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선불교의 식재료와 선어(禪語)로서의 염장(鹽醬) 이해: 원감국사 충지의 시문을 중심으로

        공만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8

        염장(鹽醬)은 고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의 기저 음식으로 밥, 국, 반찬으로 구성된 한국 식사구조에서 빠질 수 없는 음식물이다. 본고는 삼국 시대에서 조선 시대에 이르는 불교사찰과 일반사회의 식재료로서의 염장의 내용을 개괄하고 고려 시대 원감국사 충지(圓鑑國師 冲止)의 시문을 통해 불교 수행자로서 산중 음식 생활에서의 염장의 모습과 선어(禪語)로서 염장이 선불교의 수행과 깨달음에서 어떠한 상징과 의미로 사용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에서 통일신라 시대 불교사원의 장독대인 장고(醬庫), 고려 시대 태안 마도선의 동식물, 음식유물은 해당 시기 음식문화를 밝히는 핵심자료로 기능하였으며 각 시기 문헌 자료와 더불어 상호보완적으로 당시의 음식실태에 객관성을 부여하는 기능을 하였다. 산중사찰 수행자의 염장 생활과 선어(禪語)와 선지(禪旨)로서의 염장고찰은 원감국사의 시문을 통해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와 화두로 정착하는 모습을 고찰하였다.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Salt and Jang as foodstuff and Seon Word in Korean Seon Buddhism. Salt and Jang are essential food for Korean food life and the position and function of Salt and Jang in the dynasty era is considered as more significant than modern society. Seon literation mentions the word of Salt and Jang as foodstuff and Seon Word but more significantly as the latter. This paper investigates from the function of Salt and Jang as foodstuff to the symbol word of Seon Buddhism. In the paper, main text is the poem of national Seon master, Wongam and he mention the Salt and Jang as daily foodstuff and Seon Word. He practices Seon and states the highest level of Seon’s enlightenment. This is exposed in his poems stating daily life like dringing tea or sleeping whenever he wishes. Salt and Jang Hwadu(話頭) is finally invented due to the signicance as the function of the Mindfulness Meditation which is originated from Chinese Seon master Mazudaoyi(馬祖道一).

      • KCI등재

        A Reconsideration of Koryŏ Meat-eating Culture

        공만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0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Vol.33 No.1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Koryŏ meat-eating culture. In the field of Korean culinary culture studies, scholars argue that Koryŏ meat-eating culture was underdeveloped or restricted due to Buddhism on three basic grounds: 1) prohibitions of hunting, fishing, butchery, and meat eating; 2) references to the aversion to killing and poor skill at butchery in the Gaoli tujing; and 3) the supposed resurrection of meat-eating culture under Yuan rule. First, Koryŏ records reveal that a minority of Koryŏ prohibitions were rooted in Buddhist thought, while the majority were rooted in rituals and principles of Confucian governance from the Book of Rites and “Monthly Ordinances.” Second, the aversion to killing and poor skill at butchery described in the Gaoli tujing reflect a compromise between the desires for meat and to avoid the responsibility of taking a life. Finally, the Koryŏ ruling class ate both livestock and game and the common people made a living through hunting and fishing and paid taxes through deer and fish prior to Yuan rule. In Koryŏ society, despite Buddhist faiths, hunting, butchery, and meat eating were universally practiced and accepted. It thus appears that Koryŏ society did not internalize and socially stratify the Buddhist prohibition of meat eating to the degree apparent in Indian and Japanese societies.

