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알로이스 리글의 ‘장식론’ 고찰

        한혜경(Han Hye Kyeong)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4 문화예술콘텐츠 Vol.- No.12·13

        비엔나학파의 중심인물인 오스트리아의 미술사학자 알로이스 리글(Alois Riegl, 1858~1905)의 장식론을 고찰한 이 논문은 장식(Ornament)의 미적가치를 재고함에 목적을 둔다. 19세기 영국에서 일어난 미술공예운동의 확산으로 장식에 관한 수많은 논의들이 제기된 가운데, 리글의 장식론은 ‘장식’을 고급미술과 동등한 반열에 올리기 위한 근거마련의 시도로 주목된다. 리글의 장식연구는 ‘양식론’ 구축을 위한 방법이자 토대로, 19세기 유럽지성사를 배경으로 형성되었다. 개개의 작품에 대한 실증적이고 경험적인 관찰을 통해 예술현상과 그 배후의 본질을 추구한다. 『양식의 문제 Stilfragen』(1893)과 『후기로마공예 Spätrömische Kunstindustrie』(1901)는 이와 같은 태도가 결집된 그의 대표저작이다. 기능, 목적, 재료로 장식의 발생을 설명한 젬퍼와 젬퍼리안의 기계론적 유물론에 대항해, 리글은 예술형성에 있어서의 인간의 창조적 자율성에 정당한 가치를 부여했다. 경험적인 방식으로 구축한 그의 미술사는 ‘양식비교’와 ‘형식분석’을 통해 예술작품과 그 배후의 ‘예술의욕(Kunstwollen)’, 즉 인간의 선천적인 내적·정신적 측면의 형식충동을 입증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장식이론을 통해 싹튼 ‘예술의욕’ 개념은 초기에는 심리학적 색채를 띄었지만, 후기에 와서는 비모방적인 재현으로서의 장식, 구조적 상징으로서의 장식의 발생과 발전을 관장하는 목적론적 개념으로 정착하게 된다. 결국, 예술의욕은 예술발전의 원리들을 관장하는 지배원리이자 예술에 내재하는 실질적인 힘, 다시 말해 내적 필연성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theory of Ornaments of Alois Riegl(1858~1905), who was an Austrian art historian and leading figure of Vienna School. Its goal is to discover and to analyze the aesthetic value of ornament. In 19th century, lots of discussion on ornaments were introduced in accordance with the proliferation of the Art&Crafts Movement which was oriented in Britain, Riegl’s theory of Ornaments was an attempt to raise ‘Ornament’ to the equal level of Major Art. Riegl’s study on Ornament, shaped with 19th century’s intellectual atmosphere, was a ground as well as a method to establish the theory of style. It seeks the intrinsic background and any artistic phenomenon of each work of art through corroborative and empirical observation. The two representative works of his study, Stilfragen(1893) and Spätrömische Kunstindustrie(1901) give us a clear view on his theory and study. In two works, He endowed due value on the creative freedom against the G. Semper and Semperian’s artistic materialism which explained the origin of ornaments with its purpose, function and material. His history of art, which was constructed through reductive and empirical methods to secure objectivity, was the work of proving the artistic volition(kunstwollen) behind a work of art with formanalysis as its method. He regard the artistic volition as the formal impulse in the aspect of human nature and mentality. At the early stage, this concept of ‘artistic volition’ was apt to be a part of psychology, but later it took root as a theological concept which took charge of origin and development of ornaments as a non-mimetic represenrtation and structual symbolism. this concent. As a result, this theological concept was accepted as a dominating principle in the development of arts and practical power existingin arts, that is inner necessity.

      • KCI등재

        리글의 예술의지 이론 ― 이중적 무한 개념을 중심으로

        손지민 ( Son Jimi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人文論叢 Vol.77 No.4

