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옥상녹화 재료에 따른 실내온도 저감효과에 관한 연구

        박세영,송태갑,김은일 전북대학교 부설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2012 휴양및경관연구 (J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Vol.6 No.1

        본 연구는 옥상녹화의 재료에 따라 실내온도 저감효과를 검토하여 에너지 절약을 위한 최적의 옥상녹화 재료를 선정하는데 목적이 있다.실험은 사방 1m의 실험구를 10mm 방수합판으로 제작하고 상부에 물, 잔디, 관목 그리고 비교대상인 재료를 채우지않은 빈상자 등 총 4개의 실험구와 실험구 양쪽의 외부 영향을 차단하려는 목적의 빈상자 등 총 6개의 동일 규격의실험구를 준비하였다.실험은 외부기온 30도 이상인 7일간의 실외와 실내온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간은 아침 9시부터 오후 6시까지시간별로 실외온도와 실내온도를 측정하였고 그 가운데 온도차가 많은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의 데이터를 실내온도에서 실외온도를 뺀 값으로 온도저감효과를 검토하였다.그 결과, 잔디가 온도저감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관목, 수경, 빈방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외부 온도가 낮을수록 온도저감효과는 떨어졌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오후 5시 이후에 빈방이 일반재료의 실험구 실내온도보다더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 옥상녹화를 함으로써 실내온도의 급격한 변화를 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옥상녹화를하지 않은 실험구에서 외부온도에 따라 실내온도가 영향을 가장 많이 받았다. This study is to select the optimal green roof materials for energy-saving by investigating their reducing effects on room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rooftop materials. For the experiment, 6 1m square boxes were made of waterproof plywood 10mm thick. The tops of three boxes were filled with water, grass, or shrubs respectively and one box was used as a control subject without any fill materials. The two remaining boxes were placed on the each side of the 4 boxes to protect from outside influence on the experiment. In the experiment, ambient and room temperatures had been measured for 7 days when the outside temperature was more than 30 degrees. Each temperature was measured from 9:00 a.m. to 18:00 p.m. hourly, and only data taken from 12:00 to 17:00,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outside and room temperature is relatively large,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ture reduction.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grass has the highest effect on temperature reduction, shrubs and hydroponics are next. In addition, it shows that the lower the outside temperature is, the less the reduction effect is. In some cases, the room temperature of an empty room dropped more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s after 5:00 p.m., which means green roofs can prevent the rapid change of room temperature. Finally, the experimental box without green roof was the most affected by the ambient temperature.