      • KCI등재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Yakkha의 성격에 관한 고찰

        공만식 한국선학회 2007 한국선학 Vol.17 No.-

        고대 인도인들의 대중적 신앙대상인 yakkha는 불교이전에는 고대 인도의 주류신화에서 인도아리안적 신격의 善性과 대비되는 惡을 상징하는 존재로 그려졌다. 나무와 물이라는 상징과 연관되어 있는 야차는 이 요소가 상징하는 풍요와 다산 그리고 생식과 연관된 존재로서, 대중적 신앙의 요소를 두루 갖춘 존재로 고대인도인들의 삶의 양식인 농사에서의 풍요와 많은 자손과 같은 현세적 행복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 신앙적 존재로 점차 그 위치를 아리안 주도 하의 고대 인도사회 속에 각인시키게 된다. 힌두신화 속에서 묘사된 야차의 적대적이고 악한 성격은 그러나 야차가 불교의 신격으로 수용되면서 그 성격에 변화가 나타나게된다. 힌두적 전통의 신화에서도 야차는 선악적 요소를 동시에 가진존재로 서사시시대부터 그려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선악적 양면성을 가진 존재로서의 야차의 모습이 불교에 수용되면서 불교경전에 나타난 야차의 모습도 기본적으로는 선악, 양면을 동시에 가진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나 힌두서사시문헌에 나타난 야차와 불교경전에 나타난야차는 모두 선악의 양면을 가진 존재로 묘사됨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에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초기불교경전인 Nikāya에 나타나 있는 야차는 붓다와 불법과 의 관계 속에서 선한 존재로 묘사되며 악귀로서의 윤회적 삶을 벗어나 예류과를 얻어 해탈을 지향하는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나 니카야에서의 야차는 오직 붓다와 불법과의 연관 하에 서만 그들의 善性이 보장된다. 그러나 니카야보다 후대에 성립한 빨리법구경 주석서, Dhammapadaṭṭhakathā에는 야차의 善性이, 붓다와 불법과의 연관과 상관없이 언급되고 있다. 따라서 이제 야차는 인도의 대중적신격으로 불교와 민간신앙 양쪽에서 대중적 영향력을 가진 신앙대상으로서의 자신의 존재를 명확히 하게 된다. The present paper aims at examining the nature of yakkha in Pāli liteature. Yakkha which occurs later Hindu literature of ancient India has been worshiped by indigenous people in ancient Inda and the yakkha is not seen in the early Hindu literature. The confrontational relationship between Ariyan and indigenous people is seen in the nature of yakkha. The gods from Indo-Ariyan represent the good but the deities from indigenous are characterized by the evil. The increasing influence of yakkha to the ancient people enables yakkha to be popular deity which has two aspects of the god and the demon. The nature of yakkha in the Buddhist literature has also the same aspect as in the Hindu literature, but the Buddhist literature includes not only the nature of yakkha in the Hindu literature but also it gives yakkha new characteristics. The Pāli Nikāyas mention that yakkhas are merely not the deities but they are regarded as a religious beings. The good nature of yakkha mentioned in the Nikāyas is limited by whether yakkhas are influenced by the Buddha or his Dhamma. In the Dhammapadaṭṭhakathā, the nature of yakkha is not influenced by the fact which yakkha believes in the Buddha or his teachings or not. It means that the influence of yakkha worship has been increased and yakkha has been accepted by major Ariyan culture and that yakkha as a good deity plays significant role, in which yakkha helps people and makes them accomplish their desires.

