this, Section Ⅵ gives shape to Park Chung Hee Economics as a general theory of capitalist economic development and discusses its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and furthermore, its contribution to economic development policy. Section Ⅶ demonstrates the universal applicability of Park Chung Hee Economics by briefly and comparatively examining the success experience of Park Chung Hee Economics and the history of world capitalist economic development. Lastly, Section Ⅷ proposes to the Korean economics academia to seek solutions to the problems of stagnant growth and worsening distribution now facing the Korean economy and the world economy by deepening the economics of Park Chung Hee. This paper argues that “the most Korean is the most global” as far as the know-how of economic development is concerned, and therefore the time has come for the world economics academia to inquire into Park Chung Hee Economics.

      • Political economy와 Economics의 개념과 번역

        이헌창 ( Hun Chang Lee ) 한림대학교 한림과학원 2008 개념과 소통 Vol.0 No.2

        오늘날 Economics는 경제학, 그리고 Political economy는 정치경제학으로 번역된다. 그런데 경제학이라는 번역어는 Economics가 아니라 Political economy를 대상으로 고안되었다. 흥미롭게도 한자문화권과 인도에서 채택된 Political economy의 번역의 어원(語源)은 근대 경제학이 성립하기 이전 Political economy의 의미와 상통(相通)한다. 아랍권에서 채택된 번역어의 어원은 Economy의 의미와 상통한다. 이들 용어는 고대사상의 발전기에 출현하여 근대학문의 성립기에 오늘날 개념으로 다시 탄생하였다. 원래 가정관리라는 그리스어로부터 출발하여 국가관리를 의미하도록 political이란 형용사를 부착하였는데, 고전학파의 단계에 Political economy는 사회과학으로서 확립되면서 경제질서와 부(富)의 성격·생산·분배를 탐구하는 학문이 되었다. 나아가 경제학의 전문성과 과학성이 진전되는 과정을 완결하고자 했던 신고전학파는 정치와 무관하게 가정과 기업이라는 개별 경제주체의 행동을 분석하는 과학을 지향하면서 political을 떼어 버리고 가정관리론의 어원으로부터 유래하는 Economics를 학문 명칭으로 사용하였다. 고전학파(古典學派)의 Political economy라는 개념과는 부분적으로만 상통하고 신고전학파의 Economics라는 개념과는 무관한 한자인 경제학은 1862년 일본에서 최초의 번역어로서 성립하였다. 그것은 고전학파·신고전학파의 경제학 개념에 더욱 잘 맞는 이재학(理財學)이라는 번역어의 강력한 도전을 받았으나, 최종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중국에서는 다양한 번역어가 출현하는 가운데 일본의 번역인 경제학이 Political economy라는 학문의 내용에 맞지 않다는 시각이 일반적이었으나 오랜 모색 끝에 결국 수용되었다. 한국은 일본의 근대 학문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기 때문에 큰 고민이 없이 일본의 번역에 따랐다. 한자문화권에서 경제학이란 번역어가 채택된 것은 그 출발점에서는 새로운 학문의 진화 과정에 영향을 받았고, 그 귀결점에서는 이 학문에 대한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였다. Political economy를 번역의 대상으로 삼고 그 어원이 고려되고, 초기에 도입된 고전학파경제학의 도덕철학적 성격 등이 경제학이란 번역어의 승리를 도왔다. 경제학에 대한 이해가 깊어짐에 따라 번역어에 대한 불만이 커지고 그 대안이 모색되었다. 일본인과 중국인 모두가 Political economy 또는 Economics의 번역어로서 경제의 뜻이 지나치게 넓고 이재의 뜻은 지나치게 좁다고 생각했다. 결국 경제학이라는 번역어의 궁극적 승리를 낳은 결정적인 요인은, 구미에 비해 후진적인 동아시아의 세 나라 모두가 새로운 학문의 기본 효용이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이고, 그 목표를 가장 잘 표현하는 한자가 경제학이라고 보았던 점이다. 20세기 후반에 주류 경제학은 역사·제도·정치·문화 등의 영역으로 연구를 확장해 왔다. 이러한 결과로 보면 20세기 전반 이전 신고전학파의 좁은 연구 영역에 친화성을 가지는 `이재학`보다는 고전학파의 Political economy의 도입을 통해 도출된 `경제학`이라는 번역이 더욱 적절한지도 모른다. Nowadays, the terms economics and political economy are translated in Korea, Japan, and China as Kyeongjaehak(經濟學 which originally meant statecraft for the people`s welfare) and Jeongchikyeongjaehak(政治經濟學), respectively. However, the translation of Kyeongjaehak, in fact, originated in the very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The etymology of the translated terms for political economy in India and China actually accords with the original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prior to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conomics, while that in the Arabic region is congenial to the definition of economy. These terms were born in the heyday of ancient thoughts, and have been reborn in today`s definitions with the establishment of modern economics. Originating in the Greek oikonomia, literally "management of household," the adjective political was added to describe the management of polis or state. With the advent of Classical economics, the term political economy became a social science to study of the laws of production and distribution and of the nature of wealth. Later, Neoclassical economists, who sought to establish the study of the economy upon mathematical methodology, and who aimed to analyze behaviors of households and firms regardless of politics, replaced the term `political economy` with `economics` without the adjective political. The etymology of Kyeongjaehak, which first appeared as a translated term in an English-Japanese dictionary published in 1862, shares some aspects with the Classical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but is irrelevant to the Neoclassical definition of economics. This term ultimately triumphed over other translations, such as Ejaehak(理財學 which originally meant the study of governing wealth), which captured the Classical and Neoclassical concepts more appropriately. In China, where there were more competing translated terms than there were in Japan, the term Kyeongjaehak was generally considered as an inappropriate translation, but was, nonetheless, adopted in the end. As for Korea, strongly influenced by modern sciences from Japan since the 1880s, there was little resistance against the adoption of the Japanese translation. The etymology of political economy, as a subject of translation, along with the innate nature of the early Classical economics` moral philosophy, helped the term Kyeongjaehak to prevail. As people better understood economics, both the Japanese and the Chinese thought that the meaning of Kyeongjaehak was too broad to capture the concept of political economy or economics, while the alternative term, Ejaehak, by contrast, was too confining. At that time, the three, backward East-Asian countries viewed the utility of economic science as serving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and this goal was best represented by the Chinese characters Kyeongjaehak, which was the key determinant for its final victory. In sum, the selection of Kyeongjaehak as the translated term for economic science was affected by the evolution of the modern science at the beginning, while, at the finishing point, it reflected the demand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mainstream economics has extended its fields of study to embrace history, institutions, politics, culture, etc. In that sense, the broad term Kyeongjaehak seems more appropriate for the translation of economics rather than Ejaehak, which is better suited as a term for the confined research-area of Neoclassical economics before the middle twentieth century.

