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테크노애니미즘 ─ 일본 기술과학 실천 속 사물의 생기 ─

        이강원 한국일본학회 2020 日本學報 Vol.0 No.125

        이 연구는 인류학 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애니미즘의 새로운 방향을 정리하고, 이를 발판 삼아 그동안 발표해 왔던 필자의 일본지역 연구들을 ‘테크노애니미즘’이라 는 용어를 매개로 엮어내는 시도이다. 우선, 인류학의 존재론적 전환 논쟁 속에서 애니미즘을 새롭게 정의되는 과정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근대적 이성의 핵심인 기술과학의 실천 속에서 애니미즘의 요소들을 발굴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연구들을 논의한다. 그럼으로써 기술과학의 실천 속에서 사물의 생기를 복기하는 것이 가능한 지, 그리고 그것이 가능하다면 기술과학적 발견과 혁신에 애니미즘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 나아가 테크노애니미즘이 행성적 규모의 문제들에 대해 감각하는 능 력과 응답하는 능력을 기르는데 어떤 기여를 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특히, 이 연 구는 애니미즘의 창조적 잠재성을 보여주는 경험적 사례로 일본의 기술과학 실천에 서의 애니미즘에 초점을 맞추었다. ‘테크노애니미즘’이란 용어는 이미 일본의 애니 메이션, 신토, 및 미디어 아트의 분야에서 여러 연구자들을 통해서 주목받아온 용어 이자 현상이다. 이 연구가 기여하는 점은, 근대 기술과학의 핵심 장소인 실험실, 연 구소, 정보네트워크 등 기술과학의 실천의 현장을 테크노애니미즘을 통해 기술한다 는 점이다. 이를 통해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의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는 일본의 기술과학이 실천되는 현장 속에 애니미즘적인 요소들이 있다는 점, 둘째 는 과학 실천 속에서 기술로 매개되는 애니미즘적 요소들이 과학의 창조성에 기여 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셋째는 테크노애니미즘이 기후변화와 생물 대량멸종이라는 지구 행성적 문제에 대응하는 다원우주론의 정치를 제시한다는 점이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stablish a new direction for the phenomenon of animism that is unfolding in Anthropology and to use it as a foothold, to weave my previous research on the Japanese region with the term ‘techno-animism’. First, I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animism is newly defined within the debate of the ontological turn of Anthropology. Next, I discuss the existing research that can be used to discover elements of animism in technoscientific practice – the core of modern rationality. In this way, I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attribute vitality to things in technoscientific practice, and if so, how animism can contribute to technoscientific discovery and innovation, and further, how techno-animism can contribute to developing sensory and responsive capabilities regarding planetary-scale issues. ‘Techno-animism’ is a term and phenomenon that has received the attention of numerous researchers in various fields of Japanese animation, Shinto and media art.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lies in its discussion of the elements of techno-animism in the context of the key fields of technoscientific practice: the laboratories, research institutes, information networks, etc. In this wa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the animistic elements that are mediated by technology in the field of scientific practice can contribute to technoscientific creativity. Nest, techno-animism suggests pluriversal politics to respond to planetary-scale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and the mass extinction of organism.

      • KCI등재

        애딘버러 선교대회와 애니미즘 선교 ―애니미즘과 복음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을 중심으로

