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학자들의 新羅史 연구 방법과 그 해석

        채미하(Chai Mi-Ha) 한국고대사학회 2011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2

        본 논문은 韓百謙, 柳馨遠, 李瀷, 申景濬, 安鼎福, 李肯翊, 韓致奫, 丁若鏞, 韓鎭書, 金正喜 등이 연구한 신라사가 근ㆍ현대 신라사 연구의 토대가 되었음을 살펴본 것이다. 다 아다시피 한백겸 이래 실학자들은 시간의 변화에 따른 疆域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신라의 역사를 서술하였다. 이러한 이해는 기왕의 史書가 시간을 軸으로 역사의 변화를 추적한 것과는 구별되는 것이었다. 실학자들은 국가의 발전과 지리는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삼국사기』 이후의 史書에서 신라를 앞세웠던 역사 서술을 극복하였고, 삼국의 성립을 고구려, 백제, 신라 내지는 고구려, 신라, 백제 順으로 정리하였다. 그리고 실학자들은 국내외의 광범위한 자료뿐만 아니라 금석문 자료를 통해 신라사 내용을 보완하였다. 또한 한백겸 이후 본격적이고 체계적인 史實 考證에 입각한 역사 기술이 강조되었다. 이에 실학자들은 사서 및 史料를 비판하였으며 사실을 고증하였는데, 안정복의 신라사 연구 방법이 대표적이며 김정희의 황초령ㆍ북한산비에 대한 사실 고증도 탁월하였다. 이상과 같은 사실 고증을 바탕으로 한 실학자들의 신라 역사에 대한 해석 중 안정복의 신라 역사에 대한 해석 뿐만 아니라 김정희가 황초령비와 북한산비를 통해 연구한 신라의 불교, 관직과 관등, 6부 및 인명에 대한 해석은 현재까지도 유효한 것이 많다고 하였다. This thesis is studying that the history of Silla studied by Hanbaekgyum, Yuseongwon, Yiik, Shinkyungjun, Ahnjeongbok, Yigeungik, Hanchiyun, Jeongyakyong, Hanjinseo, Kimjeonghee, etc. has formed basis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Silla. As we all know, Silhak scholars since Hanbaekgyum described history of Silla bearing the change of territory in mind according as the change of time. This understanding was differentiated from that the previous history book had traced the change of history centered by time. Silhak scholars had thought progress of nation and geography had close relations each other. Based on this, they overcomed describing history led by Silla since[The history records of three kindoms] and arranged the establishment of three kingdom in Goguryo, Baekjae, Silla order or Goguryo, Silla, Baekjae order. And Silhak scholars supplemented contents of Silla history by epigraph data as well as wide-ranging data both from the nation and out of nation. Also more earnest and systematic history describing based on historical investigation was asserted since Hanbaekgyum. Hereupon, Silhak scholars researched the history criticizing historical book and historical records, and the method of research on Silla history by Ahnjeongbok was representative and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of Hwangchoryeong, Bukhanmountain stone inscription by Kim jeong hee was outstanding. Among interpretations of Silla history by Silhak scholars based on historical investigation as above, the interpretation on buddism, public posts and official ranks, six- bu and person’s name by Hwangchoryeng and Bukhan mountain researched by Kimjeonghee as well as interpretation on Silla history by Ahnjeongbok still have valid contents.

      • KCI등재

        신라사 補正을 위한 당 金石文 기초 연구

        권덕영(Kwon, Deok-you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최근 중국의 국토개발 과정에서 당나라 금석문을 포함한 수많은 역사자료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그런데 비록 빈도가 높지 않으나 고대 한반도 삼국과 발해 관련 당 금석문도 가끔 발견된다. 이런 점에서 중국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 자료에 대한 갈증을 다소나마 해소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중국에는 1만여 점의 당대 금석문이 공식적으로 조사,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신라 관련 금석문 38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금석문은 크게 在唐 新羅人 관련 자료와 唐人의 신라 내왕자료로 대별되고, 자료의 내용은 신라와 당 사이의 사절 왕래와 전쟁, 求法과 문화교류가 중심이 된다. 사실 신라 관련 당 금석문이 신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을 광범위하게 補正 할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당 금석문은 신라사의 일부를 보완하는데 충분히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당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 복원’이라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기초 연구 작업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특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보다 신라와 관련한 당 금석문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리, 분석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라사 補正 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Recently a lot of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ang epigraphy have been excavated and found in China. Although the frequency is not high, sometimes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history are found. This situation supplement somewhat the lack of Korea ancient historical resources. More than ten thousands of T’ang epigraphy officially have been investigated and reported until now. Among them, 38 items of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are included. We can classify them into two broad categories in terms of content. That is to say, one is politics and foreign affairs, the other society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y are not quantitative enough for research, they can not be denied that it is useful. This article is a basic research to realize such a T’ang epigraphy to supplement the Silla history. So rather than draw specific conclusions here, I would like to be satisfied with broadly investigating and organizing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Based on these data, I plan to work on supplementing Silla history in earnest.

