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이만균 ( Man Gyoon Lee ),성순창 ( Soon Chang Sung ),이신언 ( Shin Eon Lee ),정원상 ( Won Sang Ju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이만균, 성순창, 이신언, 정원상.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05-416, 2011.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20대 비만 남성의 기초대사량과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체지방률 25% 이상의 남성 28명으로서, 이들을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n=14)과 통제 집단(n=14)으로 구분하였다.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의 대상자는 12주간, 주당 3~4회, 회당 40~60분씩, 8 RM의 강도로 2~3 세트씩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한 반면, 통제 집단의 대상자는 같은 기간 동안 평소 생활 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1) BMI와 체지방률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 체지방률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2) 1-RM과 관련된 모든 변인은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에서만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3) RMR은 단위와 상관없이 모든 변인이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난 반면, 통제 집단의 경우 RMR(KJ·kg-1 FW·h-1)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다. 4) TT4와 norepinephrine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항성 트레이닝 집단과 통제 집단 두 집단 모두의 경우 norepinephrine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5) Adiponectin과 IL-6에서 검사의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두 집단 모두에서 adiponectin과 IL-6가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12주간의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은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켜 장기적인 체중 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또한 저항성운동이 안정 시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TT4, FFA, 그리고 norepinephrine 이외의 변인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으며, 저항성운동이 adipocytokine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요청된다. Lee, M. G., Sung, S. C., Lee, S. E., Jung, W. S. Effects of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resting metabolic rate (RMR), and adipocytokines in obese men of 20s. Exercise Science, 20(4): 405-416. 2011. Twenty-eight obese men, aged 23.7±1.18 y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groups, i.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TR: n=14) and control group (CON: n=14). Participants in TR performe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40~60 min/session, 3~4 sessions/week, for 12 weeks, whereas participants in CON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during same intervention period. Resistance exercise included bench press, shoulder press, biceps curl, triceps extension, lat pull down, leg press, leg curl, leg extension, sit up, standing calf raise, and squat, and performed at 8 RM for 2~3 se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ercent body fat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1) and CON (p<0.05). 2) All variables regarding 1-RM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3) RMR increased significantly in TR, regardless of unit expressing the RMR. 4) No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T4 and FFA, whereas NOR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01) and CON (p<.01). 5) Adiponectin and IL-6 decreased significantly in TR (p<.01) and CON (p<.01), whereas no significant change was found in TNF-α. Leptin was unaltered in TR, but increased significantly in CON. It was concluded that 12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would be beneficial for long-term body weight management by enhancing metabolic rate in resting state. Research investigating the mechanism explaining the enhancement, besides to TT4, FFA, and NOR, would be needed. Investigation elucidating the effects of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adipocytokines would be also warranted.

      • KCI등재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 당뇨병환자의 복부지방, 체력, 아디포카인 및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

