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세기 그리스도교 철학자로서의 유스티누스 -초기 그리스도교와 플라톤 철학의 관계에 대한 유스티누스의 이해-

        김형수 ( Kim¸ Hyoungsoo ) 한국가톨릭철학회 2021 가톨릭철학 Vol.- No.37

        초기 그리스도교는 자신의 교의를 이교인들에게 설명하기 위한 적합한 어휘들을 필요로 했으며, 그리스 철학의 개념들은 이러한 필요를 보충해 주었다. 특히 유스티누스는 당시 플라톤 철학이 신적 진리를 반영하는 일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그리스 도교에 포섭될 수 있다고 보았으며, 그리스도교를 해명하는데 있어서 이들 철학자들의 증언들을 기꺼이 끌어들인다. 우선 유스티누스는 모든 인간 안에 신적인 요소인 ‘종자적 로고스’를 통해서 철학과 그리스도교 계시를 연결한다. 신적인 로고스는 한편으로는 철학자들에 의해서 결함이 있는 방식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로고스 자체인 그리스도 안의 계시 역사 안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에 의해서 온전하고 완전하게 인식된다. 더 나아가서 유스티누스에게 플라톤주의는 비가시적인 실재와 초자연적인 세계에 대한 믿음의 가능성을 보여준 가장 종교적 형태의 철학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유스티누스는 많은 부분에서 플라톤 구절들을 인용하지만 특정한 의미에서 해석한다. 유스티누스에게서 플라톤의 철학은 그리스 도교로 향하는 참된 철학으로 여겨졌다. 이렇게 플라톤적 사유는 그리스도교 계시에 의해 수정되고 성취된다는 점에서 유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플라톤주의자이다. 더 나아가서 부분적인 진리를 지니는 그리스 철학과는 달리 그리스도교 철학은 진리 전체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주장한다는 점에서 유스티누스는 그리스도교 철학자이다. 결국 유스티누스에게 있어서 그리스도교는 철학들 가운데 하나의 철학이나 최고의 철학이 아니라, 원래의 태곳적 철학을 재구성한 ‘유일한 철학’이다. Early Christianity needed appropriate vocabulary to explain its doctrine to the pagans, and concepts of Greek philosophy supplemented this need. In particular, Justin saw that Plato’s philosophy at that time contained some elements that reflected divine truth, so that it could be included in Christianity, and he was willing to take the testimonies of these philosophers in clarifying Christianity. First of all, Justin connects philosophy and Christian revelation through “Logos Spermatikos,” a divine element in all human beings. While the divine logos is perceived in a flawed way by philosophers, it is fully and completely recognized by Christians in the history of revelation in Christ, the logos itself. Furthermore, for Justin, Platonism was the most religious form of philosophy that showed the possibility of belief in an invisible reality and a supernatural world. In that sense, Justin quotes Plato verses in many places, but interprets them in a specific sense. Furthermore, Justin is a Christian philosopher in that it argues that, unlike Greek philosophy, which has partial truth, Christian philosophy has the whole truth. After all, for Justin, Christianity is not one of the philosophies or the supreme philosophy, but “the only philosophy” that reconstructs the original epoch-making philosophy.