      • KCI등재

        저토심 경사지붕과 평지붕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

        류남형,이춘석,Ryu, Nam-Hyong,Lee, Chun-Seok 한국조경학회 2013 韓國造景學會誌 Vol.41 No.6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retention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extensive greening module of sloped and flat rooftops for stormwater management and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A series of 100mm depth's weighing lysimeters planted with Sedum kamtschaticum. were constructed on a 50% slope facing four orientations(north, east, south and west) and a flat rooftop. Thereafter the retention and evapotranspiration from the greening module and the surface temperature of nongreening and greening rooftop were recorded beginning in September 2012 for a period of 1 year. The characteristics of retention and evapotranspiration in the greening module were as follows. The water storage of the sloped and flat greening modules increased to 8.7~28.4mm and 10.6~31.8mm after rainfall except in the winter season, in which it decreased to 3.3mm and 3.9mm in the longer dry period. The maximum stormwater retention of the sloped and flat greening modules was 22.2mm and 23.1mm except in the winter season. Fitted stormwater retention function was [Stormwater Retention Ratio(%)=-18.42 ln(Precipitation)+107.9, $R^2$=0.80] for sloped greening modules, and that was [Stormwater Retention Ratio(%)=-22.64 ln(X)+130.8, $R^2$=0.81] for flat greening modules. The daily evapotranspiration(mm/day) from the greening modules after rainfall decreased rapidly with a power function type in summer, and with a log function type in spring and autumn. The daily evapotranspiration(mm/day) from the greening modules after rainfall was greater in summer > spring > autumn > winter by season. This may be due to the differences in water storage, solar radiation and air temperature. The daily evapotranspiration from the greening modules decreased rapidly from 2~7mm/day to less than 1mm/day for 3~5 days after rainfall, and that decreased slowly after 3~5 days. This indicates that Sedum kamtschaticum used water rapidly when it was available and conserved water when it was not. The albedo of the concrete rooftop and greening rooftop was 0.151 and 0.137 in summer, and 0.165 and 0.165 in winter respectively. The albedo of the concrete rooftop and greening rooftop was similar. The effect of the daily mean and highest surface temperature decrease by greening during the summer season showed $1.6{\sim}13.8^{\circ}C$(mean $9.7^{\circ}C$) and $6.2{\sim}17.6^{\circ}C$(mean $11.2^{\circ}C$). The difference of the daily mean and highest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greening rooftop and concrete rooftop during the winter season were small, measuring $-2.4{\sim}1.3^{\circ}C$(mean $-0.4^{\circ}C$) and $-4.2{\sim}2.6^{\circ}C$(mean $0.0^{\circ}C$). The difference in the highest daily surface temperature between the greening rooftop and concrete rooftop during the summer season increased with an evapotranspiration rate increase by a linear function type. The fitted function of the highest daily surface temperature decrease was [Temperature Decrease($^{\circ}C$)=$1.4361{\times}$(Evapotranspiration rate(mm/day))+8.83, $R^2$=0.59]. The decrease of the surface temperature by greening in the longer dry period was due to sun protection by the sedum canop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will assist in managing stormwater runoff and urban heat island through retention and evapotranspiration. Sedum kamtschaticum would be the ideal plant for a non-irrigated extensive green roof. The shading effects of Sedum kamtschaticum would be important as well as the evapotranspiration effects of that for the long-term mitigation effects of an urban heat island. 본 연구는 저토심 옥상녹화모듈의 빗물유출 및 도시열섬 저감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저토심 경사 평지붕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을 규명한 것이다. 이를 위해 기린초를 식재한 라이시미터(깊이 100mm)를 4방향(동, 서, 남, 북)의 50% 경사 지붕과 평지붕 위에 구축하였다. 그리고 저토심 경사지붕 및 평지붕 녹화모듈을 대상으로 연간 수분보유량 및 저류량과 증발산량 그리고 옥상과 평지붕 녹화모듈의 표면온도를 2012년 9월 1일부터 2013년 8월 31일까지 1년간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자료를 근거로 분석한 녹화모듈의 저류 및 증발산 특성은 다음과 같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수분보유량은 눈이 오는 겨울철을 제외하면 강우 직후 8.7~28.4mm까지 상승하였으며, 무강우 지속 시 3.3mm까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은 최대 22.2mm까지 강우를 저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녹화모듈의 강우량 대비 강우 저류율 예측식은 경사지붕의 경우 [강우 저류율(%)=-18.37 ln(강우량(mm))+107.75, $R^2$=0.79], 평지붕의 경우 [강우 저류율(%)=-22.64 ln강우량(mm))+130.8, $R^2$=0.81]였다.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증발산량은 강우 후 경과일수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봄철과 가을철에는 로그함수형으로, 여름철에는 거듭제곱함수형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경사지붕 녹화모듈의 강우 후 일증발산량은 여름 > 봄 > 가을 > 겨울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일사량 및 기온의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녹화모듈의 증발산량은 강우 후 3~5일간 2~7mm/day에서부터 1mm/day 미만으로 급격히 감소하였으며, 이후 완만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녹화모듈에 식재된 기린초는 수분이 충분할 경우에는 수분을 급격히 소비하고, 수분이 부족할 때는 수분을 보존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여름철 알베도는 옥상면이 0.151, 옥상녹화면이 0.137 그리고 겨울철 알베도는 옥상면이 0.165, 옥상녹화면이 0.165로 나타나, 옥상면과 옥상녹화면의 알베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여름철 녹화에 의한 표면온도의 저감효과는 일평균표면온도가 $1.6{\sim}13.8^{\circ}C$(평균 $9.7^{\circ}C$), 일최고표면온도가 $6.2{\sim}17.6^{\circ}C$(평균 $11.2^{\circ}C$)로 나타났다. 겨울철 녹화에 의한 온도 차이는 일평균 표면온도가 $-2.4{\sim}1.3^{\circ}C$(평균 $-0.4^{\circ}C$), 일최고표면온도가 $-4.2{\sim}2.6^{\circ}C$(평균 $0.0^{\circ}C$)로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증발산량이 증가함에 따라 녹화에 의한 저감온도가 선형함수형으로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증발산량에 따른 저감온도의 예측식은 [저감온도($^{\circ}C$)=$1.4361{\times}$증발산량(mm)+8.83, $R^2$=0.59]였다. 무강우 지속 시 녹화에 의한 표면온도 저감은 세덤 수관에 의한 차양효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 녹화모듈에 의한 저토심 옥상녹화는 저류와 증발산 작용에 의해 빗물 유출 및 도시열섬 관리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또한 기린초는 무관수 저토심 옥상녹화용 수종으로 이상적 식물재료이며, 장기적인 도시열섬 완화라는 측면에서는 기린초의 증발산효과뿐 아니라 차양효과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포장가속시험을 이용한 보수형 배수성포장의 온도저감 효과 및 소성변형 저항특성 연구