        김예영 ( Yea Young Kim ),임수 ( Soo Lim ),최순미 ( Soon Mi Choi ),이만균 ( Man Gyoon Lee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유산소운동과 저항성운동이 여성 노인 제2형 당뇨병환자의 복부지방, 체력, 아디포카인, 그리고 염증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노인 여성 33명을 세 집단(유산소운동 집단 12명, 저항성운동 집단 12명, 통제 집단 9명)으로 구분하여,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은 해당 운동을 각각 HRmax의 60∼70%와 10∼15RM의 강도로 회당 20∼40분, 주 3회, 12주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체중과 BMI는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제지방량은 저항성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체지방률의 경우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유산소운동 집단(p<.001)이 저항성운동 집단(p<.01)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2) 복부지방면적은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총 복부지방면적, 내장지방면적, 그리고 피하지방면적이 유의하게 감소된 반면, 저항성운동 집단에서는 총 복부지방면적과 피하지방면적만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총 복부지방면적은 유산소운동 집단(p<.001)이 저항성운동 집단(p<.01)보다 더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유산소운동능력(유산소운동능력)은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근력(1-RM)은 bench press의 경우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한 반면, 저항성운동 집단은 bench press와 leg press 모두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4) 렙틴은 유산소운동 집단과 저항성운동 집단에서 감소되는 경향을, 아디포넥틴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5) CRP의 경우 유산소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며, IL-6와 TNF-α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유산소운동 트레이닝과 저항성운동 트레이닝이 신체구성의 개선, 특히 복부지방면적의 감소, 그리고 유산소운동능력과 근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유산소운동이 신체구성의 개선과 복부지방면적의 감소에 더 효과적이고, 저항성운동은 근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두 운동 트레이닝 모두 아디포카인과 염증지표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향후 보다 장기간의 처치 기간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운동 효과를 비교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 weeks of aerobic training and resistance training on 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Thirty-three female type 2 diabetes mellitus (T2D) patients, aged 60-78 yrs, in three groups, i.e., aerobic exercise training group (AT; n=12),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 (RT; n=12), and control group (CON; n=10),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participants peformed at 60-70% of HRmax, 20-40 min/session, 3 sessions/wk for 12 weeks, and RT participants performed at 60-65% of 1-RM, 2-3 sets 3 sessions/wk for 12 weeks. Variables regarding abdominal fat, physical fitness,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rkers were measured in pre- and post-test, and were compared among three groups and between two tests. Main results were as follows:1) Body weight and BMI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and percent body fat (%BF) de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AT and RT. %BF in the AT (p<.001)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RT (p<.01). 2) Abdominal fat area including total abdominal fat area, visceral fat area, and subcutaneous fat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whereas total abdominal fat area and subcutaneous fat area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T. Total abdominal fat area in the AT (p<.001)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e RT (p<.01). 3)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and RT. 4) One-RM of bench press and leg pr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RT. 5) Although leptin showed a trend to decrease in the AT and RT, the changes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Adiponectin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s. 6) C-reactive protein (CRP)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T. Interleukin-6 (IL-6) and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all groups. It was concluded that 12 weeks of both aerobic and resistance training improved body composition, especially abdominal fat, aerobic capacity, and muscular strength in female elderly T2D patients. No significant effects of either aerobic or resistance training on adipokines and inflammatory makers were found, except positive effect of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CRP.

      • KCI등재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의 병행이 노화쥐 골격근 유형별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여효성(Hyo-Seong Yeo)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 (구.한국유화학회) 2021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38 No.3

        이 연구는 노화된 흰쥐를 대상으로 규칙적인 저항성 운동에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훈련을 실시하여 골격근에서 나타나는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 발현의 반응을 관찰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자연적으로 노화된 SD계열 흰쥐(20-24개월령, N=18)를 사용하여 통제(CON, n=6), 저항성 운동 (RE, n=6), 저항성+유산소 운동(RE+AE, n=6)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저항성 운동 집단은 실험동물용 사다 리를 이용하여 매회 3세트×4회의 운동을 실시하였고 저항성 운동+유산소 운동 집단은 매회 2세트×3회의 사다리 오르기와 추가적인 30분간의 트레드밀 달리기를 수행하였다. 총 8주간의 운동 훈련 종료 후 가자미 근과 장지신근을 적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골격근에서 혈관신생 관련 단백질들(HIF-1α, VEGF, FLK-1, Ang-1, Ang-2)의 발현 수준을 분석하기 위해 western blot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항성+유산소 운동 집단에서 가자미근(type I 근육)의 HIF-1α, VEGF, FLK-1, Ang-1, Ang-2 단백질 발현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저항성 운동만 수행할 경우 HIF-1α, VEGF, Ang-1, Ang-2 단백질 발현이 통제 집단에 비해 높았다. 또한 가자미근에서 저항성+유산소 운동훈련 집단의 Ang-2 to Ang-1 ratio가 저항성 운동 집단에 비해 높아 운동훈련 유형별 차이를 보였다. 한편, 장지신근(type II 근육)에서 HIF-1α는 저항성 운동 훈련에 의해서만 증가된 반면 VEGF와 FLK-1 단백질 발현은 두 훈련 유형 모두에서 증가되었고 운동 훈련 유형별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장지신근의 angiopoieitin 단백질들의 발현은 운동 훈련에 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노화에서 규칙적인 운동 훈련은 운동 유형에 관계없이 골격근 혈관신생 반응을 유도하며, 특히 저항성 운동에 유산소 운동의 병행은 type I 근조직 유형에서 혈관신생에 대한 추가적인 긍정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serve the responses of angiogenesis-related protein expression in skeletal muscle of aged rats by regular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ith aerobic exercis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naturally aged SD rats (20-24 months, N=18) were used and divided into control (CON, n=6), resistance exercise (RE, n=6), and resistance + aerobic exercise (RE + AE, n=6) groups. RE group performed 3 sets × 4 exercises each session using a ladder for laboratory animals, and RE +AE group performed 2 sets × 3 times of ladder climbing and additional treadmill running (30 min) each session. After 8 weeks of exercise training, soleus muscle and extensor digitorum longus muscle (EDL) were extracted and used for analysis. Western blo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xpression levels of angiogenesis-related proteins (HIF-1α, VEGF, FLK-1, Ang-1, Ang-2) in skeletal musc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ression of HIF-1α, VEGF, FLK-1, Ang-1, and Ang-2 proteins in soleus muscle (type I muscle) was higher in RE +AE than in CON group, and HIF-1α, VEGF, Ang-1, Ang-2 protein expression of R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ON group. Furthermore, Ang-2 to Ang-1 ratio of RE + A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RE group, showing differences by exercise type. In EDL muscle (type II muscle), HIF-1α was increased only by RE group, whereas VEGF and FLK-1 protein expressions were increased in both training types, and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ypes of exercise training.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angiopoieitin protein expressions in EDL muscle by exercise training. Therefore, in aging, regular exercise training induces skeletal muscle angiogenic response regardless of exercise type, and in particular, the combination of aerobic exercise with resistance exercise may have an additional positive effect on angiogenesis in type I muscle.