      • KCI등재후보

        일조 신라촌(日照 新羅村)과 정몽주 활동에 관한 기록의 신뢰성

        박현규(朴現圭) 포은학회 2013 포은학연구 Vol.11 No.-

        본 논문은 최근 중국 인터넷에서는 나돌고 있는 일조 신라촌, 신라사, 신라서원, 그리고 정몽주 활동 등 한국기사의 기록을 검토한 글이다. 일조는 산동반도 남단 해안 지역에 위치한다. 기사 속의 유적과 정몽주의 관련 내용은 일조 도락진 상원촌 남단 천태산과 주변 지역을 배경으로 삼고 있다. 기사 속의 신라촌은 당나라 때 노예로 붙잡혀온 신라인들이 집단적으로 살았던 촌락이다. 신라사는 당나라 초 신라승 지은이 천태산 옛 천태민사자리에 중창한 사찰이다. 명 건문 연간에 산불로 소실되었다. 신라서원은 고려말 정몽주가 사신이 되어 신라촌을 지나가다 교육을 위해 세웠던 서원이다. 이때 정몽주가 신라촌에서 읊은 <일조시>를 시비로 새겨놓았고, 또한 귀국할 때 신라촌 사람들을 데리고 갔다. 그러나 일조 한국기사는 논란거리이다. 원전 기사의 최초 출처지가 블로그나 게시판에 올라온 것이고, 기사를 올린 최초자와 전재자의 정보가 불확실하다. 내용 출처에 있어서도 우연성을 띠고 있어 명확한 기록이 없어 신뢰도가 매우 낮다. 기사에 언급된 일부 내용은 역사 정황과 맞지 않는 점도 있다. 앞으로 여기에 대해 보다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다만 일조 한국기사가 미래에 한중 양국인이 어떻게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해주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本論文是探討最近在中國網絡上流傳的日照新羅村、新羅寺、新羅書院以及鄭夢周活動等韓國報導記錄的文章。日照是位於山東半島南端海岸地區。報導中有關遺跡和鄭夢周的內容以日照濤雒鎭上元村南端的天台山和周邊地區爲背景。 報導中的新羅村是唐朝被抓來作爲奴隸的新羅人集團生活過的村落。新羅寺是唐朝初新羅僧智隱在天台山以前的天台憫寺所在處重建的寺刹, 在明建文年間, 因山火而毀。新羅書院是高麗末鄭夢周作爲使臣路過新羅村時, 爲了教育而建的書院。那時, 鄭夢周在新羅村刻下了吟詠的≪日照詩≫做爲詩碑, 並在回國時帶走了新羅村的人們。 但是, 有關日照的韓國報導是一個爭論話題。報導的最早的出處是上傳在博客或留言板上的內容, 上傳報導的最初者和轉載者的情報不確切。在內容出處上也有偶然性, 沒有明確的記錄, 可信度很低。在報導中提及的一部分內容還有和歷史不符的地方。今後, 需要對此進行更爲周密的考察。只是, 對於日照韓國報導的未來, 有必要關注爲韓中兩國人怎樣去開展指明方向的這方面。

      • KCI등재

        신라사의 전개와 來住人(immigrants)

