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경원의 점포환경과 경험적 쇼핑 가치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민혁 대한시과학회 2016 대한시과학회지 Vol.18 No.1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급격하게 변화하는 안경원의 경영 환경에서 경북지역 20대 대학생들의 안경원 의 환경에 대한 인식과 구매 후 경험적 쇼핑 가치에 대한 성향을 분석하고, 안경원의 환경과 경험적 쇼핑가 치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이용 형태와 구매 활동에 따라 안경원 환경과 경험적 쇼핑 가치에 대한 인식이 차 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 이었다. 방 법: 본 연구는 안경원에서 안경, 콘택트렌즈, 썬글라스 등을 구매했던 경험이 있는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그 데이터를 분석 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안경원의 환경과 소비자가 지각하는 경험적 쇼핑 가치에 대한 연구가 설과 유형에 따른 점포환경과 경험적 쇼핑가치 간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결 과: 첫째, 일반 안경원의 이용 형태가 체인 안경원보다 높았으며, 많은 학생들이 안경과 콘택트렌즈를 각각 구입하였다. 둘째, 안경원의 환경은 경험적 쇼핑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안경원의 매력 성과 상품의 다양성이 경험적 쇼핑 가치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안경원의 환경은 쾌락적 체험에 영향을 받았 다. 셋째, 체인 안경원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안경원의 환경에 더 많은 영향을 받았고 일반 안경원을 이용 하는 소비자들은 경험적 쇼핑 가치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안경원의 환경이 경험적 쇼핑 가치에 영향을 미치며, 일반 안경원과 체인 안경원에 따라 안경원의 환경과 경험적 쇼핑가치가 차이가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최근의 소비 경향에 따라 안 경원의 매력성과 제품의 다양성, 그리고 쾌락적 체험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how 20’s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buk recognize to spectacle shop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shopping value in rapidly changing Eyecare business, to explain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of spectacle shop and experiential shopping value, to differentiate awareness of experiential shopping value and spectacle shop environment for use patterns and buying activities. Methods: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collect the data with 20’s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purchase glasses, contact lens, sunglasses, etc in spectacle shop. Data was perform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8.0, identified research hypothesis of spectacle shop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shopping value and research hypothesis of relationship for spectacle shop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shopping value by using pattern. Results: First, using pattern of general spectacle shop is higher than the franchise spectacle shop, more students were to buy the glasses and contact lens, respectively. Second, spectacle shop environment gave a significant effect on experiential shopping value, especially spectacle shop attractiveness and the variety of products gave a significant impact on experiential shopping value, and spectacle shop environment has been affected in hedonic experience. Third, franchise spectacle shop consumers had more effect on the spectacle shop environment, and general spectacle shop consumer was effected on experiential shopping value. Conclusions: This study founded a difference of spectacle shop environment and experiential shopping value according to general and franchise spectacle shop, and the spectacle shop environment affects the experiential shopping value. Therefore spectacle shop owners will try to increase the attractiveness of spectacle shop, variety of products and hedonic experience according to recent consumption trends.

