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 기초한 가정과교육에서의 실천개념 고찰을 위한 시론(1)

        유태명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7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9 No.2

        This study approached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based on the review of the concept of phronesis in Aristotle's Nicomachean Ethics. Aristotle divided human soul into rational part and irrational part. A virtue related with rational part is intellectual virtue and a virtue related with irrational part is moral virtue. Rational part is divided into calculative part and scientific part. Phronesis is one of an intellectual virtue in calculative part of soul. Aristotle defines phronesis as a state of soul that issues in praxis. Phronesis in narrow sense is a virtue which leads to praxis and it is differ from either sophia or techne. Phronesis in broad sense it includes both praxis and poiesis. Phronesis is closely related with moral virtue. Because moral virtues are habits according to right reason, hence right reasons should be considered, and this is intellectual virtue. It is called for attention that what the concept of practical or praxis in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should be for the determination of the relation with Practical Arts and Technology. This study proposed a tentative conceptualization of praxis and phronimos in context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clothing planning and the most categories(83.3%) had connections of repetitions. In the clothing material section, categories evaluated as gaps and developments were 55.6% and 44.4%. The clothing construction 주제어(Key Words)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le), 실천(praxis), 실천적 지혜(phronesis), 지적 덕(intellectual virtue), 도덕적 덕(moral virtue), 가정과교육 본질(nature of family and consumer science education) 이 연구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실천 개념은 어때야 하는지를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서 덕의 분류에서 실천적 지혜(phronesis)의 위치를 파악하고 다른 덕과의 관계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실천적 지혜는 praxis로 이끄는 덕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실천교과라고 명시되어 있는 가정과교육의 실천적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핵심적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의 영혼을 이성적 부분과 비이성적 부분으로 나누고 이성적 부분을 다시 인식적 부분과 사량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영혼의 비이성적 부분을 식물적 부분과 욕구적 부분으로 나누었다. 인식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지적 덕, 욕구적 부분에 해당하는 덕을 도덕적 덕이라 하였다. 실천적 지혜는 인간 정신의 이성적 부분 중 사량적 부분에 해당하는 지적 덕 중에 하나이다. 이와 같은 분류에 기초할 때 실천적 지혜는 좁은 의미에서 praxis와 관계하는 덕으로 sophia와 구별되며, techne와도 구별된다. 넓은 의미에서 실천적 지혜는 techne를 포함하는 사량적 부분의 덕이다. 실천적 지혜는 도덕적 덕과 상호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올바른 욕구와 logos를 따라 선택한 행동에 이르게 한다. 이 연구의 논의를 기초로 가정과교육은 실천 개념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여야 하는가의 과제와 실과와 기술과의 관련성은 어떻게 해석하는 것이 옳은지의 과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가정과교육에서 지향하는 praxis의 의미를 잠정적으로 ‘도덕적으로 실천하는 행동, 선을 구체화 또는 실현하는 행동, 혹은 최선의 선을 추구하는 좋은 삶’으로 보았다.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에서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의 의미는 ‘개인 및 가정생활에서 일어나는 실천적 문제의 구체적 상황에서 자신뿐만 아니라 모두를 위해 최고의 선을 구체화하는 행동(praxis)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실천적 지혜와 다른 덕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실천적 지혜를 통해 이론과 실천을 통합할 수 있으며, 도덕적 덕과 불가분리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아는 것이 행동하는 것으로, 행동하는 것이 잘 행동하는 것으로 가게 해주는 덕이 실천적 지혜이므로, 실천교과로서의 가정과교육을 통하여 실천적 지혜를 가진 사람으로 교육할 사명을 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올바른 선택’ -성격적 덕과 실천적 지혜의 합작-

        송유레(Song, Eur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9 철학사상 Vol.74 No.-

