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쁨' 감정동사의 원형과 유의관계에 대한 연구

        조경순(曹炅舜)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4 중국조선어문 Vol.190 No.-

        본 연구에서는 [기쁨] 영역에 속하는 감정동사들의 의미가 동질적이지 않음을 살펴서 감정동사가 유의관계를 통해 묶여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기쁨 범주의 감정동사들은 기쁨의 중심과 주변 영역에 분포되어 있는데, 기쁨 감정 표출 동사는 신체적 반응과 인지를 중심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동사들로 중심 영역에 속해 있다. 기쁨 감정 판단 동사는 감정의 1차적 발생 이후 감정을 평가하는 동사들로 주변 영역에 포함된 동사들이다. 감정동사들은 어떠한 감정 의미소가 맥락에 따라 강해지느냐에 따라 유의관계가 달라질 수 있다.

      • KCI등재

        コ-パスによる類義副詞「しみじみ、つくづく」の共起分析

        고풍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07 日本語敎育 Vol.39 No.-

        본고는 類義副詞「しみじみ、つくづく」의 動詞와의 共起關係에 보여지는 2語의 차이에 관한 考察이다. 分析은 『中日新聞』5年分에서 抽出한 共起情報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分析의 結果는 다음과 같다. 「しみじみ」는 思考ㆍ感覺ㆍ知覺을 나타내는 心理動詞、發言動詞、心理狀態를 나타내는 動作動詞와 共起하기 쉽고、文末에서 動詞가 省略된 형태로도 사용된다. 「つくづく」는 感情動詞도 포함한 心理動詞와 視覺動詞와의 共起가 대부분이고, 마이너스文脈과 사역수동의 형태로도 사용되기 쉽다. 「しみじみ」는 主體의 心理狀態를 나타내는 狀態性과 主體의 感動과 觀察의 깊이를 나타내는 程度性의 두개의 副詞機能을 가지고 있지만, 「つくづく」는 程度性을 나타내는 機能밖에 가지고 있지 않다. 본고에서는, 종래의 硏究에서 明示的으로 언급되지 않았던 動詞와의 공기 및 「しみじみ、つくづく」의 副詞機能을 새롭게 분석해, 2語의 記述에 貢憲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슬픔’ 감정동사의 유의관계 연구- 벡터화 자료의 활용을 중심으로 -

        초심념 배달말학회 2022 배달말 Vol.7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슬픔’ 감정동사 간의 유의관계를 살펴보고, 유의관계에 속한 감정동사가 갖는 의미 특성과의 연관성을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사전의 정의 및 의미 간의 친소관계를 벡터화하여 ‘슬픔’ 감정동사 30개를 추출하였고 사전의 뜻풀이를 근거로 의미소 목록을 설정하였다. 선정된 감정 의미소는 의미 간의 친소관계를 시각화한 벡터화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 영역과 주변 영역으로 분류하여 유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중심 영역의 의미소는 [슬픔], [외로움], [안타까움]이고 주변 영역의 의미소는 [서운함], [우울함], [불쌍함], [억울함], [괴로움], [고통], [아쉬움]이다. 감정동사의 의미 특성은 최석재(2008)에서 제시한 ‘상태형, 반응형, 상태/반응형’과 손선주 외(2012)에서의 ‘슬픔의 강도’이다. 이러한 특성이 중심 영역의 ‘슬픔’ 감정동사에서는 상태형과 반응형의 의미 특성을 동시에 가지며 감정강도 7.0 이상으로 강도가 강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 3쌍의 동사 유의어를 대상으로

