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에크하르트 사상을 체계화시킬 수 있을까?

        이부현(Lee, Boo Hy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8

        본고에서는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 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에크하르트의 근저(grunt)라는 말마디를 중심으로 그의 사상 전체를 재해석 · 재구성하고자 한다. 근저라는 말마디는 에크하르트의 설교와 논고에서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말마디 가운데 하나이다. 그는 근저라는 말마디로 신과 인간이 하나임을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근저라는 말마디의 용법은 에크하르트만의 독특한 것이다. 그에게 이 말마디는 자신의 신비주의적 의식을 드러내는 중심이다. 그는 “신의 근저가 나의 근저이고, 나의 근저가 신의 근저이다”(『독일어 설교』 5b)라고 단언한다. 그렇다면 영혼이 본질적 실재인 신에 근거하고 있다든지, 신이 자기 자신만의 본질적 근저에 근거를 두고 있다든지 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양자가 동일한 근저에 근거하고 있다. 따라서 신성과 영혼이 완전히 일치할 경우, 근저라는 말마디는 영혼에 대해서든 신에 대해서든 일의적(一義的)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근저의 사상을 바탕으로 할 때만, 신과 인간의 신비적 일치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그냥 놓아두고 있음’과 ‘버리고 떠나 있음’인 ‘가난’에 대한 논의, ‘복귀적 돌파’에 대한 논의, 그리고 ‘영혼의 근저에서의 신의 탄생’에 대한 에크하르트의 논의, 그리고 ‘일상의 신비주의’에 대한 그의 논의등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의 신앙이 자리 잡고 있는 근본적 거점이 어디인지도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본고에서는 다섯 가지의 내용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근저 1: 모든 이름과 정식들로부터 벗어나 있음. 둘째, 근저 2: 영원한 숨겨져 있음의 숨겨진 어두움. 셋째, 가난과 복귀적 돌파. 넷째, 근저로의 돌파와 신의 아들의 탄생. 다섯째, 일상의 신비주의이다. 우리는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인간적인 것을 남김없이 버릴 때, 신도 인간도 있는 그대로 드러난다는 에크하르트의 경험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This paper is designed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systematically. The tactics to do it is to re-interpret and re-construct his whole thoughts by the word of the Ground, which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words in his German Sermons and his German Treatises. By the Ground he means the fused unity of God and man. The Usage of the word of Ground like this is his own unique one. To him this word of the Ground is the center which manifest his mystical consciousness. He has no hesitation in saying that God’s Ground is my Ground and my Ground is God’s Ground(German Sermon, 5b). The Soul is neither grounded in God as essential reality, nor God is grounded in himself as his own essential Ground differing from soul’s Ground. On the contrary, it is right to say that both are grounded in the same Ground. On deeper level of fused identity of God and man, there is only one univocal Ground either to God or to soul. Only on the base of his thoughts of the Ground, it will be possible for us not only to understand the mystical union of God and man, but also to comprehend his concepts of ‘Poverty’, ‘Break-through’,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and ‘Every day Mystic’(Mystik des Alltags) systematically. And we can also know evidently where the fundamental base of his own faith is grounded.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① Ground-free of all names and void of all formulations ② Ground2-hidden darkness of eternal hiddenness ③ Poverty and Break-through ④ Break-through into Ground and the Birth of God ⑤ Everyday Mystic. Through this paper we will be able to understand his deeper experience that if we could detach from our own making will, knowledge, possession, then we could see God and man as they are.

      • KCI등재

        에크하르트의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탄생

        이부현(Lee, Boo Hyu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3 神學展望 Vol.- No.180

