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추재량권의 실현으로서 일죄일부기소

        홍영기 ( Young Gi Hong ) 안암법학회 2017 안암 법학 Vol.0 No.53

        실체법상 죄수문제와 소송법상 죄수가 무관하다는 전제, 그리고 소송법상 사건의 개수는 언제나 일사부재리의 효력 범위와 관련하여 전법률적·일상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사건의 동일성 기준에 따르는 것임을 인정하는 한, 일죄일부의 공소제기가 허용되는지 여부의 논의는 형사소송법학에서 계속 필요하다고 볼 뚜렷한 근거가 없다. 방법론적으로 볼 때 동일성이 인정되는 소송법상 하나의 사건 가운데 일부의 사실만을 공소장에 기재하는 것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기소편의주의에 따른 소추재량으로 설명되는 것이지만, 그에 앞서 일죄의 전부를 기소할 수 있는 가능성이 국가기관에게 없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더욱 정확하다. 이러한 논의의 한계는 일죄일부기소에서 `일죄`를 실체법적인 개념으로 바라본다고 해서 극복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강간죄를 비롯하여 어떠한 실체법상 일죄의 형태도, 일부기소를 불가능하게 하는 사정이 되지 못한다. 공소불가분원칙을 고소불가분원칙처럼 일부의 공소제기가 있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전부의 사실이 기소된 것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원리로 이해하게 되면, 일죄일부기소가 허용되지 않는 것처럼 생각될 것이다. 그 논리에 따를 때에는 직권주의 소송구조의 소송물 관념과 마찬가지로 범죄사실대상설에 따르게 된다. 그러나 제248조 제2항은 일죄일부의 기소가 있는 때에 그 공소사실만 공판정의 심리대상이 되나, 재판의 효력은 전부에 미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는 뜻으로 새겨진다. 이와 같은 이해가 기소편의주의를 취하고 있는 우리 입법의 태도에 부합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통설과 판례가 전통적으로 취해 온 소송물이론 가운데 이원설과도 상응하는 것이다. 그리고 그에 따라 뜻이 불분명한 공소불가분원칙이라는 표현은 형사소송법학에서 더 이상 의의가 없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Der Begriff der Tatsache im prozessualen Sinne bestimmt den Prozessgegenstand. Der Verfahrensgegenstand, auch Prozessgegenstand genannt, hat durch die Person des Angeklagten eine personliche, durch die angeklagten Tatsachen, d. h. Lebenssachverhalt eine zeitlich-ortlich bestimmte Komponente. Von der Bestimmung des Verfahrensgegenstandes hangt der Rahmen ab, in dem das Gericht tatig werden und aburteilen darf. Rechtshangigkeit, Zulassigkeit einer Klageanderung un Umfang der Rechtskraft eines erganenen Urteils bestimmen sich nach dem Verfahrensgegenstand. Daruber hinaus ist der Verfahrensgegenstand von großer Bedeutung im Zusammenhang mit "ne bis in idem", dem Verbot wegen derselben Sache jemanden ein zweites Mal zu bestrafen. Unter Tat in diesem prozessualen Sinne ist ein einheitlicher Vorgang, ein historisches oder konkretes Vorkommnis zu verstehen, das sich von anderen ahnlichen oder gleichartigen unterscheidet un innerhalb dessen der Angeklagte nach Beschreibung der Anklageschrift eine Straftatbestand verwirklicht haben soll. Hierzu gehort das gesamte Verhalten des Taters, soweit es nach naturlicher Auffassung eine einheitlichen Lebensvorgang darstellt. Wichtig ist, dass dieses vorrechtliche Vorkommnis der gesamten Verhalten von einem allgemenen Beobachter als Tateinheit verstanden werden soll, und dass der so verstandene Prozessgegenstand logisch bei Anklage des Staatsanwaltes teilbar ist. Sogar kann man auch sagen, dass jede Anklage im Strafverfahren immer nur ein Teil der prozessualen Tat sein soll. Das sogenannte Prinzip der Unteilbarkeit des Verfahrensgegenstandes kann also bei unserem System nicht vertretbar. Nach Opportunitatsprinzip darf der Staatsanwalt auch z. B. beim Fall der tateinheitlichen Notzucht fur die Privatsphare des Opfers als bloß eine Gewalt oder eine Drohung anklagen.

      • KCI등재

        상상적 경합과 검사의 소추재량 : 대법원 2017. 12. 5. 선고 2017도13458 판결

        박경규(Park, Kyung-Gyu)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21 성균관법학 Vol.33 No.2

        2017년의 한 판결은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범죄에서 “하나의 행위가 여러 범죄의 구성요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공소제기권자가 자의적으로 공소권을 행사하여 소추 재량을 현저히 벗어났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증명의 난이 등 여러 사정을 고려하여 그 중 일부 범죄에 관해서만 공소를 제기할 수도 있다”고 한다. 상상적 경합은 소송법상 일죄로 다루어지지만 실체법상으로는 수죄이다. 이 판결은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범죄의 일부기소가 허용되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증명의 난이 등”을 언급하고 있을 뿐, 일부기소에 따라 형량산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는지, 일부기소의 원인이 무엇인지 등의 문제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이 글은 일죄의 일부기소의 의미, 일죄의 일부기소가 소송법 및 실체법에서 가지는 함의를 살펴본 후, 소송계속 중 상상적 경합관계에 있는 범죄의 일부기소라는 것이 밝혀진 경우 법원이 어떠한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라는 문제를 자세히 다룬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필자는 일부기소의 원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일부기소가 법원의 처단형 산정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를 고려하여 법원이 취해야 할 조치를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According to the judgment 2017Do13458 in 2017, the prosecutor can charge the offender with a crime among compound crimes while comprehensive considering evidentiary difficulty etc insofar as the indictment is not to be regarded as going beyond the limit of prosecutorial discretion. Compound crime is regarded as a form of several crimes in the substantive law while it is considered as one event in the procedure law. The judgment only mention “evidentiary difficulty etc” as standard of deciding whether the partial prosecution in the case is to be permitted. The judgment doesn’t mention the issue of causes of the partial prosecution or the issue of whether the partial prosecution bring about a sentence discrepancy. The author of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meaning of the partial prosecution and its implication in the substantive and procedure law. Subsequently, it is addressed what measure the court to take in case of partial prosecution. In this regard,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court should decide a proper measure while considering the factor of what caused the partial prosecution and whether the partial prosecution affects the court’s decision of sentence.