        곽병석,서영찬,송철영,김주원 한국도로학회 2009 한국도로학회논문집 Vol.11 No.3

        높은 포장온도는 아스팔트포장 소성변형의 주요인이나 소성변형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포장온도를 줄이는 측면에서는 아직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성변형결함을 줄이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보수성 포장을 배수성포장의 하부층에 설치한 포장의 공용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수형 배수성 포장의 온도저감효과를 정량화하고, 포장가속시험(Accelerated Pavement Testing)을 이용하여 온도저감에 따른 소성변형 감소효과를 확인하고, 정량화하는데 있다. 또한 추가적으로 보수성 포장의 상대강도계수를 분석하고, 일반 포장과 비교하여 설계법 적용시 포장두께를 줄일 수 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보수형 배수성포장 2개 단면 및 일반 배수성포장 1개 단면 등 총 3개 시험구간이 시공되었다. 히팅 및 살수를 일정주기로 실시하였으며 하중조건은 윤하중 8.2ton, 타이어 공기압 7.03kgf/cm2 타이어 접지면적 610cm²이었다. 이 연구에서 포장체 온도저감효과는 중간층의 경우 6.6∼7.9℃(평균 7.4℃), 표층의 경우 7.9∼9.8℃(평균 8.8℃)였으며, 이를 통해 포장표면의 소성변형 발생을 26% 감소시킬 수 있었다. 또한 탄성계수로부터 추정된 보수성 포장의 상대강도계수는 0.173으로 일반 밀입도 포장의 1.2배정도였으며, 일반배수성 포장 구간에서는 표층, 중간층, 기층 모두 소성변형이 발생한데 반해 보수형 배수성포장 구간에서는 표층에서 대부분의 소성변형이 발생된 것으로 나타났다. One of the main causes of asphalt rutting is high temperature of the pavement. Nevertheless, there has been few research on lowering the pavement temperature for reducing rut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moisture-retaining porous asphalt pavement, which is known to have a temperature reducing eff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fy the temperature reducing effect of moisture-retaining porous asphalt pavement and its effect of reducing rutting through Accelerated Pavement Testing(APT). Additionally,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pavement in comparison to general dense grade pavement by analyzing structural layer coefficient of moisture retaining pavement. A total of three test sections consisting of two moisture-retaining porous asphalt pavement sections and one general dense-grade porous asphalt pavement section were constructed for this study. Heating and spraying of water were carried out in a regular cycle. The loading condition was 8.2 ton of wheel load, the tire pressure of 7.03kgf/cm2, and the contact area of 610cm².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revealed that the temperature reducing effect of the pavement was about 6.6∼7.9℃(average of 7.4℃) for the middle layer and 7.9∼9.8℃ (average of 8.8℃) for surface course, resulting in a rutting reduction of 26% at the pavement surface. Additionally, the structural layer coefficient of moisture retaining pavement measured from a laboratory test was 0.173, about 1.2 times that of general dense grade pavement. The general dense-grade porous asphalt pavement test section exhibited rutting at all layers of surface course, middle layer, and base layer, while the test sections of moisture-retaining porous asphalt pavement manifested rutting mostly at surface course only.

      • KCI등재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상태와 온도와의 관계 연구

        한봉호 ( Bong Ho Han ),홍석환 ( Suk Hwan Hong ),정태준 ( Tae Jun Jung ),김홍순 ( Hong Soon Kim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0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4 No.6

