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olicy Recommendations on Support Measures for Liquefaction -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Japan -

        Myoung Jin Lee,Woo Jung Choi,Su Ran Kim,Keum Ho Oh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2019 Crisisonomy Vol.15 No.6

        우리나라에는 2017년 11월 15일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일어났다. 이로 인하여 우리 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에 대한 정책적인 대책이 부재한 실정이다. 그에 반해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는 풍수해재해에 대한 보험제도와 지원제도에 대해서는 잘 정리가 되어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내각부 액상화 지원대책에 지원금액 산정방법과 적용사례, 지자체의 지원대책 등을 비교⋅분석도 함께 실시하여 우리나라 풍수해 보험제도와 일본의 액상화 지원제도를 반영하여 액상화정책제도의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earthquake of magnitude 5.4 occurred on November 15, 2017 in Pohang, Gyeongbuk Province, which caused the liquefac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Korea, while there is no policy measure to deal with the liquefaction phenomenon, the insurance and compensation system for flood damage is well designed.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support measures for liquefaction by the Japan Cabinet Office, includ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compensation amount, application cases, and compensation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s in Japan, and compared with the insurance and compensation system for flood damage in Korea.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to develop policies to respond to liquefaction in Korea, based on the comparison of disaster support systems in Korea and Japan.

      • 국내 Micro 및 Macro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 제안

        최재순(Jae Soon Choi) 한국방재안전학회 2016 한국방재안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

        재난은 모든 시설물의 내진설계시 최우선되는 것이 액상화에 대한 발생가능성 검토이다. 이러한 일련의 검토과정은 액상화 평가를 통해 수행되며 이 결과들을 종합하여 지도에 나타내는 것이 액상화 위험도이다. 액상화 위험도 작성은 수치지도의 크기와 관련하여 시설물 기초지반의 내진성능 확보를 위주로한 Micro 액상화 위험도와 구 또눈 군 이상을 대상으로 액상화에 취약한 지역을 파악하여 지진시 지반피해 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Macro 액상화 위험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액상화 피해가 전무한점과 중진 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우리 나라에서 적용가능한 Micro 액상화 위험도와 Macro 액상화 위험도 작성기법을 제시하였다. 이때, Micro 액상화 위험도에서는 지반증폭에 대한 예측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지반응답해석을 포함하였으며 Macro 액상화 위험도에서는 수많은 입력자료의 신속한 처리를 위해 지반응답해석의 수행을 지반증폭계수로 대치하도록 하고 각각의 액상화 위험도들을 작성하였다. In seismic designs of all facilities, a review for liquefaction potential is prior. This assessment process is carried out through the assessment for the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the results of assessment for liquefaction potential, the index for mapping on liquefaction hazard such as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proposed by Iwasaki can be calculated. There are two kinds of liquefaction hazard maps according to the scale of target area. One is a micro liquefaction hazard map for seismic facilities’ construction. The other is a macro liquefaction hazard map for preparing of seismic prevention methods in metropolitan area or the whole country. In this study, we proposed the applicable mapping methods for Micro and Macro liquefaction hazard in Korea. In the proposal of two mapping methods, we consider that there is no liquefaction hazard in Korea until now and it has been known that Korea is classed as midium seismicity region. In the Micro liquefaction mapping, the site response analysis is included in the assessment process of liquefaction potential. In the Macro mapping, the soil factor according to the soil classification can replace the site response analysis to apply the big-data of boring hole investigation results. Finally, we drew 4 Micro hazard maps of Seoul and Gyeonggi area applied 4 peak bedrock accelerations.

