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격통합성과 도덕성의 관계 고찰을 위한 방법론적 제언

        강현정 범한철학회 2022 汎韓哲學 Vol.106 No.3

        In this paper I present the necessity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ity and morality and the problematic nature of such examination. L. McFall provides the difficulty of grasping the concept of integrity and points out that a person who seeks only approval by others or pursues only his own pleasure cannot be regarded as the owner of integrity. B. Williams uses integrity as a tool for critique of utilitarianism. With a powerful example, Williams argues that following utilitarianism leads to the betrayal of integrity. Despite these major discussions, it is difficult to find a view that clearly defines the concept of integrity. I argue that such difficulty stems from the relationship it has with morality. I distinguish two related questions on integrity. The first is the moral nature question, which is ‘Can a person pursuing evil principles possess integrity?’ The second is the conceptual question, which is ‘What does it mean to possess integrity?’ I argue that these two questions are related and that separate searches for them is in vain. From the insight into these two questions, I derive the minimum requirements for the conceptual theory. First, considering the seriousness of the situation in which the moral nature question and the conceptual question are intertwined, a theory that disregards the moral nature question is inadequate as an answer to the conceptual question. Second, a conceptual theory must reflect the fact that ordinary people use the word of integrity as an evaluative term. This discussion will pave the way for the further work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grity and morality. 이 글의 목적은 인격통합성과 도덕성의 관계 고찰이 가진 문제적 성격을 제시하는 것이다. 인격통합성 개념 규정의 어려움은 인격통합성이 도덕성과 맺고 있는 관계에서 비롯한다. 필자는 인격통합성을 단독으로 정의 내리는 이론들의 한계를 제시한다. 그리고 그 이론들이 도덕성 개념과 관련하여 모색되어야 하는 이유를 해명한다. 필자는 인격통합성과 관련하여 두 가지 물음을 구분한다. 첫째는 ‘도덕적 본성 물음’으로서, 그것은 ‘악한 원리를 추구하는 사람이 인격통합성의 소유자일 수 있는가?’이다. 둘째는 ‘개념적 물음’으로서, ‘인격통합성을 소유한다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인가?’이다. 이 두 물음은 연관되어 있어 그것들에 대한 개별적 모색은 불가능하다. 필자는 이 두 물음에 대한 통찰에서 ‘개념적 물음’에 답하는 인격통합성 개념 이론이 갖출 최소한의 요건을 도출한다. 첫째, 도덕적 본성 물음과 개념적 물음이 얽혀 있는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할 때, 도덕적 본성 물음을 아예 고려하지 않는 이론은 인격통합성 개념 이론으로 적합하지 않다. 둘째, 인격통합성 개념 이론은 인격통합성이 무엇인지에 대한 해명 가능성을 갖출 뿐만 아니라 보통 사람들이 그 개념을 사용할 때 평가적 용어로 사용한다는 사실을 반영해야 한다. 이어지는 논의에서는 ‘도덕적 본성 물음’이 가진 문제를 명확히 하기 위해 그 물음과 혼동될 수 있는 물음들과 차별화를 시도한다. 필자의 이러한 논의는 인격통합성과 도덕성의 관계 해명을 위한 추후 작업의 기초를 마련해줄 것이다.