      • KCI등재

        한국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한계와 가능성 탐색

        임영호(Yung-Ho 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0 No.2

        미디어 환경에서 급격한 변화가 전개되면서 구조적 접근의 중요성은 높아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대내외의 시대 흐름을 포착하지 못한 채 이전의 낡은 틀 안에 갇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정치경제학은 경제에 관한 설명에서 출발하는데도, 외연 확장에만 치중해 정작 체계적인 경제 이론을 발전시키는 데 소홀했다. 이 글은 국내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이론적 한계를 검토하면서 지향해야 할 방향과 연구 의제를 제안한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자기 혁신을 위해서는 이론의 미시적 토대인 가치 법칙과 거시적 분석 틀을 모두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스마이드의 수용자 상품론과 정보재 논쟁 등의 논의는 정치경제학의 미시적 토대를 발전시키는 데 큰 잠재력을 갖고 있다. 나아가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구체적 사례 분석에서 자본의 원리를 재확인하는 동어 반복적 논리를 벗어나 자본의 구체적 작동 양상을 규명하는 거시적 구조 분석 틀을 개발해야 한다. 자본 축적 과정의 추이, 기술 혁신에 따른 생산력 발전 과정, 노동 양식 변화, 생산·유통·소비 부문 간의 관계, 미디어 산업의 축적 체제 유형화 등이 이러한 작업의 예다. While dramatic shifts in the media environment underscore the emerging importance of structural approaches in media studies. political economists in Korea have failed to meet such demands.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ir most serious weakness lies in economic theori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major problems in political economic approaches in Korea and suggest some research agenda and directions for the future. Above all, political economists need to scrutinize and elaborate both microscopic and macroscopic frameworks. On the microscopic level, they may learn tremendous implications from the “audience-commodity” thesis and recent debates on “information goods” among Korean economists. For the more macroscopic part, it is urgently needed to delve into mid-level issues that may illuminate specific ways the media capital operates: trends in the accumulation of capital, the influe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changes in the labor process, and the relations among production, circulation and consumption sectors.