        본고는 우에다(上田閑照)의 논문인 “神の子の誕生と神性への突破”에서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우에다는 에크하르트(Meister Eckhart, 1260-1328)가 삼위일체적인 그리스도교 신관과 플로티노스의 일자(一者)로서의 신관 등 두 개의 신관을 모순 없이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그는 에크하르트의 삼위일체적 신관에 신의 아들의 탄생을, 돌파에 일자의 신관을 각각 대입시켜,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의 핵심 경험을 버리고 떠나 있음 ⇒ 신의 아들의 탄생(수동적 과정) ⇒ 돌파(능동적 과정) ⇒ 단순한 하나에 도달하는 과정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에 반해 본고는 에크하르트의 텍스트 분석을 통해, 그의 신비주의의 핵심개념인 ‘버리고 떠나 있음’, ‘돌파’, ‘영혼의 근저에서 신의 아들의 탄생’은 서로 분리할 수 없는 영원성이라는 동일한 영역에서의 사건 또는 다른 관점으로부터 말해지는 동일한 사건 또는 서로 전제하여 생기(生起)하는 상호의존적 사건을 지칭하는 개념이지, 완전성에 이르는 단계를 가리키는 개념이 아님을 밝히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미 다루어진 “우에다의 탄생과 돌파에 대한 기본 개념과 1부의 결론”(이 논문은 2부에 해당함), “영혼의 근저”, “영혼 근저에서 생기하는 신의 탄생 사건: 내재적 삼위일체론” 등을 기본 뼈대로 하여 전개하고자 한다. 본고는 우에다의 주장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기 위해 쓰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적 경험을 해석하기 위한 올바른 지평 확보를 위한 시도이기도 하다. 최종 결론은 우에다가 선불교의 공(空)을 염두에 두고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를 해석하고 있다고 추정할 수 있다는 점과 에크하르트는 철저하게 그리스도교적이라는 점이다. 그는 그리스도교의 근본 교의를 영원의 관점에서 재해석하고 있다. 그는 플로티노스(Plotinos), 플로클로스, 위-디오니시오(Pseudo-Dionysius)의 전통 위에서 그렇게 하고 있다. This paper is planned to indicate the problems of Ueda’s paper “神の子 の誕生と神性への突破”(The Birth of God’s Son and the Break-through into Godhead). He argued that M. Eckhart has the double perspectives of God, that is, the christian trinitarian view of God and at the same times, the view of God as Plotin’s One in an uncontradictable way. Ueda allot the christian trinitarian view of God to the Birth of God and the view of God as Plotin’s One to Break-through respectively. Therefore he interprets the mystical essential experience of M. Eckart as the process; Detachment⇒ Birth of God’s Son(passive process)⇒ Break-through(active process)⇒ Simple One. In the contrary, this paper tries to elucidate that M. Eckhart’s mystical essential concepts, that is, Detachment, Break-through and Birth of God’s Son in the Ground of the Soul are not concepts to denote the procedural events to perfection, but inseparable concepts to denote the events which happen in the Eternal Region, or the same events described from different perspectives, or events that work interdependently. Therefore,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① Ueda’s fundamentlal concepts on the Birth & Break-through and the conclusion in my published paper(a collaborator Hiroshi Goto) “‘突破’と ‘神の 子の 誕生’ に關する一考察”(Essay on Break-through and Birth of God’s Son)(1st part of this paper) ② the Ground of the Soul ③ the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This paper is for the purpose of, on the one hand, indicating the problems of Ueda’s insistence, on the other hand, securing the right interpretational horizon of M. Eckhart’s texts. The final conclusion is as follows; ① Ueda is supposed to interpret M. Eckhart’s Texts with Sunya(空) of Zen-Buddhism. ② In spite of this, M. Eckhart is fundamentally Christian. He interprets christian fundamental dogma from the viewpoint of Eternity. He does so with traditions of Plotin, Proclos, Pseudo- Dionysius.

