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아공 코자족 조상숭배; 카일리처를 중심으로

        권효상 ( Kwon Hyo Sang ) 아프리카미래학회 2023 아프리카와 미래 Vol.1 No.0

        조상숭배는 거의 모든 대륙의 선교지에서 여전히 난제로 꼽힌다. 우리는 힌두권이나 이슬람권 선교에 대해서는 경각심을 가지고 전략들을 쏟아 놓는다. 그러나 지역 배경을 고려한 조상숭배에 대한 전략들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중남부 아프리카의 선교 역시 조상숭배 문제를 외면하고는 적절한 돌파를 이룰 수 없을 정도로 현지인들에게 뿌리깊다. 특별히 남아공은 인종차별정책(apartheid) 이후의 정치적인 이유로, 혹은 지역 고유의 ubuntu라는 문화 사회적인 배경을 이유로, 그리고 종교적인 이유로 인해 현재 기독교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아프리카독립교회(AIC) 또한 조상숭배와 깊이 연관되어 있다. 필자가 수 년간 봉사했던 코자(Xhosa)족은 약 70% 이상이 기독교인이다. 그러나 그들 역시 90% 이상이 평상시 조상과 깊은 교제를 한다. 본고는 코자족 기독교인들이 조상숭배 문제에 집착하는 이유를 전통종교 이해를 통해 분석했다. 또한 조상숭배 문제를 두고 초기 코자족 선교를 했던 서구 선교사들의 조상숭배에 대한 반응과 그들에 대한 코자족의 반응, 그리고 동시대에 코자족 선교를 하고 있는 선교사들의 반응을 추적 연구 했다. 마지막으로, 케이프타운(Cape Town)의 코자족 집단 거주 지역인 카일리처(Khayelitsha)에서 시행했던 조상숭배를 주제로 한 현장 조사(empirical study)를 통해 현대 코자족 그리스도인들이 여전히 조상 숭배에 집착하는 이유에 대해서 고찰했다. 즉, 문헌조사와 현장조사는 코자족 기독교인들이 여전히 조상숭배 문제에서 자유하지 못한 이유에 대해 알려주고 있다. 문헌조사를 통해서 필자는 선교사들과 아프리카 현지 신학자들이 조상숭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도한 흔적들을 추적했다. 필자는 타 종교문화 대화 상황에서 흔히 쓰이는 Allan Race의 구분법을 따라서 배타주의, 포괄주의, 그리고 종교다원주의적 입장을 견지하는 주장들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사변적이고 존재론적인 방식의 접근을 통해서는 조상숭배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힘들다는 결론에 이른다. 오히려 코자족이 기독교인이 된 이후에도 여전히 조상숭배에 집착하는지에 대한 현장조사의 답변인 ‘보호와 현세적인 복’이라는 현실적인 필요(의미)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is still considered a challenge in mission fields on almost all continents. We pour out strategies with awareness about Hindu or Islamic missions. However, strategies for ancestor worship considering the local background are relatively poor. It is so deeply rooted in the local people that it is impossible to make a proper breakthrough without ignoring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in Central and South Africa. In particular, in South Africa, for political reasons after the apartheid, for the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region's indigenous ubuntu, and religious reasons, the African Independent Church (AIC), which currently accounts for more than 90% of Christianity, is also deeply rooted in ancestor worship. More than 70% of the Xhosa, whom I have served for several years, are Christians. However, more than 90% of them also have a deep relationship with their ancestors regularly.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why Xhosa Christians are obsessed with ancestor worship by understanding traditional Xhosa religion. In addition, regarding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the responses of Western missionaries who did early Xhosa missions, the Xhosa people's reactions to them, and the responses of missionaries currently conducting Xhosa missions were traced. Finally, the author conducted an empirical study on ancestor worship conducted in Khayelitsha, Cape Town's Xhosa community, to find out why modern Xhosa Christians are still obsessed with ancestor worship. In other word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reveal the reason why Xhosa Christians are still not free from the issue of ancestor worship. Through a literature search, I traced the efforts of missionaries and local African theologians to solve the problem of ancestor worship. Following the classification of Allan Race, which is commonly used in conversations with other religions, I looked at their arguments within the framework of exclusivity, inclusivism, and religious pluralism. I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difficult to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ancestor worship through a speculative and ontological approach. Rather, it is necessary to take a realistic need (meaning)-focused approach to ‘protection and temporal blessings, which is the answer to the field survey as to whether the Xhosa are still obsessed with ancestor worship after becoming Christians.

