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라인 트래킹에서 소비자 보호 관련 EU, 미국, 한국의 법제도 비교 고찰

        김지혜,박서니,나종연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8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온라인 트래킹과 관련하여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소비자 관점에서 EU, 미국, 한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 법제도 논의를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EU는 입법을 통해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어 주요 법률인 ‘개인정보보호 일반규정(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 GDPR)’과 ‘ePrivacy Regulation(안)’을 살펴보았다. 미국의 경우 포괄적인개인정보보호법을 제정하지 않고 소비자 프라이버시와 관련된 업무를 FTC가 담당하고 있어 FTC가 발표한 다양한 보고서들을 중심으로 법제도를 살펴보았다. 한국은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인정보보호법’ 에 근거하여 온라인 트래킹과 관련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어 위의 두 가지 법제도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EU와 미국의 경우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반영한 실질적인 동의와 소비자 친화적인 통제방안을마련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고, 제품과 서비스의 개발부터 전 단계에 걸쳐 소비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도록 기업의 의무를 강화시키고 있다. 반면 한국은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실질적인 통제방안이부족하고 정부 주도의 형식적인 자율규제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비교 고찰을 통해 본 연구에서 도출한 법제도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트래킹과 관련하여 개인정보 범위 한정에 대한 접근보다 소비자 보호를 위한 복합적인 접근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빠르게 진화하는 온라인 트래킹 환경에서 소비자의 선호를 반영할 수 있는 실질적인 동의 방안과 소비자가 쉽고 편리하게 통제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셋째, 기업주도의 자율규제에 대한 유인을 제공하고, 자율규제를 강화할 수있는 행동강령 마련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트래킹으로 인한 피해가 발생한 경우 이를 엄격히 제재하고적절한 조치를 행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관리․감독 방안에 대한 논의가 요구되며, 실질적으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o protect consumers in relation to online tracking. In this paper, we review and discuss the recent legislative debates in the EU(‘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 GDPR’ and ‘ePrivacy Regulation(proposal)’), the United States(a variety of reports published by the FTC, which is responsible for consumer privacy protection) and South Korea(‘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Act of Promo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Network Utilization and Information Protection, Etc’) from a consumer perspective. The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have begun to actively discuss guidelines and legislation from the consumer’s point of view on how to protect consumers from online tracking. They have attempted to give consumer-friendly control over their own privacy, which reflects their preferences so that can agree to and control their own privacy. In addition, it is strengthening the company's duty to design by privacy with emphasis on protecting consumers' personal information. In Korea, on the other hand, the problem is that consumers’ consent and controls are not effective and government guidelines are being developed.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irst, it is necessary to call for a complex approach to consumer protection, rather than approach to limiting the scope of personal information related to online tracking. Second, it is essential to consider how to strengthen consumer’s control mechanisms and practical agreement measures that reflects the consumers’ preferences. Third, new methods are needed to strengthen self– regulation and the government and consumers should provide incentives to strengthen self-regulation. Finally,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establishment of a effective safety net for consumer protection and supervision system that can strictly prohibit misuse of online tracking and take appropriate measures when there is damage such as consumer privacy violations from online tracking.