      • KCI등재

        M. 에크하르트의 『요한복음 주석』에 나타난 시원의 문제

        이부현 대동철학회 2017 大同哲學 Vol.79 No.-

        M. 에크하르트는 자신의 『요한복음 주석』 N. 28 - 51에서 요한복음 1-2장의 성경 말씀을 철학 그리고 자연, 기술(예술) 등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해석하고 있다. 시원은 모든 것의 제1원인을 뜻한다. 제1원인은 본질적 원인 또는 근원적 원인이라고도 불린다. 이때 시원은 신, 곧 아버지-신이다. 아버지는 모든 것의 제1원인이다. 그의 시원론은 제1원인인 낳는 아버지-신과 아버지에 의해 낳아진 아들-신 사이의 일의적 관계에 대한 논의이다. 물론 아버지와 아들은 위격에 따라서는 낳는 자와 낳아지는 자로 구분된다. 이것이 아버지와 아들의 ‘위격적 구별’이다. 하지만 실체에 따라서는 온전히 똑 같다. 따라서 시원론은 신성(神性/Gottheit) 안에서 일어나는 신적 위격의 유출과 신적 위격의 구분(divinarum personarum emanatio, et ipsarum distinctio)에 대해 논하는 내재적 삼위일체론이다. 내재적 삼위일체론은 창조 이전의 영원 가운데 생기하는 신성의 끊임없는 생성 사건에 대한 논의라면, 구원 경륜적 삼위일체론은 창조 이후의 시간과 관계하고 있다. M. 에크하르트는 창조 이전의 영원 속에 계신 하느님을 신성이라 부르고, 창조 이후의 하느님을 신(Gott)라 부른다. 그는 창조 이전과 창조 이후, 영원성과 시간성을 구분하고 있다. 이러한 구분을 이해할 때, 우리는 비로소 그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인간은 영원성에도, 시간성에도 머물 수 있다. 그가 말하는 버리고 떠나 있음이란 시간성을 완전히 벗어나, 어떠한 매개도 없이 영원성으로 이동하는 것이다. 신적 근원으로의 돌파이다. 가난과 돌파의 지점에서 영혼의 근저에 신의 아들이 탄생한다. 내재적 삼위일체론에서 아들은 아버지로부터 아버지의 것을 온전히 다 수용한다. 그래서 아들은 아버지와 똑 같게 된다. 이것이 ‘신적 유출’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인간도 버리고 떠나 있게 되면, 아버지의 것을 깡그리 다 받아, 아버지와 똑 같게 된다. 이것 영혼의 근저에서 아버지의 탄생 사건이다. 그의 독일어 설교의 기조를 이루는 이런 논의는 그의 『요한복음 주석』의 N. 28– 51에 나오는 시원론을 바탕으로 한다. 그는 요한복음을 철학적 이성으로 주석하고 있다. 그는 신·구약 성경의 말씀이 철학, 자연, 기술(예술) 영역 전반에 걸쳐 두루 통용되는 보편적 진리라는 확신에서 출발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의 몸통은 위의 논의에 따라 ⓵ M. 에크하르트가 『요한복음 주석』 N. 28– 51에서 잣대로 삼고 있는 철학 이론은 무엇인가? ⓶ 『요한복음 주석』의 N. 28– 39에 나오는 시원론 제1부 ⓷ 『요한복음 주석』의 N. 40–50에 나오는 시원론 제2부 ⓸ ‘시원 안에 말씀이 계셨다.’는 구절의 도덕적 의미, 그리고 시원과 영혼의 근저 등으로 전개된다. M. Eckhart interprets the phrases in the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s follows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Word was with God, and the Word was God. He was in the beginning with God.”』 in N. 28-51 of his 『The Commentary on John』 with philosophy and arguments on nature and technique(art). The Beginning means the first cause of all things. This first cause is also called the essential cause or the essential principle. His theory of the Beginning is the arguments on the univocal relation between bearing Father and born Son. Father and Son is divided in person because one bears and the other is born. But both is all the same in the substance. So his theory of the Beginning is the theory of the immanent trinity(immanente Trinitätslehre) which deals with the divine emanation and the division between Father and Son. Wheres the theory of the immanent trinity is the arguments on the continual generation before the creation in the region of the eternity, the theory of the economical trinity(ökonomische Trinitätslehre) is related with the time after the creation. M. Eckhart divides between the eternity before creation and time after creation strictly. we can’t understand his thoughts rightly untill we accept this division. Human beings can remain in the region of the eternity or in the region of the time. His theory of the detachment(Abgeschiedenheit) means that we can be suddenly freed from the region of the time and move into the region of the eternity without any medium. This is his theory of the breakthrough into Godhead. In this place, God gives birth to his Son in the ground of human being’s soul. In the generation occurring in the immanent trinity, Son totally accepts all of Father’s. So Son become all the same with his Father. As the same, if man be detached from all, he can also accept all of Father’s and be all the same with Father. This is the fundamental themes of his german sermons. His themes of the german sermons is based on the theory of the Beginning in N. 28-51 of his 『The Commentary on John』. The main them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① what is his philosophy here used as the means to interpret N. 28-51? ② The first part of his theory of the Beginning(N. 28-39). ③ The second part of his theory of the Beginning(N. 40-50). ④ The moral meanings of the phrase “In the beginning was the Word”,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Beginning and the ground of human soul.