      • KCI등재

        하은주(夏殷周) 시기의 사회사상 연구

        고재욱 한국중국학회 2011 중국학보 Vol.64 No.-

        在原始社會, 人類帶著對自然的恐懼感, 帶著對自然的崇尙而生活下來。由此, 便産生了自然崇拜思想。此時, 處於母系氏族公社階段, 幾乎都是共同勞動, 平均分配, 人與人之間, 尙未出現統治等法則。隨著自然崇拜思想的發展, 關於靈魂不死觀念的多神崇拜思想也得以形成。這就是原始宗敎意識的萌芽。隨著對自然理解的加深, 崇拜特定自然, 幷將其與自己本族或部落聯系起來的圖騰崇拜思想也隨之産生。在這種圖騰崇拜社會裏, 雖有對圖騰的祭祀意識, 但尙未産生階級。此時, 各個部落之間也有了戰爭, 幷且根據戰爭的結果, 開始出現了圖騰之間的融合。以仰韶文化爲代表的夏朝正是這樣一個時代。繼圖騰社會後, 又出現了祖先崇拜思想。圖騰崇拜和祖先崇拜之間的差別在於崇拜對象的不同, 如果說圖騰崇拜是對特定動植物的崇拜, 那마祖先崇拜其對象則是人類自身。進入了祖先崇拜時代, 階級社會也就隨著産生了。以龍山文化爲代表的這一時期相當於殷商時期。殷族打著天命的旗號滅了夏朝。殷商初期, 作爲酋邦社會末期, 已經達到了古代國家的階段。進入後期以來, 殷族打出了上帝這一絶對勢力, 將自身看做是上帝所選定的民族, 開始了抑壓其他部落的奴隸制社會。他們的先民思想及奴隸制思想便成了周朝建國的起因。周朝以夏商爲鑒, 大擧道德政治。尤其是建立周朝根基的周公上至天子, 下至各諸侯, 大力推揚尊崇文王和武王的德行, 建立了人文主義道德政治的基石, 幷提出敬天、敬德、保民的統治哲學, 奠定了周朝的基石。正所謂禮治制度的開端。遺憾的是那樣的禮治思想和制度只局限於對貴族階級的統治上。他所設立幷强調的禮制也是一種僅適用於大夫及以上級別的制度, 對於百姓, 則采取依法統治。這結果就暗含著將國家這樣一個組織體一分爲二, 也成了周朝的一個弱點。結果可以看做在一個國家內同時包含有兩種統治形態的감개結構而開始。此外, 周公的雄心大作的敬天、敬德、保民的思想, 其訓誡及實施對象只局限在貴族上, 這一點在實施上便預示出了問題的不可避免。這是因爲脫離百姓實際情況而推行的理想政治也會成爲空中樓閣。