      • KCI등재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정책적 시사점

        이진명 ( Lee Jin Myong ),나종연 ( Rha Jong Youn ),김지혜 ( Kim Jihye ),박서니 ( Park Sunny ),이보한 ( Lee Bohan ),조은선 ( Cho Eunsun ) 한국소비자학회 2018 소비자학연구 Vol.2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 행태, 의견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할 수 있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일반 소비자 20명을 대상으로 표적집단면접을 실시하여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반응을 정성적으로 탐색하고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총 645명의 응답 자료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양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들은 다양한 맞춤형 광고나 서비스를 통해 온라인 트래킹을 경험하고 있었으나 온라인 트래킹의 목적, 방법 등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는 피상적으로만 이해하고 있었다. 둘째, 소비자들은 정보유용성, 편의성, 유희성을 온라인 트래킹의 효용으로 인식하였으며, 프라이버시 위험, 통제권 제한, 불완전 기능을 비용으로 인식하였다. 대체적으로 효용보다 비용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수용의도는 낮은 편이었으며, 트래킹 차단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쿠키를 삭제하는 등 적극적인 방법으로 온라인 트래킹을 차단하려는 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들은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해야 할 책임이 사업자에게 가장 크다고 여겼으며, 정부, 소비자 개인, 소비자단체 및 학계, 언론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안전한 온라인 트래킹 환경 조성을 위하여 노력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다섯째, 소비자들은 보다 강력한 온라인 트래킹 규제정책을 요구하고 있으나 동시에 이를 신경 쓰고 싶어 하지 않는 양가적 반응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보주체인 소비자들의 무력감을 극복하고 선택권과 통제권을 강화할 수 있는 실효적 방안 모색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또한 온라인 트래킹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법과 정책이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는 동시에 산업의 혁신을 저해하지 않는 적절한 조화점에 대한 고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온라인 트래킹 환경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및 논의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정책적 의의를 갖는다. Online tracking, which refers to practices that collect, store, and utilize behavioral information about consumers online, is essential to develop personalized and customized services. Rapid advances in tracking technology may provide considerable convenience and benefits to the consumer. However, consumers’ privacy concerns and actual security risks may have increased since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know how information about individuals is traded, aggregated, and utilized. Therefore, protecting consumer privacy is a subject that should be studied and discussed more deeply in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erceptions and response to online tracking of Koreans, to draw up policy implications to protect consumers from online tracking, and to provide a basis for a cooperative dialogue between the government, corporations, and consumers so consumer privacy can be adequately protected. For this purpos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participants on June 2-3, 2017. Online surveys were also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and objectivity of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645 completed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June 30 to July 4, 2017. The major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were not clearly aware of what information about themselves is being tracked and used by whom, where, and for what purpose. To develop and expand online tracking, consumer information must be utilized. Therefore, it is required to improve the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consumers about the concept, mechanism, and influence of online tracking. Second, consumers are emotionally and behaviorally negative about online tracking and intend to actively block online tracking by using ad-block software or by deleting cookies. This result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perceived risk and anxiety of consumers about online tracking through efforts such as protecting consumer privacy and ensuring the right to control their personal information. Third, consumers regarded the right of choice and control as the basic principle of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tracking and as very important. However, they recognized that these rights were not really guaranteed and would be formal, even if guarante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nd an effective way to overcome consumers’ powerlessness about privacy protection and to strengthen their rights to control what and how information is used.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rivacy paradox, it is necessary to discuss how to reflect consumers' preferences without demanding too much effort from them. Fourth, when setting up online tracking, consumers prefer to configure privacy preferences in the browser rather than going to individual sites, to opt-in rather than opt-out, legal and policy regulation rather than self-regulation, and pre-regulation rather than post-regulation. The policy for consumer protection from online tracking should not be too loose to infringe the interests of consumers, but it should not hinder the innovation of the industry by becoming a new entry barri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proper harmony between consumer protection and industrial innovation in preparing online tracking policy.

      • KCI등재

        온라인 트래킹 전략 인식에 따른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이진명,나종연 한국소비자학회 2023 소비자학연구 Vol.34 No.1

        소비자의 온라인 행태정보를 수집 및 활용하는 트래킹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다. 온라인 트래킹은 지능화되고 개인화된 정보 및 서비스 제공에 유용하나 소비자의 다양한 개인정보를 다룬다는 점에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내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온라인 트래킹의 전략을 인식하는 것이 인지적 평가를 매개로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설득지식모델과 보호동기이론에 기반하여 온라인 트래킹 전략 인식과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차단 의도, 규제 지지) 간 관계에서 인지적 평가요인(개인화 혜택, 프라이버시 위험, 자기효능감)의 다중매개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모형과 가설을 개발하였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일반 온라인 이용자645명의 응답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 AMO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구조모형분석, 다중매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트래킹 전략 인식은 개인화 혜택과 자기효능감을 유의하게 높이며, 프라이버시 위험은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화 혜택은 트래킹 차단 의도와 규제 지지를 모두 낮추는 반면, 프라이버시 위험은 두 가지 보호행동을 모두 높이며, 자기효능감은 트래킹 차단 의도는 높이고 규제 지지는 낮추는상반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트래킹 전략 인식과 소비자의 프라이버시 보호행동 간 관계가개인화 혜택과 프라이버시 위험에 의해 유의하게 부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나, 궁극적으로 온라인 트래킹 전략에 대한 이해도가 높을수록 트래킹을 차단하거나 규제를 지지하는 등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소비자 행동은 감소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실무적으로 온라인 트래킹이 소비자의 충분한 이해와 지식을 토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소비자와 기업 모두에게 이득이라는 점을 시사하며, 학문적으로 소비자 프라이버시 보호행동의 메커니즘과 의사결정을 이해하는 데 기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소비자 유형에 따른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인식 차이 분석: 주인-대리인 이론을 중심으로