      • KCI등재

        안경원 선택속성과 정보원천에 관한 연구

        차정원 한국안광학회 2016 한국안광학회지 Vol.21 No.3

        Purpose: This study is to help assist in the management of optical shops by using the importance sequence of optical shop selection attributes, which is related to the consumer's selection method of consumer, and by using the importance sequence of optical shop information sources which is related to a route for optical shop selection. Methods: Customer surveys were conducted from March 10 to March 31, 2015 targeting customers who have visited an optical shop in Seoul and Northern Gyeonggi-do regions. The analys method was descriptive statistics and data were analyzed by utilizing SPSS v.1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s: The highest ranking five attributes among the importance of optical shop selection are “friendliness and politeness of staff”, “cleanliness of an optical shop”, “quick resolution of customer's complaints by staff”, “eyes examination and glasses dispensing skill of staff”, “customer's complaints and claims handling”. The lowest ranking five attributes among the importance of optical shop selection are “provide free gifts”, “scale or size of an optical shop”, “opening time and closing time”, “convenient parking facilities”, “favorable countenance of staff”. The two highestr ranking criteria among the importance of optical shop information sources are “previous utilization experience”, “recommendation by a relative, a friend and a family etc”. The two lowest ranking criteria among the importance of optical shop information sources are “advertisement” and “spatial exterior view of optical shop”. Conclusions: It is shown that the important thing in management of an optical shop is an inner caliber like ability of ophthalmic optician, interaction with customers, and previous utilization experience rather than external factors like advertisement, exterior view, and bonus gift. 목적: 소비자들이 안경원을 어떻게 선택하는지에 관한 안경원 선택속성에 관한 중요도 순서와 안경원을 어떤 경로로 선택하게 되는지를 알 수 있는 정보원천에 관한 중요도의 순서를 매겨 안경원 경영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방법: 2015년 3월 10일부터 3월 31일 사이에 서울과 경기북부지역의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를 사용하였으며 SPSS v.1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원 선택속성 중요도 상위 5개는 “직원의 친절과 예의”, “안경원의 청결”, “고객 불만에 직원의 신속한 해결”, “직원의 시력검사 및 조제가공실력”, “고객 불만과 요구 처리”로 나타났다. 안경원 선택속성 중요도 하위5개는 “사은품제공”, “안경원의 규모나 크기”, “개점시간 및 폐점시간”, “편리한 주차시설”, “호감 있는 직원 용모” 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정보원천 중요도 상위 2가지는 “과거의 이용경험”, “가족, 친구, 친척 등의 추천으로” 인 것으로 나타났다. 안경원 정보원천 중요도 하위 2가지는 “광고 등을 보고”와 “안경원의 특별한 외장을 보고”로나타났다. 결론: 안경원 경영에서 중요한 점은 광고, 외관, 사은품과 같은 외적인 면보다는 안경사의 실력, 진심어린고객응대, 과거의 이용경험 등의 내적역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점포선택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 안경원을 중심으로 -

        차정원,이정규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2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ffer some mo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for optical shops on a basis of analyses of what lifestyles influence most on ‘store sele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nd of what properties of ‘store selection’ influence mos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Method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from the customers who visited the optical shops in Seoul and northern Gyeonggi-do region from January 1 to June 30, 2014. It was analyzed via utilizing SPSS v.20.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in lifestyle-factors which influence on store selection were arranged in order as follows: ‘stability oriented’, ‘goal oriented’, ‘cultural activity oriented’. And the results in value-factors which influence on ‘recommendation intention’ were arranged in order as follows: ‘stability oriented’, ‘health oriented’. The most positive factor for ‘recommendation intention’ was revealed as ‘dealing with customers’ among several factors of ‘store selection’. Conclusions: Today’s marketing activities for customers should be suited for different lifestyles of customers. Customers who have ‘stability oriented’, ‘goal oriented’, and ‘cultural activity oriented’ lifestyles tend to select optical shops in consideration of 21 items when selecting an optical shop. Customers who have ‘stability oriented’, and ‘health oriented’ lifestyles have positive influences related to ‘recommendation intention’. Also, it is likely for customers to recommend optical shops to others when the factor ‘dealing with customers’ meets their expectations. 목적: 안경원을 방문하는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안경원 선택”에 미치는 영향과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안경원 선택 속성”이 “추천의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안경원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제공하고자한다. 방법: 2014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 사이에 서울 및 경기북부지역의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SPSS v.20.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고객들의 안경원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라이프스타일 요인들의 순서는 “안정추구 지향”, “목표 지향”, “문화활동 지향”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추천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가치관 요인의 순서는 “안정추구 지향”, “건강추구 지향”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안경원선택” 요인들 중에서는 “고객응대”의 항목이 “추천의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다양해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 유형별 마케팅 활동을 전개해야 한다. “안정추구 지향”, “목표지향”, “문화활동 지향”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고객이 안경원을 선택할 때 21개 안경원 선택항목을 고려하여 안경원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안정추구 지향”, “건강추구 지향” 등의 라이프스타일을 가진 고객들이 “안경원 추천의사”에 긍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고객응대”를 잘하면 안경원을 타인에게 추천할 의사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울산의 프랜차이즈 안경원과 개인 독립 안경원에 대한 고객과 안경사의 인식 비교 연구