      • KCI등재

        일부기소의 심판대상과 일사부재리효력

        윤동호(Yun, Dong-Ho) 한국형사법학회 2014 刑事法硏究 Vol.26 No.3

        이 글은 일부기소를 둘러싼 쟁점들을 검토하고, 판례의 입장을 분석 및 비판하고 있는데, 결론은 아래와 같다. 일부기소가 친고죄와 관련되어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일부기소에 대해서는 그 적법성을 인정하여 유․무죄판결을 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성범죄가 친고죄가 아닌 현행법에서는 일부기소에 대해 공소기각판결을 할 필요성이 크지 않게 되었고, 피고인의 입장에서는 공소장변경을 통해 ‘하나의 사건’으로 한 번의 절차에서 처리될 수 있는 기회를 가지면서도 같은 범위에서 일사부재리효력도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판례가 심판대상의 단계에서 밝혀졌다면 ‘하나’로 처리하였을 사건을 일죄를 해체하거나 상상적 경합을 부정하는 방법을 통해서 별개의 사건으로 분리하여 일사부재리효력을 부정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피고인에게 불리한 것이다. 이는 형벌권의 주체인 국가가 감당해야 할 수사기관의 내부적 문제 내지 형사사건처리절차의 문제를 피고인을 이중처벌하는 것으로 해결하는 것이다. 국회가 새로운 범죄구성 요건을 신설하는 것이 입법적 범죄화라면, 법원이 하나의 사건을 해체시켜 일사부재리효력을 부인함으로써 새로운 처벌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사법적 범죄화이다. 판례의 이런 입장은 심판대상의 범위 또는 기판력의 범위와 일사부재리효력의 범위가 불일치할 수 있다고 보는 것인데, 이는 공소불가분원칙과 공소장변경제도를 통해서 심판대상의 범위와 공소장변경의 범위 및 확정재판의 효력범위 그리고 일사부 재리효력의 범위를 모두 일치시킴으로써 ‘피고인 보호’와 ‘형사정의 실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고 있는 현행 형소법의 체계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issues relating to partial public prosecution and criticize court’s judgement on partial prosecution. One crime and compound crimes (several crimes by one act) in criminal law mean one case in criminal procedure. If one case has been prosecuted partially and before judgment on that case has become final, I insist that ‘not guilty or guilty’ can be judged. Because a defendant can have a chance of the partial public prosecution and the other part of one case through ‘Changes in public prosecution’ (Article 298) to be tried in one procedure. There are opinions that in this case partial public prosecution should be dismissed by judgment. So I think that this view is incorrect. On the other hand after judgment on the partial public prosecution has become final and if the additional public prosecution has been instituted, I insist that acquittal shall be pronounced by judgment. But the court pronounces ‘not guilty or guilty’ by judgement. This is incorrect. There are various reasons. First of all because the first partial public prosecution and the additional public prosecution are one case. So a final binding judgment on the first partial public prosecution has effect of ne bis in idem (prohibition against double jeopardy) and the defendant should’t be placed in double punishment or jeopardy. The other important reason is that under current criminal procedure law, the scope of object of trial should be equal to the scope of the effect of ne bis in idem (prohibition against double jeopardy) to keep the balance between realization of criminal justice and protection for defendant from double jeopardy. ‘Principle of Public Prosecution by State’ (Article 246) and ‘Principle of Inseparable Public Prosecution’ (Article 248 (2)) are expressly stipulated in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Principle of Inseparable Public Prosecution’ means that a public prosecution instituted against a part of facts of a crime shall be effective to the crime as a whole.

      • KCI등재

        일죄일부에 대한 공소제기의 적법성

        최대호 ( Dae Ho Choi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1 고려법학 Vol.0 No.61

        This paper has clarified the theoretical base of the legality of indictment for a part of a crime and reviewed limitations of the indictment. In addition, the legality on the indictment for a part of a crime as a crime requiring a complaint from the victim for indictment has been reviewed.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obtained: First, because adversarial system, indictable discretion and a public prosecutor`s monopolization of indictment are applied under current criminal law, it is reasonable to say that the indictment for a part of a crime should be permitted. However, the object of lawsuit needs to be set regardless of the adversarial system. Second, in terms of the limitation of partial indictment of a crime, whether or not the crime can be separated as a minimum unit unlike the general and discretional issues such as right abuse arraignment matters. Therefore, whether or not the partial indictment of a crime could be permitted is a matter of the theories of counting crime. Third, even though it is just a part of a crime under substantial law, a partial crime is still admitted as a crime. Therefore, a partial crime is seen as an independent crime. Hence, the logical limitation in compositing arraignment lies in ``one crime`` under substantial law. At the same time, ``one crime`` is just ``a crime in consciousness.`` A crime in assessment is not applied here. After all, provided that a crime can be separated as ``minimum unit`` which cannot be divided anymore, it could be admitted as an independent indictment. If it is assumed that an independent indictment cannot be composed when a crime cannot be separated as a minimum unit, it can be said that the entire of one crime as well as a part of it was indi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