        박종호,황경수 한국국어교육학회 2012 새국어교육 Vol.0 No.92

        The meaning of the synonymous relations of verbs can be identified by the information of noun argument co-occurred with the verbs and the case frames of the verbs themselves. Since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in case of the foreigners learning Korean, they are less likely to learn the co-occurrence of verbs and various nouns. Accordingly, in order to educate them about the verbs in the synonymous relations and let the learners learn them effectively, it would be necessary to allow them to identify the meaning of verbs, based on various noun arguments.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heck the basic meaning of pairs of verbs targeted for learning, the domains of common meaning and the differentiated meaning occurred. In addition to them, the comparison of case frame structures can be a good teaching method. 본고는 중급 단계 한국어 학습자들이 학습하고 있는 ‘뽑다’와 ‘고르다’, ‘사다’와 ‘구입하다’, ‘교환하다’와 ‘바꾸다’ 등 3쌍의 유의 관계 단어들을 대상으로 중급 학습자의 유의어 인식 실태와 의미 변별에 관하여 살펴보고 그 교육방안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유의 관계에 있는 동사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명사 논항을 바탕으로 각 동사의 의미를 변별해 주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를 위해서 유의 관계에 있는 동사쌍에 공통으로 공기 관계를 이루는 명사 논항과 개별적으로 쓸 수 있는 변별 명사 논항을 구분하고 연어 사전, 말뭉치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명사 논항을 제시하는 것이 효율적인 학습이라는 것을 밝혔다. 또한 이와 함께 좋은 교수 방법이 될 수 있는 격틀 구조의 비교도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한국어와 독일어 음식물 섭취 동사류으 결합가 대조 연구

        고영근 ( Young Keun Ko ),김경욱 ( Gyung Uk Kim ),( N. R. Wolf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05 언어와 언어학 Vol.0 No.35

        In our research we have described the syntactic and logical-semantic valency of the wordfield ``food absorption`` in korean and german verbs and compared the one with another, We have divided these verbs into seveal semantic classes und selected the lists that belong to each semantic class. Then we have described complements (syntactic valency ) and semantic properties (logical-semantic valency) of the verbs, We have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lists of the korean and german verbs that belong to the same wordfield are not entirely equal. Even if their semantic properties are identifical, the contents of each verb are not equal. And then a one-t0-many correspondence between the verbs is found or there is the case the meaning of korean verbs includes the partial meaning of german verbs. Because in the same wordfield there are not the korean verbs but the german verbs, they had to be included there as a phrasal construction. German prefixes are combined with the verbs and display various meaning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prefixes. the number of the german verbs in the wordifield ``food absorption`` is more than the number of the korean. In korean there are many complex verbs that are combined with the verb ``meokda(eat)``in the wordfield ``food absorption`` But their number is not abundant. The meaning of the verbs that are combined with german prefixes are expressed by the auxiliary verbs in korean.

      • KCI등재

        중세ㆍ근대국어 어휘의미 연구(9) : 의존명사 {다[ㄷ.]}와 {줄}의 의미 분석 Semantic Analysis of bound noun {다[ㄷ.]} and (줄)

        홍사만 한국문학언어학회 2003 어문론총 Vol.38 No.-

        This paper is about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Middle and Modern Korean bound noun {ㄷ.}, and their synonymy relation with {줄}. In Middle and Modern Korean, there were various declensional forms of {ㄷ.} such as {ㄷ.ㄹ}(accuastive), {디}(subjective), {ㄷ.ㅣ}(locative), {ㄷ.로}(instrumentative), and {ㄷ.ㄴ}(topic). But among them {디} and {ㄷ.ㅣ} had already been derived forms which were transformed into different bound nouns. Although verbs of recognition, verbs of thinking, verbs of statement, and verbs of sense could be used as the following verbs in the mother sentence when the embedded sentences of {ㄷ.} were worked as the object of the mother sentence, the most common case was to use verbs of recognition. This phenomenon later causes {줄}, lexically changed word of {ㄷ.}, to co-occur only with verbs of recognition. The meaning that Middle Korean is induced in syntactic and semantic circumstance is the "fact"(or truth). It is the semantical function that makes the proposition of embedded sentence as a fact. The semantic similarity between {ㄷ.} and {줄} is very clear when they co-occur with the verbs of recognition(알다/모ㄹ.다(know/do not know)) of the mother sentence. Historically, 「줄 알다(모ㄹ.다)」 is preceded by 「ㄷ.ㄹ 알다(모ㄹ.다)」. When {줄} appeared, it went through the synonymy clash and {ㄷ.} was degenerated. Since then there wasn't any appearnce of {ㄷ.} in the data of Middle Korean. {ㄷ.}'s extinction was caused by its unstability as bound noun. Eventually {ㄷ.} disappeared leaving some traces of its grammatical conjugation e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