        아리스토텔레스는 덕을 성격적 덕과 지성적 덕으로 구분하지만, 성격적 덕이 지성적 덕의 일종인 실천적 지혜와 연결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성격적 덕과 실천적 지혜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는 논란의 대상이다. 본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선택 이론에 비추어 성격적 덕과 실천적 덕의 연관 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한다. 특히, 그가 성격의 덕을 선택과 관련된 성향(‘hexis prohairetikê’)으로 규정한 점에 주목한다. 최근 이 규정은 두 가지 논쟁적인 해석을 불러 일으켰다. 하나는 올바른 선택이 실천적 지혜를 요구하기 때문에 성격적 덕이 실천적 지혜를 구성적 요소로서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다른 하나는 선택이 행동의 목표가 아니라, 그것에 이바지하는 것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성격적 덕이 목적이 아니라, 수단에만 관여한다고 주장한다. 첫째 해석에 반대하여 우리는 올바른 선택이 성격적 덕과 실천적 지혜의 분업에 기초한 협업임을 논증한다. 둘째 해석에 반대하여 성격적 덕이 ‘중간을 겨냥할 수 있는 성향’으로서 행동의 내재적인 목표, 즉 ‘중간’을 제공함을 보인다. 이때, ‘중간’은 아름다운 것과 동일시된다. 이와 관련해서, 우리는 성격적 덕이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을 통해 선택과 행동에 방향과 추동력을 제공한다는 해석을 제안한다. 나아가, 올바른 선택을 위한 협업에서 실천적 지혜가 올바른 이성을 통해 욕망의 올바름을 보장하고, 성격적 덕이 올바른 욕망을 통해 실천적 사고의 참됨을 보장한다는 의미에서 성격적 덕과 실천적 지혜의 상호의존성이 밝혀진다. Despite his division of virtue into two kinds, namely virtues of character and virtues of intelligence, Aristotle insists that the virtue of character is related to practical wisdom, which is a kind of virtue of intelligence. But how they are related is still the object of debate.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virtue and practical wisdom in the light of Aristotle’s theory of decision (prohairesi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Aristotle’s conception of character-virtue as a ‘hexis prohairetikê’, which I take to mean a disposition which enables one to make the right decision. Recently, this conception has given rise to two controversial interpretations. According to the first interpretation, virtue of character is partly constituted by practical wisdom since decision requires practical wisdom. The second interpretation claims that virtue of character merely concerns a means to some goal in that one decides on a mean to some goal, not a goal itself. Against the first interpretation, I argue that right decision is a cooperation based on a division of labor between character-virtue and practical wisdom. Against the second, it is shown that virtue of character as a ‘disposition which enables one to aim at the middle’ (stochastikê tou mesou) offers an internal goal of action, namely the middle, which is identified with the beautiful (to kalon). Related to it, I suggest that virtue of character gives direction and motivational force to decision and action through a love of beauty. Furthermore, I examine how virtue of character and practical wisdom cooperate in order to ensure right decision, which consists of right desire and true thought. It follows that the two virtues are interdependent in the sense that practical wisdom, through right reason, ensures the rightness of desire, whereas virtue of character, through right desire, guarantees the truth of practical thought. I conclude with a brief sketch of Aristotle’s view on education in virtue.