        알로이스 리글이 주창한 ‘예술의지’는 주로 각 시대의 문명이 부여하는, 특수한 사회 전반의 조건들을 반영하여 표출되는 특정 개인과 집단의 의지로 정의되곤 한다. 그의 예술의지 이론은 그의 저작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적 중요성을 갖지만 동시에 언급되는 경우가 매우 적다. 이 모호성은 그의 예술사학의 영역이 예술작품의 태동의 순간에 영향을 끼친 모든 것과 관찰될 수 있는 모든 단서를 아우르는, 그 지평선들을 명확히 규정할 수 없고 계속해서 내적인 변화를 거치며 영구히 심화, 확장되는 영역이라는 점에 기인한다. 그러므로 리글의 예술의지 개념을 명료화 하는 일은 그의 예술사학이 대상으로 삼는 ‘영역’을 더욱 구체화하는 과정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리글이 이 영역을 두 무한 개념을 통해 설명했다는 사실에 집중하려 한다. 다시 말해, 리글의 이론에서 예술사학의 영역은 가장 작은 ‘미립자적 무한’과 가장 넓은 ‘관계적 무한’ 사이의 긴장관계에 작가가 조형적으로 개입하는 계기가 드러나는 모든 실증될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Aloïs Riegl of the Vienna School has been often hailed as a scholar who established and solidified the most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foundation of Art History. Riegl famously upheld a major theoretical principle, namely that of Kunstwollen. Kunstwollen can be defined as the expression of the demands specific to the conditions of a particular period of civilization. One of the main reasons for the lack of clarity lies in the difficulties of locating the material boundaries of art historical research. In Riegl’s theory, the boundaries of art history contains objects of historical significance whose discovery and empirical understanding change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internal dynamics of the field. Thus, seeking a more concrete description of the boundaries will lead to a more concrete definition of Kunstwollen. This article will first focus on the two types of infinity Riegl introduces to explain the scope of his art historical research, namely the infinity at the smallest, atomic level at one end, and at the other, the infinity in its largest, relational sense. Then the focus will shift to the very specific concept of space that Riegl propounds to explain the continuity between the two infinities.

      • KCI등재

        선(線)의 심미적 기원 고찰 -숭배의 대상에서 예술의 도구로

        지승학 ( Seung Hak Chi ) 한국기호학회 2015 기호학연구 Vol.44 No.-

        본고는 ``선``(線)이 가진 의미의 기원을 추적하는 노력의 일환으로서 선의 조형적 가치를 선사이미지에서부터 자연의 원리를 함축하는 것으로 상정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선에 대한 질문을 위해 선사이미지를 언급해야하는 이유는 타당성을 지닐수 있게 된다. 동굴벽화에서 발견할 수 있는 선은 자연을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그 자연 속에 동물은 그래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선이 자연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다는 가설은 동물에 대한 묘사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그들이 동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은 동물을 관찰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동물과 자연에 대한 관찰은 하나의 패턴을 읽어낼 수 있게 하였다. 그들은 변화무쌍한 자연 속에서 일정한 규칙을 발견하게 된것이다. 이를 가브리엘 타르드의 논의를 통해 규명하자면 ``유사와 반복``의 발견이라 할 수 있다. 유사와 반복이 자연이 가진 질서로 인식되면서 이를 가장 명료하게 인식 할 수 있게 도와준 것이 바로 선이다. 선의 담론이 포괄적일 수 있는 이유는 바로 여기에서 비롯된다. 특히 이러한 이해를 통해서 우리가 알게 되는 것은 유사와 반복이 선으로 표현되었을 때 자연이 지식의 대상이 되어 갔다는 사실이다. 지식의 대상이 된 자연은 곧 기술적 표현으로 승화되기에 이른다. 이것은 하나의 규칙과 질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심미적 가치를 갖게 되는지를 보여주는 과정이며 이를 증명하는 것이 바로 선인 것이다. 선에 대한 담론의 한 부분은 기원에 대한 다양한 물음으로 구성된다. This paper, as part of efforts to track the meaning of origin with "line", is to be analyzed on the figurative value with the principles of the nature. Questions about the line are also a question of origin. A line which can be found in cave paintings targeted the nature. Therefore, animal in its nature has an important meaning. Hypothesis that lines connect the nature can be found in the description for animals. In particular, the ability that they can draw the animals is the meaning that they have observed animals. The observation of Animal and nature was set to be able to read one pattern. But they are supposed to discover certain rules in nature. As the discussion of this Gabriel Tarde, it is a discovery of "similarity and repetition" in the nature. The thing which helped most clearly to be able to recognize the nature is just lines. The reason that the line discourse can be comprehensive is the very point. Through these understanding, what we will be known is that the nature becomes the subject of knowledge as long as ``similarity and repetition`` is represented by the line. Nature to be the subject of knowledge immediately is to be artistic expression. This is an indication of whether it has one of the rules and how the aesthetic value recognition for the order. The discourse of the line is composed of various questions of origin. ``The line`` reminds us of the importance of the question about origin.

