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집단거주지역 정책에 대한 제언 ― 신오쿠보와 영등포구 외국인 집단거주지역에 관한 인식조사를 바탕으로 ―

        박성호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20 일본학연구 Vol.61 No.-

        이주민의 급격히 증가로 한국에서도 외국인 집단거주지역들이 형성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지역이 영등포구이다. 그러나 영등포구의 외국인 집단거주지역에 대한 정부 정책의 대부분은 성공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새로운 정책대안을 내놓지 못하는 상황이다. 본 연구자는 에스닉타운의 새로운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도쿄 신오쿠보의 코리아타운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다. 응답자들은 신오쿠보가 경제 기반을 갖추고 있는 한국물품을 살 수 있는 곳이고 나아가 신오쿠보의 한인들은 지역 활성화에 이바지하고, 일본 다문화 사회의 발전에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슬럼이라는 인식이 강했던 신오쿠보는 신주쿠 구청과 지역주민의 노력으로 경제적 토대, 문화적 독특성, 주류사회와 조화를 이루고 있는 지역으로 변화했다. 한편, 영등포 외국인 집단거주지역 거주자와 방문자의 인식을 조사해보니, 이 지역은 경제적, 문화적으로 소외되고 게다가, 내국인과의 교류도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고 있었다. 신오쿠보코리아타운에서 시행한 설문결과는 향후 한국의 외국인 집단 거주지역 정책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migrants, there are many Foreigner Group Residence Area in Korea, and Yeongdeungpo-gu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areas. But, most of the government policies on Foreigner Group Residence Area in Yeongdeungpo-gu have failed, and the government sit on their hands. The Koreans Group Residence Area in Shin-okubo, Tokyo h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multicultural streets in Japan, and the researchers surveyed visitors to this area. Respondents answered that Shin-okubo has an economic basis, and residents could characterize Korean products, and Shin-okubo is a place where symbolic significance of the Multicultural Coexistence Policy exists. But, As a result of surveying residents and visitors’ perceptions of the Yeongdeungpo Foreigner Group Residence Area, this region is economically and culturally marginalized, and besides, it has not been smoothly exchanged with Koreans. The efforts of the Shinjuku Ward Office and residents have transformed the Koreans Group Residence Area in Shin-okubo, which were originally slums, into an area with economic foundation, cultural uniqueness, and harmony with multicultural society. It is worthy of reference to the policy on Foreigner Group Residence Area of Korea such as Yeongdeungpo-gu.

      • KCI등재

        중국인 집단거주지에 대한 중국인의 장소인식 및 이용특성 실증분석

        전병규(Jeon, Byung-Kyu),최창규(Choi, Chang Gyu) 한국도시설계학회 2012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3 No.1

        본 연구는 이주 외국인의 대다수를 차지하는 중국인의 집단거지주에 대한 장소인식 및 이용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것이다. 최대 중국인 집단 거주지로 추정되며, 다문화특구지역으로 지정된 안산시 원곡동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 대한 이미지와 시설의 이용특성에서 한국계 중국인 및 그 외 중국인은 하나의 중국인 그룹으로 판단되었다. 모든 분석에서 이들 집단은 유의한 동질성을 보였다. 한국계 중국인이 한국인과 유사한 것이라는 믿음에 반하는 결과이다. 둘째, 중국인들은 대상지에 대하여 지배적인 점유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역에 대한 강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시설들을 이용하고 있었다. 한국인은 이와는 정반대 행태를 보였다. 셋째, 중국인이 이 지역을 인식하는 요인들을 확인하고 이들과 관련성이 높은 시설을 추출할 수 있었다. 소통ㆍ활동적 요인과 언어적 요인이 중국인들이 대상지를 인식하는 이미지 및 시설이용 빈도와 상관성이 높았다. 본 연구는 외국인 집단 거주지에 대한 분석적 시도를 통하여 중국인들이 이들 지역에 대하여 어떻게 인지하고 이용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상 지역과 유사한 사례들에 대한 계획과 설계 시 외국인들을 융합하는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The number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started to form ethnic enclav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find out the place perceptions and space using patterns of the Chinese immigrants in their ethnic enclaves, including the Korean Chinese and other Chinese ethnic groups. By surveying the two groups in the case area, Wongok-dong, Ansan, known as a dominant ethnic enclave in Korea, this study could draw the thre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Korean Chinese and other Chinese ethnic groups in comparison with the Koreans show similar space using patterns and place perceptions in the area. The two groups are distinguished from the Koreans in all variables of this research. Second, the Chinese immigrants use the most of the spatial resources in the enclave and dominate the area. They heal homesickness by visiting the area with positive images. Third, the physical facilities as well as communication and activity variables influence the place image of the Chinese immigrants in the community. The two later variables have strong relationship with the area image and facilities’ uses. The place perceptions and space using patterns of the immigrants in an ethnic enclave should be considered as a basis for better accommodating a desirabl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후보