        한선희,김봉환,임서영,박혜리,이화정 한국안광학회 2014 한국안광학회지 Vol.19 No.1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and analyzed customers’ and optometrists’ notions regarding franchiseoptical shops and independent optical shops, so that this research proposes a new direction for the opticalindustry.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152 customer who visited optical shop and 50 optometrist inUlsan. Results: With regard to franchise optical shop, customers answered as advantages the well-organizedsystem and service, while as disadvantages high prices and lack of communication. The advantages ofindependent optical shop, on the other hand, were good communication, fair prices, professionalism, while thedisdvantages were lack of service, poor interiors, old-fashioned trends. Optometrists answered that advantages offranchise optical shop were service, system, communication, and successive education, while the disadavantageswere monotonous interiors, excessive events, and lack of communication. Optometrists also answered thatadvantages of independent optical shop were service, and communication, while the disadvantages were poorsystem, lack of events, poor interiors. Conclusions: We could conclude that it is reasonable for optometrists toconsider the advantages of their competitors in order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and professionalism,which will promote a healthy competition between them. 본 연구는 울산의 안경원 방문 고객과 안경사를 대상으로 프랜차이즈(franchise) 안경원과 소규모 개인 독립안경원에 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여 앞으로 안경사 및 안경원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울산의 안경원을 방문한 고객 152명과 울산의 안경원 종사자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결과: 고객이 생각하는 프랜차이즈 안경원의 장점은 체계적 시스템과 서비스, 단점으로는 비싼 가격, 고객과의 소통부족 등으로 조사되었다. 개인 독립 안경원의 장점은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 가격, 전문성, 단점으로는 서비스부족, 인테리어 미비, 더딘 트렌드 반영, 시스템, 가격으로 나타났다. 안경사가 생각하는 프랜차이즈 안경원의 장점은 서비스, 시스템, 고객과의 소통, 안경사 교육, 단점으로는 동일한 인테리어, 과도한 이벤트, 고객과의 소통부족 등으로 조사되었다. 개인독립 안경원의 장점은 서비스, 고객과의 소통, 단점으로는 프랜차이즈 안경원에 비해 체계적이지 못한 시스템, 이벤트 부족, 인테리어 미비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안경사는 가격경쟁에만 치우칠 것이 아니라 프랜차이즈 안경원과개인 독립 안경원 각각의 장점을 최대한 살려서 전문성과 신뢰를 바탕으로 정당한 경쟁을 통해 상호 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예비 안경사들의 안경원 창업에 관한 의식 연구