        본 연구는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식물 피복 상태가 온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서울시에 위치한 초고층 건축물 l2개소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의 토지 피복 유형별 온도 차이 분석을 위해 6개 유형(외곽도로, 포장지, 관목/초지, 단층교목식재지, 다층식재지, 수경시설)으로 건축물외부공간의 피복유형을 구분하였으며 토지이용유형별 대표지점에서 온도를 실측하였다. 건축물 l2개소의 주변 환경차이를 고려하기 위해 외곽도로의 중앙부에 대조구를 선정하여 온도를 측정한 푸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토대로 유사한 온도경향을 보이는 대상지를 4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그룹의 토지 피복 유형과 외부 공간 온도와의 일원배치 분산분석결과, 주로 단층교목식재지, 수경시설, 다층식재지는 저온역에 속하였으며, 관목/초지, 포장지, 외곽도로는 고온역에 속하였다. 저온역과 고온역의 온도차이는 약 1.06~6.17℃의 차이를 보였다. 그리나 조성된 식재지와 수경시설 면적의 협소, 건축물로 인한 일사도달량의 저감과 반사량의 증가 등으로 초고층 건축물 외부공간 온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에 각 공간에 필요한 녹지량과 수공간의 면적을 조성 전 미리 산출하여,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최소한의 면적과 녹지량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었다.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that the plant cover condition of the high-rise building outer space causes to the temperature change, we selected 12 high-rise building constructed in Seoul City. The land cover type of the outside was classified into six type(outer road, paved surface, shrub/grassland, single-layer free planting-site, multi-layer planting-site, and waterscape facilities) and th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the representative point for each type in order to analyze the land cover temperature differential for each type of the high-rise building outer space. The study area showing the temperature tendency to be similar based upon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fter selecting the central part of the outer road for a control and measuring a temperature in order to consider the neighboring environmental difference of the dozen building was classified into 4 groups. As to the one-way layout result of variance analysis with the land cover type of the classified group and outer space temperature, the single-layer free planting-site, waterscape facilities, and multi-layer planting-site belonged mainly to the low temperature section. The shrub/grassland, paved surface, and outer road belonged to the high temperature regio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low temperature region and high temperature region is about 1.06~6.17℃. However, the temperature in the Outer Space of the Super-High-Rise Building was variously appeared by the influence such as the cramped of the created planting-site and waterscape facilities area, the increase of amount of solar radiation and the reduction of reflection amount of light due to building etc. Thus, the composition all produced the area of the green quantity required for each space and water space in advance. It was determined that there were the minimum area displaying an effect and the necessity to it secures the green quantity.

      • 가축분뇨 저장조 유래 온실가스/악취 저감 및 후단 바이오가스 생산 증대 연구

        임성원 ( Seongwon Im ),홍두기 ( Do-giy Hong ),김동훈 ( Dong-hoon Kim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9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춘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

        가축분뇨의 긴 저장기간(1-6 개월)으로 인해 가축분뇨 내 유용한 유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다량의 온실가스와 악취를 배출하게 된다. 가축분뇨 유래 온실가스 배출량은 축산업에서 배출하는 총 온실가스의 30-50%나 차지하고 있으므로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연구사례가 전무하며 악취의 경우는 실태조사를 통한 악취배출특성 위주의 연구가 주를 이르고 있어 가축분뇨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를 원초적으로 줄이기 위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돈분(pig slurry, PS)의 산성화, 저장온도 제어, 소금 첨가를 통해 저장 중 발생하는 온실가스(CH<sub>4</sub>)와 악취 배출량 줄이고자 하였으며 이런 방법이 후단 바이오가스화에 미치는 영향도 조사하였다. 산성화 실험은 농장에서 채취한 돈분(pH 7.8±0.1)의 pH를 5.0-7.0으로 조절한 후 35℃에서 40일 저장하였으며 그 결과, 돈분의 pH를 7.0으로만 낮추더라도 메탄 배출량이 약 50% 감소하였다. 돈분의 저장온도를 20-30℃로 제어할 경우, 대조군(저장온도 35℃) 대비 메탄 배출량이 74-27% 감소하였으며 25℃ 이하의 조건에서는 50% 이상의 저감률을 보였다. 소금 첨가 실험(1-13 g Na<sup>+</sup>/L)에서는 돈분의 염도가 증가할수록 메탄 배출량의 감소폭은 증가하였으며 9 g Na<sup>+</sup>/L 조건에서 약 50% 저감률을 보였다. 위와 같은 저장조건 제어는 악취 배출량 저감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돈분의 pH를 7.0으로 낮춰서 저장하면 악취 배출량(NH<sub>3</sub>, H<sub>2</sub>S)이 대조군(pH 7.8) 대비 40% 감소하였고 앞선 조건보다 낮은 pH 6.5에서 저장하면 90% 이상의 악취 저감률을 달성하였다. 또한, 본 기술을 적용하여 돈분을 저장할 경우, 기존 저장 방식보다 돈분 내더 많은 양의 유기물을 보존할 수 있었으며 혐기성소화를 통한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15-40% 증가하였다. 결과적으로 저장 중 온실가스 배출 저감과 추가적인 바이오가스 생산을 이용하여 본 기술의 총 온실가스 저감량을 계산해보면 대조군 대비 5-20 kg CO<sub>2</sub> eq./ton PS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우수등재