      • KCI등재

        소아시아 그리스인의 로마 원로원 숭배

        김경현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7 서양고대사연구 Vol.50 No.-

        역사가 타키투스에 의하면, 티베리우스 황제는 황제숭배와 관련해 선임황제인 아우구스투스와 다른 정책을 취했다. 그는 원칙적으로 자신을 생전에 신격화하는 데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었던 데다, 아우구스투스와 비슷한 예우를 받을 자격이 없다는 겸양의 이유에서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과 모후 리비아 (아우구스투스의 미망인)를 숭배하겠다는 아시아 속주의 요청을 조건부로 수용했다. 원로원을 함께 숭배하라는 단서가 바로 그것이었다. 즉위 초부터 원로원에 대해 명실상부하게 겸허함을 보였던 그의 태도에 비추어 볼 때 그것은 납득할 만한 일이었다. 하지만 그런 절충안이 다른 속주로 파급되는 것은 원치 않아, 아시아 속주와 비슷한 황제숭배를 제안한 스페인 속주의 요구를 단호히 거부했다. 그런데 원로원 숭배에 관한 비문헌 증거들 (주화 및 금석문)은 일견 위의 문헌증거와는 다른 양상을 가리키는 듯하다. 그래서 그 증거들을 망라적으로 수집한 포르니에 이어 키에나스트는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원로원 숭배는 아시아 속주 뿐 아니라 제국 전역에 확산되었으며, 게다가 서기 2~3세기에 이르러서야 더 활력을 띠었다는 것이다. 필자의 이 글은 문제의 비문헌 증거를 위 두 연구자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분석해, 오히려 타키투스의 증언이 대체로 유효함을 보여주고자 한다. 두 연구자가 비문헌 증거에서 원로원 숭배의 근거로 간주했던 두 개의 관용구 (theos synkletos와 hiera synkletos) 가운데, 후자는 ‘신적 숭배’라기보다 ‘의례적인 경칭’에 불과하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비문에서 원로원을 가리키는 단순한 라틴어 명사 senatus가 그리스어로 번역될 때, 그저 synkletos라는 명사만이 아니라 그 앞에 관례적으로 hiera라는 형용사가 추가되곤 한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원로원에 대한 신적 숭배가 더 이상 공식적으로 지속되지 않았지만, 기억의 관성 때문에 hiera라는 경어적 표현을 덧붙이는 정도의 예우가 남았던 것이다. 문헌증거가 시사하듯, 속주에서의 원로원 숭배는 티베리우스 황제의 독특한 절충안이었을 뿐 아니라, 특히 서기 2~3세기경 로마 원로원의 권한과 기능이 거의 유명무실해진 점을 감안할 때, 두 선행 연구자의 가정을 수긍하기 어렵다. 황제숭배의 일환으로서 원로원 숭배가 정식으로 지켜진 것은, 주화들에서 theos synkletos라는 세김글이 집중적으로 확인되는 서기 1세기 동안, 특히 네로 황제 치세까지였다고 짐작된다. hiera synkletos라는 새김글이 주로 지역 종교의 숭배대상인 신들 (제우스, 아테나, 아폴론, 헤라클레스, 아프로디테, 키벨레 외에, 도시 tyche 등)과 함께 나타나는 반면, 황제, 황후, 로마 여신과 함께 그려진 주화들이 주로 서기 1세기에 분포한다는 점도 그와 관련해 주목할 점이다. 비문헌 증거를 필자처럼 해석하면, 그 결과는 속주의 원로원 숭배에 관한 문헌증거와 대체로 부합한다. This paper discusses anew the temporal span as well as the geographic scope of the cult of Senate among the Greeks under Roman domination with a view to producing a different conclusion from those of two preceding researchers, Forni (1954) and Kienast (1985). There are two, literary and non-literary categories of evidence, and the latter (consisting of inscriptions and coins) is exhaustively and conveniently catalogued in Forni. The literary evidence, solely coming from Tacitus' Annales (passim in Book 4), is both meager and stingy, though very explicit concerning how at first the cult of Senate came into existence. According to Tacitus, when the Greek cities of Province Asia had applied for divine worship of the living emperor, Tiberius granted the petition on the condition that the Senate should be also worshipped together with himself and Augusta Livia (Augustus' widow and his mother also then alive). This idiosyncratic compromise is very much understandable, for Tiberius took the policy of governance with the Senate, at least during the first years of his reign. Yet, again Tacitus tells us, he did not want to see this expediency propagated elsewhere, as when he rejected a similar petition from the Spanish cities. Tacitus did not care at all to pursue the vicissitudes of the cult in the books that follow. Thu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cult of Senate was a peculiarity in Province Asia, and that it could not last for long. Yet, non-literary evidences, prima facie, give us a different picture, if we regard the phrases such as theos synkletos (divine senate) and hiera synkletos (sacred senate) as typical of the cult of Senate, as both Forni and Kienast did. For 70 odd inscriptions mentioning hiera synkletos were found throughout the entire Roman empire, while the 539 coins containing the legends theos synkletos (divine senate) and hiera synkletos were produced in the provinces of Asia Minor and adjacent areas. Furthermore, the coins ranged heavily during the 2nd and 3rd centuries A. D., which is a rather singular phenomenon, considering that the Senate had become nothing but a name. This picture from the non-literary evidences was adopted by both Froni and Kienast with disregard to Tacitus. And particularly Forni even came to suggest, without any evidence, that the cult of Senate could have been established among the Greeks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just like the cult of dea Roma. This paper attempts to prove that Tacitus is correct as far as the cult of Senae is concerned and that the non-literary evidences need to be handled more carefully than had been by Forni and Kienast. The different premise of this author is that the phrase hiera synkletos may not testify to the cult of Senate, but remain merely an honorary cliche among the Greeks indicating the Roman senate, as is exemplified by the inscriptions where the Latin phrase senatus populusque Romanus was translated into the Greek hiera synkletos kai demos Romanion. With this premise applied to the coin legends, we may get a picture different from that of Forni and Kieast: hiera synkletos on the coins mostly ranging from 2nd and 3rd centuries A. D. may not be signifying the continuance of the cult of Senate, but should be construed merely as a fossilized remnant of a foregone cult. Another remarkable aspect of the numismatic evidences is that the coins with the other legend (theos synkletos) ranged mostly from Tiberius till Nero, thus pointing to the possibility that the cult of Senate itself was a phenomenon very much peculiar to the Julio-Claudian dynasty. And the author also attempts to rebut the assumption of Forni that the cult of Senate could have emerged during the Republican period, by explaining how the Greek municipal communities mostly tended to find individual senators as their benefactors and patrons (hence the so-called civic patronage) during the last two centuries B.C. In the final analysis, concerning the temporal span and geographical limit of th...