        조은선 ( Cho Eunsun ),나종연 ( Rha Jong-you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6

        본 연구는 온라인 트래킹 기술 환경에서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고자, 정보주체로서 소비자와 정보운영주체로서 사업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성별로 할당하여 수집된 600명을 대상으로 주인-대리인 이론을 적용하여 정보주체의 자기효능감과 운영주체에 대한 신뢰를 기준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였고, 소비자 유형별로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고자 교차분석과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대리인 이론을 기반으로 소비자를 유형화하여 살펴본 결과, 소비자들이 4개 유형의 집단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분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스스로 정보역량을 갖춘 소비자와 그렇지 않은 소비자, 대리인을 신뢰할 수 있는 소비자와 그렇지 않은 소비자 등 온라인 트래킹 환경에는 자기효능감과 신뢰수준이 다양한 소비자들이 공존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차이에서 소비자 유형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특히 여성의 경우, 자기효능감이 낮고, 저소득층은 온라인 사업자에 대한 신뢰가 낮은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비자 정보화 역량 강화의 방안을 고민하는 데 있어서 주안점을 두어야 할 소비자 특성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셋째, 통제적 신뢰형 집단은 온라인 트래킹에 대해서 다른 집단에 비해서 비교적 가장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운영기관에 대한 신뢰와 더불어 정보주체의 자기효능감이 수반될 때 온라인 트래킹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이 가장 긍정적으로 나타나며, 위험지각과 차단의도, 규제 선호도는 가장 낮게 나타났다. 소비자의 행태정보를 활용한 맞춤형 광고 기법이 보편화되고 있는 오늘날, 정보사회로 발전을 위해서는 소비자의 긍정적 인식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현실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역량있는 주인, 신뢰할 수 있는 대리인을 어떻게 만들 수 있을지에 대해 보다 본질적인 문제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넷째, 온라인 트래킹 규제방식에 있어서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브라우저 설정방식을 통해 한 번에 설정하고, 사전에 소비자에게 트래킹 동의여부를 확인하기를 원하며, 사전에 예방하는 방식으로 법과 정책적 규제가 이루어지는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웹사이트 운영기관의 입장에서는 소비자에게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온라인 트래킹 기술을 활용하여 소비자 정보를 더 많이 수집할 수 있는 환경을 선호한다. 본 연구결과에서는 통제적 신뢰형 집단이 산업의 자율규제와 동일한 방향의 선호를 보이는 바, 빠르게 발전하는 정보화 사회에서 정보화 사회의 발전을 위해서는 대리인으로서 사업자에 대한 신뢰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way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tracking environment. Based on principal-agent theory, this study conducted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self-efficacy and the trust in agency. With a total of 600 responses, chi-square 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were conducted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online tracking by user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ategorized the users based on the principal-agent theory and found that the users were distributed evenly across the four types of groups. This means that users with different level of self-efficacy and trust coexist in the online tracking environment such as users who have information capability or who do not, and users who can trust in agency or who cannot. Second, demographic variabl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user type. Especially, it showed a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users with low self-efficacy for women, and the high percentage of users with low level of trust for low-income group. These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user characteristics that should be emphasized in considering how to approach to strengthen user information capability. Third, the research found that the group who has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trust has the most positive attitude toward online tracking compared to other groups. In order to develop the information societ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more fundamental issues of how to build a competent owner, a trustworthy agent. Fourth, most of the users preferred the way of regulation: set up at once through the browser setting method, confirm the user's consent to the tracking in advance. From the standpoint of the agency, on the other hand, the firms preferred to collecting more user information to provide personalized servic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who has high level of self-efficacy and trust showed the same preference as the perspective of industry.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the information society, it is important not only to trust in agency as but also to improve the information control capability of users.