      • KCI등재

        인격통합성의 가치와 통합적 자아

        강현정 대한철학회 2022 哲學硏究 Vol.161 No.-

        Ever since B. Williams criticized utilitarianism based on integrity, many scholars attempted to conceptualize integrit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fend the integrated-self view, which is one of the conceptualization theories of integrity. According to the integrated-self view, integrity is the state of being integrated in terms of the agent’s inner desires or volitions. Some scholars criticize the integrated-self view as not being able to explain the value of integrity. For example, C. Calhoun points out that it may be worthwhile to construct oneself as a dual or multifaceted being. This value question requires an explanation of why the integration of one’s desires is admirable. This paper attempts an explication of the value of integrity based on H. G. Frankfurt’s concept of ‘caring about.’ First, I reveal in what ways the two proposals presented within the integrated-self view fail to elucidate values. Then, I explain how the value of integrity can be explained in the integrated-self view that I understand. If we accept Frankfort’s concept of caring, the integration of desires is not just the harmony of desires. It can be seen that the harmony of needs asserted by the integrated-self view is centered on the objects we care abou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value of integrity. 윌리엄스(B. Williams)가 인격통합성(integrity)에 근거해 공리주의를 비판한 후 많은 학자가 인격통합성의 개념화를 시도했다. 이 글의 목적은 인격통합성의 개념화 이론 중 하나인 통합적 자아 견해를 옹호하는 것이다. 통합적 자아 견해에 따르면 인격통합성이란 행위자의 내적 욕구나 의욕 측면에서 통합을 이룬 상태이다. 일부 학자들은 통합적 자아 견해가 인격통합성의 가치를 해명할 수 없다고 비판한다. 예를 들어 캘훈(C. Calhoun)은 자신을 이중적인 혹은 다면적인 존재로 구성하는 것도 가치 있을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이러한 가치 물음은 자기 욕구들의 통합이 어떤 의미에서 가치 있는지에 대한 해명을 요구한다. 이 글은 프랭크퍼트(H. G. Frankfurt)의 ‘마음 씀’ (caring about) 개념에 기대어 인격통합성의 가치를 모색한다. 필자는 먼저 통합적 자아 견해 내에서 제시된 두 제안이 어떤 측면에서 가치 해명에 실패하는지를 논증한다. 그리고 나서 필자가 이해하는 통합적 자아 견해 속에서 인격통합성이 어떤 식으로 가치를 해명할 수 있는지 설명한다. 프랭크퍼트 이론 고유의 마음 씀 개념을 받아들이면 욕구들의 통합은 욕구들의 조화에 그치지 않는다. 통합적 자아 견해에서 주장하는 욕구들의 조화는 우리가 마음 쓰는 대상들을 중심으로 이뤄진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인격통합성의 가치 해명이 가능하다.

      • KCI등재

        인격통합성 개념에 대한 규범적 적절성

        강현정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102 No.4

        There are many ways to describe someone's characteristics when we admire them. The word ‘noble’ or ‘virtuous’ seem to be used for that purpose. In our language they all refer to someone's quality only by associating with moral praiseworthiness. This paper deals with certain theories on integrity. Whereas our culture allows only morally-embedded concept for good characteristics, G. Scherkoske's view offers an amoral concept of integrity. I first offer comparisons and contrasts between the traditional concept of integrity and this new concept. I then attempt a criticism against Sherkoske's view of integrity by pointing out that his epistemic virtue view of integrity makes our practice of criticizing a person's lack of integrity disappear from our philosophical discussion. It makes our phenomenon that we make a judgement on someone's lack of integrity irrelevant to our understanding of integrity. 어떤 사람의 인품에 대해 칭찬할 때 그 자질을 가리키는 말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선한’ 사람이라든지 ‘덕스러운’ 사람 같은 표현들은 모두 그런 맥락에서 사용되는 것 같다. 이 표현들은 일정하게는 윤리적으로 혹은 도덕적으로 훌륭한 사람을 지칭하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나 과연 인격적인 훌륭함을 도덕적 차원의 고결성과 동일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인격적인 훌륭함을 표현하는 일인지는 의문이다. 이 글은 인격통합성을 인식론적 능력으로 파악하고 있는 셔코스케(G. Scherkoske)의 견해를 살펴보고 그에 대한 반론을 시도한다. 그의 논의는 최근의 여러 이론 가운데서 가장 진화된 방식으로 반 도덕주의적인 성향의 인격통합성 이론을 제시한다. 인격적인 훌륭함을 오직 도덕성과의 연결선상에서만 이해하고 있는 우리 문화에서는 그가 어떤 방식으로 논의를 펼치는지 자체가 흥미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필자는 그의 이론이 인격통합성을 개인의 실천의 문제로 본 기존의 이론들과 구별해서 지식 획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는 점을 드러내는 한편, 그것이 인격통합성을 규범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밖에 없는 실천적 관행을 수용하지 못한다는 점을 주장한다.

      • KCI등재

        인격통합성(integrity)에 대한 두 이론

        강현정 ( Kang Hyun-jeong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8

        공리주의에 대해 비판을 가하면서 윌리엄스(B. Williams)는 공리주의가 지구상에서 곧장 사라지게 될 것으로 단언한 바 있다. 윌리엄스의 예측은 전혀 들어맞지 않았지만, 윌리엄스가 비판의 근거로 제시한 ‘인격통합성’(integrity) 개념이 불러일으킨 반향은 그의 지적이 상당히 일리가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인격통합성 개념이 무엇인지에 대해 학자들 간에는 의견을 달리한다. 이 글은 인격통합성을 정의내리고 있는 대표적 이론인 정체성 견해와 통합적 자아 견해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검토한다. 이와 더불어 통합적 자아 견해에 대해 지적된 가벼움 반론은 잘못된 이해임을 논증함으로써 통합적 자아 견해의 우월성을 제안한다. Attacking utilitarianism, Bernard Williams asserts that we will hear no more of it soon. Although he could not have been more wrong on the matter, scholars paid a great attention on the concept of ‘integrity’, on which he relied for his criticism of utilitarianism. It tells us that his criticism was not entirely misguided. There is, however, a significant amount of disagreement on how to understand the concept. This paper compares and contrasts two dominant views on integrity. Whilst I deal with each argument against the views, I argue that at least one argument against the integrated-self view does not work and suggest that it is a better view than the identity view of integrity.