      • KCI등재

        유스티누스 신학에 나타난 변증적 논제로서의 윤리

        양승환 한국교회사학회 2016 韓國敎會史學會誌 Vol.44 No.-

        순교자 유스티누스가 살았던 시대는 조직적인 박해가 있던 시대는 아니 다. 지엽적이긴 하지만 지속적인 박해가 있었고 그 과정 가운데 초기 변증 가들은 기독교 공동체를 수호함과 동시에 기독교를 박해하는 사람들에게 기독교에 대해 올바로 알려야만 하는 중요한 의무가 있었다. 유스티누스는 현실적으로 로마의 정책을 수용 할 수 없는 기독교의 처지에 대해 누구보 다 잘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는 로마 사회에서 기독교가 이질적인 종교가 아니며 ‘질서’와 ‘평화’를 위협하는 종교가 아님을 증명하고자 했다. ‘높은 윤리성’과 ‘황제를 위한 기도’는 유스티누스가 찾은 해답처럼 보인다. 하지 만 로마의 입장에서 본다면 과연 이러한 주장이 수용 가능했을까 하는 의 문이 든다. 때문에 유스티누스도 로마가 수용 할 것이라는 기대보다는 자 기 방어적 목적을 더 크게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동체의 결속을 공고히 하는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박해로 인해 기독교를 부정하 고 떠나는 배교자들이 생겨나는 것을 막고 확고한 신앙 가운데 기독교인들 이 살아가기를 바라면서 말이다. 유스티누스 때처럼 무력을 통한 박해는 오늘 우리 한국 사회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기독교의 위상이 그때보 다 사회 가운데 나아졌는지는 의문이다. 수많은 기독교인의 증가에도 ‘높 은 도덕성’을 당당히 내세울 만큼 오늘 우리는 사회 가운데 좋은 모습으로 보여 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다른 이들의 시선이나 평가를 위해 기독교 가 존재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도덕성도 지니지 못한 채 하나님 나 라의 실현을 위해 애쓴다는 것은 헛된 노력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Thema dieser Ausführungen ist ein Aspekt der Theologie Justin des Märtyrers, nämlich seine Relevanz für die Sozialethik. In seiner Zeit kommt es zur massiven Verfolgung der Christen. Die christlichen Aologeten versuchen daher das Christentum zu verteidigen, indem sie zeigen, dass die Christen keine Feinde des Staates sind, um die Gläubigen so zu schützen. Zuerst bemühen sie sich um eine verständliche Erklärung der Lehre für Außenstehende, wobei deren Vernunftgemäßheit betont wird, wodurch es zur Verknüpfung von Christentum und philosophischer Tradition kommt. Justin weiß um die Bedrohung der Christen, weil ihr Glauben für das Religionsverständnis und die Religionspolitik Roms inakzeptabel ist. Deshalb versucht er zu zeigen, dass das Christentum gerade keine Gefärdung der Ordnung der römischen Gesellschaft ist. Für ihn ist das moralisch bestimmte Leben der Christen und ihr Gebet für den Kaiser Beweis dafür, dass dieser Konflikt eigentlich grundlos ist. Seine Lösung für das Problem zwischen Rom und den Christen scheint zwar einleuchtend zu sein, aber er bleibt skeptisch, ob der Kaiser seine Argumente wahrnehmen wird, weil die Christen sich dem öffentlichen Leben Roms verweigert haben. Aus diesem Grund verfolgt seine Apologie als zweites Ziel denTrost der Christen und die Kräftigung ihres Glaubens. Ferner zielt er auf die Bewahrung der Gemeinde, weil einige Christen wegen der Verfolgung ihren Glaube aufgegeben haben. In unserer Gesellschaft gibt es zwar keine politische Verfolgung des Christentums, aber es ist fragwürdig, ob die heutigen Christen moralisch besser als die damaligen Christen sind. Obwohl die koreanische Kirche groß geworden ist, sollten wir bedenken, worin das Problem der heutigen Gemeinden besteht.

      • KCI등재후보

        2세기 그리스도교의 토라 이해

        서원모(Wonmo Suh)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1 Canon&Culture Vol.5 No.1

        이 연구는 2세기 그리스도교의 각 종파의 토라 이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마르키온과 영지주의와 유대 그리스도교 등 공교회 주변에 있는 집단의 토라 이해를 살펴보고, 그 다음에는 사도교부와 『베드로의 설교』, 유스티누스, 이레네우스로 이어지는 공교회의 저자들의 토라 이해를 고찰했다. 이 연구를 통해 2세기의 그리스도교에서는 옛 언약과 새 언약, 토라와 그리스도의 관계를 다루고 구약성경을 해석하는 문제가 핵심 쟁점이 되었으며 매우 다양한 견해가 존재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마르키온과 영지주의자인 프톨레마이오스, 유대 그리스도교 문헌인 『베드로의 설교 요약』은 모두 다른 방식으로 토라를 이해하고 옛 언약과 새 언약의 관계를 규명했다. 공교회의 저자들 안에서도 다양한 입장이 존재했다. 『클레멘스의 편지』는 옛 언약과 새 언약을 거의 연속성 안에서 파악했다면, 『바나바의 편지』는 비연속성을 강조했고 『베드로의 설교』는 중도적인 입장을 취했으며, 유스티누스와 이레네우스의 구속사적 경륜 사상에 영향을 주었다. 유스티누스와 이레네우스는 도덕법과 제의법을 구분하고 구속사적 틀에 따라 옛 언약과 새 언약의 관계를 규정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적이지만 유스티누스가 양자의 차별성을 강조했다면, 이레네우스는 연속성을 강조했다. 이 연구는 십계명을 중심으로 하는 도덕법에 대한 논의가 영지주의와 공교회 모두에게 공통적이며, 제의법에 대한 논의에서는 시내 산 언약, 금송아지 사건, 장로들의 전통에 대한 해석이 중요하다는 것을 밝히고 이에 대한 심화된 연구를 제안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lucidate the understanding of the Torah in the second century Christianity. It first examines thoughts of groups in the margin of the catholic church: Macion, gnosticism and Jewish Christianity. Ptolemaeus’s Letter to Flora and Ps-Clementine Homilies are the main source for Gnostic and Jewish Christian ideas of the Torah. Then it goes on to the writers and writings of the catholic church such as Epistle of Barnabas, Preaching of Peter, Justin Martyr, and Irenaeus. It is the aim of this paper to show diversity and variety in relating the Torah and the gospel among Christian groups in the second century. Marcion and Valentinian gnostics distinguished the author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Father of Jesus Christ, while at least one Jewish Christian group denied the authorship of Moses for the Torah and saw a mixture of true and false teachings in Torah. Writers in the catholic church were not the same in their descrip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covenant. In Clement’s Letter to Corinthians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came into the front. In contrast, Epistle of Barnabas emphasized discontinuity and asserted the abolition of the covenant between the Israelites and God after their making of the golden calf. Preaching of Peter took the middle path, proposing the new covenant and worship and acknowledging the relative value of the old covenant. Justin and Irenaeus further developed the thoughts of Preaching of Peter into schemes of the salvation history. Justin and Irenaeus were also the same in distinguishing moral laws and ceremonial laws, but Justin put more emphasis on the discontinuity, while Irenaeus stressed the continuity between the old and the new dispensation. This study also proposes more deepened examination of the process of transmission of moral laws as well as interpretation of the Sinai Covenant, the gold calf, and tradition of elders in Jewish and Christian literatures up to the second century.