        도시근린공원 미세먼지(PM)저감과 공간차폐율과의 관계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구민아 한국조경학회 2019 韓國造景學會誌 Vol.47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uch particulate matter at the center of the urban park is reduced compared to the entrance of the park, where the particulate matter problem is serious. It also endeavor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closure rate and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rate in the center of the park through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experimental data. Seven flat land type urba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were measured at the same place for three day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enter of the urban neighborhood park had an average temperature 1.05°C lower than at the entrance and an average humidity of 2.57% higher. Second, the rate of fine dust reduction was PM1- 17.09%, PM2.5- 17.65%, PM10- 14.99%. As for the reduction rate of particulate matter, the smaller the size of the park, the greater the reduction rate. In addition, the reduction rate at the center of the park was lower on days when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based on the weather reports was low.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at the park entrance, the higher the reduction rate was. Third, a higher the rate of space closures at the center of the park resulted in a higher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Noting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the space closure rate in urban neighborhood parks was clearly shown. We hope to be the basis for more extensive experimental data collection. 본 연구는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도심에서 도시근린공원의 중심이 입구에 비해 어느 정도 저감된 공간인지 분석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공원중앙의 공간 차폐율과 미세먼지 저감율과의 상관관계를 실험을 통해 도출해 내고자 하였다. 대구시 수성구 평지형 도시근린공원 7개를 대상으로 3일동안 같은 장소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도시근린공원 중심은 입구보다 온도는 평균 1.05℃ 낮고, 습도는 평균 2.57% 높았다. 둘째, 미세먼지 감소율은 PM1 17.09%, PM2.5 17.65%, PM10 14.99%의 저감율로 초미세먼지가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원의 규모가 작을수록 저감효과가 더 높았다. 또한 기상청발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날일수록 공원중앙에서의 저감율은 낮았으며, 공원입구의 농도가 높을수록 저감율은 높았다. 셋째, 공원중심에서 공간차폐율이 높을수록 미세먼지 저감효과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시근린공원의 미세먼지 저감정도와 공간 차폐율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더 확대된 실험데이터들의 기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반강성 덧씌우기 포장의 기능적 및 구조적 성능 평가

        박강용(Park Kang Yong),이재준(Lee Jae Jun),권수안(Kwon Soo Ahn),정진훈(Jeong Jin Hoon) 대한토목학회 2010 대한토목학회논문집 D Vol.30 No.3D

        반강성 포장은 공극률이 큰 개립도 아스팔트 혼합물의 공극에 시멘트 페이스트를 침투시켜 아스팔트 포장의 연성과 콘크리트 포장의 강성을 동시에 이용하는 포장형식이다. 반강성 포장은 콘크리트 포장에 비해 평탄성이 좋고 주행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을 저감할 수 있으며,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소성변형이 적고 온도저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반강성 덧씌우기 포장을 시험시공하여 반강성 포장의 온도저감 효과를 조사하였고 시편을 제작하여 옥외에서 온도 및 중량을 측정하여 반강성 포장의 온도저감 및 보수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용 3차원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Abaqus 6.8로 반강성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을 구조해석하여 하중재하 위치에서의 수평 및 연직방향 응력과 변형률을 비교하고 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 Bisar 3.0으로 검증하였다. 구조해석 결과를 바탕으로 피로균열을 예측하여 반강성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의 공용성을 비교하였다. Semi rigid pavement is a pavement type using advantages of both flexibility of asphalt pavement and rigidity of concrete pavement by infiltrating cement paste into voids of open graded asphalt mixtures. The semi rigid pavement has better smoothness and smaller driving vibration or noise comparing to the concrete pavement, and has smaller permanent deformation and has temperature falling effect comparing to the asphalt pavement. The temperature falling effect were investigated at a semi rigid overlay pavement test section, and the temperature falling and water retaining effects were verified by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weight of specimens at a housetop. Horizontal and vertical stresses and strains were compared by structural analysis of the semi rigid pavement and asphalt pavement using the Abaquser o, a commercial 3D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The results were verified by Bisar 3.0, a multi-layered elastic analysis program. Performance of the semi rigid pavement and asphalt pavement were compared by predicting fatigue cracking based on the structural analysis results.