        장남혁 한국선교신학회 2010 선교신학 Vol.24 No.-

        1910년 에딘버러 선교대회는 8개 분과로 나뉘어서 진행되었다. 그 가운데 제4분과는 “비기독교 종교에 대한 선교 메시지” (The Missionary Message in Relation to Non-Christian Religions)를 다루었다(Stanley 2009: 33). 4분과는 20명으로 구성되는데, 그들은 각기 애니미즘, 중국 종교, 일본 종교, 이슬람교, 힌두교를 다루는 다섯 개의 하위 위원회 (sub-committee)로 나뉘어졌다 (Stanley 2009: 209-11). 각 하위 위원회의 의장이 자기 그룹에 해당되는 분야에 대해서 논의한 후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Stanley 2009: 211). 그리고 전체 의장인 케언즈 (Cairns)는 설문지 문항과 더불어 각 장의 결론과 전체 보고서에 대한 결론을 작성하였다 (Stanley 2009: 211-2). 4분과 위원회는 대회를 앞두고 선교단체 스태프들과 선교사들에게 설문지를 보내고 그 결과를 취합하였다. 185편의 응답서신을 받았는데 65편이 힌두교에 대한 보고서였고, 38편은 중국 종교, 29편이 이슬람, 28편이 일본 종교, 그리고 25편이 애니미즘적 전통 종교에 대한 응답서신이었다. 애니미즘적 전통 종교에 대한 답신들 가운데 14편이 아프리카로부터 온 것이고 5편이 네덜란드령 인도에서, 네 편이 인도와 미얀마에서, 그리고 라오스와 파라과이에서 각각 한 통이 왔다 (Friesen 1996: 8-9). 4분과에서 이슈가 된 것은 다른 종교를 신봉하는 자들을 어떠한 태도로 접근하느냐 하는 것이었다. 4분과 보고서는 전반적으로 많은 선교사들이 타종교에 대해서 발전시켜 온 공감적이고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주지만 (Cracknell 1995: 197-8), 그와 더불어 적대적이고 전투적이며 승리주의적인 태도 또한 찾아볼 수 있다. 4분과에 대한 현대 학자들의 관심은 다른 일곱 분과들에 대한 일반적인 무관심과 두드러지게 대조된다. 4분과의 주제를 다루는 관점에 따라서 그 당시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 극명하게 대조되는 진영들이 형성된다. 그러한 사실은 오늘날까지 그 주제가 얼마나 주요한 핵심 쟁점인지를 잘 말해준다 (Stanley 2009: 245). 아프리카 교회 출신의 일부 신학자들은 4분과 보고서가 전통 종교들에 대해서 매우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낸 것으로 보고 매우 비판적으로 평가하지만, 대다수 학자들은 그 보고서가 타종교에 대한 이해와 공감적 관계 (sympathetic rapprochement)를 촉진시키는 종교 신학을 태동시켰다고 본다 (Friesen 1996: 5). 4분과 보고서 가운데 특히 애니미즘을 다루는 부분은 애니미즘과 복음 사이의 연속성을 강조하고 접촉점에 대한 논의를 활성화시킨 점에서 종교신학적으로 크게 기여하였다. 하지만 애니미즘 선교가 애니미즘과 성경적 관점 양쪽 모두에 대해서 충실한 것이 되려면, 연속성과 아울러서 불연속성을 분별적으로 바라보고 접근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필자는 복음과 애니미즘 사이의 연속성과 불연속성의 올바른 조합을 이루는 접근법을 4분과 보고서의 소수 견해 가운데 찾아볼 수 있었다. 상기 보고서의 애니미즘 부분은 애니미즘을 “영들에 대한 신앙”으로 규정하는 타일러(E. B. Tylor)의 정의로 시작된다 (RC IV 1910: 6; Friesen 1996: 33). 타일러는 애니미즘 이론을 크게 두 영역으로 나누었다. 첫째는 죽음 혹은 몸의 파멸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생존할 수 있는 개별적 피조물의 영혼에 관한 것이고, 둘째는, 능력 있는 신들의 계급을 형성하는 다른 영들에 관한 것이다 (RC IV 1910: 6). 요하네스 워넥(Johannes Warneck) 또한 애니미즘에 대해서 타일러와 유사한 정의를 내린다. “애니미즘은 영혼 숭 ... The Edinburgh 1910 Missionary Conference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approach regarding other religions for the Protestant Church. Before the conference, the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ians and missionaries tended to take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Most of them had emphasized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ospel and other religions. But coming out of the conferenc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took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other religions. The fulfillment theory, which became the dominant theory related to other religions at that time period, has been given great credit for bringing about such change. According to the fulfillment theory, God's revelations are left in fragments within other religions. And those fragmentary yearnings of other religions can be completed or fulfilled only by abiding to the Christian faith.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fulfillment perspective, missionaries tried to find similar phenomena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They tried to find points of contact in order to evangelize the peoples of other religions. According to the report of Commission IV, “The Missionary Message in Relation to Non-Christian Religions,” the points of contact are the following; the Supreme Deity, the immortality of the souls and the life after death, sacrifice, rudimentary consciousness of morality and the dim consciousness of sin, prayer to the chief Spirit, and finally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their community. However emphasizing only the similarities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is not enough,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remain vivid. Even though the fulfillment theory grea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points of contact for evangelistic purpose, it was also proved to have weak points. As the fulfillment theory tended to overemphasize the continuity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it was sometimes unable to clarify the differences. The spirit world of animism is very similar to the biblical perspective. However appropriating the similar aspects between them is not enough in propagating the Gospel. In proclaiming the Gospel, one has to emphasize the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m. If differences are not discerned or clarified in the process of evangelizing the animists, the new believers might be lured into the syncretism, or fall prey to heretical movements. Usually in converting to Christian faith, the new believers with animistic backgrounds tended to come in groups. In the process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sources of power of former belief and the new one is inevitable. Without such a confrontation, the newly converted usually tend to backslide into their former beliefs. And that is why in evangelizing the animists, the preachers need to discern the continuity as well as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animism and the Gospel. In the report of commission IV, the dominant view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fulfillment theory. It tended to emphasize the continuities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while it failed to accentuate the differences or the discontinuities between them. However, the minor view in the report submitted by Johannes Warneck and the Lutheran pietistic missionaries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the continuities and the discontinuities. According to Warneck, the point of contact is like a nail in the wall. The nail itself is useful to hang a picture, yet the pi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nail. According to him, the points of contact are convenient tools for propagating the Gospel. They do not have to be similar phenomena to other religions which has to be completed in the Christian faith. Furthermore, the minor view emphasizes that missionaries should be prepared to nurture the new converts with the Word of God, without which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from animism to the biblical ones would not occur. In that case, the new religion will only degenerate into another form of animism. Nowadays, animistic religions reappear with ne...