      • KCI등재

        송도매립지역의 액상화 구역도 작성

        김성환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3

        연구목적: 이 논문에서는 인천 해안 매립 지반에 대한 액상화 평가를 위하여 장주기의 Hachinohe 지진파와 단주기의 Ofunato 지진파에 대하여 ProShake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지 반응답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방법: 지반응답해석 결과와 수정 Seed and Idriss의 방법을 이용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 행하였다. 각 지점의 액상화 평가 결과를 대표할 수 있는 지표로 Iwasaki가 제시한 액상화 가능성 지수를 산정하였다. 또한, 액상화 구역도 작성을 위한 정량적인 지표로서 등가 액상 화 안전율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이 논문에서는 액상화 가능지수와 등가 액상화 안전율을 이용하여 인천 해안 매 립지역을 대상으로 액상화 구역도를 작성하였다. 결론: 구역도 작성 결과, 액상화 가능지수와 등가 액상화 안전율을 이용하여 작성된 구역도 가 유사한 분포 형태를 보여 이 논문에서 제시한 액상화 구역도 작성 지표로 인천 해안 매립 지역의 액상화 구역도를 작성할 경우 이용에 편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liquefaction potential of the land reclamation area in Incheon by using the ProShake program for long frequency Hachinohe seismic wave and short frequency Ofunato seismic waves to interpret ground response. Method: The interpretation results and the Modified Seed and Idriss method were used to evaluate the liquefaction potential.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which proposed by Iwasaki was calculated to be used as a guide line to represent the liquefaction evaluation results at the given location. The equivalent liquefaction factor of safety presented by Kang(1999) was used as a quantitative index to draw up the mapping of liquefaction potential. Results: This paper presents the mapping of liquefaction potential for the Incheon seaside reclamation area using both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and the equivalent liquefaction factor of safety. Conclution: As a result, the mapping of liquefaction based on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and equivalent liquefaction factor of safety shows similar distribution pattern.

      • 지역별 진도변화를 고려한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 작성 연구

        최재순,백우현,정재웅,권오규,박인준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는 지진 발생 시, 발생지역에 따라 지반가속도 및 진도분포의 차이를 고려한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 작성을 목표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크게 두 가지 세부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나는 지진 가속도별 액상화 평가를 통한 광역지역의 액상화 위험도 작성이며, 다른 하나는 지진 가속도별 위험도를 바탕으로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를 작성할 수 있는 DB를 구축하는 것이다. 먼저 약 138,000여개에 달하는 전국 지반정보의 처리를 위한 Excel 스프레드시트를 개발하여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였다. 액상화평가시 수정 Seed & Idriss방법과 우리나라 내진기준상의 지반증폭계수를 이용하여 지반심도별 액상화 평가 안전율을 종합한 액상화 위험도지수를 산정하였다. 이때, Iwasaki가 제안한 액상화가능성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를 적용 하였다. 시설물 중심의 위험도 작성 시 이용되는 지진 시 지반응답 해석을 생략하고 지반증폭계수로 대치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 결과 액상화 위험도 작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50,000시간 정도 단축할 수 있었으며, 최종적으로 0.06g~0.38g까지 0.04g 간격으로 지반가속도별 액상화 위험도를 작성하였다. 두 번째 연구인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 작성에 있어서는 액상화 위험도 작성의 근간이 되는 BaseMap은 지진재해시스템이 사용하고 있는 2Km by 2Km Cell 단위를 동일하게 사용하여 연계가능하게 하였으며, 좌표별 지진가속도와 LPI와의 상관분석을 통한 관계식을 추출하였다. 이때, 상관분석에서는 2변수 최적함수율이 적용되었으며 log식이 가장 신뢰성 높게 상관관계를 표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였던 홍성지진과, 오대산지진에 대하여 지진 시 지반분포의 차이를 고려한 지진규모6.5 실시간 액상화 위험도를 작성하였다.