      • KCI등재

        칼빈의 우상숭배 이해

        이신열(Samuel Y. Lee)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16 갱신과 부흥 Vol.17 No.1

        본 논문은 칼빈이 어떻게 우상숭배를 주로 부정적 관점에서 파악하게 되었는가를 고찰하는 논문이다. 이 주제에 대한 더욱 효과적인 고찰을 위해서 본 논문은 우상숭배에 대한 역사적 배경, 우상숭배와 관련되는 교리적 고찰로서 경건, 신지식, 그리고 예배라는 주제를 먼저 다루었다. 이에 근거해서 우상숭배의 본질에 대해서 살펴 본 후 마지 막으로 우상숭배의 결과를 살펴보았다. 역사적 배경으로는 중세 후기의 영성, 칼빈의 회심, 그리고 니고데모주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 다. 중세는 영성의 가시적 측면을 강조한 시기였는데 이로 인해 성자 숭배와 미사에서 성찬의 왜곡 등의 부정적 결과가 초래되었다. 칼빈은 이렇게 우상숭배와 각종 미신적 행위로 물들어 버린 로마 가톨릭 에서 더 이상 자신의 신앙적 양심을 지킬 수 없었기에 이를 떠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니고데모주의의 우상숭배적 위험에 처해 있었기에 프랑스 개신교회를 향한 니고데모주의에 대해서 더욱 예리한 비판을 가했다. 교리적 고찰에 있어서 칼빈은 하나님에 대한 두려움과 사랑으로 구성된 경건은 참된 신지식을 가져오고 이에 근거해서 참된 예배가 가능하다고 밝힌다. 마지막으로 칼빈은 우상숭배의 본질과 결과에 대해서 다룬다. 우상숭배의 본질은 인간의 교만한 생각으로 하나님을 자신의 고안물로 대체하려는 태도, 하나님에 대한 경멸, 그리고 모순성에 놓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칼빈은 우상숭배의 결과를 전적으로 부정적 차원에서 고찰하였는데 이는 구체 적으로 교회의 질서 유지를 위해 필수적인 교회법의 왜곡, 미사에 있어서 성찬의 왜곡, 그리고 성자숭배의 결과로 발생하는 기도에 대한 왜곡을 초래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see how Calvin came to mainly view idolatry in negative terms. In order to effectively achieve this purpose, an attempt has been made to briefly review historical background and doctrinal considerations regarding idolatry. Based upon this preliminary consideration, it has been attempted to inquire on Calvin 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result of idolatry. The historical background has been probed in term of the late Medieval spirituality, the conversion of Calvin and his view on Nicodemism. In the late fifteenth century Roman Catholicism had exhibited a strong tendency to visualize her spirituality in terms of saint worship as well as a distortion of the eucharist in the mass. Calvin could not stay in this church filled with idolatrous and superstitious practices and eventually had left it and joined to the cause of the Reformation. Since he himself was faced with idolatry in the Roman Catholic church, Calvin was able to keenly observe the danger of Nicodemism and to engage with the issues of warning against idolatry. On the issue of doctrinal consideration, Calvin thought piety, which is a combination of love and fear of God in man s heart pro-duces a proper knowledge of God. This knowledge functions as a basis for an acceptable worship to God. Lastly, in Calvin s thought on the nature of idolatry was expressed in human arrogance replacing the living God with human contrivance, contempt for God, and self-contradiction. The results of idolatry are mainly seen in negatve concepts as well. They are expressed in distortion in three different subjects: ecclesiastical law, eucharist in the mass, and prayer arising out of saint worship.

