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은 어떤 식이보충제를 복용하고 있는가? -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중심으로 -

        이훈호,박현아,강재헌,강주호,이정선,김경우,조영규,송혜령 대한가정의학회 2009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0 No.12

        Background: Dietary supplements affect the health and disease status of Koreans. We assessed the patterns of dietary supplements use and the related factors in Korean adults from the 200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NHANES). Methods: Among the subjects, 2,024 men and 2,811 women underwent all the three parts of 2005 KNHANES, which consisted the health survey, the health examination, and the nutritional survey. Reported supplements were classifi ed according to the 200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otification. We ass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ements use and socioeconomic state, health behaviors, and chronic diseases. Results: Twenty-nine percent of Korean adults was taking dietary supplements. Vitamin/mineral supplements were the most commonly taken one. Glucosamine/mucopolysaccharide, ginseng, spirulina/chlorella, omega-3, and aloe followed in listing. Supplement users were likely to be woman and middle-aged. Supplement use was associated with older, high income, with spouse, higher education, urban-living, regular exercise, non-smoker, and lower BMI. Musculoskeletal diseases were associated with supplement use. Conclusion: Dietary supplement use is prevalent in Korean adults. The supplement use was associated with some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and chronic diseases. Thes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the effi cacy of dietary supplements. 연구배경: 전통적으로 영양요법에 관심이 많은 한국인에서 식이보충제 복용은 국민건강에 영향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사용하여 실제 한국인이 복 용하는 식이보충제 종류를 확인하고 보충제 복용과 관련된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행태, 만성질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조사와 검진조사, 영 양조사를 모두 참여한 20세 이상 성인 4,835명(남자 2,024명, 여자 2,8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식이보충제는 최근 1년 동 안 2주 이상 복용여부를 물었고, 보충제는 4가지까지 복수로 대답할 수 있었다. 보충제는 2008년 식약청 고시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으며 보충제 복용자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행태, 자가평가건강정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암, 고혈압, 당 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근골격계질환, 간질환, 폐질환, 아토 피피부염에 따른 복용률을 사회경제적 특성과 건강행태를 보 정하여 식이보충제 복용과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한국 성인의 식이보충제 복용률은 남성에서 24%, 여성 33%였다. 가장 자주 복용되는 식이보충제는 비타민/무기질 이였고, 글루코사민/뮤코다당질, 홍삼/인삼, 스피루리나/클 로렐라, 오메가-3지방산, 알로에 순으로 나타났다. 식이보충 제 복용은 연령, 월수입, 교육과 관련되어있었고, 서울지역 거 주자와 유배우자의 복용률이 높았다. 체질량지수가 낮은 경 우, 흡연을 하지 않는 경우, 운동을 하는 경우에 복용률이 높았 다. 근골격계 질환을 제외하면 개별 만성질환과의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한국인의 식이보충제 복용률은 30%이다. 식이보충제 복용은 인구사회학적요인 및 건강행동과 연관성이 있었고 특 정질환에서 복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불확실한 위험의 규제