      • KCI우수등재

        정규화LPI와 전단파 속도의 상관관계를 활용한 서울과 경주 지역 액상화 위험도 평가

        송영우,정충기,박가현,김민기 대한토목학회 201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38 No.2

        Recent earthquakes in Gyeongju and Pohang have raised interest in liquefaction in South Korea. Liquefaction, which is a phenomenonthat excessive pore pressure is generated and the shear strength of soil is decreased by repeated loads such as earthquakes, causes severe problems such as ground subsidence and overturning of structur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and prepare for the possibility of liquefaction in advance. In general, the possibility of liquefaction is quantitatively assessed us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but it takes a lot of time and effort for performing site response analysis which is essential for the liquefaction evaluation. In this study, a simple method to evaluate the liquefaction potential without executing the site response analysis in a downtown area with a lot of borehole data was proposed. In this simple metho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shear wave velocity of the target location ground and the LPI divided by thickness of liquefiable layer was established. And the applicable correlation equation for various rock outcrop accelerations were derived. Using the 104 boreholes information in Seoul, the correlation equation between LPI and the shear wave velocity (ground water level: 0m, 1m, 2m, 3m) is obtained and the possibility of liquefaction occurrence in Seoul and Gyeongjuis evaluated.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simple method was verified by comparing the LPI values calculated from the correlationequation and the LPI values derived using the existing site response analysis. Finally, the distribution map of LPI calculated from thecorrelation was drawn using Kriging, a geostatistical technique. 최근 경주와 포항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국내에서 액상화 현상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지반의 액상화는 포화된 상태에서 지진과 같은 동하중을 받았을 때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여 흙이 강도를 상실하고 물과 같이 거동하는 현상이며 지반 침하와 상부구조물의 전도와 같은 심각한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미리 파악하고 대비할 필요가 있다. 액상화의 발생 가능성과 액상화 피해 정도는 일반적으로 액상화가능 지수(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에 의해 정량적으로 평가된다. LPI의 계산은 시추공 별로 이루어지며 지반응답해석이 필수적인 작업으로 선행되어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하수위 분포를 가지는 넓은 지역의 액상화 평가를 간단히 수행할 수있도록 전단파 속도와 LPI의 상관관계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액상화 가능 층의 평균 전단파 속도(Vs’liquefiable)와 액상화 가능 층의 두께로 나누어 정규화한 정규화 LPI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지하수위 별로 다양한 암반노두가속도에 대해 적용 가능한 상관관계식을 제시하고 이용한다. 상관관계를 이용한 액상화 평가 방법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의 104개 시추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위 0m, 1m, 2m, 3m에 대해 상관관계식을 제시하였으며 제시한 상관관계식을 이용하여 서울특별시와 경주시의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지반응답해석을 이용해 계산한 LPI와 상관관계식을 이용해 계산한 LPI를 비교하였으며 제안된 액상화 평가 방법의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액상화 평가 방법에 따라 결정된 LPI의 분포를 지구통계학적 기법인 크리깅을 통해 지도로 나타내었다.