      • 존 낙스의 우상숭배론 : 『미사 희생이 우상숭배라는 교리의 변호』를 중심으로

        권태경 총신대학교 2023 總神大論叢 Vol.43 No.-

        스코틀랜드 종교개혁자 존 낙스 (John Knox)에게 교회 개혁의 중심은 예배 개혁을 의미한다. 당시 스코틀랜드 교회의 예배는 가톨릭의 미사가 예배의 중심이었다. 낙스는 자신의 저서 『미사 희생이 우상 숭배라는 교리의 변호』에서 가톨릭의 미사가 왜 우상숭배인지 1550년 발표하였다. 낙스는 이 저서에서 단순하게 미사 교리의 비성경적인 부당성을 비판하는 차원을 떠나서, 가톨릭 교황과 사제 그리고 가톨릭의 기본 교리에 대한 전반적인 문제에 비판을 가하고 있다. 본 고는 낙스의 예배 개혁을 이해하고자 그의 저서 『미사 희생이 우상숭배라는 교리의 변호』를 분석하는 것이다. 낙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삼단논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의 변증 논법은 크게 2가지인데 즉 ‘미사는 우상숭배이다.’와 ‘미사는 가증한 것이다’라는 것이다. 『미사 희생이 우상숭배라는 교리의 변호』로 낙스의 개혁 사상에서 얼마나 예배 개혁이 중요한지를 알게 될 것이며, 미사에 대한 낙스의 변증으로 가톨릭 교리의 비성경적인 교리상의 모순과 ‘우상숭배’에 대한 낙스의 개혁 사상을 이해하는데 이 논문이 도움이 될 것이다. 낙스의 저서 『미사 희생이 우상숭배라는 교리의 변호』 분석을 통해 그의 우상숭배론을 살펴볼 것이다. 낙스의 우상숭배에 대한 견해는 가톨릭의 예식 미사에 대한 반박에 잘 드러나고 있다. 낙스에게 가톨릭의 미사는 그리스도의 죽음과 주의 만찬의 신성모독이었다. 예배와 미사에 대한 낙스의 강조는 ”미사는 우상숭배이다. “이며, ”미사는 가증한 것이다“라고 하는 것이었다. 낙스가 말하는 우상숭배의 근거는 성경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다. 무엇보다 낙스가 미사에 대하여 심각하게 느끼는 위험성은 성경에서 무엇인가를 가감하는 것을 말한다. 인간의 사악한 의견을 더하는 것이 예수 그리스도를 모독하는 우상숭배에 해당하는 것이라는 것이 낙스의 입장이다. 그리고 낙스에게 미사는 인간의 발명품으로 하나님의 권위를 찾아볼 수 없는 우상숭배임이 분명하다는 것이 그의 마지막 주장이다. 16세기 개혁에서 성경에서 말하는 예배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듯이, 오늘날 교회도 개혁적인 예배가 무엇인지 이 본질적인 질문에 대하여 낙스의 저서를 통해 하나님만을 영화롭게 하는 진정한 예배가 21세기 교회와 신자들 안에 회복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the Suppression of the Bacchic Cult in 186 B.C.

        Cha, Jeon-Hwan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03 서양고대사연구 Vol.10 No.-