      • KCI등재

        감성의 형성 : 일본인의 감성과 애니미즘 -일제강점기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정승운 ( Seung Un Jeong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한국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일본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비교문학적으로 고찰하고, 특히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에게 이식된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발현되었는 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감성과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다른 가를 논했다. 연구방법은 애니미즘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의 민속학적 연구”다. 모노노아와레(物のあわれ)에서의 모노(物)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다. 아와레는 두 가지의 뜻이 있다. 하나는 아와레(哀れ, 憐れ)로서 “애처로움. 가엾음. 불쌍함. 딱함. 가련함. 초라함. 비참함.”의 뜻과 또 하나는 앞파레(あっぱれ, 天晴れㆍ남)로 “훌륭함. 장함. 눈부심. 갸륵함.”의 뜻이다. 모토오리 노리가나는 아와레(阿波禮)라는 마음은 단지, “하늘이 개었다는 즐거움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때의 그 여러 신들의 마음을 보아야 할 것이다. 아와레는 비단 즐거움만의 형용이 아니다. 재미있음, 즐거움 등은 모두가 문학의 특질을 규정하는 중요한 말이고, 나아가 아와레는 일본문학의 본질이다. 명랑ㆍ활달ㆍ청명하고 정직하다는 의미”라 하였다. 모노노아와레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 기쁘거나 슬퍼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슬프다(かなしい)”는 형용사가 “悲しい/▽哀しい/▽愛しい”(三省堂『大辭林 第二版』)와 같이 悲ㆍ哀ㆍ愛라는 세 가지 한자가 함께 쓰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의인법이나 활유법에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애니미즘이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니미즘이 한국에서는 의인법으로, 일본에서는 활유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일본문학에 내재된 애니미즘은 일제강점기 한국근대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정지용이 말한 Incarnation은 신적인 존재가 인간의 육체 안으로 들어와서 인간 가운데 거하는 것은 일본문학의 언령(言靈)신앙과 일치한다. 시인은 언령(言靈)신앙을 통해 영혼과 교감하여 무생물과 언어에 생명을 부여하는 Life Giving을 하고 있다. 문학에서 보이는 한국적인 감성은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 중심적 표현이고, 일본적인 감성은 애니미즘을 기반으로 하는 모노 (物)중심적 표현이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일본문학은 천신과 지신을 제사지내는 제사문학이다. 최재서가 조선인이 일본인이 되기 위해서는 천신과 지신을 받들어 모시는 정신을 기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고는 하더라도, 최재서의 “일본문학 제사문학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중요한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적인 주체가 인간과 동등하게 무생물일 수 있다는데 대해 일본인은 이상하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이 꽃에 물을 주면서 몇 시간씩이나 꽃과 이야기한다면 정신이 이상한 사람으로 보지만, 일 본인은 전혀 그렇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현대인들이 외롭거나 우울할 때 쇼핑을 하거나 물건을 훔쳐서 위안을 삼는 것을 볼 때 물건을 동격으로 보느냐 하등한 것으로 보느냐의 차이일 뿐 모두 애니미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의 감성은 서구의 이성과 감성의 이분법보다 애니미즘에 기반을 둔 모노(物)와의 영혼 교감으로 표현되는 데 비해, 한국인의 감성은 인간 중심의 샤머니즘에 기반을 두고 발현된다고 할 수 있다. 정지용의 이미지즘시는 일본의 애니미즘시의 틀에 한국적인 감성을 얹어 놓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discusse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ensibilities by examining “what Japanese sensibility is?” in term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order to recognize “what Korean sensibility is?”. The primary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folklore studies of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term, animism. Mono in Monoaware includes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 Aware means two things: one includes “miserable,” “poor,” “wretched,” “pathetic,” “shabby,” ; the other (apare) “wonderful,” “splendid,” “bright,” “virtuous”. Motoori norigana says that mind as aware is not the delight which comes when the sky is bright, but the minds of various gods. Aware is not merely the adjective of delight, but also includes the meanings of literary quality like happiness and pleasure; it further represents the essence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consists of cheerfulness, activeness, clearness, and honesty”. Mononoware can be defined as sadness and delight in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s. it is remarkable that in the Japanese Language the adjective “sad” is used along with the thre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悲, 哀, 愛). It can be said that animism is included in personification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nimism is used as personification in Korea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in Japan respectively. Animism connoted in Japanese Literature had a great effect upon the Korean Literat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 incarnation Chung Jiyong once mentioned means that a divine entity staying in human flesh concords wit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of Japanese Literature. Poets communicates with spirits throug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supplying animals and plants with life. Korean sensibility in literature, based upon shamanism, is an anthropocentric expression, while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primarily consists of expression of things as they are. Japanese Literature is sacrificial rite which pays tribute to the gods in both the heaven and the earth. Choi Jaeseo once said that Koreans should cultivate the spirit paying respect to the gods in the heaven and earth in order to become Japanese people. Admitting that he said it under the circumstances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is literary theory of Japanese Literature as a sacrificial rite show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The fact that spiritual subject can be identified with animals and plants is acceptable to Japanese without hesitation. Koreans who converse with flowers for hours by providing them with water might be considered to be insane; however, Japanese who do the same thing looks natural. But modern people including Korean go shopping and steal something to ease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se activities tell us that ordinary people are not free of animism,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looking at things.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rather than western dichotomy of reason and emotion, is expressed in the way of spiritual communication with things; Korean sensibility is expressed with it basis on humanistic shamanism. Imagimistic poetry of Chung Jiyong might be the result of Japanese animism poetry with a mixture of Korean sensibility.