      • KCI등재

        유효응력해석과 등가선형해석을 이용한 매립지반의 액상화 평가

        박성식(Park Sung-Sik) 대한토목학회 2008 대한토목학회논문집 C Vol.28 No.2

        본 연구에서는 흙의 미소변형에서 대변형까지 고려할 수 있는 유효응력해석을 이용하여 매립지반에 대한 액상화 및 진동으로 발생하는 침하량을 예측하였다. 유효응력모델은 진동 중에 발생하는 과잉간극수압을 계산하여 이에 따른 흙의 강성저하와 수반되는 지반의 변위를 모델링하였다. 진동으로 인한 지반의 변형률 수준이 작은 경우에 적합한 등가선형해석을 이용한 액상화 평가를 실시하여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한 예측법과 비교하였다. 등가선형해석에서 계산된 전단응력비에 해당하는 표준관입시험치를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지진규모와 실트질 함유량에 따라 콘관입저항치로 환산한 값과 현장에서 계측된 콘관입저항치를 서로 비교하여 액상화 가능성을 예측하였다. 두 곳의 인천지역 매립지에 대한 액상화 해석을 위하여 매립지에서 계측된 콘관입저항치와 전단파 속도를 이용하여 입력 물성값을 결정하였다. 인천 매립지에 대한 두 액상화 해석 방법의 결과는 액상화 발생 여부에서 유사하였으며 깊이에 따른 연속적인 액상화 판정과 얇은 층의 액상화 예측이 가능하여 액상화 예측의 정밀도를 높였다. 유효응력모델을 이용한 액상화 해석 결과는 지표면 아래 20m 이내에서 초기 유효수직응력의 40%~70% 정도의 과잉간극수압이 발생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지표면에서 10㎝ 미만의 침하가 발생하였다. In this study an effective stress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liquefaction potential and ground settlement for reclaimed sites. The effective stress model can simulate the stiffness degradation due to excess pore pressure and resulting ground deformation. It is applicable to a wide range of strain. An equivalent linear analysis suitable for low strain levels was also carried out to compare the effective stress analysis. Shear stress ratio calculated from an equivalent linear analysis was used to determine SPT blow count to prevent liquefaction. Depending on the magnitude of potential earthquake and fine contents, the SPT blow count was converted into an equivalent cone tip resistance. It was compared with the measured cone tip resistance. The measured elastic shear wave velocity and cone tip resistance from two reclaimed sites in Incheon were used to perform liquefaction analyses. Two liquefaction evaluation methods showed similar liquefaction potential which was evaluated continuously. The predicted excess pore pressure ratio of upper 20 m was between 40% and 70%. The calculated post-shaking settlement caused by excess pore pressure dissipation was less than 10 ㎝.

      • KCI등재

        공간보간 대상 및 지반정보에 따른 액상화 확률지도 비교

        송성완(Seongwan Song),황범식(Bumsik Hwang),조완제(Wanjei C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1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2 No.11

        한반도 인근 지역은 지진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지대라고 여겨졌지만, 지난 2017년 포항지역에서 실제 액상화 현상이 발생 및 관측됨에 따라 액상화 현상을 예측하는 연구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액상화는 지반의 강도가 상실되면서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현상을 말하며,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써 액상화 가능지수(LPI)를 바탕으로 하여 액상화가 발생할 시 동반되는 피해의 규모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액상화 재해도를 작성하는 연구 및 정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액상화 재해도 작성 시 공간보간의 대상을 LPI 값과 LPI를 산정하는데 활용되는 지반정수로 구분하여 공간보간 대상에 따른 정밀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정량적인 특성을 바탕으로 작성된 액상화 재해도의 작성 방법별 정밀도 변화 양상을 바탕으로 정성적인 특성을 통해 작성된 확률지도의 확률값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보간대상을 LPI를 산정하기 위한 지반정수로 설정하는 경우의 정밀도가 LPI 자체를 공간보간하는 경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액상화 재해도의 정밀도가 액상화 확률지도의 확률값 분포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interest of expecting the liquefaction damage is increasing due to the liquefaction in Pohang in 2017. Liquefaction is defined as a phenomenon that the ground can not support the superstructure due to loss of the strength of the ground. As an alternative against this,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increase the precision and to compose a liquefaction hazard map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scale of liquefaction damage us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the degree of precision with regard to spatial interpolation objects such as LPI value an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LPI determination, liquefaction hazard map were made for the target area. Furthermore, based on the trend of precision, probability value was analyzed using probability maps prepared through qualitativ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precision of the liquefaction hazard map setting the spatial interpolation object as geotechnical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at as LPI value. Furthermore, the precision of the liquefaction hazard map does not affect the distribution of the probability value.

      • KCI등재

        국내 동남권 지역의 전력구 지반에 대한 지진시 액상화 위험도 작성 연구

        최재순(Jae-soon Choi),박인준(Inn-Joon Park),황경민(Kyengmin Hwang),장정범(Jungbum Ja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8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9 No.10