      • KCI등재

        하르샤왕과 대승불교의 관계에 관한 고찰

        공만식 한국선학회 2008 한국선학 Vol.19 No.-

        굽타왕조의 몰락 후 북인도의 정치적 분열상은 개인 그리고 당시의 군소왕국에 끊임없는 참극과 전쟁을 야기했으며 하르샤는 개인적으로 당시 시대적 상황의 최대의 피해자로 당시 북인도의 정치적 분열상을 극복하고 북인도에 정치적 통일을 가져왔다. 設賞迦王(Śaśāṅka)왕의 고다국 정벌로 시작되는 하르샤의 사행정복은, 두 번째로 빤잡(Pañjob)의 신드(Sindh)지역, 세 번째로 캐쉬미르지역, 네 번째로 오릿싸에 위치한 Oda국과 Koṅgoḍa국의 정복, 다섯 번째로 네팔을 정복하여 북인도 전체를 통일한다. 북인도에 거대한 통일왕국을 건설한 하르샤는 그 점령지 정책에 있어서 이전 왕조와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르샤는 군사정복을 통해 해당왕국을 멸망시키기보다는 그들의 군사지휘권의 상징인 소라고동을 빼앗거나 그 나라의 재보가 아닌 왕국의 명예를 가져갔다. 따라서 하르샤에 의해 정복된 왕국들은 여전히 왕국을 유지한 채 하르샤의 신하국으로 편입된 것이다. 비록 하르샤의 가계는 전통적인 힌두신앙을 믿었던 듯 하지만 하르샤는 불교승려, 디바까라미뜨라와의 만남을 통해 불교신앙과 접하게 되고 당대 최고의 학문적 중심지인 나란다사의 계현논사를 비롯한 불교승려들을 통해 대승불교 신앙을 개인적으로 수용하게 되었던 듯 하다. 그의 불교적 사고와 신앙는 그가 지은 세 가지 희곡 중, 나가난다(Nāgānanda) 를 통해 확인해 볼 수 있다. 이 희곡은 그의 다른 두 개의 희곡보다 후대에 지어진 성숙된 문학적 내용을 보여주는 불교적 소재가 중심이 되는 희곡이다. 이 나가난다(Nāgānanda)는 붓다에 대한 귀경게로 시작되고 있으며 보살의 삶과 불살생의 교리를 담고 있다. 개인적으로 대승불교를 자신의 신앙으로 수용한 하르샤는 나란다사의 대승논사들의 편에서 소승교의를 논파할 목적의 논쟁을 마련하는 등 대승불교의 선양에 열성인 군주였다. 大唐西域 記 나 大慈恩寺三藏法師傳 은 그의 대승불교적 신앙이 즉위 이전부터 시작되었음을 나타내는 내용을 전하고 있다. 즉 즉위시에 하르샤가 관세음보살에게 자신의 왕위즉위에 관한 조언을 구하는 내용은 그 내용이 하르샤가 즉위 이후에 성취한 정치적 과업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등 후대의 삽입이라는 인상을 가지고 있지만 하르샤의 관세음보살이라는 대승보살에 대한 신앙적 모습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하르샤와 대승불교의 연관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로 간주될 수 있을 것이다. 그의 불교신앙과 사고는 불살생에 근거한 그의 통치방식과 모든 중생에 대한 무차대회와 같은 복지적 보시정책을 통해서도 살펴 볼 수 있다. 하르샤와 관련된 중요한 문헌들인 Harṣacarita , 大唐西域記 , 大慈恩寺三藏法師傳 와 같은 문헌들은 하르샤가 특히 그의 생애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시기에 보여준 그의 행적들을 묘사하면서 그가 명확히 불교, 특히 대승불교를 수용하고 그것을 선양하는데 열의를 가진 군주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르샤는 불교에 대하여 단순히 개인적인 신앙의 차원에 머무르기보다는 적극적인 대승교도로서의 역할에 충실한 왕의 모습을 관련문헌들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After the Gupta period, political turmoil among small kingdoms in Northern India deprived Harsha of his beloved ones. This unrest was damaging to bothe individuals and the society in the 7th Centrury C.E. It was Harsha who brought about political unification and social stability in Northern India. It seems that Harsha patronized Buddhism before he came to the throne, but there are no clear records of his Budhist beliefs and activities until the later stage of his career. After he took the throne, he conducted religious assembly every five years for kings, ascetics, and the poor. He forbade the slaughter of living beings throughout the Five Indies as flesh for food. He erected hospices providing food and drink on highways to all towns and villages throughout India, and stationed physicians at these to dispecse medicines for travellers and the poor, without stint. He erected several thousands Stupas on the banks of the river, Ganges, and raised Saṅghārāmas wherever there were holy traces of the Buddha. He was also keenly interested in the Buddha's teachings on peace and non violence, diligently practising rules of temperance. He also composed the Buddhist play, Nāgānanda . The monks, Divakaramitra and Hiuen Tsiang, no doub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King Harsha's Buddhist ideas-especially Mahāyāna Buddhism-and his Buddhist play and the incident which occurred during the Prayoga Assembly are probably also products of this influence. So finally and perhaps withe some confidence, we can say that, at least in the later stage of his life, there is sufficient evidence to suggest that Harsha thinks and acts as Mahāyāna Buddhist.