      • KCI등재

        상황주의사회심리학과 덕윤리

        노영란(Young-Ran Roh) 한국철학회 2011 철학 Vol.0 No.109

        덕윤리와 관련하여 최근에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쟁점중의 하나는 상황주의사회심리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덕윤리의 경험적 부적합성문제이다. 상황주의자들은 사회심리학의 다양한 실험연구들을 제시하면서 덕윤리자들의 인격에 근거한 행위설명이 경험적으로 입증되지 않는다고 비판한다. 상황주의자들은 사람들의 인격보다 사람들이 처한 상황이 행위결정을 설명하는 더 강력한 요소라고 주장한다. 상황주의자들의 이러한 비판에 대응할 때 유덕한 인격안의 실천적 지혜를 중시하는 덕윤리자들은 상황적 요소가 행위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인정하면서 상황주의적 비판으로부터 인격개념을 지켜내고자 한다. 이들에 따르면 실천적 지혜를 통한 올바른 선택은 두 가지 면에서 상황주의적 도전이 덕윤리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실천적 지혜를 가진 유덕한 사람은 상황적 요인들을 잘 파악해서 상황에 적합한 올바른 행위를 선택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덕윤리적 맥락에서 올바른 행위는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한 실천적 지혜를 통한 올바른 선택은 전반적인 삶의 관점에서 좋음을 추구하고 여러 덕들을 통일적으로 아우르는 차원에서 무엇이 올바른지를 선택하기 때문에 특정한 행위나 단일의 인격 특질에 초점을 두고 일관되게 행위하는 것과는 구별된다. 실천적 지혜를 통한 덕윤리적 대응은 일면 상황주의자들이 인격특질이 없다는 것을 보이는데 성공하지 못했음을 그리고 그들의 도전이 덕윤리를 버릴 만큼 치명적이지 않음을 보여주는 듯하다. 그러나 실천적 지혜를 통해 상황주의적 도전에 대응하는 접근은 인격특질을 구해내는 대신에 나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 즉 이러한 접근은 덕을 실제적 차원에서 이해할 경우 행위결정을 잘못 설명할 위험성이 있다. 또한 덕을 이상적 차원에서 이해할 경우 행위지침과 동기유발의 차원에서 문제를 야기할 뿐만 아니라 덕윤리의 중요한 특성을 훼손하게 된다. 실천적 지혜를 통한 덕윤리적 대응이 이러한 한계를 가진다는 사실은 덕윤리의 근본 입장, 즉 행위자의 인격특질을 도덕판단의 근간으로 삼는 입장이 과연 적절한지에 대해 의구심을 갖게 만든다. One of the hotly debated problems in virtue ethics is its empirical inappropriateness that has been raised by situationist social psychologists. Many situationists insist that the character-based explanation of behavior is not empirically supported by the experimental researches of social psychology. In responding to situationism some virtue ethicists pay attention to practical wisdom(phronesis). They intend to defend the existence of character traits while they acknowledge the influence of situation on behavior-decision. According to these virtue ethicists the choice through phronesis has two important features which shows the misunderstanding of situationists on virtue and character traits. Firstly, right actions through phronesis depend on situations since virtuous agents reflect situational features in making a choice. Secondly, right choices through phronesis are not to be consistent in doing a specific action or expressing a specific character trait but to pursue for the good from the perspective of a whole life and to compromise various virtues. This kind of response seems to reveal that situationism is not a fatal criticism on virtue ethics. However it has to pay a price for defending the existence of character traits. It may either give a wrong explanation of behavior or bring about some problems with regard to action-guidingness, motivatingness and moral development. This limitation of the response through phronesis raises a doubt about the relevance of agent-centered moral judgment itself.

      • KCI우수등재

        실천적 지혜를 통해 살펴본 아리스토텔레스의 덕의 통일성 주장

        박정은(Jeong-eun Park) 한국철학회 2023 철학 Vol.- No.155

        아리스토텔레스는『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실천적 지혜 하나만 갖추면, 모든 덕 또한 가지게 된다”는 이른바 덕의 통일성 주장을 제시한다. 이 주장만 따르자면 우리는 ‘하나’의 실천적 지혜를 갖게 됨으로써 여러 덕을 ‘모두’ 한 번에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덕의 통일성 주장을 덕에 대한 그의 다른 주장들과 비교해보면 일관성을 갖기 어려운 것처럼 보이며, 어윈(Irwin)은 이를 다음과 같은 주장들로 요약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통이 큼과 포부의 큼은 참되고 구별되는 덕이다. 그리고 이 두 덕 없이도 다른 덕을 가질 수 있다고 한다. 그런데도 어떻게 덕의 통일성 주장이 성립할 수 있는가? 이 글의 목적은 ‘하나의 실천적 지혜’를 논의의 단초로 삼아 어윈이 제기한 문제로부터 덕의 통일성 주장의 정합성을 옹호하는 데 있다. 실천적 지혜는 자기 자신이나 가정 경제, 폴리스와의 관계에 따라 여럿으로 구분되므로, 그중 하나만을 고려하여 ‘하나의 실천적 지혜’라고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실천적 지혜의 분리 가능성을 바탕으로 통이 큼이나 포부의 큼과 같은 큰 규모의 덕은 자유인다움이나 적절한 명예욕과 같은 작은 규모의 덕과 달리 폴리스적 규모의 큰 이득을 주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기에 폴리스에 관한 실천적 지혜를 반드시 전제해야만 한다는 것을 보인다. In EN VI, 13, Aristotle presents the thesis known as the unity of the virtues, according to which if we have one phronēsis, we have all the virtues at once. However, this thesis seems inconsistent when compared to his other accounts of virtues, and Irwin summarizes them as follows: For Aristotle, megaloprepeia and megalopsychia are genuine and distinct virtues, and it is possible to have other virtues without these. How, then, can the unity of the virtues be tru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efend the unity of the virtues by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one phronēsis’. Since phronēsis can be divided into parts based on its relation to the self, the household economy, and the polis, it is conceivable that ‘one phronēsis’ refers to one of these parts. Based on the separability of phronēsis, I will demonstrate that megaloprepeia and megalopsychia necessarily presuppose the phronēsis concerning the polis as their primary goal is to confer great benefits on the polis, which is distinct from its small-scale virtues, namely liberality and proper honor.

