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상적 평화 : 미시적 평화담론의 한반도 적용과 의의

        허지영 ( Heo¸ Ji Y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21 통일과 평화 Vol.13 No.2

        한반도의 평화논의는 남북한의 정치적인 통합에 치중하며 평화의 다양한 개념과 형태를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통일중심 평화논의를 확장하고자 갈등사회를 살아가는 평범한 개인들이 일상에서 주체적으로 만들어가는 미시적 차원의 평화적인 행동양식과 사고방식에 주목하는 일상적 평화이론을 고찰한다. 국제기구나 서구국가가 중심이 되어 자유주의 체제를 분쟁지역에 일률적으로 이식하는 방식의 자유주의 평화구축에 대한 비평적 성찰을 바탕으로 등장한 개념이 포스트자유주의 평화 담론이다. 평화구축 과정에서 갈등지역의 고유한 역사, 정치, 사회적 맥락의 중요성과 주체적인 행위자로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한다. 일상적 평화는 포스트자유주의 담론 중에서도 갈등사회의 가장 미시적인 차원에서 일상을 살아가는 개인들의 평화적인 행동과 사고방식, 그리고 미시적 차원의 평화활동이 거시적인 사회체제나 구조와 영향을 주고받는 평화의 구성성에 주목하는 개념이다. 본 연구는 일상적 평화의 정의와 특징을 맥긴티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개하고 정치적이고 구조적인 차원에 치중하는 평화이론들과 차별화되는 일상적 평화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확장성에 대해 고찰한다. 일상적 평화이론은 통일이라는 거대 담론을 넘어 한반도의 평화논의를 다양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everyday peace, based on the critical perspective that varieties of peace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dominant unification discourse in South Korean society, which focuses on the political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Everyday peace refers to the routinized pro-peace and pro-social practices by individuals and collectives living in deeply divided post-conflict societies. Everyday peace, one of post-liberal peace discourses which emerged as a critique of liberal peace, a dominant form of peace-support intervention, occurs in spaces or localities over which individuals and communities exercise limited control. Everyday peace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attempts to go beyond the dichotomies in peace and conflict studies of local vs. global or agent vs. structure. This article closely studies the theory of everyday peace focusing on Mac Ginty’s research, discussing its scalability as well as its limits. As a liberal-local hybrid form of peace, everyday peace can contribute to diversifying the peace and unification discourses in South Korea, in which peace is often regarded as political processes for unification.

      • KCI등재

        평화학적 관점에서 본 한반도 평화의 방향

        황수환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2019 평화학연구 Vol.20 No.1

        The possibilities for the Korean peninsula’s permanent peace began to appear through the North-South summit and the US-NK summit in 2018. Especially, the three rounds of the North-South summit contributed to form trust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nd develop foundation for peace. This paper analyzed the prerequisites to achieve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from the perspective of peace studies. In the perspective of peace studies, unification by peace, realization of human security, and overcoming the division toward everyday peace have to be achieved. In other words, the path towards the Korean Peninsula’s peac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long-term process including not only political and military factors, but also positive peace where everyday peace can be realized. Furthermore, the Korean Peninsula’s peace must be understood as the concept which encompasses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norms, principles, rules, procedures and the tangible improvement of the relationship based on the change of trust and awareness. 본 논문은 2018년 한반도를 둘러싼 정치・외교적 변화의 분위기 속에서 진정한 한반도의 평화가 달성되기 위해서는 평화학적 관점에서 무엇이 필요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2018년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에서 항구적 평화가 실현될 수 있다는 희망의 실마리가 나타났다. 특히 2018년 3차례의 남북정상회담으로 남북 간에는 신뢰가 형성되었고 평화구축을 위한 기반이 조성되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한반도 평화를 달성하기 위한 평화학적 관점으로는 평화에 의한 통일, 인간다운 삶의 실현, 분단체제의 극복을 통한 일상적 평화가 달성되어야 하겠다. 즉 대외적인 정치・외교·군사적 요소뿐만 아니라 내부적인 일상적 평화가 실현되는 적극적 평화상태를 위한 장기적 과정으로 인식해야 하겠다. 또한 평화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한반도 평화는 불안정한 평화를 관리하기 위한 규범, 원칙, 규칙, 절차 등의 제도적 집합뿐만 아니라, 신뢰와 인식의 변화를 통한 상호관계의 실질적 변화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파악해야 하겠다.