        홍성일,곽호원 한국안광학회 2019 한국안광학회지 Vol.24 No.4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future optometrists who we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and aimed to determine the startup attitude held by future optometrists through the survey on attitude toward optical shop startup. The study results will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whether the startup-related issues will be applied to the curriculum. Methods: Total of 178 future optometrists who we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in Daegu and Gyeongbuk regions were survey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The results of interest rate of the future optometrists were ‘very high’ in 101 respondents (56.74%), and ‘high’ in 58 respondents (32.58%) which were relatively very high. The most answer about the startup time of optical shop was six to seven years after graduation and the most suitable work experience as an optometrist was also six to seven years at the time of startup of optical shop. The survey respondent preferred a ‘franchise optical shop’ 106 persons (59.55%) to ‘Single startup optical shop’ 67 persons (37.64%) as the preferred startup type of optical shop. The most desirable place of optical shop startup was ‘Residential area’ 60 persons (33.71%), and the most important factor at the startup time of optical shop was ‘place and commercial power’ 58 persons (32.58%). The most needed subject for optical shop startup training was ‘optical shop management and accounting knowledge’ 72 persons (40.45%). Conclusions: The interest of the future optometrists who were attending the Departmen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in optical shop startup was very high, and the attitude toward startup type, important factors, startup places etc. was clearly exhibited.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adoption of startup-related curriculum to raise the awareness and stable and systematic startup preparation for future optometrists. 목적: 안경광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안경사들을 대상으로 안경원 창업에 관한 의식 조사를 통해 예비 안경사들이 가지고 있는 창업 의식을 파악하고, 창업 관련 내용을 교과목에 적용할 것인지 등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 법: 대구, 경북지역 안경광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안경사 178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을 하였다. 결과: 안경광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안경사들의 안경원 창업에 대한 관심도는 ‘아주 관심이 많다’ 101명(56.74%), ‘관심이 많 다’ 58명(32.58%)으로 매우 높았다. 안경원 창업 시기는 졸업 후 ‘6~7년’이 제일 많았고, 안경원을 창업할 때 안경사의 안경원 근무 경력 역시 ‘6~7년’이 적당하다고 나타났다. 안경원 창업형태는 ‘프랜차이즈 안경원’이 106명(59.55%) 으로 ‘독립 안경원’ 창업 67명(37.64%)보다 높게 나타났다. 안경원 창업 장소로 희망하는 곳은 ‘주택가’가 60명 (33.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안경원 창업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으로는 ‘장소와 상권’이 58명 (32.58%)으로 가장 높았다. 안경원 창업 교육에서 가장 필요한 요인으로는 ‘안경원 경영 및 회계 지식’이 72명 (40.45%)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결론: 안경광학과에 재학 중인 예비 안경사의 창업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았다. 창업 형태나 중요한 요인, 창업 장소 등에 대한 의식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볼 때, 예비 안경사들의 안 정적이고 체계적인 창업 준비와 의식 고취를 위한 창업관련 교과목 도입의 검토가 필요하다.

      • KCI등재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이용한 안경원 창업의 우선순위 및 중요도 분석

        황광하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2

        목적: 광주광역시의 대학교 근처 A, 아파트 근처 B, 주택 근처 C안경원을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에 의한 분석을 바탕으로 안경원 창업에 따른 우선순위와 중요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원에 직접 방문하여 안경사와 원장님들을 대상으로 토론하여 안경원 경영 하위 항목의 이원 비교를 위해 상대적인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기술경쟁력, 물리적 편의성, 커뮤니케이션요인, 상품/서비스, 가격적 요인의 우선순위 중요도 분석을 위해 일관성 비율 0.1 미만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결과: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에 의한 안경원 경영 하위 항목의 우선순위 중요도 결과 대학교 근처 A안경원은 ‘가격적 요인’(0.467), 아파트 근처 B안경원은 ‘물리적 편의성’(0.440), 주택 근처 C안경원은 ‘기술경쟁력’(0.440)로 나타났다. 결론: 대학교 근처 A, 아파트 근처 B, 주택 근처 C안경원을 대상으로 안경원 경영 하위 항목의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선정하였다. 우선순위 및 중요도는 AHP에 의하여 평가항목의 관계를 반영하여 측정하였다. 안경원의 창업에 기초적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for establishing an eyeglasses store at university area (area A), apartment area(area B), and residential area (area C) in Gwangju city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Method: The relativ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were investigated for duality comparision of lower factors in managing eyeglasses stores through discussion with the opticians and owners of the eyeglasses stores. The collected data less than consistency ratio 0.1 were analyzed for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of technology competitiveness, physical convenience, communication, product/service, and price factors. Results: As a result of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of lower factors in managing eyeglasses store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most important factors were price (0.467) for area A, physical convenience for area B(0.440), and technology competitiveness (0.440) for area C. Conclusion: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of lower factors in managing eyeglasses stores were examined at university area(area A), apartment area (area B) and residential area(area C). The priority and the importance are estimated to reflect the interrelationship among assessment factors by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present results might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yeglasses stores.