        기원전 186년 로마 국가는 바쿠스 숭배를 억압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그것은 로마는 물론 이탈리아의 모든 동맹국들에도 적용된 광범한 것이었다. 이 박해사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사료는 이탈리아 남부 브루티움에서 발견된 간략한 원로원 칙령과 리비우스가 로마사에서 남긴 서술이다. 리비우스는 이 박해사건을 다룬 비교적 상세한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지만 바쿠스 숭배자들의 타락과 방종, 범죄행위, 국가의 안전에 대한 위협 등을 극적으로 강조하는 서술로 일관했다. 리비우스의 이야기 가운데 어느 것이 얼마나 진실인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본고는 두 사료를 제시하고서, 기원전 186년 로마 국가가 바쿠스 숭배를 억압하게 된 주된 원인을 고찰하는 데 초점을 두었다. 리비우스는 로마의 바쿠스 숭배의 문제들이 기원전 186년에 극적으로 원로원에 알려진 것처럼 묘사했지만, 바쿠스 신은 이탈리아 남부와 로마 및 에트루리아 등의 이탈리아 전반에서 광범하게 수용되어 숭배되고 있었다. 특히 한니발 전쟁 이후 이탈리아 남부를 중심으로 많은 농민들이 몰락하고 도시의 빈민들이 증가한 사회적 불안의 시대에 사람들은 내세의 행복을 내세우는 바쿠스 숭배와 같은 비의 종교에 몰입하는 경향을 보였다. 원래 여성만의 의식으로 출발한 바쿠스 숭배에 이탈리아 남부 출신의 하층민들 뿐 아니라 모든 계층의 남녀 시민들이 참여하게 된 것은 로마 국가의 종교적, 사회적 변화가 반영된 것이었다. 로마 원로원이 바쿠스 숭배를 억압하기로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바쿠스 숭배에 대해 원로원의 입장과 동일한 공식적 견해를 표명하고 있는 리비우스에 따르면 바쿠스 숭배자들은 야간에 비밀스런 그들만의 의식을 행하였고, 온갖 타락과 범행을 일삼는, 특히 그 수효가 점점 늘어나 공공의 안전을 위협하는 음모자들의 집단이었다. 바쿠스 숭배자들은 종교적, 도덕적으로 타락한 자들로 비난되었을 뿐 아니라, 무엇보다도 정치적 음모자들로 낙인찍혔던 것이다. 하지만 바쿠스 숭배자들이 국가를 통제하기 위한 음모를 시도했던 증거는 보이지 않는다. 국가에 대한 음모란 로마 원로원이 바쿠스 숭배를 억압하기 위해 이용한 구실이었을 것이다. 로마 국가, 혹은 원로원이 외래의 신들과 그들의 숭배에 대해 관용적 입장을 견지해온 전통을 고려하면, 기원적 186년의 바쿠스 숭배에 대한 대규모 박해는 이례적인 것이었다. 그렇지만 로마 시민들의 종교, 즉 숭배의식은 원칙저기으로 원로원의 통제 아래 있었던 사실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원칙을 고수하려는 원로원은 기원전 3세기 말과 2세기에 여러 가지 비의 종교들을 통제하려고 시도했다. 기원전 213년 원로원은 로마인들의 전통과 다른 방식으로 의식을 행하고 희생을 바치는 자들을 해산시키고, 그것을 금지하는 칙령을 발표했다. 한니발 전쟁이 끝날 무렵 원로원이 키벨레 신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인 것은 바쿠스 숭배에 대한 박해와 대조되는 사실로 지적되곤 하였다. 하지만 키벨레 신이 수용된 후, 그의 숭배의식도 원로원의 통제를 받았다. 186년 바쿠스 숭배에 대한 박해는 무엇보다도 시민들의 종교 활동을 통제 하에 두려는 원로원의 일관된 정책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샤만 영웅숭배 자료와 그 보호에 대하여

        왕굉강(王宏?),장안순(?安巡),사호명(??明) 무형유산학회 2017 무형유산학 Vol.2 No.1

        영웅숭배사상은 샤머니즘 관념 중의 주조(主調)이며 인류문화 창조와 발전 가운데 빠질 수 없는 요소다. 샤머니즘이 지금까지 전승될 수 있는 역사적 원인 중의 하나는 영웅숭배사상이다. 이런 영웅숭배는 인류문화의 효시 단계부터 이미 출현하였다. 영웅숭배의 특징은 집단 영웅주의이다. 샤머니즘 제례와 샤먼신화를 통해서 지금까지 전승되었다. 여성 군신(軍神) 오타마마(奧朶媽媽)의 제례, 까마귀와 까치 여신(鴉鵲女神) 의 제례, 자연여신 신화, 그리고 문화창조여신 신화에서 모두 샤머니즘 여신 숭배를 볼 수 있다. 샤머니즘 여신 숭배는 북방민족 심리적 뿌리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서 좋은 역할을 하였고, 북방 문명 시대를 여는데 중요하고 적극적인 역사문화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샤머니즘 여신 숭배와 샤머니즘 영웅 숭배의 무형유산 자료를 보호하는 일은 그 수수께끼의 답을 찾는 의미가 있다. 그리고 그 가운데 있는 의미와 정수를 찾아서 후대에 전승해야한다.

