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현대 시기 현충사 성역화 사업의 추진과 의미

        김일환(Il-hwan Kim)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9

        The sanctification project of Hyeonchungsa Shrine(顯忠祠) was led by th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who was in power in the 60s and 70s. Park Chung-hee, who had been fascinated by Yi Sun-sin's rescue activities and personality since his childhood, tried to use Hyeonchungsa Shrine as a cradle of national spirit by sanctifying it as part of the Chungmugong′s commemoration activity after the 5.16 military coup. This was the result of the ruler's historical awareness to diagnose and understand the era, and it was a time when the two Koreas confronted and the sense of crisis about national security was rising, so Yi Sun-sin was recognized as a spiritual ideology that fostered national spirit and overcame national crisis through historical great men. The monopoly and ideologicalization of Yi Sun-sin by such a supreme power, and the sanctification of Hyeonchungsa Shrine, resulted in keeping Yi Sun-sin away from critical forces. Therefore, at today's point, the sanctification project of Hyeonchungsa Shrine must be evaluated with two sides. However, regardless of the historical evaluation of posterity, Yi Sun-sin, the hero of the rescue who overcame the national hardship of Imjin War, remains a great man who is revered historically regardless of the regime. Therefore, it is now necessary to understand and evaluate Yi Sun-sin as a true great historical figure by objectively viewing him as a true great man, rather than making Yi Sun-sin a hero for political purposes and sanctifying the history of Hyeonchungsa Shrine in an inaccessible position.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추모 시설인 아산의 현충사(顯忠祠)는 조선 숙종대 건립된 이후 많은 우여곡절을 경험하였다. 그 중 가장 큰 변화를 경험한 시기는 1960~70년대에 박정희 정권에 의해 성역화 과정이 진행될 때였다. 현충사 성역화 사업은 집권자인 박정희 대통령에 의해 주도 되었다. 유년시절부터 이순신의 구국 활동과 인품에 매료되었던 박정희는 5.16군사 정변 후에 충무공 숭모사업의 일환으로 현충사를 성역화하며 민족정신의 요람으로 삼으려 하였다. 이것은 집권자의 역사의식의 결과였고, 국가 안보에 대한 위기의식이 고조되는 시기라 역사적 위인을 통해 민족정신을 함양하고 국난을 극복하는 정신적 이념으로 이순신을 인식했기 때문이다. 최고 권력자의 이순신에 대한 독점과 이데올로기화, 현충사의 성역화는 상대적으로 비판 세력으로 하여금 이순신과 멀어지게 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박정권의 이순신 성역화 작업은 현충사를 일본식의 유일 신사(神社)로 만들고 이순신의 명망을 이용해 자신의 권력을 강화하고자 했다고 비판받기도 하였다. 따라서 현충사의 성역화 작업에 대한 역사적 평가는 긍정과 부정의 양면성을 가질 수 밖에 없다. 후세의 역사적 평가가 여하하더라도 임란의 국가적 수난을 극복한 구국의 영웅인 이순신은 어떤 정권을 불문하고 역사적으로 숭모되는 위인인 점은 변하지 않는다. 이제는 정치적 목적으로 이순신을 성웅화하고 현충사를 성역화하여 범접하기 어려운 위치에 이순신을 두지 말고 역사적 사실에 바탕을 두고 인간 이순신의 면모를 제대로 밝히고 객관적으로 조망하여 진정한 역사 위인으로 이해하고 평가할 필요가 있다.

      • 충무공 이순신에 대한 인식의 시대별 변화

        최지혜(Choi Ji Hye)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4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1