        권덕영(Kwon, Deok-young)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인류의 역사는 인간 이동의 역사였다. 인간은 보다 나은 삶을 추구하기 위해 끊임없이 이동하였다. 그런데 인간의 이동은 늘 역사의 변혁과 발전을 가져왔다. 게르만 민족의 이동과 서양 고대사회의 몰락, 근대 유럽인의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이주, 중국 북방 유목민족의 주기적인 중원 진출과 征服王朝의 출현 등이 그러한 사실을 말해준다. 한국고대사회에서도 외부 세계와의 주민 이동이 활발하였다. 그럼에도 우리는 지금까지 이러한 문제에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특히 외부에서 유입되는 이동, 곧 來住(immigration)의 관점에서 우리 역사를 조망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移動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정리한 후, 외부인의 신라 내주와 관련한 자료를 정리하여 來住人들의 역사적 의미를 찾으려 시도하였다. 동서양의 역사에서 볼 수 있듯이, 대규모의 주민 이동은 사회변혁의 단초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신라의 역사가 고조선 유민의 신라 내주로부터 시작되었듯이, 신라사에서도 주민 이동과 사회변혁의 상관성이 어느 정도 입증된다. 그리고 파상적으로 이어진 외부인의 신라 내주는 노동력 확충과 군사력 증강, 불교 수용과 예악의 발달, 그리고 새로운 의술의 도입을 통해 국가 발전과 사회 안정에 기여하였다. The history of mankind was the history of human migration. Humans have moved constantly in pursuit of a better life. However, the transformation and develo pment o f history a lways involved t he m o vement of residents. The movement of the Germanic people and the fall of Western ancient society, the periodic invasion of the northern nomadic people into Chinese central plains and the emergence of the conquest dynasty, etc. tell such facts. The Korean ancient society also actively moved its residents to the outside world. Nevertheless, we have so far not paid much attention to these issues. In particular, there was a lack of efforts to look at our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immigration,” which is the movement flowing in from the outside. From that point of view, I attempted to find the influence and meaning of Silla history by those who moved to Silla from outside. As can be seen in the history of the East and the West, large-scale migration of residents has often been the cornerstone of social transformation. Just as the history of Silla began with the immigration of the people of Gojoseon(고조선) to Silla, Silla history also proves to some exten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vement of residents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addition, the continued immigration of outsiders to Silla contributed to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expansion of labor, military buildup, the acceptance of Buddhism and the development of etiquette, and the introduction of new medical techniques.

      • KCI등재

        통일신라의 대일교역과 애장왕대 ‘交聘結好’

        朴南守(Park Nam-Soo) 한국사학회 2007 史學硏究 Vol.- No.88

        통일신라의 대일관계 연구는 『삼국사기』 일본측 사서의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기보다는, 논자 상호간에 어느 한쪽의 자료만을 취함으로써 상반된 논리만을 되풀이하여 왔다. 본고는 이에 주목하여 양측 기록의 차이점과 그 의미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신라와 일본간에 전개된 교역의 변천양상을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8세기 신라와 일본을 왕래한 이른바 ‘신라사신’은 國書의 미지참, 사적으로 교역물품을 준비했다는 점, 그 자신이나 일본측 관리가 모두 조공사로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 등으로 미루어 국가간 공식 사절로 인정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둘째, 일본에 가져간 통일신라의 교역물품은 730년을 획기로 하여 큰 변화가 있었다. 곧 이전 시기에는 일본왕실에 소용되는 것으로서 신라 궁중수공업장에서 생산된 물품이었지만, 730년 이후 8세기 동안은 주로 신라 6두품이나 일반귀족이 사용하는 물품으로서 일본 귀족층을 대상으로 신라 진골귀족의 수공업장이나 민간수공업장에서 생산된 물품이었다. 이러한 물품의 성격 차이는 신라와 일본간의 교역이 국가간 공무역에서 신라 진골귀족 주도의 사무역으로 옮겨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으로 풀이되었다. 셋째, 애장왕 4년(803) 신라와 일본간의 ‘交聘結好’는 貞觀年間 중 당나라 사신을 送使하던 그러한 정신을 이어 신라와 일본간에 태정관과 집사성이 상호 牒을 주고 받으며 협조관계를 맺은 것이었다. 그 내용은 ‘일본이 견당사를 보내면서 일본 太政官이 신라 執事省에 통고한다’, 그리고 ‘견당사 배가 표착하면 물자를 주어 돌려보내든지 아니면 당나라에 가도록 도와준다’, ‘만일 표착하지 않은 실종된 배의 경우 신라가 사신을 당나라에 파견하여 그 소식을 물어 일본에 알려준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양국간의 ‘交聘結好’의 배경에는 일본의 지속적인 당문물 수용에 대한 욕구와 신라 진골귀족들의 대일교역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정책적인 측면이 있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look over the difference and its meaning between related materials of Korea and Japan, and to reconstruct the aspects of the trade transformation between Silla and Japan. First, The features of Silla envoys to Japan could be summarized like this. They did not carry state letter of Silla and prepared trade items privately. So it is difficult for us to regard them as official envoys of Silla because they did not think themselves as official envoys and they were also not treated as such by Japan. Second, there was considerable difference of trade goods between Silla and Japan during the mid-late 7th century and 8th century. While the main export items made in Silla were produced by court handcraft office during the former period and produced by private handcraft shop during the latter period, most of which were made for the Head-rank six and Japanese nobility as well. Such change of trade goods reveals that the trade between Silla and Japan was shifting from official to private one by the nobility of true bone rank. Third, 'the agreement concerning interchange between Silla and Japan' derived from the custom that Executive Council for Government Affairs (Jipsaseong) and Executive Council for Government Affairs of Japan(Taejeonggwan) exchanged official documents each other and kept cooperation between them in 803 during the reign of King Aejang. Their contents shows that if Japan sent Japanese envoys to Dang of China, Taejeonggwan notified it to Jipsaseong and when the ship loading Taejeonggwan landed in Silla, Jipsaseong returned them to Japan by giving them goods and materials as gift or help him to go to Dang. If a ship of Japan disappeared, Silla sent her envoys to Dang and tried to get information on it and reported it to Japan. Behind 'Agreement concerning interchange between Silla and Japan', it reflects the will of Japan to accept the culture of Dang through Silla and the nobility of true bone rank of Silla to fulfill their desire for foreign trade with Japan as wel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7세기 후반 신라와 일본의 大宰府 교섭