      • KCI등재

        M. 에크하르트 ― 신과 인간의 역동적 관계

        이부현 대동철학회 2007 大同哲學 Vol.39 No.-

        이 글은 에크하르트를 전후한 영향사의 관심에서 에크하르트의 라틴어・독일어 저서들을 통해 그의 설교 1을 분석하고 다시 해석하고 구성하는 일을 하고 있다. 이는 다른 설교들에서도 그렇지만, 특히 설교 1에서 인간, 인간과 신의 역동적 관계, 영원한 신성에서 일어나는 사건들과 그것들의 인간으로의 전달 및 인간의 신성으로의 복귀적 이행 등에 대해 비교적 폭넓게 논의되고 있기 때문이다. 설교 1은 ① 인간론 - 성전, 곧 인간영혼의 근저에 대한 이야기, 외적 인간의 내적 인간으로 전환, 곧 일상적 자기의 본래적 자기로의 전환에 대한 논의 ② 신과 인간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논의 ③ 신론 및 범형론 - 영원 가운데의 신적 발출에 대한 논의 ④ 아들과 인간의 관계를 통한 신과 인간의 역동적 관계에 대한 논의 및 그 종착점인 신성으로의 복귀적 돌파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 글은 그의 작품들에 항상 전제되어 있는 부정 신학, 귀속적 유비, 내재적 삼위일체론, 말씀, 신적 산출, 신적 탄생, 끊임없는 창조, 끊임없는 육화, 범형론, 신성으로 복귀적 돌파 등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통해 설교 1의 논의 주제들을 영향사의 관점에서 음미하고 있다. 특히 플로티노스와 하이데거를 염두에 두고 그렇게 하고 있다. Die Absicht der vorliegenden Untersuchungen is es, den ganzen Inhalt der ꡔPredigt 1ꡕEckharts zu analysieren und zu interpretieren und zu rekonstituieren durch seine Deutsche and Lateinische Werke im Aspekte des Wirkungsgeschichte vor wie nach Eckhart. ꡔPredigt 1ꡕhandelt um die Psychologie, die innerste dynamische Beziehung des Menschen zu Gott, dauernde Ereigniss in der ewiger Gottheit, ihre Mitteilung zu Menschen, und Rückgang des Menschen in die Gottheit äuβerster als andernen Predigten. Also sind die Huptthemen der ꡔPredigt 1ꡕ ① Psychologie - die Tempel, das heiβ die Grund der Seele, Verwandelung des äuβeren Meschens in den inneren Menschen(Erl철sung aus dem alltäglichen Menschen ins eigentlliches Ich) ② die innerste dynamische Beziehung des Menschen zu Gott ③ Gotteslehre und Exemplarismus - g철ttliche Ausfluβ und Rückfluß in Ewigkeit und UrbiIden vor Kreation ohne Zeit ④ die dynamische Relation zwischen Gott und Menschen durch Beziehung des Menschen zu Sohn Gottes - die Offenbarung des Vaters Sprechen durch Sohn, dh. Wort. Zwar analysieren, interpretiern, rekonstituieren diese Untersuchungen vorgetragene Hauptthemen im Perspektiv der Wirkungsgeschichte durch Verstehen der Terminologien dh, der Negativen Theologie, der Attributiven Analogie, des immanenten Trinitätslehre, des Wortes, der g철ttlichen Prozession, des g철ttlichen Geburts, der continua creatio, der continua incarnatio, der Ausgang und Rückgang. Also interpretieren diese Untersuchungen mit dem Denken Plotins und Heideggers.