      • 강원지역‘DMZ 평화의 길’에 대한 평화학적 의미

        황수환 ( Hwang Soowhan ) 한국접경지역통일학회 2019 접경지역통일연구 Vol.3 No.1

        본 논문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DMZ 평화의 길’조성사업에 대해 평화학적으로 어떠한 의미와 가치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2019년 4월 27일 강원도 고성지역을 시작으로 6월 1일 철원지역에서‘DMZ 평화의길’이 민간에게 개방했다.‘ DMZ 평화의길’조성사업에 대해 요한 갈퉁이 구조적 평화로 구분한 생태평화, 국내외 구성원 간 평화, 사회적 불평등 해소, 평화지역, 문화적 공존, 이상 영역들의 지속적 유지 등6개의영역으로구분하여분석했다.‘ DMZ 평화의길’조성사업은 정치, 군사, 경제적 측면과 더불어 역사·문화, 생태·환경 등 각 분야별로 평화학적 관점에서 조성사업을 통해 적극적 평화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상징적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지역‘DMZ 평화의 길’은 남과 북을 이어주고 한반도에서 적극적 평화를 구현하고 평화의 가치를 실현하는 시작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the significance and value contained in the peaceful ways of building the ‘DMZ Peace Road’around Gangwon Province. Starting on April 27, 2019 in Goseong, Gangwon Province, ‘DMZ Peace Path’was opened to the private sector in Cheorwon area, on June 1. The analysis of the ‘DMZ Peace Road’project was divided into six areas: ecological peace, which is divided into structural peace, peace between members of both countries, dissolution of social inequality, peace zone, cultural coexistence. ‘DMZ Peace Road’project is a plan to realize positive peace through political, military and economic aspects as well as history, culture, ecology and environment from a peaceful perspective. It is expected to play a role.‘ DMZ Peace Road’in Gangwon seems to be the starting point for linking South and North Korea, realizing positive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alizing the value of peace.

      • KCI등재후보

        가정과 학교 연계 블랜디드 러닝의 평화 프로그램 구성

        박찬석(Park, Chan-Seok),이보라(Lee, Bo-Ra) 한국통일교육학회 2021 통일교육연구 Vol.18 No.1

        ‘코로나19 팬더믹’ 현상이 세계적으로 장기화 되어 가고 있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가정 내, 학교 내, 세대 간 갈등을 가까운 사람들과 겪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정, 학교, 사회라는 교육활동의 주체인 개개인들이 서로의 소소한 평화부터 집단의 평화를 찾아야 하는 시대에 살고 있다. 이에 비대면 환경의 기술적 시스템 발달과 동시에 삶의 변화 속에서 겪는 인간성 및 인간관계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평화 교육적 접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디지털 문화와 환경을 융합하여 가정과 학교, 사회가 함께 평화를 유지하고 현재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로서 ‘블랜디드 러닝을 통한 가정 연계 평화 프로그램’을 개발ㆍ적용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덕, 국어, 창체, 체육 등의 교과를 융합하여 적용한 것을 중심으로 2015 개정교육과정의 핵심 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 창의적 사고 및 심미적 역량을 통한 평화 역량을 함양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학생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소재인 일상적 삶의 내용을 놀이, 미술, 독서 등의 융합적 접근을 통하여 평화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적용한다. Passing through the ‘Corona 19 Panther Mick’, the phenomenon of a change in life at the same time as the system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 environment is approaching a peaceful educational approach that can overcome the problems of humanity and relationships. We intend to develop and apply the “Family-Linked Peace Program for Blended Learning,” as a research aimed at maintaining peace and overcoming current difficulties for families, schools, and society by integrating digital culture and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ultivate communication competencies, community competencies, creative thinking and aesthetic competencies amo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cusing on the convergence of subjects such as morality, Korean language, creativity, and physical education. Plan and apply peace programs through integrated approaches such as play, art, and reading to the contents of everyday life. This study directly connects classroom instruction and home activities while conducting online and offline activities.

      • KCI등재

        ‘전쟁’에 대해 여성주의는 무엇을 말할 수 있는가?

        이혜정 한국법철학회 2011 법철학연구 Vol.14 No.1

        In this essay I start to critic the philosophical and typical discourse of war. There are moral theories and realistic discourses which moral philosophers dispute with. Those theories and discourses discuss a war with reason. That is to say, because war is evil, yet justifiable, they provide moral rules of war. But from a maternal point of view, because man is war-oriented, woman as a mother of the earth has to ability to collect and construct and to repair damaged relationships, these discourses are scenarios organized into gender lines. But as the maternal discourse is a point of view unacceptable owing to bigotry, I argue to move practical peace discourse. A practical peace discourse starts not with a abstract pont of view, but with experience and context of daily life. Therefore this discourse is one becoming construction of security and peace actively, away from the imagery of women as a victim of war. 본 논문은 전쟁에 대한 전형적인 철학적 담론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한다. 철학적 담론으로는 도덕 철학자들이 보여 주었던 도덕이론들과 현실주의적 담론들이 있다. 그러한 담론들은 전쟁을 합리적으로 논의한다. 즉 전쟁을 악이라고 말하면서 불가피한 상황에서는 정당화될 수 있는 전쟁 규칙들을 마련한다. 그것은 전쟁을 어느 누구의 편에 서지 않는 보편적 추상적 관점에서 보기 때문에 전쟁이 가져다는 고통과 대재앙을 논의하는 데 한계를 보여준다. 그것은 전쟁의 남성성과 여성적 평화로움이라는 신화를 만들어낸다. 모성적 관점에서 남성은 전쟁 지향적이며 여성은 대지의 어머니로서 모으고 구축하고 관계를 수선하는 능력이 있는 존재로 표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담론들은 젠더 질서에 따라 편성된 시나리오이다. 남성은 전쟁 지향적이라면 여성은 대지의 어머니로서 모으고 구축하고 관계를 수선하는 능력이 있는 존재이다. 그러나 모성 담론 역시 젠더의 고착화와 편협성의 위험으로 인해 받아들이기 어려운 관점임을 보여주면서 나는 실천적인 평화 담론으로 이동해야 함을 주장한다. 실천적 평화 담론은 전쟁을 추상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삶의 경험과 맥락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따라서 실천적 평화 담론은 전쟁의 피해자로서의 여성의 이미지로부터 탈피하여 전쟁과 안보와 평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구성해 나가는 담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