      • KCI등재

        발 플럼우드의 철학적 애니미즘 연구 : 장소에 기반한 유물론적 영성 개념을 중심으로

        유기쁨 종교문화비평학회 2022 종교문화비평 Vol.42 No.42

        Val Plumwood(1939~2008) was an Australian leading ecological philosopher who criticized the dominant view of dualism and the human-centered worldview at the root of Western culture. In particular, Plumwood found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e harmful effects of the chronic material/ spirituality dichotomy of Western culture in animism captured in the religious culture and lifestyle of Aboriginal Australians. Plumwood’s philosophical animism reminds us that the world is not a human arena and that other non-human actors are forming complex networks, and asks us to establish conversational relationships with various actors in the world . In this paper, I analyze the ‘Philosophical Animism’ proposed by Val Plumwood focusing on the “materialist spirituality of place”, and examine the meaning of her discussion to us living in an era of ecological crisis. In Chapter II, under the title of ‘Return of the non-human’, Plumwood's Philosophical Animism is compared with the discussion of ‘Old Animism’ from a modern perspective and the ‘New Animism’. Chapter III examines Plumwood's discussion of the ‘materiality’ shared by the human and nonhuman worlds, under the premise of ‘materialistic spirituality’ to overthrow deep-rooted dualistic thinking. In particular, I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utility of Plumwood's strategy of focusing discussions on the ‘natural world’, unlike the general trend of New Materialisms that blurs the boundary between nature and culture, emphasizing the actor's powerful influence in this world. Chapter IV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non-human nature in Plumwood’s works, focusing on the concept of death and food, and pays attention to the differentiation of Plumwood's discussion compared to the deep ecologist Arnes Naess. Chapter V attempts to interpret Plumwood's discussion emphasizing the connection with the place in terms of understanding the capitalist world. 발 플럼우드(Val Plumwood, 1939~2008)는 서구 문화의 근저에 자리한 이원론과 인간중심적 세계관의 지배 관점을 비판한 호주의 대표적인 생태철학자이다. 그는 호주 원주민의 종교문화와 생활방식에서 포착되는 애니미즘에서 서구문화의 고질적인 물질/영성의 이분법적 사유의 폐해를 극복하고 세계와 관계 맺을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했다. 이 글에서 나는 플럼우드가 비인간 자연과의 공존을 적극적으로 모색하면서제안한 철학적 애니미즘 논의의 주요 쟁점을 물질성, 영성, 먹이, 죽음, 장소의영성, 탈자본주의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을 시도했다. II장에서는 ‘비인간의귀환’이라는 제하에 근대적 시각에서 이루어진 ‘낡은 애니미즘(old animism)’ 논의, 일부 학자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일어나는 ‘새로운 애니미즘(new animism)’ 논의와 비교해서 플럼우드의 철학적 애니미즘의 특징을 분석했다. III장에서는뿌리 깊은 이원론적 사유의 전복을 위하여 인간과 비인간 세계가 공유하는 ‘물질성’에 주목하는 플럼우드의 논의를 ‘유물론적 영성’이라는 제하에 살펴보았다. 특히 이 세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는 사물의 행위자성을 강조하면서 이른바 자연과 문화의 경계를 무화하는 새로운 유물론 논의의 일반적 경향과는 달리, ‘자연 세계’에 논의를 집중하는 플럼우드의 전략의 특징과 효용에 대한 분석을시도했다. IV장에서는 ‘먹고 먹히는 세계’라는 제하에 죽음과 먹이 개념을 중심으로 플럼우드에게서 나타나는 인간과 비인간 자연의 관계성을 살피되, 심층생태학자 아느 네스와 비교하여 플럼우드의 논의의 차별성에 주목하였다. V장에서는장소와의 연결을 강조하는 플럼우드의 논의를 탈 자본주의적 세계 이해라는 측면에서 해석을 시도했다. 플럼우드는 영과 물질을 대립적인 것으로 여기는 서구문화의 고질적인 이원론을 거부하면서, 지상의 것과 물질적인 것을 긍정하고 인간과 비인간 세계의 연결을 강조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유물론적 영성’이란 개념을 전략적으로 내세웠다. 또한 애니미즘을 새롭게 소환해서, 지구에는 인간 이외에도 자신의 영향력을 발휘하며 저마다 역할을 하는 다양한 비인간 행위주체들이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생태학적 세계 속에서 신체화된 모든 존재는 다른 존재를 위한 먹이가된다고 역설하면서, 죽음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순환을 긍정적으로 조명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플럼우드는 인간이 비인간 타자와 연대하고 ‘함께 서기’ 위한철학적 단초를 제시하려 했던 것이다. 나아가 그는 비인간 자연의 수많은 타자들이 저마다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서로 관계 맺는 세계에 대한 생태학적 감수성을계발하기 위해, 현실의 장소에 대한 경험적이고 감정적인 접근 뿐 아니라 자본주의적 공간관에 저항하는 비판적 접근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플럼우드가 제안한 철학적 애니미즘은 이 세계가 인간의 독무대가 아니며 또다른 비인간 행위주체/행위자/배우들이 복잡한 관계망을 형성하고 있다는 점을우리에게 환기시키며, 이 세계의 다양한 배우들과 대화적인 관계를 수립할 것을우리에게 요청한다.