        2016년 경주지진에 이어 2017년에도 포항지진이 발생하여 우리나라 동남권 지역이 지진의 위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포항지진에서는 연안의 퇴적지반에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크게 중요시되고 있다. 지반 액상화는 지표면 위의 구조물뿐만 아니라 지중의 시설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발생 가능한 지진에 대한 시설물의 액상화 위험도를 파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지진이 발생한 동남권 지역의 전력구를 대상으로 지진 시 액상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이때, 발생 가능한 지진은 재현주기 1,000년으로 고려하였으며 지진 시 액상화 위험도는 액상화 발생가능성 지수를 통해 검토하였다. 액상화 위험도 분석은 2단계로 진행되었으며 1단계에서는 동남권 전력공동구 설치위치의 지반조사자료를 토대로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수를 산정하여 액상화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이때, 지반 내 증폭현상은 지반종별 지반증폭계수를 통해 고려되었다. 2단계 위험도 분석은 1단계 분석에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이 매우 높게 판정된 전력구 주변의 시추공 정보를 바탕으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이를 토대로 액상화 발생 가능성 지수를 재산정하여 지진 시 액상화 위험도를 재분석하였다. 이때, 이용된 지반 조사자료는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의 자료이며 지진응답해석에서는 3가지의 실지진 가속도 시간이력곡선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지중 시설물에 대한 액상화 위험도 평가를 1단계 광역기반의 액상화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고 2단계 평가에서는 1단계 평가에서 위험한 곳으로 평가된 지역에 대해서 지진응답해석을 동반한 위험도 평가를 재수행하는 것이 매우 합리적이고 유효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Following the 2016 Gyeongju earthquake, the Pohang Earthquake occurred in 2017, and the south-east region in Korea is under the threat of an earthquake. Especially, in the Pohang Earthquake, the liquefaction phenomenon occurred in the sedimentation area of the coast, and preparation of countermeasures is very important. The soil liquefaction can affect the underground facilities directly as well as various structures on the grou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liquefaction risk of facilities and the structures against the possible earthquakes and to prepare countermeasures to minimize th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eismic liquefaction risk about the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in the southeast area where the earthquake occurred in Korea recently. In the analysis of seismic liquefaction risk, the earthquake with return period 1000 years and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are used. The liquefaction risk analysis was conducted in two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liquefaction risk was analyzed by calculat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using the ground survey data of the location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s in the southeast region. At that time, the seismic amplification in soil layer was considered by soil amplification factor according to the soil classification. In the second stage, the liquefaction risk analysis based on the site response analyses inputted 3 earthquake records were performed for the locations determined to be dangerous from the first step analysis, and the final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was recalculated. In the analysis, the site investigation data were used from the National Geotechnical Information DB Center. Finally, it can be found that the proposed two stage assessments for liquefaction risk that the macro assessment of liquefaction risk for the underground facilities including the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 in Korea is carried out at the first stage, and the second risk assessment is performed again with site response analysis for the dangerous regions of the first stage assessment is reasonable and effective.

      • KCI등재

        액상화 가능 지수를 이용한 국내 서해안 지역의 액상화 평가

        서민우,선창국,오명학 한국지진공학회 2009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13 No.4

