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교 문헌에 나타난 오신채(五辛菜) 항목의 혼란과 정립에 관한 고찰

        공만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e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fu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the translated Chinese Buddhist canon and Chinese Buddhist literature which were written in China. The though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a was introduced from Indian Buddhist canon such as the Lankavatara sutra, but the name of items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is not identical with the Indian one. The naming of items of the Chinese Five Pungent Vegetables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hinese Four Pungent Vetables and the two items of them do not exist in Indian can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China shows that four pungent vegetables in China are established before Indian Buddhist canon arrive to China.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Indian Buddhist canon is “hiṅgu” in Sanskrit and the vegetable did not exist in China, that is why the “hiṅgu” was extremely confused by Chinese Buddhist authors and other vegetables in China are misunderstood as the “hiṅgu”. However, the two Buddhist monks such as Sanskrit experts, Xuanying and Huiri in Tang dynasty who studied in India and travelled the Central Asian countries corrected the mistake of the naming of “hiṅgu” which is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Even after the correcting of the wrong naming of the “hiṅgu”, the misunderstanding of the name of hiṅgu contined till the Qing dynasty. 본 논문은 중국 불교 오신채 규정 성립의 혼란과 정립과정을, 마늘, 파, 부추, 염교 등 4가지 백합과 훈채와 중국에 존재하지 않았던 훈채인 흥거를 통해 고찰하려는 작업이다. 인도 오신채와 중국 오신채 항목은 마늘과 파를 제외한 훈채명이 일치하지 않으며 불일치하는 훈채명의 정립은 중국 농업사에서 4가지 백합과 훈채의 성립과 관계되어 있다.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중국에서 찬술된 훈채 관련 경전인 능가경 과 범망경 은 5세기경에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되는데 이 시기에 중국 농업사에서는 마늘, 파, 부추, 염교의 4가지 백합과 훈채가 농업상 정착되어 있었다. 중국 훈채 관련 경전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마늘[大蒜]은 전한시기 장건의 서역 사행을 통해 중국에 전래되면서 중국 토종인 소산(小蒜)을 누르고 마늘을 대표하는 훈채로 정립된다. 또한 염교[薤]는 중국 자생종 식물로서 인도에는 없는 훈채이나 중국 불교문헌의 백합과 4가지 훈채로 자리잡는다. 오신채 중 주로 마지막에 언급되는 흥거(興渠)는 중국에 없었던 식물인 관계로, 중국불교문헌에서 많은 혼란과정을 보여주는데 흥거는 유채를 의미하는 운대(芸薹, 蕓薹)나 고수풀을 의미하는 호유(胡荽)로 착락되거나 식질(蒠蒺, 무)로 오해되기도 하였다. 흥거가 유채나 고수풀로 착란된 이유로는 형초세시기 에 보이듯 중국 전통의 훈채로 존재했다는 이유와 도교의 오신채 중 두 가지 항목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혼란을 거쳐 중국불교는 당나라 시기에 인도와 서역사정에 밝은 범어 전문가인 현응이나 혜일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 흥거의 정체가 파악되고 중국에서는 아위(阿魏)라는 명칭으로 오신채 항목으로 정립되게 되었다. 그러나 교통, 통신의 미발달은 당나라 시기 그 실체가 파악된 흥거는 그 이후 시기에 있어서도, 심지어 청나라 시기까지 이전의 혼란상이 문헌에서 교정되지 않는 채 여전히 잘못된 훈채명이 사용되는 문헌이 존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의 음식 특징 비교 - 한국ㆍ중국ㆍ일본, 3국을 중심으로