      • KCI등재

        도덕적 인격의 핵심 구인들의 도덕적 기능에 대한 연구

        정영우(Jung Young Woo)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0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0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도덕적 행위를 이끄는 인간의 내적인 성격적 특성들이 있는가? 있다면 무엇인가? 또는 무엇이 우리로 하여금 지속적인 도덕적 행위를 하도록 촉구하는가? 지금까지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해왔다. 최근 이러한 물음과 관련된 연구들은 1980년대 블라시의 연구를 시작으로 도덕적 정체성과 인격의 성격적 특성을 밝히는 데 주목하고 있다. 블라시의 연구와 다른 연구들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도덕적 인격의 핵심 구인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세 가지, 즉 도덕적 이해, 도덕적 욕구로서의 의지, 자기 통합성을 제안한다. 연구자는 이 세 가지 구인들의 개념적 특징, 형성․발달의 메커니즘, 그리고 도덕적 기능에 대해 논한다. 진정한 도덕적 이해는 도덕적 상황, 상황과 관련된 도덕적 규범, 자신의 행동이 선에 근거하고 그 결과가 선한가에 대한 이해를 포함한다. 일관되고 지속적인 도덕적 행위는 도덕적 이해를 기초로 하며 선에 대한 열망적인 욕구를 중심으로 구성된 의지력이 요구된다. 그러한 의지력은 도덕성과 자아를 통합으로 이끌어 도덕성과 자기 자신에 대한 책임감을 보증하는 도덕적 정체성을 형성하게 한다. 높은 자기 통합성은 우리에게 규범 명료성, 개인적 책무감, 개인적 통제력을 강화시켜서 결국 우리의 삶이 도덕적 삶으로 나아가게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가 도덕적 인격의 기초와 내용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도덕교육을 위한 방법론적 전략의 구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Are there internal traits of a person's personality that can lead to steadfast moral behavior? If there are, what are they? Or, what do we encourage in consistent with moral principles? Until now, many scholars tried to answer these questions in a variety of areas to related morality and offered different answers in each position. Recently, the studies related to these questions in the area of moral psychology have been the focus of much studies, beginning with August Blasi's research in the 1980s, on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s of person's personality to develop moral identity or moral character. Based on Blasi's research and other researches, I suggest that there are the three core constructs for building moral character: moral understanding, will as a moral desire, and self-integrity. And then, I will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s and the mechanisms for formation and development, and particularly the moral functioning of the three core constructs. A true moral understanding may involve understanding and grasping moral situations, including moral standards in relation to situations. And this includes that one understands whether one's behavior and its outcomes be based on good. The moral behavior based on such moral understanding can be said to be consistent and continuous. That is, the consistent and continuous moral behavior demands the will power formed around the desire aspiring good. This will power can lead the integrity between morality and self, and develop moral identity that guarantees the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for morality and oneself. Higher self-integrity may reinforce us clarity of standards, individual accountability, and self-regulation, and that can make our lives to be moral.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help understand the foundation and contents of moral character as well as design the strategies and programs for moral education.

      • KCI등재

        Integrity in Promise Keeping

        강현정 한국윤리학회 2020 倫理硏究 Vol.130 No.1

        Most people agree that it is morally wrong to break a promise. There are, however, many different views on why it is wrong and whether it is because a promisor undertakes a promissory obligation. One dominant view is that you undertake an obligation when you make a promise. For instance, Joseph Raz seems to agree that the general reason why you have to keep your promises is because you undertake obligations by the speech act. On the other hand, some people think that it is not an obligation that matters. Thomas Pink thinks that a promisor and a promisee do not need to care about what obligation a promisor undertakes, because what matters to them is the promised action itself rather than the specifically promissory obligation. I suggest that when people make a promise they in general have in mind what sorts of obstacles they are willing to overcome in order to keep a promise. When one fails to overcome the set bar of the obstacles, he undermines his integrity by also failing to be a consistent person. There are amounts of obstacles that you are willing to overcome when you make a promise. When you fail to overcome ‘the bar of obstacles that you set when you made a promise’, because you are undermining your integrity, you are to be blamed for breaking a promis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