        임진왜란(壬辰倭亂)은 7년간에 걸친 우리 민족 최대의 국난으로서 조선후기까지 정치ㆍ경제ㆍ사회 여러 면에 영향을 끼친 역사적 사건이다. 국방태세의 미비로 나라가 큰 위기를 맞았지만 우리의 조상들은 일본군을 물리침으로써 국가와 민족의 생존권을 수호할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이순신의 조선 수군은 국난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핵심이라 하겠다. 이순신은 전쟁이 종식되던 1598년 11월 18일 마지막 전투인 노량해전에서 전사하였는데 이후 이순신에 대한 평가와 인식이 형성되었다. 이순신에 대한 인식과 추모 사업은 임진왜란 직후부터 시작되었는데 정조대의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가 편찬됨으로써 그 절정에 달하였다. 그 사이 남해 노량해전 관련 유적ㆍ유물로는 남해 충렬사와 송시열의 「남해노량이충무공묘비」가 대표적이다. 송시열을 비롯한 조선 후기 선비들은 이순신은 왕에게 충절을 바친 인물로 인식하였으며, 그들은 이순신을 통하여 명에 대한 사대사상을 고취시켰다. 근대 시기 이순신에 대한 인식은 이순신은 넬슨 같은 사람과 비교할 수 있는 세계적인 인물로 그 영웅적 의미를 극대화 하였으나 그 어디에서도 이순신이 싸웠던 전쟁의 본질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내용은 없다는 한계를 지닌다. 현대 시기 이순신에 대한 인식과 추모 사업에 가장 앞장선 인물은 박정희 대통령인데 남해 노량해전 유물로 박 대통령이 직접 현판한 액자와 기념수가 있다. 박 대통령은 자신의 군사정권의 뒷받침을 위해 과도한 이순신 성웅화 사업추진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이순신 혐오감을 갖게 하였다. 수 년 전 ‘불멸의 이순신’이라는 인기 드라마에서는 이순신의 인간적인 면을 부각하여 구국의 영웅이자 한 인간으로써의 모습을 드러냈다. 이 시점을 계기로 이순신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다양한 시각에서 이순신의 교훈을 탐구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Imjin War(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s our nation’s largest national crisis over 7 years and a historical event that has influenced many aspects of politicsㆍeconomyㆍsociety until the late Joseon. Although our nation faced a serious crisis due to a lack of defense preparedness, our ancestors could protect the nation and people’s right to live by defeating the Japanese army. Most of all, Yi Sun-sin’s Joseon naval forces can be said to be the core indispensable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national crisis. Yi Sun-sin died in Naval Battle of Noryang, the last battle on November 18, 1598 when the war came to an end and then evaluation and awareness on Yi Sun-sin were formed. Awareness and memorial project on Yi Sun-sin began immediately after Imjin War and reached the climax by compilation of 『Yi Chungmugong Jeonseo』 during the reign of Jungjo. Namhae Naval Battle of Noryang related representative ruinsㆍrelics include Namhae Chungnyeolsa Shrine and Song Si-yeol’s 「Namhae Noryang Yi Chungmugong Tombstone」. The scholars in late Joseon dynasty including Song Si-yeol thought Yi Sun-sin was a figure who served the king with loyalty and inspired toadyism toward Ming through Yi Sun-sin. Awareness on Yi Sun-sin in modern times maximized the heroic meaning as a global figure that can be compared with Nelson but the limitation is that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about the essence of war in which Sun-shin participated. President Park Chung-hee is the one who took the lead in awareness and memorial project on Yi Sun-sin during the present age and Namhae Naval Battle of Noryang relics include a monumental tree and signboard directly hung by President Park. By promoting the project making Yi Sun-sin a sacred hero to support his military regime, President Park caused many people to feel hatred toward Yi Sun-sin. Some years ago, ‘Immortal Admiral Yi Sun-sin’ appeared humane qualities of Yi Sun-sin. With this as a momentum Yi Sun-sin have been developed by each age based on this study.

      • KCI등재

        이순신 현양사업에 대한 연구: 국민지도 이념으로 발전한 이순신 정신

        김동철 한국제도∙경제학회 2021 제도와 경제 Vol.15 No.2

        It was th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who revived the legacy of Admiral Yi Sun-sin in the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no less enthusiastically than the “Rediscover Yi Sun-sin Project” under King Jeongjo in the late 18th century. In 1960, Korea was one of the poorest countries on earth with per capita GDP of about 100 dollars. Socio-politically, the nation lacked a soil to adopt and administer Western democracy, and was mired in continuing civil unrest. In order to realize the stated goal of National Prosperity and Stalwart Defense, the former President Park Chung-hee publicly exalted Admiral Yi Sun-sin as the “National Mentor” and adopted the Admiral’s principles of autonomous spirit, sacrifice of self for the good of the many, duty before self, love for the people, and creative outlook as his own governing philosophy. The civil servants, teachers, soldiers, workers and youth living in today’s Korea too shall consider the historic sites across the nation commemorating Admiral Yi Sun-sin as the hallowed grounds of the Yi Sun-sin Spirit, and dedicate themselves to the cultivation of the ideal of Practical Autonomous Leadership based on the values of love of country, love of neighbors, and love of self. 18세기 말 정조대왕의 “이순신 현창사업” 못지않게 이순신을 다시 세상에 부활시킨 사람이 박정희 전 대통령이다. 1960년 대한민국 1인당 국민총소득은 100달러 수준으로 지구상 최빈국이었다. 정치·사회적으로 서구 민주주의를 받아들일 만 한 토양이 부족한 탓으로 혼란스러웠다. 이러한 국가적 혼란과 경제난을 타개하고자 박정희 전 대통령은 1961년 혁명을 일으켜 민족중흥의 기치를 올렸다. 부국강병(富國强兵)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이순신 장군을 ‘국민멘토’로 삼고 자급자족, 멸사봉공(滅私奉公), 선공후사(先公後私), 애민(愛民), 창의(創意) 등 그의 정신을 ‘국가지도 이념’으로 정했다.