      • KCI등재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서비스 만족도 비교 연구

        유한호,노혜란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2

        목적: 수도권지역의 10대 이상의 고객을 대상으로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경원 이용 경험이 있는 수도권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고객이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 확신성, 그리고 전문성의 6가지 기준으로 조정하였다. 기준에 맞는 예제들을 수집하여 설문 조사하고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과: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은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신뢰성, 대응성 그리고 확신성에 해당하는 설문 중 제품의 품질, 충실한 A/S, 그리고 렌즈의 관리법과 사용법을 묻는 질문에는 프렌차이즈 안경원이 선호되었고 유형성과 공감성 설문에는 친밀함과 편안함을 주는 일반 안경원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소비자의 선호도를 분석했을 때 각각의 장점을 강조하여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특색에 맞는 서비스를 강화한 차별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investigate customer satisfaction of non-franchise and franchise eye-glass stores among customers over 10 years old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in Metropolitan area who have purchased eye-glass products. Standards to determine customer service quality were categorized into six division (classification, reliance, correspondence, response, quality assurance, and specialty). Questionnaires in divisions were collected and surveyed. the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Degrees of customer satisfaction were different to non-franchised and franchised eye-glass stores. Franchised eye-glass stores were preferred in questions regarding reliance, correspondence, and quality assurance components providing reliable products, qualified A/S, and the lens care protocol and appropriate use. Non-franchised eye-glass stores were preferred in questions regarding classification and response providing friendly and comfort atmosphere. Conclusions: Differentiation within individual non-franchised and franchised eye-glass stores is necessary to emphasize advantages with enhanced distinct services.

      • KCI등재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서비스 만족도 비교 연구

        유한호,노혜란 대한시과학회 2013 대한시과학회지 Vol.15 No.2

        목 적: 수도권지역의 10대 이상의 고객을 대상으로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서비스 만족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 법: 안경원 이용 경험이 있는 수도권지역 소비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고객이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는 기준을 유형성, 신뢰성, 대응성, 공감성, 확신성, 그리고 전문성의 6가지 기준으로 조정하였다. 기준에 맞는 예제들을 수집하여 설문 조사하고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 과: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은 서비스에 대한 고객의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신뢰성, 대응성 그리고 확신성에 해당하는 설문 중 제품의 품질, 충실한 A/S, 그리고 렌즈의 관리법과 사용법을 묻는 질문에는 프렌차이즈 안경원이 선호되었고 유형성과 공감성 설문에는 친밀함과 편안함을 주는 일반 안경원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였다. 결 론: 소비자의 선호도를 분석했을 때 각각의 장점을 강조하여 일반 안경원과 프렌차이즈 안경원의 특색에 맞는 서비스를 강화한 차별화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Purpose: To investigate customer satisfaction of non-franchise and franchise eye-glass stores among customers over 10 years old in the Metropolitan area.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on consumers in Metropolitan area who have purchased eye-glass products. Standards to determine customer service quality were categorized into six division (classification, reliance, correspondence, response, quality assurance, and specialty). Questionnaires in divisions were collected and surveyed. the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Results: Degrees of customer satisfaction were different to non-franchised and franchised eye-glass stores. Franchised eye-glass stores were preferred in questions regarding reliance, correspondence, and quality assurance components providing reliable products, qualified A/S, and the lens care protocol and appropriate use. Non-franchised eye-glass stores were preferred in questions regarding classification and response providing friendly and comfort atmosphere. Conclusions: Differentiation within individual non-franchised and franchised eye-glass stores is necessary to emphasize advantages with enhanced distinct services.