      • KCI등재

        불교 문헌에 나타난 오신채(五辛菜) 항목의 혼란과 정립에 관한 고찰

        공만식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3 불교문예연구 Vol.- No.21

        The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confusion and establishmen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the translated Chinese Buddhist canon and Chinese Buddhist literature which were written in China. The thought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a was introduced from Indian Buddhist canon such as the Lankavatara sutra, but the name of items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is not identical with the Indian one. The naming of items of the Chinese Five Pungent Vegetables was influenced by traditional Chinese Four Pungent Vetables and the two items of them do not exist in Indian canon. The history of agriculture in China shows that four pungent vegetables in China are established before Indian Buddhist canon arrive to China.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Indian Buddhist canon is “hiṅgu” in Sanskrit and the vegetable did not exist in China, that is why the “hiṅgu” was extremely confused by Chinese Buddhist authors and other vegetables in China are misunderstood as the “hiṅgu”. However, the two Buddhist monks such as Sanskrit experts, Xuanying and Huiri in Tang dynasty who studied in India and travelled the Central Asian countries corrected the mistake of the naming of “hiṅgu” which is the last item of the Five Pungent Vegetables in Chinese Buddhist literature. Even after the correcting of the wrong naming of the “hiṅgu”, the misunderstanding of the name of hiṅgu contined till the Qing dynasty. 본 논문은 중국 불교 오신채 규정 성립의 혼란과 정립과정을, 마늘, 파, 부추, 염교 등 4가지 백합과 훈채와 중국에 존재하지 않았던 훈채인 흥거를 통해 고찰하려는 작업이다. 인도 오신채와 중국 오신채 항목은 마늘과 파를 제외한 훈채명이 일치하지 않으며 불일치하는 훈채명의 정립은 중국 농업사에서 4가지 백합과 훈채의 성립과 관계되어 있다.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중국에서 찬술된 훈채 관련 경전인 능가경 과 범망경 은 5세기경에 중국에서 번역되거나 찬술되는데 이 시기에 중국 농업사에서는 마늘, 파, 부추, 염교의 4가지 백합과 훈채가 농업상 정착되어 있었다. 중국 훈채 관련 경전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는 마늘[大蒜]은 전한시기 장건의 서역 사행을 통해 중국에 전래되면서 중국 토종인 소산(小蒜)을 누르고 마늘을 대표하는 훈채로 정립된다. 또한 염교[薤]는 중국 자생종 식물로서 인도에는 없는 훈채이나 중국 불교문헌의 백합과 4가지 훈채로 자리잡는다. 오신채 중 주로 마지막에 언급되는 흥거(興渠)는 중국에 없었던 식물인 관계로, 중국불교문헌에서 많은 혼란과정을 보여주는데 흥거는 유채를 의미하는 운대(芸薹, 蕓薹)나 고수풀을 의미하는 호유(胡荽)로 착락되거나 식질(蒠蒺, 무)로 오해되기도 하였다. 흥거가 유채나 고수풀로 착란된 이유로는 형초세시기 에 보이듯 중국 전통의 훈채로 존재했다는 이유와 도교의 오신채 중 두 가지 항목으로 기능하고 있었다는 사실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혼란을 거쳐 중국불교는 당나라 시기에 인도와 서역사정에 밝은 범어 전문가인 현응이나 혜일과 같은 승려들에 의해 흥거의 정체가 파악되고 중국에서는 아위(阿魏)라는 명칭으로 오신채 항목으로 정립되게 되었다. 그러나 교통, 통신의 미발달은 당나라 시기 그 실체가 파악된 흥거는 그 이후 시기에 있어서도, 심지어 청나라 시기까지 이전의 혼란상이 문헌에서 교정되지 않는 채 여전히 잘못된 훈채명이 사용되는 문헌이 존재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