        진성만 명지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명지법학 Vol.13 No.-

        The article tries to intensively introduce these. First, regulatory regimes of U.S. provide scientific bases for dietary supplement and focus on regulation. Furthermore, this book systematically reviews stereotyping of regulating method, assessment method etc., so that this not only adds theoretical interest of regulation law for a policy maker in charge of various industrial regulations but also provides an opportunity for in dept learning. Second, 'market Failure' which is traditional and theoretical ground about regulation of unreasonable risk is discussed, and this article explores establishment of benchmarks to decide what regulating system of unreasonable risk is good, if it is acceptable, or whether reform is necessary or not etc. And tools to assess validity of the establishment are examined. But it should be carefully noted that solutions suggested here put the point to emphasize the fact that “regulation of unreasonable risk is related to choice to reflect fundamental assumption about vulnerabilities of a specific social system”, rather than provided to find best method dealing with regulation of unreasonable risk. 이제 환경위험 및 식품위험에 대한 이야기는 사회학 분야뿐만 아니라, 법학 분 야에서도 지속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식품안전을 보 장할 수 있는 행정조직은 지속적으로 정비되어 왔지만, 그렇다고 해서 과연 시 민들이 우리 식품의 안정성을 신뢰하게 된 것인가 이러한 의문들은 분명 복잡 한 것이며, 많은 논쟁을 야기하는 것이다. 불확실한 위험(unreasonable risk)은 대부분 환경, 건강, 소비자안전 등의 문제 와 관련하여 미국의 법제도들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이에 따르면, 불확실한 위 험은 일반적으로 분명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할 수 없는 위험을 의미한다. 즉, 식품의 안전성에 관한 시민들의 불안 속에는 식품의 제조·유통 과정에 불확실한 위험이 존재하고 있음을 가정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우리사회는 이제 무엇이 불 확실한 위험에 해당하는지를 규정하여야 하는 매우 복잡하고 논쟁적인 논의가 불가피하다. 이에 이 글에서 중점적으로 소개하고자 하는 것은, 첫째, 미국의 식이보충제 규 제기술을 통해 역사학적, 사회학적, 경제학적 맥락을 포괄하는 다양한 불합리한 위험 규제법과 이론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규제방식의 유형화, 평가 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검토해 놓고 있어서 각종 산업규제를 담당하는 정책자에 게 규제법학의 이론적 흥미를 더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깊이 있는 학습의 기회 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규제에 관한 전통적인 이론적 근거인 ‘시장의 실패’를 중심으로 불확실한 위험의 개념 및 불확실한 위험을 왜 규제해야 하는지 나아가 어떻게 규제하여 야 하는지 등을 구체화하고 있다. 어떤 규제 시스템이 좋은 것인지, 수용할만한 것인지, 아니면 개혁의 필요성이 있는지 등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benchmarks) 의 정립과 그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들을 살펴보고 있다. 다만, 이 글에서 제시하고 있는 불확실한 위험에 대한 규제기술은 불확실한 위 험들에 대한 최상의 규제방법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 즉, “규제 시스템 상에서의 선택이 필요한 문제”라는 사실을 강조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 KCI등재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 : 미국의 건강기능식품법 -미국연방식약청(FDA)의 규제현황을 중심으로-

        정하명 ( Ha Myoung Jeong ) 한국법정책학회 2009 법과 정책연구 Vol.9 No.1

        Functional food is a processed food claimed to have a health-promoting or disease-preventing property beyond the basic function of supplying nutrients. The general category of functional foods includes processed food or foods fortified with health-promoting additives, like "vitamin-enriched" products. Functional foods are an emerging field in food science due to their increasing popularity with health-conscious consumers. Functional food products include health claims on their label. The United States has specific laws concerning the labeling of such products. In the United States, these kinds of health claims are overseen and regulated by the Food and Drug Administration(FDA). Some health claims with the disclaimer will fall beyon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of the FDA. Functional food, dislike drugs, is not intended to diagnose, treat, cure or prevent any disease. A dietary supplement is a preparation intended to provide nutrients, such as vitamins, minerals, fatty acids or amino acids, that are missing or are not consumed in sufficient quantity in a person`s ordinary diet. In the United States, a dietary supplement is defined under the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 of 1994 (DSHEA) as a product that is intended to supplement the diet. Pursuant to the DSHEA, the FDA regulates dietary supplements as foods, and not as drugs. Dietary supplements, like food or dislike drug, do not need to be pre-approved by the FDA before they can enter the market. FDA`s regulatory frameworks are focused on taking action against unsafe dietary supplement product after it reaches the market. Dietary supplement may be found in many forms such as tablets, capsules, softgels, gelcaps, liquids, powers, or bars. Information on its labels must not represent the product as a conventional food as a conventional item of a meal or diet. Korean government recently amended Korean functional and health enhancing food act to abolish formalities of health enhancing foods. Korean manufactor can make any forms of health enhancing foods whatever they want. This Korean government policy might provoke consumer`s confusions and misunderstanding about health enhancing foo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