      • KCI등재후보

        일본인의 감성과 애니미즘 -일제강점기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정승운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09 호남학 Vol.0 No.45

        “한국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인식하는 하나의 방법으로서 “일본인의 감성이란 무엇인가?”를 비교문학적으로 고찰하고, 특히 일제강점기에 한국인에게 이식된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발현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한국인의 감성과 일본인의 감성이 어떻게 다른가를 논했다. 연구방법은 애니미즘이라는 용어를 중심으로 하는 ‘문학의 민속학적 연구’다. 모노노아와레(物のあわれ)에서의 모노(物)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다. 아와레는 두 가지의 뜻이 있다. 하나는 아와레(哀れ, 憐れ)로서 “애처로움. 가엾음. 불쌍함. 딱함. 가련함. 초라함. 비참함.”의 뜻과 또 하나는 앞파레(あっぱれ, 天晴れㆍ遖)로 “훌륭함. 장함. 눈부심. 갸륵함.”의 뜻이다. 모토오리 노리가나는 아와레(阿波禮)라는 마음은 단지, “하늘이 개었다는 즐거움으로만 볼 것이 아니라, 그때의 그 여러 신들의 마음을 보아야 할 것이다. 아와레는 비단 즐거움만의 형용이 아니다. 재미있음, 즐거움 등은 모두가 문학의 특질을 규정하는 중요한 말이고, 나아가 아와레는 일본문학의 본질이다. 명랑ㆍ활달ㆍ청명하고 정직하다는 의미”라 하였다. 모노노아와레는 人間靈 이외의 즉 동물, 식물, 무생물의 精靈이 기쁘거나 슬퍼함을 뜻한다고 할 수 있다. 일본어에서 ‘슬프다(かなしい)’는 형용사가 ‘悲しい/▽哀しい/▽愛しい’(三省堂「大辞林 第二版」)와 같이 悲ㆍ哀ㆍ愛라는 세 가지 한자가 함께 쓰인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의인법이나 활유법에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애니미즘이 들어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애니미즘이 한국에서는 의인법으로, 일본에서는 활유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일본문학에 내재된 애니미즘은 일제강점기 한국근대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정지용이 말한 Incarnation은 신적인 존재가 인간의 육체 안으로 들어와서 인간 가운데 거하는 것은 일본문학의 언령(言靈)신앙과 일치한다. 시인은 언령(言靈)신앙을 통해 영혼과 교감하여 무생물과 언어에 생명을 부여하는 Life Giving을 하고 있다. 문학에서 보이는 한국적인 감성은 샤머니즘을 기반으로 하는 인간중심적 표현이고, 일본적인 감성은 애니미즘을 기반으로 하는 모노(物)중심적 표현이 주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일본문학은 천신과 지신을 제사지내는 제사문학이다. 최재서가 조선인이 일본인이 되기 위해서는 천신과 지신을 받들어 모시는 정신을 기르지 않으면 안 된다고 하고 있는 바와 같이, 비록 일제강점기라는 시대적 상황에 굴복할 수밖에 없다고는 하더라도, 최재서의 ‘일본문학 제사문학론’은 한국인과 일본인의 중요한 차이점을 시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영적인 주체가 인간과 동등하게 무생물일 수 있다는데 대해 일본인은 이상하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한국인이 꽃에 물을 주면서 몇 시간씩이나 꽃과 이야기한다면 정신이 이상한 사람으로 보지만, 일본인은 전혀 그렇게 보지 않는다는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의 현대인들이 외롭거나 우울할 때 쇼핑을 하거나 물건을 훔쳐서 위안을 삼는 것을 볼 때 물건을 동격으로 보느냐 하등한 것으로 보느냐의 차이일 뿐 모두 애니미즘에서 자유롭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의 감성은 서구의 이성과 감성의 이분법보다 애니미즘에 기반을 둔 모노(物)와의 영혼 교감으로 표현되는 데 비해, 한국인의 감성은 인간 ... This paper discusses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sensibilities by examining "what Japanese sensibility is?" in terms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order to recognize "what Korean sensibility is?". The primary research methodology consists of folklore studies of literature by focusing on the term, animism. Mono in Monoaware includes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 Aware means two things: one includes "miserable," "poor," "wretched," "pathetic," "shabby,"; the other (apare) "wonderful," "splendid," "bright," "virtuous". Motoori norigana says that mind as aware is not the delight which comes when the sky is bright, but the minds of various gods. Aware is not merely the adjective of delight, but also includes the meanings of literary quality like happiness and pleasure; it further represents the essence of Japanese literature which consists of cheerfulness, activeness, clearness, and honesty". Mononoware can be defined as sadness and delight in the spirits of animals and plants excluding human spirits. it is remarkable that in the Japanese Language the adjective "sad" is used along with the three different Chinese Characters (悲, 哀, 愛). It can be said that animism is included in personification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Animism is used as personification in Korea and living way of expression in Japan respectively. Animism connoted in Japanese Literature had a great effect upon the Korean Literature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The incarnation Chung Jiyong once mentioned means that a divine entity staying in human flesh concords wit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of Japanese Literature. Poets communicates with spirits through the faith in the language spirit, supplying animals and plants with life. Korean sensibility in literature, based upon shamanism, is an anthropocentric expression, while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primarily consists of expression of things as they are. Japanese Literature is sacrificial rite which pays tribute to the gods in both the heaven and the earth. Choi Jaeseo once said that Koreans should cultivate the spirit paying respect to the gods in the heaven and earth in order to become Japanese people. Admitting that he said it under the circumstances of Japanese colonial rule of Korea, his literary theory of Japanese Literature as a sacrificial rite shows an important difference between Koreans and Japanese. The fact that spiritual subject can be identified with animals and plants is acceptable to Japanese without hesitation. Koreans who converse with flowers for hours by providing them with water might be considered to be insane; however, Japanese who do the same thing looks natural. But modern people including Korean go shopping and steal something to ease their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se activities tell us that ordinary people are not free of animism,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looking at things. Japanese sensibility, based upon animism rather than western dichotomy of reason and emotion, is expressed in the way of spiritual communication with things; Korean sensibility is expressed with it basis on humanistic shamanism. Imagimistic poetry of Chung Jiyong might be the result of Japanese animism poetry with a mixture of Korean sensibility.