      • KCI등재

        식민지기 통영 충렬사영구보존회의 결성과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

        박지현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3 서강인문논총 Vol.- No.68

        본 연구는 통영 충렬사 소장 식민지기 문헌들을 중심으로, 통영 충렬사영구보존회(이하 보존회)의 결성과정과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보존회의 결성 시점과 내부적 진행 과정에 관해 잘못 알려졌던 사실들을 바로잡을 수 있었고, 보존회가 1920년대부터 추진했던 다양한 이순신 추모 사업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특히 이 과정에서 보존회가 신분과 친목에 기반한 전통적인 의례 조직에서 공공의 관심을 대변하는 근대적인 사회단체로 변화해가는 모습을 확인할 수있었다. 조선 후기부터 통영의 상급 무임들은 충렬사와 제승당의 유지와 관리를 맡아왔다. 또 이들은 이순신 장군의 기일과 생신을 기념하는 조직을 만들고, 추모 의례도 꾸준히이끌어 왔다. 한말 통제영이 폐지되자, 상급 무임들은 충렬사와 제승당의 운영에서 잠시 배제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지역 현안의 해결에 앞장서고, 추모 의례도 주도하면서역사적 연고권을 지켜갔다. 1911년에는 상급 무임들을 주축으로 기존의 추모 단체들을 규합하여 보존회가 결성되었다. 이후 보존회는 군청으로부터 관리권과 재산권을인계받고, 조직과 운영규칙, 재산규칙 등을 정비하여, 1919년 3월 18일 충렬사의 관리하는 대표 사회단체로 재탄생했다. 이렇듯 보존회의 결성은 상급 무임들의 내부 역량과 적극적 참여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또 보존회의 가입은 규정상 일반 대중에게 개방되었으나, 실제로는 상급 무임 가문 출신이면서 장년층의 지역 유지나 지도층이 다수였을 것으로 생각된다. 보존회가 중점적으로 진행한 사업은 이순신 장군 추모 사업이었다. 충렬사 및 제승당의 각종 제향과 건물의 유지・관리가 중심이었지만, 근대적인 추모 사업도 다양하게진행되었다. 보존회는 이미 1920년대부터 이순신 장군의 유물을 전시할 진열장을 만들고 관광엽서도 제작하며 충렬사를 알리기 위한 여러 사업을 진행했다. 특히 전시공간을 확보하려는 노력은 충렬사를 폐쇄적인 추모 공간에서 공공적이고 개방적인 공간으로 바꾸려는 근대적 기획의 일환이었다. 또 1930년대 진행한 제승당 중건 사업은 경성의 이충무공유적보존회와 함께 추진되었다. 이를 통해 보존회는 제승당을 이순신장군의 대표 고적이자 민족정신을 상징하는 공간으로 전국에 알릴 수 있었다. 이와 동시에 보존회는 지역의 시급한 현안에도 관심을 잃지 않았으며, 문화・교육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후원함으로써 통영의 대표 사회단체로서의 위상을 잃지 않았다