        조이옥 대구사학회 2019 대구사학 Vol.137 No.-

        The diplomatic ties between Silla and Japan in the late 7thcentury take the form of negotiations among government officials though the medium of Dazaihu. The type of diplomatic etiquette in this era is characterized to follow the old tradition. For example, Silla and Japan had official negotiations at Dazaihu located at the north west tip of Kyushu. During the negotiation, officials from both countries exchanged opinions verbally instead of documents and goods from the Silla envoy were controlled by Tsukushi-dazai before delivered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refore, the diplomatic negoti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e late 7thcentury were most likely conducted in away different from the way of paying atribute, which includes the process of confirming the relation between atributary state and the one taking atributein the diplomatic protocol. While focused on reformation of domestic affairs to establish the law system, Japanese government had a consistent diplomatic policy of having negotiations with Silla by the medium of Dazaihu. This is a good explanation that aunitary diplomatic right was not completed in Japan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emper or’spower. In light of the type of diplomatic etiquette between the Silla envoy and Tsukushi-dazai, Silla and Japan are seen to have a favorable relationship as neighboring countries. With a premise for realization of sinocentrism, the precedent study interpreted that Japan requested the manners for the subordinate- superior relationship by considering Silla a savage country or a Silla envoy, under a tacit approval, accepted the low-grade type of diplomatic etiquette by paying a tribute, as a part of the manners for the king- subject relationship. However, it is revealed that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cedent study is arbitrary and unilateral as it is based on the Japan-centered perspective that lacks objectivity. 7세기 후반 신라와 일본의 외교 관계는 大宰府를 매개로 한 관인 사이의 교섭 형태를 통해 유지하고 있다. 왕권이 직접 주재하는 조정의 외교의례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방식과 달리 九州 서북단의 쓰쿠시(筑紫)에 위치한 다자이후에서 이루어지는 신라와 일본의 공식 교섭은 문서 대신에 口頭로 국가적 의사를 교환하는 동시에 신라사신이 가져온 물품은 筑紫大宰의 관여 하에 중앙에 전달하는 등 이른 시기부터 전해오는 외교형식에 따라 이루어지는 특징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7세기 후반 신라와 일본의 외교 교섭은 조공국과 피조공국 쌍방의 관계를 실제로 확인하는 외교의례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조공방식과는 다른 형식과 방식으로 이루어 졌을 가능성이 농후해 보인다. 대체로 율령제 확립을 위한 내정 개혁에 매진하던 天武·持統년간 일본 조정은 신라사를 비롯한 외국사절을 다자이후에서 맞이하고 교섭하는 외교 형태로 견지하고 있는데, 이는 당시 일본이 율령제 완성을 통한 일원적인 외교권이 확립되지 않았음을 반영하는 것이다. 요컨대 다자이후 현지에서 이루어지는 신라사와 筑紫大宰 사이의 외교형식을 통해 7세기 후반 신라와 일본의 관계가 상하 조공관계가 아니라 대등한 隣國으로 交隣關係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화사상의 실현을 위한 전제로서 일본이 신라를 蕃國으로 인식해 의식상에서 상하관계의 禮를 요구하거나, 신라사신이 일본의 요구를 감수해 朝貢이라는 臣從의 禮를 취하는 등 번국으로 하위의 외교형식을 암묵적으로 감수한 것으로 이해한 기존의 선행 연구는 객관성이 결여된 일본 본위의 시각에서 비롯한 자의적·일방적인 해석임을 알 수 있다.