      • KCI등재

        아이누의 사냥과 애니미즘

        김미숙(Misook K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신앙 체계(자연관)와 야생동물을 바라보는 인식과 시선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홋카이도 선주민족인 아이누의 애니미즘적 자연관을 중심으로 전통사냥 형태와 의례 등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애니미즘과 야생동물에 대하여 간략하게 배경을 설명하였고, 홋카이도 아이누의 자연관과 사냥 과정 및 의례에서 나타난 애니미즘적 모습을 고찰하였다. 아이누는 애니미즘적 믿음 체계를 중심으로 동식물을 비롯한 모든 사물을 ‘신이 인간을 위하여 주신 선물’, ‘인간세계와 신의 세계를 연결하는매개체’ 등으로 인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사냥 절차나 소비 형태, 의례 등도 신의 세계와 인간세계를연결하여 다양한 이야기와 전통문화를 만들었다. 이는 아이누의 동물에 대한 신앙 체계뿐 아니라 생활문화양식 등을 이해하고, 더 나아가 인간과 야생동물과의 공생을 위한 사상적 지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elief system (natural view) and the perception and gaze of wildlife, focusing on examining traditional hunting forms and rituals in the Animistic natural view of Ainu, a Hokkaido indigenous people. First, the background of animism and wildlife was briefly explained. The natural view of Hokkaido Ainu and the animistic appearance of the hunting process and rituals were considered. Ainu recognized all objects, including animals and plants, as gifts God gave for people and a medium connecting the human and divine worlds. Based on this, hunting procedures, consumption patterns, and rituals have also connected the world of God and the human world to create various stories and traditional cultures. This will help to understand not only the belief system of the animals of Ainu but also their life and cultural styles, and it will further cultivate ideological knowledge for symbiosis between humans and wildlife.