      • KCI등재

        미디어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 국내 문헌에 나타난 개념의 용례 분석

        임영호 ( Im¸ Yungh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3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1980년대 이래로 언론학에서 중요한 이론적 조류였으나 최근 급격히 쇠퇴하고 있다. 이 연구는 왜 이러한 그러한 현상이 발생했는가 하는 의문에서 출발한다.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미디어 자본의 작동방식의 특수성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고 이는 이 접근방식 고유의 영역이자 관심사이다. 하지만 그동안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고유의 과업에 충실하기보다는 어설픈 확장성에만 치중하면서 정체성을 잃어갔다. 이 때문에 오늘날 정치경제학의 필요성은 증가하고 있는데 이 과업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역설이 발생했다. 이 논문은 국내에서 정치경제학이란 개념이 어떻게 수용되었고,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점을 드러냈는지 밝히기 위해 관련 문헌에 나타난 용어의 용례 분석을 시도했다. 미디어 정치경제학 관련 문헌들은 규범성과 사회 중심 이론이라는 두 가지 공통된 특성에서 출발한다. 하지만 정치경제학이라는 용어를 문헌마다 각양각색으로 사용하면서 다른 접근방식과 차별화된 영역과 이론적 특징을 확립하는 데 실패했다. 분석 수준에서는 구체적 현상 기술에 치중하거나 추상화된 공식을 고수하는 양극단의 태도가 지배했는데, 두 수준을 이어주는 중간 수준의 이론화를 추구한 연구는 드물었다. 또한 이론 틀에서 선언적 개념과 실제 연구에 적용하는 분석적 개념 간의 괴리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드러내면서 구체적 연구가 경제의 특성을 이론화하는 데 기여하지 못했다. 미디어 자본의 특수성을 설명하기 위한 장치로 경제 외적인 관계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의 추구를 표방했는데, 여기서 오히려 다른 비판적 접근방식과의 차별성을 상실했다. 더구나 총체성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서는 ‘반경제 결정론’과 ‘정통주의’를 둘러싼 공방이 비생산적 명분 논쟁으로 흐르면서 정작 정교한 경제 이론 개발을 소홀히 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 글에서는 미디어 정치경제학이 미디어 경제의 ‘특수성’ 규명이라는 본래의 과제로 되돌아가는 것만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라고 주장한다. Once a major paradigm in Korean communication research, the political-economy perspective has conspicuously declined in the past decades. This paper begins with a question as to why such retroactive changes have taken place ironically in a period when emerging media environments necessitate a revival of political economic analyses. Based on a recognition that the political-economy perspective has evolved out of an specific emphasis on the media economy, the author regards the decline as a result of its increasing digression from the original agenda in a pursuit of territorial expansion. Based on such premises,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w the term. political economy, has been (mis-)used in the relevant literature in Korean media studies. Most research converge in their basis on normative premise as well as a society-centered perspective rather than an exclusive attention to the media. Nevertheless, the term tends to be defined too loosely and widely at the expense of development of economic theory. On the level of analytic logics, most research tends to maintain an awkward duality of abstract theory and specific studies, and fails at generalizing specific case studies to mid-level theories. as well as revealing a disparity between declared theoretical positions and actual frameworks of analysis. A ‘lip-service’ to totality, in the form of fragmentary and anecdotal attention to its plural aspects, hardly helped produce an elaborate theory of the economy in the complex context of social determination. I would like to argue that all these limitations have combined to aggravate theoretical poverty of political economy and ironically the prevalence of ‘political economy without economy.’

      • KCI등재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과 이론적 과제

        문상현(Sang-Hyun Mo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09 한국언론정보학보 Vol.45 No.1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미국을 중심으로 한 주류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실증주의와 행태주의적 경향에 반기를 들며 등장한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전통의 하나이다. 비판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주류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메시지의 효과에 과도한 관심을 기울인다고 비판하면서, 사회의 권력관계와 지배구조 재생산에 커뮤니케이션 메시지와 제도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에 주목하였다. 특히 미디어 정치경제학은 커뮤니케이션 제도의 소유와 통제, 미디어의 생산, 유통 및 수용과정, 그리고 커뮤니케이션과 자본주의 재생산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권력의 문제를 다루는 데 주력해왔다. 이 글의 목적은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과 이론적 과제를 살펴보는 데 있다. 먼저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지형에 대한 검토는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학문적 특성, 주요 관심주제, 주요 연구자들, 학문적 허브, 주요 논문, 주요 학술조직과 학회지 등을 살펴보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어서 본 연구는 미디어 정치경제학 내에서 혹은 문화연구 등과의 이론적 논쟁을 통해 제기된 미디어 정치경제학의 이론적 한계들을 간략하게 되짚어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앞으로의 당면과제들을 검토할 것이다. This study explores the academic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Economy of Communication, which is pursued by reviewing academic characteristics, research subjects, key scholars,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 as an academic hub, key articles, major academic associations and academic journal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important theoretical limitations and tasks to deal with in the future, which have been exposed through several heated debates with other research traditions such as Cultural Studies and Post Moder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