      • KCI등재

        12주간의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 조성, 호모시스테인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Kim Seung-Hwan) 한국무예학회 2024 무예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12주간의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 조성, 호모시스테인 그리고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20명의 20대 비만 남성을 연구대상자로 최종 선정하였으며, 무작위 할당 방법을 통해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집단(10명)과 통제집단(10명)으로 구성하였다.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집단의 대상자는 1-6주는 RPE 11-13 강도와 7-12주는 RPE 13-15강도로 태권도 훈련을 시행하였고, 저항성 운동프로그램은 1RM의 60%의 강도로 운동 부하를 설정하고 종목당 2세트씩 20분간 주 4회 빈도로 저항성 운동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2주간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을 적용한 결과,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집단에서는 체중, 신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은 유의하게 저하하였나, 근육량은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둘째, 12주간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을 적용한 결과,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집단에서는 호모시스테인은 유의하게 하강하였다. 셋째, 12주간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을 적용한 결과,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집단에서는 인터류킨-6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리신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태권도 훈련과 저항성 운동이 20대 비만 남성의 신체 조성, 호모시스테인 그리고 마이오카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hypothesis that t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for 12 weeks Body Composition, Homocysteine and Myokine responses in obese female in 20s. Twenty obese fe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n=10) or control group(n=10). The subjects in taekwondo training program for intensity of RPE 11-13, four times per week for 1-6weeks and intensity of RPE 13-15, four times per week for 7-12weeks and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four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involvement of exercise programs was strictly restricted in the control group, and all participants were asked to sustain their ordinary physical activity pattern and dietary intake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While weight, BMI and % body fat were markedly decreased, Muscle volume was markedly increased in t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2) Homocysteine concentration was profoundly attenuated following 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3) The levels of interleukin-6 was markedly decreased but the levels of irisin was markedly increased in t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group. It was suggested that long-term taekwondo training and resistance exercise would be recommended to prevent and treat metabolic disorders,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syndrome of obese women in 20s.

      • KCI등재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서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의 목뿔위 및 목빗근 활성 비교