      • KCI등재

        애딘버러 선교대회와 애니미즘 선교

        장남혁(Jang,Nam-hyuck) 한국선교신학회 2010 선교신학 Vol.24 No.-

        The Edinburgh 1910 Missionary Conference marked the beginning of a new approach regarding other religions for the Protestant Church. Before the conference, the traditional Protestant theologians and missionaries tended to take the negative attitudes toward other religions. Most of them had emphasized onl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ospel and other religions. But coming out of the conferenc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took the positive attitudes towards other religions. The fulfillment theory, which became the dominant theory related to other religions at that time period, has been given great credit for bringing about such change. According to the fulfillment theory, God's revelations are left in fragments within other religions. And those fragmentary yearnings of other religions can be completed or fulfilled only by abiding to the Christian faith. Through the influence of the fulfillment perspective, missionaries tried to find similar phenomena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They tried to find points of contact in order to evangelize the peoples of other religions. According to the report of Commission IV, “The Missionary Message in Relation to Non-Christian Religions,” the points of contact are the following; the Supreme Deity, the immortality of the souls and the life after death, sacrifice, rudimentary consciousness of morality and the dim consciousness of sin, prayer to the chief Spirit, and finally respect for human beings and their community. However emphasizing only the similarities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is not enough, a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remain vivid. Even though the fulfillment theory greatly contributed to establishing points of contact for evangelistic purpose, it was also proved to have weak points. As the fulfillment theory tended to overemphasize the continuity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it was sometimes unable to clarify the differences. The spirit world of animism is very similar to the biblical perspective. However appropriating the similar aspects between them is not enough in propagating the Gospel. In proclaiming the Gospel, one has to emphasize the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m. If differences are not discerned or clarified in the process of evangelizing the animists, the new believers might be lured into the syncretism, or fall prey to heretical movements. Usually in converting to Christian faith, the new believers with animistic backgrounds tended to come in groups. In the process the confrontations between the sources of power of former belief and the new one is inevitable. Without such a confrontation, the newly converted usually tend to backslide into their former beliefs. And that is why in evangelizing the animists, the preachers need to discern the continuity as well as the discontinuity between the animism and the Gospel. In the report of commission IV, the dominant view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fulfillment theory. It tended to emphasize the continuities between animism and the Gospel, while it failed to accentuate the differences or the discontinuities between them. However, the minor view in the report submitted by Johannes Warneck and the Lutheran pietistic missionaries maintained a good balance between the continuities and the discontinuities. According to Warneck, the point of contact is like a nail in the wall. The nail itself is useful to hang a picture, yet the picture is quite different from the nail. According to him, the points of contact are convenient tools for propagating the Gospel. They do not have to be similar phenomena to other religions which has to be completed in the Christian faith. Furthermore, the minor view emphasizes that missionaries should be prepared to nurture the new converts with the Word of God, without which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s from animism to the biblical ones would not occur. In that case, the new religion will only degenerate into another form of animism.

      • KCI등재

        2000년대 사극영화의 신화적 속성 연구 : 프라이의 대위법적 양식이론과 애니미즘 개념으로 본 <명량>, <안시성>, <황산벌>

        양윤모 ( Yang¸ Yun-mo ),이효인 ( Yi¸ Hyo-i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21 아시아영화연구 Vol.14 No.3

        이 글은 2000년대 이후 한국 사극영화들을 현대적 신화의 입장에서 보고자 한다. 특히 현대의 일부 사극영화들이 그 사회의 신화로서 기능하고 있다는 특질에 주목하였는데, <명량>, <안시성>, <황산벌> 세 작품을 대상 작품으로 삼았다. 선정의 이유는, 세 작품 모두 전근대시대 나라의 명운이 걸린 전쟁을 배경으로 하는 영웅서사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한 나라의 신화’라는 속성에 비춰 생각해볼 여지가 충분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방법으로는 각 작품의 서사양식을 분석하면서 작품의 미학적인 특징과 현대사회의 신화라는 사회문화적 특징의 연결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여기에 유용하게 활용된 것은 노스럽 프라이의 ‘역사비평-양식의 이론’이었다. 사극에서 신화적 성격이 구축되는 것은 현대 사회에서 신화적 역할을 하는 사극의 고유한 기능과 그 속에 들어있는 물신으로서 애니미즘의 지원을 받아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명량>, <안시성>, <황산벌>의 인물들을 분석하면서, 주인공을 중심으로 작품의 주조를 이루는 서사양식은 하나일 수 있지만 다른 주변인물들을 통해서 혹은 주인공 캐릭터가 묘사되는 다층적인 측면을 통해 다른 여러 서사양식들이 한 작품 내에 공존하면서 순환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서사양식의 이런 순환과 공존의 속성을 바탕으로 현대 사극영화들이 신화와 사실주의를 결합해내는 방법을 찾아보았다. ‘전위’(轉位, displacement)라고도 할 수 있는 이 방식을 <명량>, <안시성>, <황산벌>에서 살펴보니 공통적으로 그것은 애니미즘이라는 미학적 전략의 활용이었다. 이 애니미즘은 <명량>에서는 울돌목, <안시성>에서는 장궁, <황산벌>에서는 인간장기를 통해 각각 표현되었다. 이들을 통해 애니미즘이 전위 역할을 하며, 실제 역사를 다룬 사극영화에 신화적 분위기를 창출함과 동시에 이들 사극영화가 현대사회의 신화로 기능하는 데 기술적으로 기여하고 있음을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ee Korean historical films in the 2000s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myths. In particular, paying attention to the characteristic that some contemporary historical films function as myths in the society, < Roaring Currents >, < The Great Battle >, < Once Upon a Time in the Battlefield >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As the method, while analyzing the narrative style of each work, it was trying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aesthetic characteristic of the works and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 of the myth of modern society. What was useful here was Northrop Frye’s “Historical Criticism: Theory of Modes.” Analyzing the characters of those three films, it was confirmed that although there may be one main narrative style(‘mode’) focusing on the main character, several other narrative styles can coexist and circulate in one work through other characters or through multi-layered aspects in which the main character is depicted. Based on this attribute of circulation and coexistence, I tried to find a way that modern historical films combine myth and realism. Looking at this method, which can also be called “displacement”, in the three films, it was the use of an aesthetic strategy called “animism” in common. This animism was expressed through ‘Uldolmok’, ‘the great bow’, and ‘the human chess game’. Through them, it was found that animism acting as ‘displacement’ creates a mythical atmosphere in historical films dealing with actual history,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s technically to these historical films functioning as myths in modern society.