      • KCI등재

        제국 일본의 레이다 : 운강석굴(雲崗石窟)을 조사한 일본학자들

        김용철 숭실사학회 2023 숭실사학 Vol.- No.51

        Japanese scholars cooperated in the war in various forms in the 1930s, whenimperial Japan's invasion of China began in earnest. The investigation of the Yungang Cave, conducted by Seiichi Mizuno(水野清一) and Toshio Nagahiro(長廣敏雄),scholars in archaeology and art history under the Eastern Culture ResearchInstitute(東方文化研究所), after the outbreak of the Second Sino-Japanese War, wascarried out under the protection of the Japanese military, the protection of the WestJin Autonomous Government(西晋自治政府), the Japanese puppet government, andfinancial aid of the Hebei Transportation Company(河北交通會社) and Hebei CoalMine Co., Ltd.(河北炭鑛會社) Accepting Riegl's art history research methodology,they secured detailed information through precise investigations, such as takingpictures and making rubbed copies along with the preparation of actualmeasurement drawings. In their writings at the time, there were not a few partsthat rationalized the Japanese invasion of China and overlapped the timing and timeof the production of the stone cave. After the end of the war, the Yungang(雲崗)survey report published in the 1950s confirmed how precise their investigation was. Even if there was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the time of their investigation andthe time when the radar was first developed and utilized, they were loyal radars ofimperial Japan considering the fundamental intention of the investigation and theprecision of the investigation.

      • KCI등재

        오웬 존스의 『장식의 문법』 고찰 : 존 러스킨의 『드로잉의 요소』와 비교를 중심으로

        조새미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8 No.-

        Shortly after the 1851 Great Exhibition, The UK, the host country and leading country of the Industrialization faced criticism that it did not offer excellent qualities for culturally integrated design. Compared to the applied arts produce in France as well as primitive tribal crafts, the manufactured goods made in the U.K. was not good enough. The British government attempted to find a new formative language and to suggest the general principles in design through the process of the Design Reform. Written by an architect and theorist Owen Jones in 1856, The Grammar of Ornament was one of the major the result of this collective effort. This study argues that Jones has laid the foundation for the major traits of the modern design by deriving the generality of cultural universal traits applicable to the architecture and manufacturing industry. Suggesting general principles of design, this deviate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preting Jones' theory in the confrontation between imperialism and colonial embassy, ​​or from the interpretation of being immersed in the decoration itself. By comparing Jones's theories with that of a writer and critics John Ruskin, this research also tried to understand the Grammar of Ornament in a greater detail. While Ruskin's critical view of industrial society was related to the naturalism of animation, Jones tried to find a universal aesthetic for the new industrial society. Focusing on analyzing the Moore's ornamentation, Jones applied the knowledge on the geometry and the perceptual psychology for his research. Jones refused to persue historicism, religion, and morality as Ruskin did. Instead, he embraced the diversity of complex cultures, while maintaining a rational and scientific perspective. Jones's decorative theory was not only linked to the aesthetic inquiry as a global citizen, but also argued to be reevaluated as the pioneering achievement for the modern design. 1851년 만국박람회 개최 직후 주최국이자 전 세계의 산업화를 주도하고 있었던 영국은 산업적으로 발전된 기술과 역량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문화적으로 통합된 디자인 유형에 관한 우수한 특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다. 경쟁국이었던 프랑스뿐 아니라 원시 부족의 공예품보다도 문화적 통합이라는 측면에서 더 나은 제품을 생산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에 영국 정부는 디자인 개혁을 통해 새로운 조형 언어의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 때 건축가이자 이론가였던 오웬 존스의 1856년 저서 『장식의 문법』은 이러한 노력이 집대성된 결과였다. 본 연구는 존스가 『장식의 문법』에서 장식의 분석을 통해서 보편적 특질의 총체성을 도출해내고자 했으며, 근대 디자인 이론에 선구적 토대를 마련하였다고 주장한다. 이는 존스의 이론을 제국주의 대 식민사관적 관점에서 해석하던 관점에서, 또는 장식 미술의 한 예시로만 이해하던 관점에서 벗어난다. 사상가이자 비평가였던 존 러스킨의 이론과 비교해보면 존스의 이론의 특성이 더 구체적으로 파악된다. 즉, 러스킨이 산업 사회에 관한 비판적 견해를 근거로 생기론과 관련한 자연스러움을 주요한 조형 원리의 요건으로 파악했던 것에 비해 존스는 새로운 산업 사회를 위한 보편적 미의식을 무어 장식에서 발견하고, 이를 기하학과 지각 심리학적 시각에서의 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했다. 『장식의 문법』에서 존스는 역사주의, 종교, 도덕으로 회귀하기를 거부했고, 대신 복합적 문화의 다양성을 포용하면서도, 이성적이며 과학적 태도를 견지하고자 했다. 이러한 존스의 장식론은 전지구적 미학적 탐구심과 연동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근대 디자인 이론의 주요한 텍스트로 재평가되어야 할 충분한 이유가 있음을 본고는 러스킨의 이론 등과의 비교를 통해 논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