        김본이(Bon Yi Kim),이 슬(Seul Lee),문종훈(Jong Hoon Moon),원영식(Young Sik Wo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16 재활복지 Vol.20 No.3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의 강화를 사용되는 중재법이다. 이전의 연구들에서는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들 대상으로 두 운동을 비교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삼킴장애를 가진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이 목뿔위근, 목빗근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10명의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가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가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은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등척성, 등속성), shaker 운동(등척성, 등속성)을 순서대로 수행하였으며, 10회 반복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를 수행한 후, 대상자들은 근피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5분간 휴식을 하였다. 두 운동 동안 목뿔위근과 목빗근의 활성을 표면 근전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윌콕슨 부호 순위 검정은 그룹 내 저항성 고개 숙이기와 shaker 운동에서 근활성에 대한 차이를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하였다.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과 shaker 운동은 목뿔위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은 shaker 운동보다 목빗근에서 유의하게 낮은 활성을 보였다(p<.05). 삼킴 장애가 있는 뇌졸중 노인 환자에게 저항성 고개 숙이기 운동이 shaker 운동보다 삼킴 기능 향상을 위한 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Chin Tuck Against Resistance Exercise(CTARE) and Shaker exercise is used to common for strengthening of suprahyoid muscle. No previous studies was compare of two exercises for patients with dyaphagi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TARE and Shaker exercise on suprahyoid, sternocleidomastoid muscle activity in stroke older patients with dysphagia. Ten stroke patients with dyaphagia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ll subjects was performed in the order in the CTARE (isometric, isokinetic), Shaker (isometric, isokinetic), and repeated each ten trials. After CTARE was performed, subjects took a 5 min wash out period to minimize muscle fatigue. Activity of suprahyoid and sternocleidomastoid muscle during two training was analyzed using surface electromyography(sEMG).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assess differecences for muscles activity between the effects of the CTAR and Shaker exercise within group. CTARE and Shaker exercis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tivity in suprahyoid muscle(p > .05). CTARE showed significantly lower muscle activity in sternocleidomastoid muscle than Shaker exercise(p < .05). CTARE in stroke older patients with dysphagia may be a effective intervention to improve swallowing function than Shaker exercise.

      • KCI등재

        저항성 운동이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의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영향

        안의수 ( E. S. Ahn ),노동인 ( D. I. Ro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3

        동맥경직도는 심혈관계 질환의 독립적 예측인자로서, 고혈압 환자에서 증가되어 있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은 동맥경직도를 감소시키는데 반해, 저항성 운동 후 동맥경직도는 오히려 증가되었다는 연구가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연구 마다 다양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12주간의 저항성 운동이 동맥경직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현재 약물 치료를 받고 있지 않는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 2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균연령은 61±5세였다. 저항성 운동그룹(n=11)은 1RM의 40~60% 강도로, 총 9종목의 운동을 12회 반복, 2세트 운동을 12주간 주 3회 실시하였고, 통제그룹(n=10)은 저항성 운동으로의 참여를 제한하고 평소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저항성 운동 항목은 다음과 같다.(상체: chest press, lat pull down, arm curl, back extension, torso 하체: leg press, leg extension, leg curl). 연구결과, 저항성 운동군에서 back extension을 제외한 모든 최대근력 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수축기혈압과 평균동맥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또한 경동맥-대퇴동맥 맥파전파속도는 저항성 운동 후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0<.05). 결론적으로, 고혈압 전단계 및 고혈압 환자에게 저-중강도의 저항성 운동은 동맥경직도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creased arterial stiffness 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is increased in hypertensive patients. Regular aerobic exercise reduces arterial stiffness, while resistance exercise may increase arterial stiffness, but this is not a universal fi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mpact of resistance exercise on arterial stiffness in untreated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 Twenty-one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mean age 61±5 year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 Resistance exercise group(n=11) was performed the supervised resistance exercise program with light to moderate intensity(40~60% of 1 RM), 9 resistance exercises, 12 repetitions, 2sets, 3 times per week, for 12weeks. Control group(n=10) was maintained previous lifestyle. Muscle strength and 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 an index of arterial stiffness, were measured at baseline and after intervention. Muscle strengthen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ercise group(p<.05). Systolic blood pressure and mean arterial pressur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ercise group(p<.05). Carotid-femoral pulse wave veloc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exercise group(p<.05), but not control group. In conclusion, light to moderate 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has negative effect on arterial stiffness in untreated pre and hypertensive subjects.