      • KCI등재

        실천신학적 접근에서의 실천적 지혜

        이원일(Wonil Lee)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3 신학논단 Vol.73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theological approach and practical wisdom in a recent trend of Christian Education. The practical theological approach in Christian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clerical paradigm, congregational paradigm, and to the model of God’s praxis as public paradigm. In God’s praxis God calls God’s people for God’s ministry in this world. God’s people are asked a leadership for this world in response to God’s praxis. What kind of virtue is needed for this leadership in God’s people? This article suggests the practical wisdom, that is phronesis, as the needed virtue. Practical wisdom is defined as a wise judgement in a particular context. This kind of judgement is for action in everyday life. The context for the action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ctor for practical wisdom. Don Browning says the structure of practical wisdom which has inner and outer structures. The inner structure is the Golden Rule of an ethic of equal regard and the outer structure is narratives which have a vision level, ethical level, human’s needs and trend, environmental and social dimension, rule and role’s dimension. For a deep understanding of practical wisdom this article suggests a practical wise person(phronimos) who is onself as another. Oneself as another has a similar aspect with narrative identity. Narrative identity includes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osccillating between idem and ipse. discordant concordance, responsible self, practical ability, and social ethic. A practical wise person has these five characteristics. But this article suggests a more specific figure, who is Jesus, and his three ministries, which are priest, prophet, and Lord as servant. The true practical wise person is Jesus of three ministries based on practical wisdom. And Jesus as a practical wise person did a public ministry instead of a private ministry in this world. God’s people do public ministries by calling of the triune God as the true practical wise person. In the globalization age God’s people do public ministries in everyday life for all people. God’s people are asked to critically reflect on global economy, global polity, cultural homogenization, and other public areas in our context of life. For these public ministries God’s people need leadership as goverance, which is phronetic leadership. A Christian Educator’s task in the globalization is to develop the leadership of practical wisdom for transforming this world toward God’s kingdom.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understand the practical theological approach and practical wisdom in a recent trend of Christian Education. The practical theological approach in Christian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clerical paradigm, congregational paradigm, and to the model of God’s praxis as public paradigm. In God’s praxis God calls God’s people for God’s ministry in this world. God’s people are asked a leadership for this world in response to God’s praxis. What kind of virtue is needed for this leadership in God’s people? This article suggests the practical wisdom, that is phronesis, as the needed virtue. Practical wisdom is defined as a wise judgement in a particular context. This kind of judgement is for action in everyday life. The context for the action is considered as a significant factor for practical wisdom. Don Browning says the structure of practical wisdom which has inner and outer structures. The inner structure is the Golden Rule of an ethic of equal regard and the outer structure is narratives which have a vision level, ethical level, human’s needs and trend, environmental and social dimension, rule and role’s dimension. For a deep understanding of practical wisdom this article suggests a practical wise person(phronimos) who is onself as another. Oneself as another has a similar aspect with narrative identity. Narrative identity includes some characteristics as follows: osccillating between idem and ipse. discordant concordance, responsible self, practical ability, and social ethic. A practical wise person has these five characteristics. But this article suggests a more specific figure, who is Jesus, and his three ministries, which are priest, prophet, and Lord as servant. The true practical wise person is Jesus of three ministries based on practical wisdom. And Jesus as a practical wise person did a public ministry instead of a private ministry in this world. God’s people do public ministries by calling of the triune God as the true practical wise person. In the globalization age God’s people do public ministries in everyday life for all people. God’s people are asked to critically reflect on global economy, global polity, cultural homogenization, and other public areas in our context of life. For these public ministries God’s people need leadership as goverance, which is phronetic leadership. A Christian Educator’s task in the globalization is to develop the leadership of practical wisdom for transforming this world toward God’s kingdom.