      • KCI등재

        자동차 배기 소음 저감을 위한 소음기

        김병삼 ( Byoung Sam Kim ) 한국환경기술학회 2008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9 No.2

        자동차 엔진은 환경오염의 주 원인중 하나이기 때문에 전 세계적으로 배기 가스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특히, 배기가스는 자동차 소음기로 배출되고 배기소음은 주변 환경에 매우 유해하다. 배기소음을 저감하기 위하여 자동차 소음기는 최적으로 배출 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배기가수 소음, 소음분포 특성, 배기가스의 압력과 온도에 대하여 공냉 환상형 자동차 소음기의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조사하였다. 자동차 소음기의 주파수 해석으로 부터 소음분포는 1,000~2,000Hz 대역이고, 소음저감은 환상 온도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nternal combustion engine is the main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therefore advanced technology is required to reduce harmful elements from the exhaust gases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when the exhaust gas is released from the automotive muffler, exhaust noise has many bad influenc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he exhaust noise, it is necessary that automotive muffler must be designed for best exhaust efficiency. The sound insulation room was installed for the analysis of an acoustics characteristics of the noise from automotive muffler, in this study. Exhaust gas noise, nois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pressure and temperature of exhaust gas were investigated with the change of annulus temperature of air cooled annulus automotive muffler and cooled annulus automotive muffler.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with this study. From the frequency analysis of automotive muffler, high noise distribution was observed in the range 100~2000Hz. It means that the noise in this range has an dominate influence for the overall noise. Noise reduction of automotive muffler was affected by the temperature of annulus. It is caused the result that the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of exhaust gas are changed lower by the drop of annulus temperature. The tendencies of noise,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exhaust gas are similar to the performance curve of engine. Exhaust gas pressure is determined by the revolution per minute of engine and affected by the cooling performance of automotive muffler.

      • BIPV기술을 위한 고출력 슁글드 태양광 모듈의 온도 저감 및 특성 분석

        김주휘,배재성,지홍섭,이재형 한국진공학회 2021 한국진공학회 학술발표회초록집 Vol.2021 No.2

        최근 전 세계 시장에서 건물일체형태양광발전(BIPV)이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이에 관련한 BIPV에 사용되는 태양광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태양광 모듈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전압과 전력이 감소하는 특성을 갖기 때문에 안정된 출력을 위해서 태양광 모듈의 온도 저감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출력 슁글드 태양광 모듈의 방열 성능을 높이기 위해 슁글드 태양광 모듈의 후면부에 알루미늄 강판 및 흑연방열시트를 부착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각 제작된 모듈의 전면부에 1000W/m<sup>2</sup>의 광량을 일정하게 조사함에 따라 증가하는 온도를 비교하였고 그에 따른 출력 저감 및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 도시폭염 대응 온도저감 효과 추정에 관한 연구

        이채연(Yi, Chaeyeon),양호진(Yang, Hojin),이광진(Lee, Gwangjin),배민기(Bae, Mingi)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본 연구에서는 청주시를 대상으로 열스트레스가 높은 지역을 발굴하고 폭염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그린루프(옥상녹화), 쿨루프(차열페인트), 쿨링포그(안개분사), 클린로드(도로살수), 도시녹지 시나리오를 적용하였다. 도시규모의 미기후해석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폭염피해저감 시설이 온도나 열쾌적지수를 낮추는데 효과적인지를 추정하였다. 단기적으로 시행되는 쿨링포그와 클린로드는 물을 이용한 일시적인 기온 감소의 효과를 나타내나 시간지연에 따라 약간 상승하는 경향을 보이며, 열쾌적지수(UTCI)를 낮은 수준으로 변화시킨다. 장기적으로 그린루프와 쿨루프는 건물 지붕표면의 알베도를 변화시켜 표면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쿨루프를 적용한 지역은 초기에 기온 감소의 폭이 크며, 낮 동안 일사량 및 복사량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기온상승 폭이 가장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 내에서 열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산업단지를 상세분석한 결과, 열쾌적지수를 낮은 수준으로 변경한 시나리오는 쿨링포그, 쿨루프, 도시녹지 조성 시나리오였다. 이 3가지 시나리오가 청주에서 가장 열방출이 높은 산업단지와 주변지역에 적합하게 구현된다면 도시의 열환경과 에너지 소비가 개선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폭염저감 시설 설치 및 폭염대응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