      • KCI등재

        저항성 운동이 비만 여자 대학생의 혈중지질, 렙틴, 아디포넥틴 및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김승환 한국체육교육학회 2019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4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1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on blood lipid, leptin,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of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Methods: Eighteen obese college female students were volunteer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s subjects, an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resistance exercise group(n=9) or control group(n=9). The subjects in resistance exercise program for intensity of 60% 1RM, four times per week for 11 weeks, whereas subjects in control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 pattern for the same intervention period. All subjects were asked not to change their physical activity pattern throughout the intervention period. Results: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riglycerides(TG)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but high density lipoprotein(HDL-C)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2) Lepti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3) Adiponect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p<0.5). 4)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resistance exercise group. but Insulin and insulin resist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trol group(p<0.5).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11 weeks of resistance exercise would be beneficial for blood lipid, leptin, adiponectin and insulin resistance in obese female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11주간의 저항성 운동이 혈중지질, 렙틴, 아디포넥틴 및 인슐 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 소재 S대학에 재학 중인 20대 비만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저항성 운동집단(9명)과 통제집단(9명)으로 구성하였다. 운동방법은 1RM의 60 %의 강도 로 운동 부하를 설정하고 종목당 3세트씩 40분간 주 3회 빈도로 11주간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 요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TG와 HDL-C의 검사는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TG 변인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C 변인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렙틴 검사는 주효과와 집 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렙틴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3) 아디포 넥틴 검사는 주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아디포넥틴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4) 공 복 인슐린과 HOMA-IR 검사는 집단과 검사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항성 운동 집단에서 공복 인 슐린과 HOMA-IR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통제집단에서 공복 인슐린과 HOMA- IR은 유의하게 감소하였 다. 그러나 저항성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에서 공복 글루코스는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를 종합해 보면,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은 비만 여자 대학생의 혈중지질, 렙틴, 아디포넥틴 및 인슐린 저항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 저항성운동이 중년비만여성의 인슐린저항성과 혈중 지질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승진 ( Seungjin Lee ),김원중 ( Wonjung Kim ) 건국대학교 교육연구소 2015 교사와 교육(구 교육논집) Vol.34 No.-

        본 연구는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저항성운동을 실시한 후, 훈련 전과 후에 인슐린저항성(HOMA-IR), 혈중지질 요인(TC, TG, HDL-C, LDL-C), 신체조성(체중, 체지방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체지방율 30%이상, BMI 25이상의 중년 비만여성들을 모집해서 운동군과 통제군으로 각10명씩 무선배정하였다. 운동군은 저항성운동 10종목과 제자리걷기를 1회 50분씩 주3회를 12주간 실시하였고, 통제군은 일상생활이외의 운동프로그램 참여를 통제 하였다. 운동군의 운동강도는 예비심박수의 60~80%를 유지하도록 했고, 각 종목별 반복횟수는 30초 동안 최대반복을 할 수 있도록 했다. 12주 동안의 운동프로그램 참여는 실험군의 HOMA-IR, TC, TG, HDL-C, 체지방율, 체중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p<.05), LDL-C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12주간의 저항성운동프로그램은 중년 비만여성들의 비만과 관련된 대사적 지표들을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운동방법으로 판단되며, 저항성운동을 실시하는 것은 유산소운동의 효과와 근력운동의 효과를 동시에 이끌어 낼 수 있는 이상적인 운동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12 weeks of circui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on insulin resistance, and blood lipids in obese wome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xercise group (n=10) and control group (n=10). Exercise sessions were performed 3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 circui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consisted of walking and resistance exercise at 60~80% of heart rate reserve for 50 minutes. HOMA-IR, TC, TG, HDL-C, %body fat, and body weight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exercise group (p<.05). LDL-C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ircui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produced improvement of adipokines, insulin resistance, blood lipids, and body composition in obese middle-aged women.

      • KCI우수등재

        저항성 운동과 평형성 운동이 여성 노인의 시·공간적 보행능력 및 보행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성순창(SungSoon-chang)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4

        본 연구는 65세 이상의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저항성 운동과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이 시간적, 공간적 보행변수 및 기능적 보행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65세 이상의 여성 노인 52명을 선정하여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17명,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 17명, 그리고 통제 집단 18명으로 구성하였다. 트레이닝 집단은 일일 60분, 주 3회, 12주간의 저항성 운동 및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하였다. 세 집단의 사전 및 사후 검사에서 얻은 측정값을 비교ㆍ분석하였다. 시간적 보행변수의 경우 편측지지시간(좌), 공간적 보행변수의 경우 보장(좌), 활보장(좌)에서 집단과 검사간의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시간적 보행 변수에서는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경우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의 경우 편측지지시간(좌), 보행시간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공간적 변수에서는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과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 집단 모두 양발뒤꿈치사이기저면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보행성취도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저항성 운동과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보행 능력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항성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평형성 운동 트레이닝 프로그램과 비교해 볼 때 시간 및 공간적 보행능력의 향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 향후 여성 노인의 보행기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시 저항성 운동을 위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12 weeks of resistance and balance exercise training on Temporal parameters, spatial parameters and fuctional ambulatory profiles in elderly women. fifty two healthy elderly women were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group(RETG: 17), balance exercise training group(BETG: 17), and control group(CG: 18). The subjects in RETG participated in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program which was consisted of thera-band exercise, 60 minutes per session, and three times per week for 12 weeks.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group and test in single support time(left), step length(left), and stride length(left) after 12 weeks of interventions. All temporal parameters improved significantly in RETG, and all temporal parameters except single support time(left) and ambulation time improved significantly in BETG. All spatial parameters except H-H base of support improved significantly in both training groups. Functional ambulatory profiles in two training groups showed a tendency to be improved, but the changes failed to reach statistical significant level. It was concluded that both resistance and balance exercise training programs we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gait ability. Especially, it was shown that resistance exercise training was more effective in enhancing the variables compared to balance exercise training, indicating that the exercise training program for gait ability in the elderly should be composed mainly of resistance exercises. The research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more various exercise training program on gait ability rerated variables would be warranted in the future.