      • KCI등재

        On the Nature of Practical Wisdom(Phronēsis) in Aristotle

        Kim, Do-Hyoung(김도형) 새한철학회 2020 哲學論叢 Vol.99 No.1

        아리스토텔레스 윤리학의 다양한 논점과 개념들 중에서도 실천적 지혜(phronēsis)는 판이하게 다른 이해와 분석이 존재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 주제라고 할 수 있다. 그 논란을 대표하는 전통적인 두 입장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혹자들은 이성은 정념의 노예’ 혹은 ‘이성의 불활성(inertness)’등의 흄(David Hume)의 사상에서 착안하여, 아리스토텔레스 버전의 실천이성인 ‘실천적 지혜’ 역시 ‘덕’과 ‘행복’에 관하여 다소 제한적 기능만을 갖고 있다는 해석을 제시한다. 이들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는 ‘목적 달성을 위한 도구들’에만 관여한다고 주장하면서, 마치 흄의 도구적 이성과 유사한 것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사유(dianoia pratike)를 이해하려 한다. 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는 ‘도구들에 대한 숙고’는 물론, 덕, 용기, 절제, 행복 등의 궁극적 목적들에 대한 개념적 사유를 바탕으로 인간의 감정과 욕구에 명령을 내리는 적극적 이성의 역할을 갖는다고 주장하는 연구자들도 있다. 전자의 경우, 실천적 지혜에 대한 ‘흄적 해석’ 혹은 ‘감정주의적(emotivist)’ 해석 등으로 불리고, 후자에 대해서는 ‘칸트적 해석’ 혹은 ‘주지주의적(intellectualist) 해석’ 등의 명칭이 주어지기도 한다. 이 글은 행복(eudaimonia)에 대한 실천적 지혜의 역할에 대해서는 다소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할 부분이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칸트적 해석’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에 대한 적절한 분석이라는 논증을 제시할 것이다. There are two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Aristotle’s concept of practical wisdom(phronēsis). One position is so-called ‘emotivist’(or ‘Humean’) interpretation which claims that, under a ‘Hume’s premise that ‘reason’ is inert with regard to desire, Aristotelian ‘practical reason’ is also concerned only with the instruments to happiness(eudaimonia), that is to say, ‘the things toward the end(ta pros to telos)’. The other is called ‘intellectualist’ (or ‘Kantian’) interpretation which argues that since at least ‘practical reason’ is not inert, Aristotelian ‘practical reason’ is concerned both ‘things toward happiness’ and ‘happiness itself’, namely, ‘ta pros to telos’ and ‘to telos.’ This issue is obviously connected with the problem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actical wisdom and moral excellence(ēthikē aretē), because while the latter interpretation is to argue that, based on their view on ‘reason,’ practical wisdom is a prerequisite to moral excellence, the ‘emotivist’ interpretation is to say that moral excellence is sufficiently excellent independently of practical wisdom, because they believe that reason has a ‘limited role’ in making one morally excellent and furthermore happy. In this paper, we introduce each position in detail and claim that in the intellectualist interpretation is more reliable than the emotivist one on Aristotles’s practical wisdom, although there is a point to be careful with.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천적 지혜