      • KCI등재

        국내 신용카드사와 유통회사 웹 사이트 온라인 트래킹 비교 분석 연구

        추동균,유진호 사단법인 한국신용카드학회 2019 신용카드리뷰 Vol.13 No.4

        In the last few decades, the online business is continuously expanding due to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the spread of smart phones. Also, to secure consumers, the company is conduct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considering customers' preferences and tastes as an online marketing plan. Online personalized advertisement is made through tracking using cookie data of web browser, and user information can be specified through this.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online tracking, the number of tracker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online tracking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the online tracking level of credit card companies in Korea. Finally, the online tracking of domestic credit card companies, online retailers (shopping malls) and trackers were analyzed to draw related implications. Domestic credit card companies are using trackers to analyze the behavior of users (customers) on their websites, and distributors are trying to retarget customers by considering not only their actions in their websites but also their SNS-based activities.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t can be suggested that tracking can be a strategic consideration factor for strengthening online marketing of credit card companies in the future,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지난 수십 년간 인터넷의 비약적 발전과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해 온라인 비즈니스가 지속적으로확대되고 있다. 또한 소비자 확보를 위해 온라인 마케팅 방안으로 고객의 선호와 취향을 고려한맞춤형 광고를 진행하고 있다. 온라인 맞춤형광고는 웹 브라우져의 쿠키(Cookie) 데이터를 활용한트래킹(Tracking)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를 통해 사용자정보를 특정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신용카드사의 온라인 트래킹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온라인 트래킹의 개념, 트래커의 수, 특징 등을 조사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신용카드사 온라인 트래킹과 온라인 유통사(쇼핑몰)와 트래커를 비교 분석하여 관련 시사점과 의의를 도출 하였다. 국내 신용카드사는 자사의 웹 사이트에서 사용자(고객)들의 행동을 분석하는 트래커를 활용하고 있었으며 유통사들은 자사 웹 사이트 내행동뿐만 아니라 사용자(고객) SNS 기반 활동까지 고려하여 고객을 리타겟팅 하려는 노력을 하고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비교 분석을 통해 향후 신용카드사의 온라인 마케팅 강화를 위해트래킹이 전략적 고려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점으로 가질 수 있으며, 관련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국내 온라인쇼핑몰의 트래킹 연결망 분석을 통한 이용자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고은옥,유진호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8 보안공학연구논문지 Vol.15 No.5

        Online shopping malls are growing more and more every day due to diversification of items and expansion into overseas markets. As consumers purchase various products online, behavioral advertisements that reflect consumers' preferences and preferences are also spreading.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 is conducted through tracking using the user's cookie information, but consumers who provide personal information are not well aware of this and have limitations that their personal information is exposed in discriminately. In this study, 12 online shopping malls in Korea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racking and site users' 'site reliability' and using these measures, measures were proposed to cope with privacy infringement. The number and type of tracker surveys used the Google app 'Ghostery'. Actual the higher the number of trackers, the less 'reliability' of site users, and site use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perception of tracking. 온라인 쇼핑몰은 품목의 다양화와 해외시장 진출로 성장이 나날이 심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다양한 상품을 온라인을 통해 구매함에 따라 소비자의 취향과 선호를 반영한 고객 맞춤형 광고도 확산되고 있다. 온라인 맞춤형 광고는 이용자의 쿠키정보를 활용한 트래킹(Tracking)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개인정보를 제공하는 소비자는 이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개인정보가 무분별하게 노출된다는 한계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2개의 온라인 쇼핑몰을 대상으로 트래킹과 사이트 이용자의 ‘사이트 신뢰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이용하여 개인정보 침해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트래커의 수 및 종류 조사는 Google app ‘Ghostery’를 사용하였다. 실제 트래커의 수가 많을수록 사이트 이용자의 ‘신뢰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트래킹에 대하여 사이트 이용자들은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온라인 쇼핑몰 디자인 요소의 기능성 증대에 관한 연구 ╶ 마우스트래킹을 활용한 기능성 분석을 중심으로╶

        홍태경(Tae Kyung Hong),김선철(Sun Chul Kim)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2019 예술· 디자인학연구 Vol.22 No.2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전자 상거래 환경인 온라인 쇼핑몰은 소비방식이 온라인쇼핑으로 변화하는 추세로, 등장이후 계속해서 규모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의류 쇼핑몰은포화 상태로, 신생 온라인 쇼핑몰들은 기존의 대형 사이트에 밀려 쉽게 사라지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각 온라인 쇼핑몰들은 차별화되는 전략을 가져야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온라인 환경에서 쇼핑몰의 웹디자인은소비자에게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잘 디자인된 웹사이트는 소비자들에게서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낸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와 웹사이트의디자인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각 디자인 요소의 기능성을 증대시키는 것에 있다. 이에 마우스트래킹조사 기법을 중심으로 사용자와 웹사이트 간의 상호작용흐름을 조사, 웹사이트 디자인 요소의 기능성을 분석하여기능성을 향상시키는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The number of online shopping malls, an e-commerce environment based on the Internet, has been growing steadily since its inception. Especially, the clothing shopping mall is saturated, and new online shopping malls are easily lost to the existing large sites. In this situation, each online shopping mall should have a different strategy. Previous research shows that web design of shopping mall influences consumers in online environment. A well-designed website leads to a positive response from consumer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design elements of consumers and web sites and to increase the functionality of each design element. We investigate interaction flow between user and website focusing on mouse tracking survey technique, and analyze the function of website design element to derive research result.