        국내 외국인 소수집단 거주지의 갈등과 연대 : 이태원 무슬림 거주지를 중심으로

        이노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1 한국문화연구 Vol.21 No.-

        본 연구는 명목적으로는 우리 내부에 포함되어 다문화의 장소로 인식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이방인으로 차별받는 무슬림 거주지에 대한 갈등양상과 문화적 공존의 연대성을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태원 무슬림 거주지는 인종, 민족의 ‘다원성’과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일원성’이 중첩되어 자생적으로 형성된 도시 공간의 분절화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무슬림 거주지 내부의 주민과 무슬림들이 함께 어울려 사는 공간은 결코 동질적이지 않으며 장소성 또한 각기 다른 의미로 해석되어진다. 즉 이태원 주민들에게 무슬림은 종교 갈등을 넘어 생계를 위협하는 존재로, 경제 갈등을 야기하는 이방인이자 점령자인 타자로 인식되는 반면 무슬림들은 적대적 태도를 보이는 주민을 낯설고 잠재적인 두려움의 대상으로 받아들인다. 모든 생명체가 고도의 조직으로 진화하기 위해서는 항상 혼돈의 가장자리에 위치해야 하듯 갈등과 소외의 공간은 새로운 문화적 연대의 출현을 창발하기 위한 필연적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무슬림 거주지의 주민과 무슬림들은 서로에 대한 편향과 갈등의 경계를 넘어 ‘리좀’식 연대공간의 ‘상호문화주의’의 도약을 실천하여야 한다. 탈중심적이며 개방적 체계를 지닌 리좀식 공간이야말로 ‘상생’의 공간이며 ‘평등’의 연대적 공간인 까닭이다. 이에 본 논의는 이질적인 인종과 민족 구성원에도 불구하고 ‘이슬람’이라는 종교적 결속으로 묶인 이태원 무슬림 거주지의 갈등과 소통에 주목하여 무슬림 거주지의 집단적 연대성에 초점을 두고 무슬림과 한국인의 종교·문화적 갈등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onflicts and solidarity of cultural pluralism in Muslim settlement where is nominally considered as a place of multi-culture but still is exposed to discrimination against foreigners. The Muslim settlement in Itaewon is a segmentation of urban space formed by reiteration of the ‘pluralism’ of race and the ‘commonness’ of Islam. However, the space is never homogeneous to the citizens and Muslims living in the Muslim settlement, and the place of residence is perceived in different meanings. That is, the citizens living in Itaewon recognizes the Muslims as the beings who threaten their lives further than religious conflict and the foreigners who causes economic conflicts as well. However, for those Muslims in the settlement, the citizens hostile to them are a subject of strange and potential fear. For every being living organisms to evolve into an advanced organization, they have to be in the edge of chaos, and likewise, the place of conflict and alienation is an inevitable process to initiate a new cultural solidarity. Therefore, breaking away from the boundary of prejudice and conflict, we need to fulfill the interculturalism for the ‘solidarity space’ of ‘rhizome’. It is because of that the rhizomic space with decentralized and open structure is the real space of ‘coexistence’ and ‘equality’. Thus, this study has a meaning in that it could form the foundation to minimize cultural conflict through a finding of solidarity space in Muslim settlement.

      • KCI등재

        외국인 집단 거주 지역에 대한 내국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대림2동과 자양4동 중국인 집단 거주지역을 중심으로

        남재형(Nam Jae Hyeong),김흥순(Kim Heung Soon) 한국지역개발학회 2018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eoulites who use and live in the foreign group residence area recognize and feel the space which is changing remarkably.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Personal experiences of Chinese immigrant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erception of local living conditions, and the perception of Chinese and Chinese community gives a positive effect in the living environment awareness. The local vitality factor of Chinese migrant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Chinese. The satisfaction of Chinese group residence area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local liv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l living environment to improve the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living in Chinese residential areas and to solve the social problems such as increased crime, ethnic conflicts and xenophobia including cultural heterogeneity and isolation result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and prejudices.

      • KCI등재

        외국인 거주지 분석을 통한 서울시 국제적 부문의 형성

        최재헌 ( Jae Heon Choi ),강민조 ( Min Jo Kang ) 한국도시지리학회 2003 한국도시지리학회지 Vol.6 No.1

        Recently the world has changed, rapidly and fundamentally, under the globalization processes and intemationalization, into more globalized world with vigorous human resources exchanges. Thus, lots of foreigners including tourists, legal or iliegal workers, business men, and others have come to Korea for the purpose of doing economic, political, and diplomatic activities. The foreigners staying over 90 days with VISA are classified as foreign residents in Korea.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have increased in the 1990s due to the globalized growth of Korean economy to the outside world. Nationally, most foreign residents show the highly concentration pattern in the Capital region of Seoul and Gyonggi Province. The foreign residents are differentiated in their residences according to nationality, occupation, and educational levels. The residential segregation and congregation by nationalities are observed in Seoul, with the strong implication of the formation of international sector in the city. The nationalities are one of dominant factors to differentiate residential segregation with dominant spatial patterns of loc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