        반성택(Sung-Tak Pan) 한국현상학회 2012 철학과 현상학 연구 Vol.54 No.-

        이 논문은 소크라테스의 재판 및 사형을 둘러싼 논란을 역사적 시각을 넘어서서 근원적이고 철학적인 시각에서 조망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러한 과제 설정이 요구된다고 밝히기 위하여, 소크라테스에 대한 여러 비평이 본론에서 먼저 고찰된다. 이 고찰은 〈2.1. 보나르의 비평: 역사적 시각과 철학적 시각〉, 〈2.2. 키토의 비평: 전문화와 전체성〉, 〈2.3. 도즈와 포퍼: 비합리성 그리고 자유주의〉 등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일련의 고찰의 결과, 소크라테스 비평에는 철학적인 시각 및 전문화와 전체성을 고려하는 시각이 반영되어야 한다고 드러난다. 이러한 비평 시각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 제6권의 실천적 지혜 개념이 전형적으로 보여주고 있기에 그에 대한 분석이 이어진다. 〈3. 에토스적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의 연관〉을 제3장의 주제로 하여 〈3.1. 제작과 실천의 구별 및 존재론적 구별〉, 〈3.2. 실천적 지혜의 성격 및 그 의의〉 논의가 이루어진다. 실천적 지혜라는 인식능력의 성격이 에토스적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의 연관이라고 최종적으로 밝혀지면서 이 논문에서의 논의는 실천적 지혜에는 전문세계의 직업인과 시민 존재가 공존할 수 있으나, 소크라테스적 앎에서는 직업인과 시민 존재는 공존할 수 없다는 점을 도출하여 당시 아테네 사회의 소크라테스에 대한 반감의 근본적인 정체를 해명해 내기에 이른다.

      • KCI등재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기 위한 사역 지지집단의 이론과 실제

        김정선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9

        미국의 목회신학자 존 패튼(John Patton)은 목회적 지혜(pastoral wisdom)와 목회 신학 방법론에서 사역 지지집단(the ministry group)을 핵심적 요소로 강조한다. 본고 는 목회적 지혜를 목회 돌봄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인지적, 통합적, 관계적 요 인의 종합적 탁월성이라고 정의하고,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기 위한 사역 지지모임의 이론과 실제를 정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패튼의 목회적 지혜와 목회신학 방법론을 정리하고(II), 최근 활발히 연구되는 지혜심리학과 실천적 지혜 개 념에 비추어 목회적 지혜와 사역 지지집단의 이론적 틀을 확립하고(III), 필자의 경험 에 비추어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는 사역 지지집단의 실제를 검토하고, 목회자 사역 지지집단에 대한 향후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IV). 본고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고는 목회적 지혜와 사역 지지집단을 지혜심 리학과 실천적 지혜에 비추어 이론적으로 규명하고, 목회적 지혜가 지닌 고유한 특성 도 함께 강조했다. 둘째, 본고는 필자의 경험을 통해 사역 지지집단에서 자신의 과거, 현재, 미래, 원가족을 충분히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회적 지혜를 함양하는 좋은 방법이 되며, 한국에서의 사역 지지집단은 자신의 이야기를 솔직하게 나눌 수 있는 안전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미국보다 더 긴 기간이 요구된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목회적 지혜 함양을 위한 목회자 사역 지지집단의 현실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이 집단은 목회자의 현실적 여건을 감안하여 사역 지지집단을 실제적으로 경험하게 하고, 후속 프로그램으로 이어지도록 고안되었다. 본고가 목회적 지혜와 사역 지지집단의 이론과 실제에 대한 논의를 촉발하여 한국 의 교회와 신학을 새롭게 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John Patton, pastoral theologian in the U.S.A., emphasized the ministry group as a core element in his discussion of pastoral wisdom and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This study, defining pastoral wisdom as comprehensive expertise in cognitive, integrative, and relational factors for offering pastoral care in effective ways, endeavors to investigate theory and practices of the ministry group for fostering pastoral wisdom. For this purpose, it first elucidates pastoral wisdom and pastoral theological method proposed by Patton (II), then explores theoretical framework of pastoral theology and the ministry group in light of wisdom psychology and the concept of practical wisdom(III), and finally examines practices of the ministry group for fostering pastoral wisdom, drawing on my own pastoral experiences, and suggests practical ways of implementing the ministry group for pastor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seeks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pastoral wisdom and the ministry group by means of wisdom theory and practical wisdom, and to str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astoral wisdom. Secondly, it reveals, on the basis of pastoral experiences, that it is an effective way for developing pastoral wisdom to spare sufficient time for sharing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participants as well as their experiences in their families of origin, and that it takes far more time in Korea than in America to establish a safe community for genuinely sharing one’s stories. Finally, it suggests practical ways of implementing the ministry group for pastors to enhance pastoral wisdom. This group, which is to set up in deep consideration of the reality of Korean pastors, is designed to offer an opportunity for experiencing the ministry group and to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subsequent programs. My deepest hope is that this study will evoke concerns and discussions concerning pastoral wisdom and the ministry group in the field of pastoral theology, contributing to renewal of Korean church and theology.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적 지혜는 어떻게 이상을 실현하는가?