        김미숙 ( Kim Mi-suk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8

        평범한 생활인의 일상을 떠나 수행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이 모여사는 공간이 사찰이다. 그 특별한 공간에 담겨 있는 음식이 평범한 삶을 살아가는 재가 생활인들의 음식과 동일하지 않다는 것은 상식적일 것이다. 그러나 그 특별한 공간의 음식들은 특별한 만큼 일반인들, 소위 속인들의 이목을 끌고 일종의 선망(羨望)을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최근에는 그러한 사찰음식이 현시대가 원하는 이상적인 식단이라고 각계의 찬사를 받으면서 세계적인 주목과 호평을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동아시아 삼국, 즉 한국, 중국, 일본의 불교 음식을 자료로삼아 비교하되, 특히 한국 사찰의 식단적 특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문헌적 배경을 추적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먼저, 불교 음식의 첫째가는 특징으로 꼽히는 오신채 금지에 대해서, 불교 음식의 기원이라 할 인도 불교 전통으로 소급하여 고찰하였다. 율장을 비롯한 불전(佛典)에서 금지하고 있는 음식의 종류는 낮은 위도의 아열대 몬순 기후에서 생활했던 붓다 시대의 승가 구성원에 적용되었던 사안들이다. 따라서 시대적으로 보자면 무려 2,500여 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모든 것이 급속히 변모하는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로서는, 불교가 인도에서 발흥하여, 중국, 한국, 일본으로 전전(轉傳)되는 과정에서 불교의 교리는 일부 강화되기도 하고, 폐기되기도 하였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필자는 그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 땅에 자생하지도 않고 재배하지도 않는 식물에서 추출, 가공하여 조미료로 사용하는 힝구(hingu, Asafoetida)를, 오신채의 하나로서 금지한다는 설명은 이제 더 이상 의미가 없다고 주장한다. 달리 말하면, 한국 사찰 음식의 특징으로서, `힝구를 넣지 않는다`는 조목은 폐기해야 한다. 인간의 식이(食餌) 관습은 변한다. 시간과 장소에 따라, 그리고 특별한 목적에 따라 원칙과 예외가 생겨나고, 허용되거나 금기시되기도 한다. 최근 한국의 사찰 음식을 소개하는 책 이름에 `레시피`(recipe)라는 단어가 등장하고 음식 종류에도 `김치밥 피자, 야채 짜장, 레몬 소스와 오이 샐러드, 느타리 깐풍기`가 열거되고 있다. 이것이 우리 사찰 음식의 현주소이다. 또한 일본 음식의 영향이 분명한 채수(菜水)를 기본 양념의 하나로 삼고있으며, 중국 음식, 서양 음식 가리지 않고 한국의 사찰 음식 목록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리고 한국 조계종의 기본 율장으로 삼고 있는 『사분율』에서 금지하고 있는 미식(美食)의 종류들은 현재 한국 사찰 음식에서는 현실적으로 상용하는 기본 양념이자 허용된 음식으로 자리 잡은 지 이미 오래되었다. 이와 같은 시대적 변화에 착안한다면,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으로 풍미하고 있는 세간의 불교 음식류 또한 원형이라고 볼 만한 것이 무엇인지, 사찰 음식이라는 이름이 과연 합당한지도 재고해야 할 시점에 이르렀다고 본다. Generally, the Buddhist temple is reserved for monks and nuns. The traditional Buddhist way of life, therefore has been well preserved, separated from secular affairs. Culinary culture is not exceptional and temple`s diet i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people. Growing interest in health life advocates a vegetarian diet for its benefits, and Buddhist diet gains more and more popularity around the world. Especially, many experts look to Korean Buddhist food for their answer to fighting against obesity and adult disease.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cuisine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context of Buddhist script. Most of Mahayana Buddhists strongly oppose to eat meat and certain type of foods on scriptural grounds. However, it is worth to address that such rule is the product of geographical characteristic (humid and sub-trophic weather where foods can be easily spoiled) and other circumstances in ancient India. As Buddhism gradually spread from India to China, Korea and Japan, certain provision of script was added or omitted for a variety of reasons. Hingu (asafoetida) provides a good example; Korean monks and nuns are not allowed to eat this vegetable only because it is classified as one of the Panca-Parivyaya (five forbidden vegetables ; five spices) although it is neither native nor cultivated ever in Korea. Surely, the time has come to review this kind of rules and regulations. As history tells us, the culinary culture is not unchangeable. There must be an exception to the rule and the taboo and stigma is neither universal nor permanent. Today, the term `recipe` is popular as a tile of Buddhist books in Korea. Also, the un-heard cuisines are being introduced - namely, Kimchi-rice pizza, meat-free Jajang-myeon (noodle with black soybean sauce), lemon-dressed cucumber salad and fried oyster-mushroom. Unfortunately, this is the situation we face. Moreover, these cuisines are influenced by Japanese (vegetable broth is not Korean tradition), Chinese or Western recipe. This trend is not comply with the provisions of the Four-fold Rules of Discipline (the foundation of the Vinaya Pitaka of the Jogye Order of Korea), and some of basic condiments and food items are unavoidable since they are commonly and widely used in the kitchen of temple. Under this circumstance, it is necessary to rethink “what is very Korean Buddhist cuisine” and “what defines the Buddhist cuisine”. In addition, the inappropriately named foods shall be removed from the list.

      • KCI등재

        불교의 음식문화

        서혜경(Seo Hye-Gyung),적문스님(토론자) 비교민속학회 2003 비교민속학 Vol.24 No.-

        The Sutra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meal by stating that all of the wisdom do not exist without food. The purpose of practice of buddhism is enlightenment. To attain enlightenment one has to practice very hard. To practice very hard one has to maintain good health. To maintain good health one has to eat properly. Any food obtained by religious mendicancy is allowed in the buddhism of small vehicle, but in the buddhism of large vehicle all the animal foods except milk, alcoholic drinks and five vegetables of special incense are not allowed. The reason why all animal food except milk are prohibited is that those animal food cut off the seed of mercy in human mind. The reason why alcoholic drinks are prohibited is that alcoholic drinks are sources of all wrong doings and cut off the seed of wisdom The reason behind prohibition of five vegetables of special incense is that boiled those vegetables raise sexual appetite and raw those vegetables increases anger in human mind. The method of obtaining food in the buddhism of small vehicle is either religious mendicancy or offering by buddhists. But in the buddhism of large vehicle food culture of buddhism has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foodstuff self-sufficiency. In the early stage of buddhism only one meal was eaten during daytime but not in the afternoon. Nowadays in almost all temples in Korea three meals are taken. Food should possess three virtues of the hardness and softness, cleanliness and observance of Buddha's teaching. Also in the preparation of food one has to be delightful, merciful and broadminded. Offering food in buddhism terms means meal in ordinary sense and to offer food carries the same meaning as to eat meal. A set of four bowls used by buddhist monk in meal is called Baroo. Baroo-Gongyang, which literally means eating meals using Baroo, i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given rules. There are several etiquettes during Baroo-Gongyang. Intention of Baroo-Gongyang can be summarized as equality, cleanliness, thrift, collaboration and bles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