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조 연시조의 발전과 수용 양상

        김상진(Kim, Sang-Jean) 한국시조학회 2014 시조학논총 Vol.40 No.-

        조선조 연시조는 四時歌, 五倫歌, 六歌 등의 유형으로 발전하며 각각의 계열을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일련의 시조가 계열을 형성한다는 것은 그들 간에 영향관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서 대표격이라 할 수 있는 육가계 연시조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가를 고찰하기로 한다. 이를 위해 육가의 성격에 대하여 먼저 규명하였다. 사시가와 오륜가가 그 명칭에서부터 작품의 성격을 의미하는 것과는 달리 육가는 그렇지 못하다. 더욱이 최초의 작품인 李鼈의 〈藏六堂六歌〉와 최고의 작품으로 꼽히는 退溪의 〈陶山十二曲〉이 〈장육당육가〉를 비판, 수용함으로써 육가의 성격을 모호하게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兩者를 아우르는 육가의 성격을 ‘處의 공간에서 물러난 시기에 부르는 노래’로 정의하였다. 본격적인 논의에서는 〈도산십이곡〉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왜냐하면 이후의 작품들이, 〈도산십이곡〉이 표방하는 溫柔敦厚의 정신과 형식을 본받아 작품을 창작하면서 〈도산십이곡〉이 육가계 연시조의 대표작이 되었기 때문이다. 즉 〈도산십이곡〉이 취하고 있는 육가의 형식과 온유돈후의 정신이 16세기말에서부터 18세기에 창작된 육가계 시조에 어떻게 수용되고 있느냐의 문제이다. 〈도산십이곡〉은 세 가지 유형으로 수용된다. 첫째는 긍정적 수용 양상이다. 이들은 〈도산십이곡〉과 근접한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그것의 정신과 내용 모두 〈도산십이곡〉을 효방한다. 둘째는 變容的 수용 양상으로, 17세기적 상황을 반영한다. 이것은 기본적으로는 〈도산십이곡〉에 근접하고자 하였지만 작가의 의식세계나 그가 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변화시켜 수용한 경우이다. 셋째는 18세기에 창작된 작품에서 볼 수 있는 異形的 수용 양상이다. 이 시기의 작품들은 전반적인 맥락에서 본다면 〈도산십이곡〉이 지향하는 틀을 수용하지만, 그 구체적인 면모는 그와 다르거나 오히려 상반되게 수용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상과 같이 육가계 연시조를 통시적으로 조망함으로써, 낱낱의 작품만을 봤을때 놓치게 되는 작품들 간의 ‘관계’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요컨대 이들 작품이 모두 유기성을 지닌 연시조라는 사실을 간과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총체적으로는 작품의 실체에 근접하고자 하였다. Joseon Yeonsijo is a type of development such as Sasiga (四時歌), Oryunga (五倫歌), Yukga (六歌). And each line was formed. This mean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 of the same lines. In this paper, Yukga-line Yeonsijo is the target. Because, this is among the Yeonsijo. In order to do this, first identify the nature of the Yukga. The name alone Yukga does not know character of work. This is different from Sasiga and Oryunga. And, the first work is Li-Byeol(李鼈)’s 〈Jangyukdanoyukga (藏六堂六歌)〉 and The best works Toegye(退溪)’s 〈Dosansibigok (陶山十二曲) character is different. Therefore, the character of Yukga is ambiguous. Thus, in this paper, stipulates as follows that ‘Yukga is singing in the space of retreat’. In a real discussion, specifically focuses on Toegye’s 〈Dosansibigok〉. Becau se, later creative works is 〈Dosansibigok〉 was seen. In other words, 〈Dosansibigok〉’s the spirit of Onyudonhu (溫柔敦厚) and form. So 〈Dosansibigok〉 was the representative of the Yeonsijo. 〈Dosansibigok〉 to accommodate the three types of patterns. First, it is a acceptance of positive. This is creative the closest period from 〈Dosansibigok〉. So were imitated all spirit and form. Second is the acceptability of transformation. This reflects the situation in the 17th century. This is essentially a 〈Dosansibigok〉 attempt seen. However, the situation was because of transformation. Third is, it can see the 18th century. It is the acceptability of allogeneric. There are the overall context of generally oriented to 〈Dosansibigok〉. However, looking specifically to it is different, or the opposite. So, this paper was diachronic study as a Yukga-line Yeonsijo. In doing so, pay attention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s.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hat this work is Yunsijo in accordance with the organic. In short, the study was close to the reality of work.