        박성호(Park Sung ho) 대한철학회 2015 哲學硏究 Vol.135 No.-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철학에서는 윤리와 정치가 밀접하게 연관된다. 개인의 좋음과 국가의 좋음은 연관되고 인간의 선은 국가를 통해서 실현되고 완성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윤리학의 프로네시스는 정치적 지혜로 확장된다. 특히 그 실천적 사유는 개인에게나 국가를 위해 좋은 이상적인 형상을 설정하고 그것을 실현하는 방식으로 행동할 때 작용한다. 플라톤과는 대조적으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실천적 사유의 이상적인 가치 기준을 중용으로 설정한다. 그러나 그것은 현실적인 개별적 상황 안에 내재하고 있는 올바른 중용이다. 그는 지성으로 설정한 목적과 끊임없이 생성 변화하는 현실 세계 사이의 틈을 도덕적 실천으로 메울 수 있는 정신능력을 제안했다. 끊임없이 변하고 있는 세계 안에서 영혼의 논리적 부분은 이상을 효과 있게 성취할 수 있는 행동 계획을 수립한다. 그런 실천적 정신능력은 실천적 지혜와 정치적 지혜라는 지성의 덕(탁월성)이다. 목표의 성취 가능성은 그가 제안하는 행동계획이 이상적 형상에 보다 가깝게 밀착할수록 높게 될 것이다. 그리고 목표달성 여부는 중용을 응시하는 실천적 지혜와 정치적 지혜의 안목으로 개별적 상황에 적합한 중용적 행동방침을 정확히 헤아리고 판단하는 능력에 달려 있을 것이다. 그는 두 지성적 덕의 명칭은 달라도 동일한 도덕품성(헥시스)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규정하면서 실천적 지혜를 정치적 지혜에 적용한다. 이 논문에서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하는 정치적 지혜의 안목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이며 그것은 어떤 유형의 인식인가, 그리고 이론과 실천의 괴리를 어떻게 메울 수 있는가를 고찰한다. The relations between ethics and politics is a fundamental issue in political philosophy. Both are closely associated in Aristotle's political thought. In short political wisdom and practical wisdom are the same state of mind(hexis), but their essence is not the same. Aristotle establishes the Mean as an ideal value, but it is regarded as the correct Mean immanent in things, which depends upon the particular circumstances of situations. We keep our soul's eyes turned toward something. We conceive of action what to do, by fixing our eyes on the ideal in the manner of phronimos. What we set our skopos on is established as a norm that we must embody in facts. The logistic part of soul is designed to take charge of the need for action within a constantly changing world. Aristotle thought he had discovered a faculty for dealing with practice, taking over from theory, could fill in the gap. This ability was dianoetic and linked with action and could be mediated as was required. The name is phronēsis or politikē. Then, what is the eye of politikē which realizes an ideal in Aristotle's practical thought? What kind of perception is it? How could it fill the gap between the ideal and the real? In this paper I consider that question in the operations of Aristotle's politikē.