      • KCI등재
      • KCI등재

        미야자키 하야오의 신도적 애니미즘 연구

        조혜정(Cho Hye Jung) 한국영화학회 2015 영화연구 Vol.0 No.66

        본 논문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 작품 <이웃집 토토로>(1988)와 <모노노케 히메>(1997) 그리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을 일본신도의 가미신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신도는 일본의 전통종교로서 그들의 문화적 뿌리이자 생활습속이다. 그들의 삶에 있어 가미, 즉 신은 유일하거나 완전한 신이 아니라 다양하고 변덕스러우며 기괴하기까지 한 존재이다. 일본의 신 가미는 신이(神異)적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으며 동물, 식물, 무생물에 이르기까지 신격이 부여된다. 녹나무 (<이웃집의 토토로>), 시시가미, 타타리가미(이상 <모노노케 히메>), 오물신, 가오나시(이상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가미들과 토토로, 고다마, 마쿠로 쿠로스케 같은 정령이나 먼지검댕이에도 생명을 불어넣음으로써 인간중심사고에서 벗어나 애니미즘에 닿아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세계는 보통 생태주의적 관점, 생명사상을 키워드로 하여 분석된다. 이러한 관점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특히 그의 자연관을 설명하는 키워드로서 중요하지만, 일본인의 근원적 심상을 형성하는 신도적 애니미즘 가미신앙과의 관계는 조명되지 않았다. ‘일본적 색채’가 두드러진 하야오의 세 작품(<이웃집 토토로> <모노노케 히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타나는 가미신앙은 일본인의 근원적 심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것이 미야자키 하야오의 자연관을 형성하는 한 축임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단적인 예가 바로 ‘신도의 숲’ 이다. 신도의 숲은 ‘그냥 식물의 집합이 아니라 숲이 정신적인 의미를 갖던 시절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고, 그 곳은 ‘시시가미’가 존재하는 바로 생명의 숲, 치유와 회복을 위한 힘의 근원으로서의 숲, 시원(태고)의 숲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하야오는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에 의한 파괴에도 불구하고 생명을 키우고 존재케 하며 치유하는 숲을 작품의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하야오의 작품에서 숲은 가미와 정령들이 머무르는 신화적이고 신성한 공간으로 자리 잡는다. 이러한 작업은 조화로운 생태,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영원한 테마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유효하다. 자연을 인간중심적으로 바라보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대한 존중을 통하여 자연과 인간의 화해와 공존이 가능하다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생각은 모든 물체 안에 영(靈)이 존재한다고 믿는 신도(神道)의 사상과 자연스럽게 만나기 때문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ree works of Miyazaki Hayao such as My Neighbor Totoro, Princess Mononoke and Spirited Away from a Kami-belief perspective of Japanese Shintoism. Shintoism is a folk religion of Japan and it is their cultural roots and the customs of their lifestyles. In their life, Kami(Japanese God) is not a single or complete god, but varies and they are fickle and even bizarre. Kami are frequently described as god-like and they exist as animals, plants and even inorganic materials. In addition to gods such as the tsukamori tree (My Neighbor Totoro), Sisikami the forest god and Tatarikami the disastrous (The Princess Mononoke), and Okusarekami and Kaonashi (Spirited Away), as well as spirits such as Totoro, Kodama and Makuro Kurosuke, as well as giving life to dust soot, make this go beyond being human-centered, and reaches animism. Miyazaki Hayao’s world is commonly analyz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using the keyword of idea of life. While this perspective is important as a keyword that explains Miyazaki Hayao’s world and especially his outlook on nature, the relationship with Shinto animism(Kami-belief) that forms the fundamental imagery of Japanese people has not yet been given attention. Kami-belief that appears in the three pieces of Hayao (My Neighbor Totoro, The Princess Mononoke, and Spirited Away) that shows ‘Japanese colors’ can help not only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imagery of Japanese people, but analysis showed that this was an axis that formulates Miyazaki Hayao’s outlook on nature. One example is the ‘Shintos’ Forest’. The Shintos’ Forest is associated with not only a group of plants, but ‘the image of a time when forests had a spiritual meaning’. This was the forest of life where the Forest God Sisikami existed, the forest that was the foundation for healing and recovery, and the forest of the beginning. Therefore, Hayao used the forest that made and healed life despite being destroyed by the selfish greed of humans as the main character of his works. In his works, forests are mythical and holy places where Kami and spirits live. Such work is an effective approach method for Miyazaki Hayao’s eternal theme of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ecology, nature and humans. His belief that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is possible through respect of nature rather than seeing and interpreting nature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naturally comes in touch with the Shintoism that says there are spirits in all th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