      • KCI등재후보

        M. 에크하르트의 ‘모상’(Bild) 개념에 대한 논의

        이부현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3 코기토 Vol.- No.73

        The image is the key concept in the thoughts of M. Eckhart, which has different meanings. First, in epistemology it means the representations(phantasma) and the sensible form & intellectual form(species) and the source(exemplar), Ideas of things in God(ratio, logos). Secondly, in the theology of image(Bildtheologie) it means the ‘Image-being’(Bildsein) of the Son in contrast with the Father as the source(Urbild). This paper deals with the latter. The first property of the image as the Son is that it takes its being(Wesen) without medium, involuntarily from the source as the Father. The source pours itself into the image without any medium, and yet wholly within itself. Therefore the Father and the Son is all the same in nature and being, yet different in person. The second property of the image as the Son is that the image is not of itself, nor is it for itself. In the same way as the image that is received in the eye is not of the eye and has no being in the eye. The image is properly of the source of the image. From this it receives its being, and ultimately is the same being. Therefore, this paper deals with the identity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urce as Father and the image as Son through mainly sermon 16b and the other German sermons and Latin sermons. These interpretation and analysis are also applied to the relation between God and the ground of soul. The main theme of this paper is ① the different meanings of identity between material space and spiritual space. ② the Identity of the Father and the Son ③ the difference of the Father and the Son ④ the practical teaching. 에크하르트 신비주의의 핵심 개념인 모상 개념은 여러 가지 상이한 의미를 지닌다. ① 인식론의 영역에서 Bild는 phantasma(감각적 표상), species(형상)를 뜻함과 함께, 신의 정신 가운데 존재하는 사물들의 원형(Urbilder) 또는 사물의 이념(Ideen) 등을 뜻한다. 그러나 ② 모상 신학(Bildtheologie)의 영역에서는 모상 개념은 원상(Urbild)인 아버지의 모상(Bild)인 아들을 가리키는 의미로 사용된다. 이 글은 모상 개념을 아버지의 모상인 아들을 중심으로 다룬다. 아들인 모상의 첫 번째 속성은 ‘아버지인 원상으로부터 자신의 존재를 의지와 상관없이 아무 매개 없이 직접 수용한다는 것’이다. 원상은 어떠한 매개를 거치지 않고 모상 가운데 자신을 있는 대로 다 쏟아붓는다. 그럼에도 자신 가운데 온전히 머문다. 따라서 아버지와 아들은 본성과 존재에서는 동일하지만, 위격에서는 다르다. 이 논의는 원상과 모상의 동일성에 대한 논의이다. 아들 모상의 두 번째 속성은 ‘모상은 자신으로부터 유래하는 것도, 원래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이는 눈에 수용되는 모사상이 눈에서 유래하는 것도, 눈에 원래 존재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과 같다. 따라서 모상은 원상으로부터 유래하며 원상에 전적으로 속하며, 원상에서 자신의 존재를 취하여 원상과 동일한 존재이게 된다. 이 논의는 원상과 모상의 차이성에 대한 논의이다. 따라서 이 글은 에크하르트의 모상 이론(Bildlehre)을 전개하고 있는 설교 DW 16b를 중심으로 원상인 아버지와 모상인 아들의 온전한 동일성과 차이성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다. 이런 논의들은 원상과 영혼의 근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 글의 본문은 DW 16b의 전개 순서에 따라 ① 물질적 영역과 정신적 영역에서의 동일성의 다른 의미 ②아버지와 아들의 동일성 ③ 아버지와 아들의 차이성(원상의 존재론적 절대 우위성) ④ 실천적 함의 등으로 전개된다.

      • KCI등재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사상의 이중 개념: ‘버리고 떠나 있음’, ‘무’, ‘지성’에 대한 고찰