      • KCI등재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변형에 관한 연구

        이상일(Lee, Sang-Ill) 새한철학회 2021 哲學論叢 Vol.105 No.3

        우리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도덕철학 안에 있는 교설들을 토마스 아퀴나스가 어떻게 해석하고 변형시켰는지를 논의해보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그런 의미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 안에 있는 ‘목적 구절’의 중요성을 충분히 잘 이해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올바른 실천적 지식을 획득하고 보존하는 것 안에서의 도덕적 탁월성과 실천적 지혜의 역할에 관한 『니코마코스 윤리학』안에서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검토한다. 그런데 이러한 간략한 논의는 두 가지의 주된 문제점들을 제기한다. 첫째, 도덕적인 삶의 목적은 어떻게 알려지는가? 둘째, 도덕적 탁월성은 올바른 목적에 관한 우리의 지식에 어떻게 공헌하는가?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들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답변은 무엇인지를 좀 더 세밀하게 검토한다. 첫 번째 질문에 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해결책은 도덕적인 삶의 일반적이고 특수한 목적들이 ‘우리가 어떻게 행위 해야 하는가?’에 관한 일반적인 표준이 되는 ‘보편적인 실천적 원리들’에 의해서 알려진다는 것이다. 그런데 보편적인 실천적 원리들은 좀 더 특수한 도덕학의 결론뿐만 아니라 자명한 실천적 전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두 번째 문제에 대한 토마스 아퀴나스의 대답은 도덕적 탁월성은 탁월성이 있는 개인이 진정으로 행위 하는 목적들이라 할 수 있는 ‘특수한 실천적 원리들’을 보증함으로써 올바른 목적에 대한 지식에다가 정서적 지지를 제공한다는 것이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이러한 맥락 안에서 ‘자기에게 고유하게 되는 것에 의한 판단’이라는 그의 교설에 의해서 또는 논증적이지 않은 실천적 지혜의 판단이라고 할 수 있는 ‘경향성에 의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직관’을 한층 더 발전시킨다. 그러므로 보편적인 그리고 특수한 실천적 원리들이라는 토마스 아퀴나스의 교설은 그의 윤리학 안에 있는 ‘목적 구절’의 자리를 이해하는 데에 적절한 체계를 제공해준다. 토마스 아퀴나스는 아리스토텔레스 안에 함축되어있는 것을 단지 좀 더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다. 그는 실천적 지혜에 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명을 개선한다. 그는 근본적으로 실천적 지혜의 의미와 범위를 변경한다. 결론적으로, 연구자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기본적으로는 충실한 철학적 주해를 했다는 것, 그리고 언뜻 보아서는 잘 알 수 없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명료화했을 뿐만 아니라 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설명을 제시했다는 것을 주장한다. 그리하여 연구자는 그로 인하여 토마스 아퀴나스가 아리스토텔레스의 목적 구절을 그 자신의 주해 안에서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사고의 원리들과 범주들의 도움으로 한층 더 발전적으로 확장했다고 결론을 내린다. It is a very meaningful task that we discuss that how Thomas Aquinas exegetes and transforms teachings in Aristotle’s ethical philosophy. In that sense, In order that fully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the goal passage in Aristotle’s ethics, Above all I examines his Nicomachean account of the role of moral virtue and prudence in acquiring and preserving correct practical knowledge. By the way, This brief discussion raises two main questions. First, how are the ends of the moral life known? Second, how do the moral virtues contribute to our knowledge of right ends? I examine more closely What is Thomas Aquinas’s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omas Aquinas solution to the first question is that the general and specific ends of the moral life are known by means of ‘universal practical principles,’ which are general standards for ‘how one should act?’ They include self-evidence practical propositions as well as more specific conclusions of moral science. His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is that the moral virtues provide an affective support for the knowledge of the right end by securing ‘particular practical principles,’ which are the ends for which the virtuous individual does act. In this context, Thomas Aquinas further develops intuitions by way of his theory of the ‘judgment by connaturality’ or ‘by the inclination,’ which is a non-discursive prudential judgment. Therefore Thomas Aquinas’s theory of universal and particular practical princip;es provides the proper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lace of the goal passage in his ethics. Thomas Aquinas only making more explicit what is implicit in Aristotle. He improves the Aristotelian account of prudence. He fundamentally alter prudence’s meaning and scope. In conclusion, I insist that Thomas Aquinas basically made philosophical notes on the goal passage in the philosophical faithfulness, and clarified Aristotle’s underlying goal passage aand offered more systematic and coherent presentation. Then, I conclude that Thomas Aquinas developed Aristotle’s goal passage within his own notes with the help of Aristotle’s own principles and categories of thou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