        느슨한 포화 사질토 층에 위치한 구조물은 지진 시 액상화로 인해 막대한 인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액상화 발생 가능 지반으로 분류된 지역은 구조물의 설계 및 운영 시 액상화 발생 가능성에 주의를 기울어야 한다. 한반도의 경우 중진 지역에 해당되고 역사 문헌의 발생 기록을 제외한 어떤 액상화 피해도 보고되지 않음에 따라 오랫동안 액상화에 대해서는 안전지대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해외 지진 사례에 의하면 국내 서해안 지역 지반과 유사한 비소성 실트질 흙에서의 액상화 발생과 이로 인한 피해 사례가 종종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의 액상화 가능성 평가 기법 합리화의 일환으로 서해안 두 부지를 대상으로 피에조콘 관입시험(CPTu)과 표준관입시험(SPT) 결과를 이용하여 액상화가능지수(LPI)를 산정하였다. LPI는 심도 20m까지의 액상화 가능성을 통합 적분하여 액상화로 인한 지표면 피해 발생 정도를 지수로 제시한다. 먼저 대상 현장에 대해 시나리오별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한 후, CPTu와 SPT로부터 산정된 LPI 값을 비교하였다. 액상화 저항 강도를 의미하는 진동저항응력비(CRR) 값에 의하면, CPTu로부터 구한 보정 콘 선단저항력 (qc1N)CS가 40에서 120 사이인 경우 또는 CRR이 0.23 이하인 경우에 SPT로부터의 산정된 값보다 작게 평가되었다. 또한 CRR 차이는 세립질 함유량이 큰 흙에서 두 방법 간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Liquefaction is a significant threat to structures on loose saturated sandy soil deposits in the event of an earthquake, and can often cause catastrophic damage, economic loss, and loss of life. Nevertheless, the Korean peninsula has for a long time been recognized as a safe region with respect to the hazard of liquefaction, as the peninsula is located in a moderate seismicity region, and there have been no reports of liquefaction, with the exception of references in some historical documents. However, some earthquakes that have recently occurred in different parts of the world have led to liquefaction in non-plastic silty soils, a soil type that can be found in many of the western coastal areas of Korea. In this study, we first present procedures for evaluating the liquefaction potential, and calculate the liquefaction potential index (LPI) distribution at two western coastal sites using both piezocone penetration test (CPTu) data and standard penetration test (SPT) data. The LPI is computed by integrating liquefaction potential over a depth of 20m, and provides an estimate of liquefaction-related surface damage. In addition, we compared the LPI values obtained from CPTu and SPT, respectively. Our research found that the CRR values from CPTu were lower than those from the SPT, particularly in the range between 40 and 120 for the corrected tip resistance, (qc1N)CS, from the CPTu, or in the range of CRR less than 0.23, resulting in relatively high LPI values. Moreover, it was observe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CRR between the two methods were relatively higher for soils with high fine contents.

      • KCI등재

        액상화 취약심도를 고려한 지반정보에 따른 액상화 평가의 변화

        송성완(Sungwan Song),김한샘(Hansaem Kim),조완제(Wanjei Cho)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2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21 No.6

        최근 포항 및 주변 지역에서 지진 발생에 따른 액상화 현상 관측으로 인해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액상화 발생 가능성은 지반정보를 활용하여 평가할 수 있는데 평가에 활용되는 전단저항강도비(CRR)값은 두 가지 지반정보인 SPT-N값과 Vs 값을 활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이 두 가지 지반정보를 활용하여 평가한 액상화 발생 가능성의 정확도를 비교하는 연구가 수행된 바 있으며 해당 연구에서는 SPT-N값을 활용한 결과가 Vs값을 활용한 결과보다 정확하다는 결론을 지었다. 또한 Vs 값을 활용한 결과의 정확도가 낮은 이유는 Vs 값이 액상화에 취약한 심도를 고려하지 않고 일률적으로 12m 심도에서 측정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률적으로 12m 지점에서 측정된 지반정보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액상화에 취약한 심도에서 측정된 SPT-N값을 Vs 값으로 환산하는 총 10가지의 경험식을 활용하여 환산된 Vs 값을 통해 액상화 발생 가능성을 평가하고 실제 액상화 발생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확인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액상화에 취약한 심도를 고려한 10가지 경우 중 7가지 경우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은 결과에 비해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Recently, due to the liquefaction caused by earthquakes in Pohang and surrounding areas, the importance of researches on the liquefaction assessment has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liquefaction can be assessed using the geotechnical information. The cyclic resistance ratio (CRR) value used in the assessment of liquefaction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SPT-N values or shear wave velocity, Vs value. A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accuracy of the liquefaction assessment using these two types of geotechnical information, and concluded that the results using SPT-N values are more accurate than those using Vs values. The previous study speculated that the used Vs value was measured at a depth of 12 m uniformly without considering the critical depth of liquefaction. Therefore, 10 empirical equations that convert SPT-N values measured at critical depth of liquefaction into Vs values to confirm the validity of geotechnical information measured at 12 m points uniformly are used to assess the liquefaction possibility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actual liquefaction results to confirm the accuracy. As a result, 7 out of 10 cases considering critical depth for liquefaction show higher accuracy than those not conside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