      • KCI등재

        權榘의 <屛山六曲>에 나타난 공간 인식과 연작성

        김상진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0 동방학 Vol.19 No.-

        屛谷 權榘의 <屛山六曲>은 18세기에 제작된 육가계 연시조로, 육가의 맥락을 18세기로 이어갔다는 의미를 지 닌다. 육가계 연시조는 이별의 <장육당육가>로부터 비롯되지만, 이황의 <도산십이곡>이 선구적 역할을 하여 이후의 작품들은 대부분 <도산십이곡>의 정신을 본받게 된다. <병산육곡>이 <도산십이곡>을 효방한 육가 계 연시조란 사실은 出處觀, 강호의 공간, 修己의 자세, 유기적 구조물이란 내용을 포함함을 환기한다. 아울러 18세기의 작품이란 점은 이러한 제반 요소를 변용하여 수용했을 것이란 짐작을 가능케 한다. 본 연구는 이런 점들에 유념한 <병산육곡>의 본격적인 작품론 이다. 본고에서는 작자가 알려지지 않은 채 전 해지던 <병산육곡>의 작자가 권구임이 밝혀진 과정을 밝히고, <병산육곡>의 여섯 수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 석을 하였다. 작품을 조망함에 있어서는 ‘육가’ ‘연시조’ 그리고 ‘18세기’라는 세 가지 요소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토대로 첫째로는 강호의 공간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연시조로 서 기능하기 위하여 작품의 유기적 연결성과 함께 그것의 연작성에도 주목하였다. 아울러 육가계 연시조의 전 통을 어떻게 18세기로 이어갔는지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병산육곡>은 전반적으로는 육가계 연시조의 전통을 따르지만 강호인식과 연작성 모두에서 변화된 모습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강호를 修己의 공간임과 동시에 삶의 공간으로도 인식하였다. 이는 물의 공 간과 육지의 공간으로 변별되는데 물의 공간에서는 평온을, 육지에서는 갈등을 하게 된다. 연작성 또한 전반 적으로는 연시조의 흐름을 따르지만 낱낱의 연결은 유기적으로 구조화되지 못하여 한계를 지닌다. Gwongu's <Byeongsanyukgok> is Yukgagye-Yeonsijo(六歌系 연시조). This was created in the 18th century. This is a value that 'Yukga(六歌)' continued until the 18th century. Yukgagye Yeonsijo was succeeded a ToeyGae(退溪)'s <Dosansibigok(陶山十二曲)>. This means that <Byeongsanyukgok> was relation to Chulcheogwan(出處觀), Space of mountains and rivers(江湖), the positions of Sugi(修己), Organic structure. This research is work study of <Byeongsanyukgok>. This work 'Yukga', ‘Yeonsijo', '18 Century' is noted for three terms. Based on this, as the first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space. The second was focused on the continuity. In front of the works is to study the Yeonsijo as a means. And also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18th century. As a result, The <Byeongsanyukgok> as a whole followed a tradition of Yukgagye Yeonsijo. But, recognition of mountains and rivers and continuity, both were changed. In other words, recognized mountains and rivers with two kind is a space of sugi and a space of life. In addition, the water space and land space was recognized separately. Namely, the water space to feel the comfort and in the space of land was the conflict. Also, in general followed the flow of the Yeonsijo. But were not structured organically. This is a limitation of <Byeongsanyukgok>.

      • KCI등재

        시조에 나타난 봄의 형상

        김상진(Kim, Sang-jean)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계절은 봄으로부터 비롯된다. 계절은 자연이란 대상에 시간적 질서를 부여한 것이다. 그러므로 시조에 등장하는 봄의 형상을 조망하려는 본고의 취지는 궁극적으로는 자연에 대한 관심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자연을 인식하는 다양한 태도에 대한 관심이다. 동일 대상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주목하는 만큼, 연구의 대상 작품 또한 계열화가 가능한 일련의 사시가계 연시조를 중심으로 하였다. 시조에 나타난 봄은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다. 이념의 정립과 관념의 봄, 전통의 계승과 관습의 봄, 그리고 현실의 인식과 행동하는 봄이 그것이다. 이 세 가지 범주는 시대적 추이나 사회적 인식과 관계를 맺게 된다. 국가의 기강이 확립되어가고 성리학의 이념이 지배적이던 시기였던 조선 전기 시조에 등장하는 봄은 관념의 대상이다. 그래서 봄을 노래하되 그것으로써 자신의 이념을 드러내게 된다. 조선 후기로 접어들며 현실의 문제가 부각됨에 따라 시조에 등장하는 봄의 형상에도 변화가 생긴다. 즉, 봄을 현실적으로 인식하며 행동의 계절로 묘사하는 것이 그것이다. 관념의 봄과 행동하는 봄이 조선 전, 후기로 구분되며 횡적관계를 이루고 있다면 관습의 봄은 집단이나 사회에서 통용되는 전통의 계승과 긴밀함을 맺으며 종적으로 나타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일련의 어부가계 연시조를 꼽을 수 있는데, 윤선도의 <어부사시사>에 등장하는 봄에는 ‘어부가’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정서가 관류하고 있다. 여타의 시조에서도 봄에 대한 정서적 관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 물리적으로 동일한 봄이 문학의 장르나 시대적 상황에 따라 어떻게 다르게 변모하는지 검토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의 삶에서 문학, 또는 시조의 역할을 규명하는 것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e cycle of seasons begins with spring. The seasons are being granted to the temporal order in nature. This study explores representations of spring in Sijo (時調). This ultimately is of interest for nature. Among them is particular interested in the variety of attitudes to nature. In this paper, the same target are recognized for the difference between notes. Sasigagyeo Yeonsijo (四時歌系 연시조) is the focus. Spring in literature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representations: As ideological formulations and as the spring of ideas, as a succession of traditions, and as the spring of customs. The last discusses reality and ways of behavior in the spring. These indicate the historic and architectural changes in social awareness and relationships. In other words, spring is about ideology, which appears in the Joseon (朝鮮) former Sijo. In the latter Joseon (朝鮮) Sijo, spring is depicted realistically. The customary spring in close relationships that is a tradition of succession. This is a tradition that is commonly followed in a group or society and is hence longitudinal. Traditionally, spring involves customary succession and bears a close relationship. A good example is the Eobugagyeo Yeonsijo (어부가계 연시조). For example, in the Yoon Seon-do‘s (윤선도) Eobusasisa’s (어부사시가) spring is succeed in the emotion of Eobuga (어부가). In other Sijo found that Emotional customs of spring. Physical spring thus remains unchanged,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However, spring in literature depends on the genre, age, and situation. These findings could be of use in understanding human life and literature or Sij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