      • 동아시아 차와 선사상의 확산과 고려초기 뇌원차

        허흥식(Heo Heung-Sik) 아시아민족조형학회 2022 아시아민족조형학보 Vol.23 No.-

        Our society and Yunnan Province in southwestern China have had a long bond. There is something in common between the two regions academic exchanges and the number of Uralaltic People. There were many things in common with myths, folklore, and totem. As the origin of tea and Zen Buddhism, Yunnan in southwest China and the southwestern region of Sichuan were deeply related to Korea. Sichuan was an area where Tang Hyeon-jong was driven by Ansas rebellion. At this time, envoys and high monks of Silla showed great friendship in overcoming Tang in crisis. The party greatly helped the Silla Kingdom exchange of tea and Zen Buddhism, and further strengthene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Tea and cultural traditions in the Yangz River basin became an important opportunity to spread to Silla. The tea planted in Silla played a large role in the mid-8th century by Silla envoy Daereom. The interpretation of the records of the Samguk Sagi, which Daeryeom planted in the southern parts of Jiri Mountain slope, was wrong in the late 750s and was planted during the reign of King Heungdeok in 828. It is reasonable to interpret that the record at least 60 years earlier was recorded as a later generation, and Sillas tea has already entered the stage of self-sufficiency. Since the south of Jiri Mountain is a large area, there are two areas, Hadong and Gurye cirtified as first place where tea was planted from Tang. Today, Duwon-myeon, Goheung-gun,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two regions, is important as a port location or a port for envoys to Gyeongju.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name of the tea is also close to here. Goheung was a place close to Cheonghaejin, the center where Jang Bogo was active. In addition, since Goryeo was an important battleground in the process of integrating the Later Three Kingdoms, the cultivation of tea here was produced by consignment with strong support. The tea was managed by nobles and temples and was inherited from the end of Silla to the Goryeo Dynasty. However, Goheung was a highly competitive area of all time, but it kept it well. However, the center of Goheungs tea production was moved to Jangheung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in the late Goryeo. However even now, there are not a few traces of Noewoncha, so wild tea remains in the area of Duwon-myeon. In addition, there are many traces of tea bowls made from Goryeo porcelain.

      • KCI등재

        재당(在唐) 신라인사회에서 신라원(新羅院)의 성격에 대한 재검토

        석길암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7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2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illawon, a Silla Buddhist temple, within the Silla society in the Dang Dynasty. As to study of the social structure of the Silla people in the Dang Dynasty, there has been a continuous accumulation of fresh research results for the last two decades in the fields of the history of Silla or the history of exchange between Silla and Dang dynasties. Especially, the research in this study has been mainly focused on the investigation of the Record of a Pilgrimage to China in Search of the Law (入唐求法巡禮行記) by Ennin (圓仁). The existence of Silla society in the Dang Dynasty such as Sillabang (新羅坊) and its significance have already been illuminated to a certain extent by previous studies from diverse perspectives. There has been no proper research on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Sillawon, the allegedly central institution within the Silla society in the Dang Dynasty. This lack of research is due to the fact that the extant sources reveal hardly specific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 of the Silla Buddhist temple, in addition to the shortage of related sources. This article purports to overcome this shortage in illuminating the partial but specific function of the Sillawon by investigating the recently found inscriptions in relation with the Sillawon and the function of the Xianci (祆祠) within the Sogdian society in the Dang Dynasty. This investigation reveals the central function of the Sillawon in the social network of the Silla society in the Dang Dynasty in addition to its function as an overseas network of the Silla Dynasty. 본 연구는 신라원(新羅院) 곧 신라 불교사원이 재당(在唐) 신라인 사회에서 어떠한 기능과 역할을 하고 있었는지를 검토하려는 논문이다. 재당 신라인 사회에 대한 연구는 신라사 분야 혹은 나당 교류사 분야에서 최근 20여 년 동안 새로운 연구 성과들이 축적되고 있는 분야이다. 특히 이 분야에 대한 연구의 중심 대상이 되었던 것은 엔닌의 『입당구법순례행기』의 연구이다. 신라방(新羅坊) 등 재당신라인 사회의 존재와 그 의미에 대한 연구는 선행연구에 의해서 다양한 측면의 검토가 이루어진 바 있다. 그러나 재당 신라인 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하였으리라고 추정되는 신라원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연구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첫째로는 관련 사료의 부족 때문이고, 둘째로 그나마 존재하는 사료에서도 신라사원이 어떠한 기능을 하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정황을 보여주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 사료의 부족분을 최근 발견된 신라원 관련 명문 및 재당 소그드족 사회에서 보이는 祆祠의 기능 등을 활용하여 신라원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한 부분적이기는 하지만 보완적 해명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신라원이 재당 신라인 사회 네트워크의 중심 기능은 물론 신라의 해외 네트워크로서의 기능도 가지고 있음을 해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