      • KCI등재

        역사영웅의 기념문화와 신자유주의 주체화 프로젝트: 이순신 관련 출판콘텐츠를 중심으로

        권오헌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2 감성연구 Vol.- No.25

        This study intends to explain the neoliberal subjectivization project by combining it with the change in the commemoration culture of historical hero in the private se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s the publishing contents related to Yi Sun-shin since 2000, focusing on self-help books, and through this, attempts to analyze the deployment and development of self-help and CEO discourse. The neoliberal subjectivization strategy constantly pushed individuals toward self-help to change the individual’s mentality and emotion itself, and through this, neoliberalism is to be embodied. The inclusiveness of the self-help discourse makes ti suitable for history, and willingly embraces the historical heroes of the modern nation state. The neoliberal subjectivization project forms a powerful magnetic field as it transforms into various forms. This study can be viewed as a work to track and elucidate this. 본 연구는 민간영역의 역사영웅 기념문화를 중심으로 신자유주의 주체화 프로젝트를 설명하고자 하는데, 이를 위해 2000년대 초반의 이순신관련 자기계발 출판콘텐츠를 분석하여 자기계발 및 CEO담론의 전개와 발전을 해명하려 했다. 신자유주의 주체화 전략은 개인을 자기계발담론으로 포위하여 사고와 심성 및 감정 자체의 변화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신자유주의를 체화시켜 신자유주의적 인간을 창조하려 한다. 이같은 신자유주의 주체화 전략의 포괄성은 국민국가의 역사영웅을 기꺼이 포섭하는데, 한국사회에서 그 대표적인 인물은 이순신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다양하게 변형・확산되면서 생명력과 역량을 확대재생산하는 신자유주의 주체화 프로젝트를 기념문화의 자장을 통해 해명하려는 작업이다.

      • KCI등재

        역사인물 현창사업의 근대적 변화 과정에 대한 연구 -하동지역 충의공 정기룡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대화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motive implied behind the activities to commemorate a historical figure by investigating the case of a project to commemorate the one who had been active during Imjin War (the Japanese Invasion of Joseon) in 1592 for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Even a prominent figure at the time of survival is sometimes forgotten in later generations, while there are many cases that continue to be posthumously commemorated for a long time after death. In some cases,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positive and negative evaluations come and go depending on the political and social context of a particular period. In the Joseon era, highlighting the achievements of king Seonjo (宣祖, 1552-1608) was widely used as a way for his descendants to achieve political success, or to increase their social status in the area where their descendants live. In contrast, in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was abolished, and the possibility of ancestral achievements affecting the political position of descendants is greatly reduced. In spite of this, activities to brighten people who left achievements among their ancestors continued in the communities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As for Jeong Gi-ryong (鄭起龍, 1562- 1622), Chungwigong (忠毅公), who was born in Hadong (河東) and established achievements in Imjin War, this article examined what significance the modern historical figure commemoration project might have through the case of constructing Gyeongchungdang (敬忠堂), a shrine to commemorate him in the Hadong region in the 1930s.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irst,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Jeong Gi-ryong commemorative project in Hadong in the 1930s was stimulated by a national fund-raising project that took place at the same time to preserve the remains of Chungmugong (忠武公) Yi Sun-shin (李舜臣, 1545-1598). In 1931, the Chungmugong relic conservation activities centered on “Donga-ilbo” received a great response from the Joseon people at the time. In particular, Hadong gun, the hometown of Jeong Gi-ryong, is adjacent to Noryang (露梁), the site of the fallen admiral Yi Sun-shin, and as in