      • KCI등재

        안경원 근무자(안경사)특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유민정,심상현 한국안광학회 2012 한국안광학회지 Vol.17 No.4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effects of employees characteristics, expertise, customer satisfaction,devotion of employees to their company, business performance of the optician. Methods: For two months, from August to October 2011, employees participated in individual questionnaires. And the SPSS v14.0 was applied for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s shown that the employees characteristics have an effect on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formance of opticians. In particular, the ‘Customers satisfaction’ a was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employees affecting finance performance, and the ‘Devotion to their company’ was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satisfaction performance. Conclusions: From the result found i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further efforts for inspiring the employees devotion to their company and for improving customer satisfaction are required. Above all, employer should pay attention on more suitable ways to encourage work of his employee with considering different situation or circumstance of each optician. 목적: 안경원 근무자특성을 전문성, 고객만족도, 애사심 등으로 분류하고 이 근무자 특성이 안경원의 경영성과에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11년 8월부터 10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안경원 경영자 및 관리자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SPSS v 14.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안경원에 근무하는 근무자특성에 따라 안경원의 재무성과 및 만족성과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안경원의 재무성과 향상에는 고객만족도 항목이, 만족성과 향상에는 애사심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 결과에 따르면 우리는 근무자의 애사심과 고객만족도를 고취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각각의 안경원에서 현장에 맞게 합리적인 방안으로 근무자를 격려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안경원의 브랜드 네임 유형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안경원 브랜드를 중심으로 -

        홍성일,손정식 한국안광학회 2015 한국안광학회지 Vol.20 No.4

        Purpose: We conducted a study on the brand name types of optical shop in the region of Daegu to exploit the data necessary for a new brand naming. Metho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es including the concept and function, phrasing compositions - whether the names are Korean words, English words or combination of the two, or others, and whether the names are descriptive, allusive or coined, alternative names, and most frequently used names were studied and analyzed. Results: For those in Korean word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consonant was ‘ㅇ’ then ‘ㅅ’. In combination words, either in Korean and English combination or others, 57.1% of the names were in Korean, or 32.7% of the names were in English. As for number of syllables, 3 syllables consumed 30.4% and 2 and 4 syllables were in similar proportions of 29.7% and 25.0%, respectively. The proportions of allusive and descriptive names were 17.0% and 13.3%, respectively. As for alternative creation type, the type with combination of words came first, and then use of symbols came second. For other types, there were high number of brand names that contained the names of other business types and names of the districts in which the stores were located. Lastly, the most frequently used keyword was ‘eye’, which was used 45 times, and then came ‘dang’ and ‘angyeong’. Conclusions: When starting a business and making an appropriate brand name, it must be easy to say and remember as well as meaningful. As such, a brand name for an optical shop should not only be creative, but also be associated with the business and emanate favorable impression. 목적: 대구지역 안경원 브랜드를 중심으로 안경원 브랜드 네임의 유형 연구를 통해 새로운 브랜드 네이밍에 필요한 객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브랜드 네임의 개념과 기능 등의 브랜드 네임 특성들을 살펴보고 대구지역의 안경원 브랜드에 대한 한글과 영어, 국·영문 혼합, 음절 그리고 서술적, 암시적, 조어적 브랜드 네임의유형과 대안의 창출 제시, 많이 사용된 키워드 분석 등으로 브랜드 네임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한글의 자음에는‘o’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ㅅ’ 이었다. 한글과 영어, 조합 등에서는 브랜드 네임의 57.1%의 과반수가 한글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영어를 사용한 브랜드 네임도 약 32.7%가 되었다. 음절 수는 3음절이 30.4%로 많았지만2, 4음절도 비슷한 빈도수로 각 29.7%와 25.0%를 차지하였다. 암시적, 서술적 유형이 51개, 40개로 각 17.0%와13.3%로 나타났으며 대안의 창출에 따른 유형에서는 단어를 조합한 유형이 가장 많았고 상징물 사용이 뒤를 이었다. 기타 유형에서는 타 업종의 이름과 안경원이 소재하고 있는 지역명을 사용하고 있는 브랜드 네임이 많았다. 마지막으로 안경원 브랜드 네임에 사용된 키워드로는 ‘아이(eye)’가 45회로 빈도수가 가장 많았고 ‘당’과 ‘안경’이라는키워드 순으로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창업을 위해 상호를 만들고 알리는데 그치는 단순한 이름이 아니라들어서 기억하고 부르기 쉬우며 의미가 있는 브랜드 네임, 안경원에 대한 바람직한 연상과 독특하고 호감을 주는창의적인 브랜드 네임이 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