      • KCI등재

        복합 운동 시 운동 실시 순서가 체내 에너지소비량 및 생리적 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성수 ( Sung Soo Kim ),김현국 ( Hyun Kook Kim ),양상봉 ( Sang Bong Yang ),이광희 ( Kwang Hee Lee ),허성훈 ( Sung Hoon Huh ),이종삼 ( Jong Sam Lee ),김준호 ( Jun Ho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1 체육과학연구 Vol.22 No.2

        이 연구에서는 건강한 남자 대학생 8명을 이용해 동일한 상대 운동 강도에서의 유산소(@65%VO2R) 및 저항성(@65%1RM) 운동을 실시 순서를 달리해 수행할 때의 에너지소비량과 관련 생리적 변인의 변화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당 에너지 소비량에서는 운동 실시 순서를 달리함에 따라 통계적 유의한 차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총에너지 소비량에서는 유산소-저항성 운동(526.31±42.28kcal) 순서를 따른 경우에서 저항성-유산소 운동(497.70±50.51kcal) 실시 순서를 따른 경우와 비교해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을 뿐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운동의 실시 순서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에서의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한 결과에서는 동일 시간의 운동 시 유산소 운동의 경우에서 저항성 운동의 경우에서 보다 더 많은 에너지 소비를 나타냈다(p<.01). 분당 및 운동 시 평균 심박수는 유산소 운동 시가 저항성 운동 시와 비교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1). 운동 종료 시점에서의 혈압은 운동 형태와 상관없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5), 혈중 글루코스 농도 역시 운동 실시 순서를 달리함에 있어 의미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혈중 젖산 농도의 변화를 살핀 결과, 운동 중에는 운동 실시 순서에 상관없이 매우 유사한 형태를 보였으나, 운동 후 회복시의 수치는 저항성-유산소의 순서를 취한 경우에서 현격하게 빠른 감소를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일회성이 운동이 아닌 장기간의 규칙적 운동을 통해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를 도모코자 할 때 유산소-저항성 운동의 순서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고, 복합운동 실시 후 빠른 피로 회복을 원하거나 젖산 수치의 신속한 감소를 원할 경우 저항성-유산소 운동의 순서를 따르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at the effect of total energy expenditure and factors associated with fatigue (blood pressure, heart rate, glucose and lactate concentration) following different sequence of exercises undertaking by exercise either resistance weight or aerobic running. Although every minute of energy expenditur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d, total energy expenditure was noticeably changed (526.3±42.3 kcal, Aerobic-Resistance vs. 497.7±50.5 kcal, Resistance-Aerobic) when exercise order was changed. Regardless of exercise order, energy expenditure was significantly higher during aerobic running exercise compared to resistance weight exercise. Average heart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en exercise performed by different orders (p>.05), and it was however, maintained much higher values during aerobic running exercise than resistance weight exercise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t in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hen different order of exercises were adopted (p>.05). The patterns of blood lactate changes were almost identical between two exercise sessions, but it was dramatically higher during resistance weight exercise than aerobic exercise. In addition to this, lactate concentration was also maintained at much higher values throughout the recovery periods when exercise performed by order of aerobic-resistance compared to the order of resistance-aerobic. Based on these results, following two conclusions were drawn. Firstly, there is no different energy expenditure when altered exercise sequences of combined exercises are adopted. Secondly, as far as faster recovery from exercise induced fatigue and/or blood lactate accumulation is concerned, adopting the order of resistance-aerobic exercise would be favor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