      • KCI등재

        국내 웹사이트의 이용자 정보수집 및 트래킹 현황에 관한 분석

        고학수(Haksoo Ko),구본효(Bonhyo Koo),김종윤(Jong Yoon Kim) 한국법경제학회 2017 법경제학연구 Vol.14 No.3

        근래의 인터넷 광고는 인터넷 이용자를 트래킹(tracking)하여 다양한 형태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다양한 맞춤형 서비스나 맞춤형 광고를 제공하는 데 활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국내 온라인 광고시장의 토대가 되는 인터넷 트래킹 현황에 관하여 쿠키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인터넷 사용자가 가장 많이 방문하는 91개 사이트를 조사 대상으로 삼아 이들 사이트에서 수집되는 쿠키의 현황에 관해 분석한 결과,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매우 광범위한 트래킹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사자 쿠키는 물론 제3자 쿠키가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었다. 실제 트래킹의 현황은 개벌 사이트나 개벌 기업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 중 일부에서는 복수의 기기를 이용하는 이용자를 추적하기 위한 기기 간 트래킹(cross device tracking)을 하기에 충분할 만한 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최근 몇 년간 국내 인터넷 환경에서 트래킹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모바일 환경에서는 트래킹이 수년 사이에 10배 이상의 수준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Internet users` online activities are closely monitored and tracked by various Internet companies. These companies compile and analyze users` information, and use the result of analytics, among others, for purposes of delivering targeted online advertisements. This article reflects an attempt to find out what kind of tracking activities are taking place in reality. The results of the analys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racking of Internet users is already common and has become even more common; second, related markets are in flux and, in particular, tracking in the mobile environments has grown tremendously during the past several years; third, there is circumstantial evidence that cross device tracking is taking place; and, fourth, while a few established global companies seem to be particularly active in the related marketplace, it appears that competition among domestic companies is fierce and that things are in flux.

      • KCI등재

        온라인 쇼핑정보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시각 주의도 탐색 연구: 휴먼 브랜드 이미지를 중심으로

        황윤민,이건창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2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shown on online shopping sites represent online retailer's intention to draw potential consumers' visual attention. However, unfortunately, previous studies in literature show that most of the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are naively designed just to appeal to consumers' visual attention without systematic and logical analysis of consumers' possible different visual reactions depending on gender. To fill in the research void like this, this study proposes eye-tracking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research issue of how gender affects consumers' visual attention towards human brand image contents on the online shopping sites. For the sake of conducting related eye-tracking experiments, we adopted two types of products – notebook computer as a utilitarian product, and perfume as a hedonic product. Results revealed that female consumers show higher visual attention to human brand image contents than male consumers. Beside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ists on the human brand image contents more highly when they are attached with a hedonic product like perfume, than a utilitarian product like notebook computer. From the eye-tracking-based experiment results like this, this study suggested theoretical backgrounds about gender differences towards online shopping information contents and related human brand image contents as well. 전 세계적으로 급속히 성장한 온라인 경쟁 환경에서 기업들은 효과적인 소비자 시선 집중을 위해 쇼핑 정보 콘텐츠에 대한 소비자 시각반응 이해가 필요하다. 소비자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쇼핑 정보 제공을 위해 소비자 유형별 쇼핑 정보의 시각 반응 차이가 규명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아이트래킹 기법을 활용해 대표적 소비자 유형인 남성과 여성 간 온라인 쇼핑 정보에 대한 시각 주의도 차이를 탐색적으로 연구했다. 특히 다양한 광고채널에서 구매를 촉진시키기 위해 활용되어 온 휴먼 브랜드 콘텐츠가 온라인 쇼핑 환경에서 남녀 소비자 시각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80명의 남녀 대학생 대상 아이트래킹 실험을 통해 규명했다. 실험 결과 남성에 비해 여성이 휴먼 브랜드 이미지에 대한 시각주의도가 더 높게 나타났고, 휴먼 브랜드에 대한 남성과 여성 간 시각주의도 차이가 기능성 제품인 노트북보다 심미성 제품인 향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시각행동 관점에서 남성과 여성에 대한 차별화된 온라인 쇼핑 콘텐츠 제공에 대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고, 온라인 쇼핑 웹페이지에서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온 휴먼 브랜드 이미지 콘텐츠의 전략적 활용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