      • KCI등재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트리포와의 대화’(Dialogue with Trypho)에 나타난 율법해석과 종교적 갈등

        최현준 한국중동학회 2014 韓國 中東 學會 論叢 Vol.35 No.2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Judaism and Christianity as it is reflected in Justin Martyr’s ‘Dialogue with Trypho’ where both groups are represented as religious rivals in Gentile mission and conversion.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ring to light what information Justin’s ‘Dialogue with Trypho’ contains regarding the term ‘God-fearer’, which reflects proselytism as a contemporary socio-religious phenomenon. Although the term ‘God-fearer’ is indispute among scholars, it is still possible to examine the identity of this group among Christians and Jews through exploring Justin’s ‘Dialogue with Trypho’. Here, it must be mentioned that I have a hypothetical proposition regarding the ‘Dialogue with Trypho’, Justin actually endeavors to convince the ‘God-fearers’, who are standing between religions, to convert to Christianity by clarifying Christian theology and dogma which are argued by Justin in the arguments with Trypho as a representative character of Judaism. However, this approach in itself has the effect of limiting my attention to Justin’s ‘Dialogue with Trypho’, because Justin gives virtually no place in his two Apologies to the argument against Judaism. In this paper, I intend to proceed towards my goal by examining following issues: a. Justin’s polemical anti-Jewish theology concerning circumcision and baptism. b. Jewish proselytism, vis-a-vis the Christian mission towards Gentiles. c. The definition of the ‘God-fearers’. d. The readership of Justin’s ‘Dialogue with Trypho’.

      • KCI등재

        ‘철학자의 외투’를 입은 그리스도교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철학 관념-

        송유레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0

        Can there be a Christian philosophy? The answer to this question depends on what we mean by ‘Christianity’ and ‘philosophy’ respectively. So far as faith and reason are opposed and philosophy is understood as a rational enterprise, there seems to be no room for Christianity to be involved in philosophy. However, debates over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hilosophy have continued within the scholastic dichotomy of faith and reason, theology and philosophy. I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hilosophy from an alternative perspective, outside the scholastic framework of the debate. For this purpose, I draw attention to Justin Martyr, who presented Christianity as a philosoph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First of all, I briefly introduce the apologetic background to Christianity in the 2nd century in the Roman Empire and situate Justin’s position. Unlike the position that presented Christianity and philosophy as mutually exclusive options and demanded one to choose either one or the other, Justin chose Christianity as philosophy. To understand his choice, I investigate the narrative of conversion provided in his Dialogue with Trypho the Jew. It is shown that conversion to Christianity for Justin was not a complete break with philosophy, but a conversion from one philosophy to another, which is a ‘philosophical conversion’. It is argued that Greek philosophy, being a pursuit of wisdom for happiness, was the driving force that led him to Christianity. Next, I turn to Justin’s apologetic strategy in Apologies I-II, a central aspect of which is the appeal to reason. In this connection, Christianity is defined as ‘a way of living according to reason’, following the conception of philosophy in antiquity. Here, Christianity is understood as ‘philosophy as a way of life’, as Pierre Hadot pointed out. In fact, Justin presented Christianity as a philosophy according to divine reason. However, he did not think that human reason and divine reason were disconnected. For all humans share God’s universal reason, which is reason itself. Furthermore, he claimed that Christ is the incarnated divine reason. In short, Justin’s Christian philosophy is a way of living according to the truth revealed by reason itself, incarnated in Christ. In philosophy thus understood, revelation and argument, faith and reason are not incompatible, but interrelated. In this way, Justin left an example of Christian philosophy, which is worth referring to.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