        박홍기(Park, Hong Ki)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3

        에크하르트 사상에는 이중적 의미가 담긴 개념들이 있다. 신과 인간의 합일의 길을 규명하고자 한 그의 신비주의 철학의 핵심 개념들 중에 ‘버리고 떠나 있음’(Abgeschiedenheit), ‘무’(Nichts) 그리고 ‘지성’(Intellectus, Vernunft)이 신과 인간에게 공통으로 적용되어 이중적 의미를 띠고 있는 것이다. 이 개념들의 이중성은 에크하르트가 ‘신과 인간의 신비적 합일’(unio mystica)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여, 신비적 합일을 이룰 수 있는 그 가능성의 ‘상태’(Zustand)와 그 상태적 측면이 어떤 작용과 활동으로 합일의 사건에 연관되는지 ‘과정’(Prozess)으로서 드러난다. 그러나 이러한 이중성은 신과 인간의 아무런 구분이 없는 온전한 하나 됨의 사건, 곧 ‘영혼의 근저(Seelengrund)에서의 신의 탄생’으로 해체된다. 곧 신과 인간이라는 관점에서 비롯된 상태와 과정 그리고 그 수동성과 능동성이라는 이중적 의미는 신비적 합일의 목적이 성취된 거기(근저)에서 사라지는 것이다. 이는 종말론적 결론이 아니라 영원한 현재에서 생기하는 사건이다. 에크하르트의 신비주의 철학적 개념들을 해석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이유이기도 한 이러한 ‘이중성’은, 순수성과 절대성 그리고 초월성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신의 본성으로서의 상태적 측면이 어떤 작용과 활동으로 신비적 합일을 이루는 과정에 상호 연관성으로 나타나는지 보여주고 있는 바, 그 변증법적 통일성을 찾아가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신비주의 철학적 개념의 특성에서 비롯된 유비적인 표현이나 한편으로 대립적이며 모순적으로 보이는 언명들이 가리키는 본래의 의미와 그 의미가 지향하는 점에 대해 숙고하다 보면, 에크하르트의 개념들이 가진 이중성에서 벗어나고 떠나게 됨으로써 결국 반성적 작업조차 돌파되어 만나는 장중한 귀결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것은 신이 아니면 아무것도 아닌 무로서의 피조물인 인간이 온전히 신이 되는 가슴 벅찬 완전성의 실현, 지복직관의 가능성을 에크하르트를 통해 선물로 받게 되는 감격이다. The thoughts of Meister Eckhart who had investigated the unity of God and man has several mystic concepts including double meaning. Those are ‘Detachment’(Abgeschiedenheit), ‘Nothing’(Nichts), and ‘Intellect’ (Intellectus) among the key concepts concerning his mysticism which understood double meaning applied to God and man in common. The duplicity in these concepts has been used as Eckhart’s method in order to explain his fundamental theory of ‘Unio Mystica’. This represents as a ‘process’(Prozess) on mutual work and activity concerning that issue which could be united to the ‘state’(Zustand) of possibility for the unity of two subjects. However, this duplicity has been disintegrated to ‘the birth of God in the Ground of the Soul’ that means the complete union between God and man’s boundless relation. The double meaning of God, the human, the state, the process, the passivity and the activity disappears when he discovered the united point that accomplished the Unio Mystica. This is not an apocalyptic conclusion but an incident that happend in the eternal presence. This duplicity which represents the reason why it has been difficult in interpreting Eckart"s mystical philosophical concepts is the nature of God by his existence such as Purity, Absoulteness, Transcendence. These manifest the results of the state from God’s nature how it unfolded the mutual interconnection on the process of Unio Mystica. This is the main purpose of my research in searching for dialectical unity. Once duplicity could be concerned as the original meaning and the goal of that meaning it will reach the grave conclusion, as it departs from the duality of Eckhart’s concepts, then they could encounter each other beyond reflective work. This realization of completeness leads to the possibility of the beatific vision by Eckhart which means unification with God as a human creature who means nothing without God becoming God.

      • KCI등재

        마이스터 에크하르트의 부정신학적인 하나님 이해: 독일어설교 2번을 중심으로

        김형근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3 신학과 사회 Vol.37 No.3

        This article presents the merits and demerits of Meister Eckhart's negative theological approach to God. Furthermore, it critically examines Eckhart's expressions of the Godhead of God in comparison to other theological thoughts and in dialog with Buddhism. To this end, the thesis of the paper is develop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German sermon No. 2, which shows a unique understanding of God's divinity. The content structure of this sermon is summarized as a detached virgin (Martha), a detached virgin and a wife (Martha) with abundant productivity, the ground of the soul where the birth of God's son occurs, and God who breaks through the ground of the soul. Next, we review Eckhart's other terms, which are used to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negative theological expressions presented in German sermon No. 2. When referring to these concepts, it is the simple One as non-distinguishing, the unnamed One as pure nothingness, and God as Being Itself who is not the existence of creatures. The advantages of Eckhart's attempt reveal the nobility of natural reason latent in the human soul created after the image of God as intellect, points out the epistemological limitations of positive theology, and brings the abundance of theological statements. This has the disadvantage that it may bring about a narrowing of God's rich names and vast ministry unfolding toward the world. However, if Eckhart's negative theological concepts are again illuminated through the method of the negation of negation, in other words, if Eckhart's partiality toward the inside of human beings is overcome, it helps to make a better statement emphasizing the salvation of the Trinity God ruling throughout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