Chungryeol-sa (忠烈祠) in Noryang, a heavy reconstruction project was carried out in the 1920s by the residents of Namhae-gun (南海郡), it may have served as a motive for starting a commemorative project for the descendants of Jeong Gi-ryong of Hadong. Second, it was because in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the 'popularization of history' was more advanced than in the Joseon era. From the 1920s, Joseon's history was allowed to be taught in schools by Imperial Japan, and there was a need for books to be used as history textbooks, mainly in private schools run by the Joseon people. Accordingly, many books with the character of an introduction to the Korean history have been published, and after reading this book, some of Joseon people became interested in their history. Because of this historical background, in the 1930s, the Yi Sun-shin relic conservation movement was able to win the favor of many Joseon people. Therefore, during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background and factors of various historical figure commemorative projects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we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projects of commemorating ancestors in the Joseon era even though the appearance was similar. It should be interpreted while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 patterns of dissemina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o the general public, including the historical situation so called the Imperial Japan’s Forced Occupation Period, and the conditions in the local community where the commemorative project was being held. 이 글은 임진왜란 때에 활동한 역사인물을 일제강점기에 기념하는 사업의 사례를 연구하여, 역사적 인물을 기념하는 현창사업에 내포된 배경과 동기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하는 점을 규명하는데 있다. 생존 당시에 저명한 인물이라 하더라도 후대에 잊히기도 하는 반면, 사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기념되는 사례도 적지 않다. 경우에 따라서는 특정한 시기의 정치사회적 맥락에 따라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를 오락가락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조선시대에는 선조의 업적을 부각시키는 것이 후손들이 정치적으로 출세하거나, 후손들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자신들의 사회적 지위를 높이는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그에 비해 일제강점기에는 제도적 신분차별이 철폐되었고, 조상의 업적이 후손의 정치적 지위에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극히 축소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제강점기 한반도의 지역사회에서는 조상 가운데 업적을 남긴 인물을 내세워 현창하는 활동이 지속되었다. 이 글에서는 하동(河東) 출신으로 임진왜란에서 공을세운 충의공(忠毅公) 정기룡(鄭起龍, 1562~1622)에 대해, 1930년대 하동 지역에서 그를 기념하는 사당인 경충당(敬忠堂)을 세운 사례를 통해 근대의 역사인물 기념사업이 갖는 의미를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1930년대 하동의 정기룡 기념사업은 같은 시기에 벌어진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유적을 보전하기 위한 거국적인 모금사업에서 자극받았을 가능성이 높다. 1931년 동아일보가 중심이 되어 벌인 충무공 유적 보전 활동은 당시 조선인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정기룡의 고향인 하동은 이순신의 전몰지인 노량(露梁)과 인접한 지역으로, 노량의충렬사(忠烈祠)에서도 1920년대에 남해군(南海郡) 주민들에 의해 중수사업이 벌어졌기에 하동의정기룡 후손들에게 기념사업을 일으키는 동기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둘째, 일제강점기에 ‘역사의 대중화’가 조선시대보다 진전되었기 때문으로 보아야 한다. 1920년대부터 조선의 역사를 학교에서 교육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고, 조선인이 운영하는 사립학교를 중심으로 역사 교과서로 사용할 서적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한국사 개론의 성격을 갖는 서적이 다수발간되었고, 이 책을 읽고 역사에 관심을 갖는 조선인들이 생겨났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이 작용했기 때문에, 1930년대 이순신 유적 보존 운동이 수많은 조선인들의 호응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에 전국 각지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벌어진 역사인물 기념사업은 조선시대에 조상을 기념하는 사업과 겉모습은 유사하더라도, 그 배경과 요인은 조선시대와 전혀 다른 양상이 확인되었다. 경우에 따라 조선시대의 현창사업을 답습하기도 하고, 하동지역 정기룡 현창사업의 사례와 같이 ‘역사의 대중화’나 언론매체 등 근대적 변화에 의해 추동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당 중건이나 신도비 건립 등 현창사업의 결과물만으로 전근대적 현창사업을 답습하였다고 단정짓는다면 지역사회의 근대적 변화상을 포착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현창사업을 조사 연구할 때에는, 현창사업이벌어진 배경과 시대적 상황, 지역사회에서의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면서 해석하여야 한다.

      • 고금도 관왕묘(關王廟)의 역사와 복원에 관한 고찰

        조신호(Jo, Shin-Ho)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18 이순신연구논총 Vol.- No.29

        전남 완도군이 ‘묘당도 이충무공유적 기념사업 추진’ 계획을 2016 년에 수립하여 2020년 완공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이 사업에는 고금도 충무사를 중심으로 이순신 동상과 기념관을 건립하는 동시에 70년 전에 없어진 ‘관왕묘(關王廟)’ 복원도 포함되어있다. 한반도의 관왕묘 역사는 1598년 정유재란 때 명(明) 장수들이 서울과 지방에 사당을 짓고 배향하면서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관우 숭배에 대한 인식이 소극적이었으나, 숙종(r.1674-1720) 이후 임금들이 자발적으로 제향하면서 중국의 역대 왕조처럼 정치적인 목적으로 관우신앙이 수용되었다. 고금도 관왕묘는 1598년에 도독 진린(陳璘)이 설립하여 1940년대 초까지 약 340년간 존속해 오다가 일제에 의해 철폐되고 옥천사로 사용되었다. 이 사찰은 1953년에 이순신을 배향하는 충무사(忠武祠)로 개편되어 ‘고금도관왕묘비(古今島關王廟碑,1723)’만 남아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있다. 완도군이 추진하고 있는 고금도 관왕묘를 복원하기 전에, 관왕묘와 관우신앙의 연원(淵源)이 포괄적으로 파악되어야 한다. 약 1700년의 역사를 가진 중국의 관우신앙과 정유재란 때 유입된 한반도 관왕묘의 역사, 그리고 고금도 관왕묘의 연혁을 요약해 보는 것이 선행 작업 이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고금도 관왕묘를 복원하는 의의와 전망을 검토해 볼 것이다. 고금도 관왕묘의 복원은 정확한 고증과 면밀한 계획으로 진행되어야 하고, 완공 후 원만하게 운용할 방안이 수립되어야 한다. The authority of Wando County Office devised a plan to construct ‘the Myeodangdo Commemorative project for Admiral Yi’s Remains’, and is pushing forward to complete it in 2020. They want to construct a statue of Admiral Yi Sun-sin and his memorial hall. The restoration of ‘Gwanwangmyeo(關王廟,Guanmiao), which was abolished 70 years ago, is included in the plan. The history of ‘Guanmiao’ in Korean Peninsula began when the commanders of Ming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1592-1598) built it and made sacrificial rites in Seoul and several local areas from 1598. The understanding for the Worshipping Guan Yu was passive in early days, but it was applied to political ends since the reign of King Sukjong(r.1674-1720) like many kings of many generations in China. The Guanmiao of Gogeumdo is established by Admiral Chenlin(陳璘) in 1598. It was in existence for about 340 years until early 1940. Now there remains only a ‘Shrinestone’(古今島關王廟碑,1713) after the abolition by Japanese in 1942. It was replaced as ‘Chungmusa(忠武祠), a Shrine of Admiral Yi in 1953. This paper summarized the Chinese history of the Worshipping Guan Yu which was handed down for about 1700 years, that of Korea, and that of the Guanmiao of Gogeumdo. Based on its history, the significance and prospect of the restoration of ‘Gwanwangmyeo was investigated. The plan should be proceeded with close historical researches and building programs. After completion, the shrine is needed effective application plans because it not a simple historical remains, but was imbued with the spirit of great antecedents.

      • KCI등재

        이순신 프로젝트와 역사교실수업

        송인주 역사교육학회 2011 역사교육논집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Yi Sun Sin's leadership through Lee Sun Shin project. For this, the first thing to do was to examine comprehensively General Yi Sun Sin's achievements and descendants' assessment of him, using documentary films. And with that,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were investigated through nonfiction materials. Finally, as an extension of this, the identity of Yi Sun Sin's leadership was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using fiction materials. Passing through three phase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followings can be examined as a result of students' assessment and experience on Yi Sun Sin. First of all, there is an enormous change in students' perspective on a historical figure, Yi Sun Sin. Students said that they were able to break their fixed ideas about him. Secondly, students reported that they could not only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but also experience changes and growth process, reading and responding historical materials in various genres, concerned Yi Sun Sin. According to what the students said, it is an example showing how history influences student's perception when history approaches them in the form of story. Also, it presents the way leading students to the world of historical fiction in history class. Thirdly, students as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this project became a guide for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in the future. In short, how teachers create class environment determines future history class and its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Yi Sun Sin project makes students think over their meaning of life, throug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figure,Yi Sun Sin.

      • KCI등재

        논문 : 이순신 프로젝트와 역사교실수업

        송인주 ( In Ju Song ) 역사교육학회 2011 역사교육논집 Vol.4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dentity of Yi Sun Sin`s leadership through Lee Sun Shin project. For this, the first thing to do was to examine comprehensively General Yi Sun Sin`s achievements and descendants` assessment of him, using documentary films. And with that, the circumstances at the time were investigated through nonfiction materials. Finally, as an extension of this, the identity of Yi Sun Sin`s leadership was considered from various angles, using fiction materials. Passing through three phases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e followings can be examined as a result of students` assessment and experience on Yi Sun Sin. First of all, there is an enormous change in students` perspective on a historical figure, Yi Sun Sin. Students said that they were able to break their fixed ideas about him. Secondly, students reported that they could not only develop their historical thinking but also experience changes and growth process, reading and responding historical materials in various genres, concerned Yi Sun Sin. According to what the students said, it is an example showing how history influences student`s perception when history approaches them in the form of story. Also, it presents the way leading students to the world of historical fiction in history class. Thirdly, students as pre-service teachers said that this project became a guide for histor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in the future. In short, how teachers create class environment determines future history class and its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Yi Sun Sin project makes students think over their meaning of life, through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figure, Yi Sun Si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