      • KCI등재

        발칸반도 지역 민족들의 성숭배(性崇拜)와 제의(祭儀)

        김상헌(Kim, Sang-h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본고에서 제시하고 있는 기우(祈雨)나 많은 비가 내리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내는 제의행위들은, 특히 발칸반도의 민족들 가운데 구 유고슬라비아 지역, 루마니아, 불가리아 지역 등에서 유사한 형태로 발견된다. 이들 제의행위들은 농업을 비롯한 산업의 생산력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측면에 있어서 여타의 민족들에게서도 찾아볼 수 있는 공통적인 것이지만, 이 지역 민족들의 제의행위는 ‘성숭배(性崇拜)’라는 점이 보다 두드러진다는 점은 다른 민족들과의 차이점이라 할 수 있다. 즉 다른 민족들의 기우제(祈雨祭)나 홍수를 막기 위해 지내는 제의행위 속에서는 발칸반도 민족들의 제의에서 찾아볼 수 있는 성적인 요소를 찾아보기 쉽지 않다. 본고에서는 발칸반도 민족들의 성을 중심으로 하는 민속사례들을 중심으로, 성 상징물 숭배사상이 어떤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 본질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결론적으로 살펴본 발칸반도 민족들의 유사한 민속사례들은 기본적으로 ‘생산력’과 깊은 관련을 맺으며, 이 지역의 해당 제의행위는 특히 다른 지역의 민족들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성숭배와 연관됨으로써, 성이 지니고 있는 ‘생산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Shamanic ceremonies to pray or to prevent for rain tha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especially we can find it in a similar form among the peoples of the Balkan Peninsula, for example, ex-yugoslavian area, Romania and Bulgaria. It is a point of sameness that those shamanic ceremonie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productive capacity including a agriculture. But it is a prominent point of difference with another nations that shamanic ceremonies of these areas have the feature of 'sexual worship'. Namely, it is not easy to find sexual elements in the shamanic ceremonies to pray or to prevent for rain of another nations. In this paper, make observation of and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worships which are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rough the sexual symbol with cases of folk customs of Balkan Peninsula nations as the central figure. Similar cases of folk customs of Balkan Peninsula nations that are presented in this paper, In conclusion, fundamentally have to do with 'the productive capacity'. And the worship of this area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sexual worship that is difficult to find out especially in another nations. For that reason, 'the capacity of production' that is involved in the sexual capacity more effectively emphasized through the worship of Balkan Peninsula nations'

      • KCI등재

        천사 숭배 논쟁 ‐ 골로새서와 유다서를 중심으로 ‐

        정창교(JEONG Chang-Kyo)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 문화연구원 2020 장신논단 Vol.52 No.5

        본 논문은 신약성서에서 하나님의 메신저뿐만 아니라 율법의 전달자로서 등장하며, 예수와 비교될 정도로 격상된 천사들에 대한 신약성서 기자들의 상반된 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대표적으로 골로새서 저자의 경우 ‘천사 숭배’를 배격하지만, 이와 반대로 유다서 저자는 천사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로 반응한다. 이처럼 신약성서 내에서 상반된 반응이 나타나게 된 신학적인 배경을 살핀다. 가장 먼저, 필자는 골로새서에서 논쟁이 되는 2장 18절의 “θρησκείᾳ τῶν ἀγγέλων”을 소위 목적격적 속격(Genetivus Objectivus)으로 해석하여 실제로 골로새 교회 내에서 천사들을 숭배하는 움직임이 있었다고 판단한다. 이와 같은 골로새 교회에서의 천사 숭배는 골로새 근처 브루기아 지방에서의 천상적 존재를 숭배하던 경향과 천사에 대해 긍정적이었던 유대적 사상이 혼합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와 같은 천사 숭배를 골로새서 저자가 반대하는 이유는 거짓 교사들이 예수를 천사들과 비교하면서 중재자 중의 하나로 가르쳤기 때문이다. 이에 골로새서 저자는 예수 그리스도의 탁월성을 입증함으로 천사 숭배를 거부하고 있다(골 1:15-20). 반면, 유다서의 경우는 천사들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린다. 유다서 저자가 천사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은 ‘영광’(δόξα)(유 1:8), 즉 ‘천사’를 비난하는 거짓 교사들에 대해 저주를 선언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유다서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천사들은 소위 ‘타락한 천사들’인데, 그들은 공동체에 몰래 침입한 거짓 교사들과 비교되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처럼 골로새서 저자와 유다서 저자 천사들에 대한 상반된 태도를 보이는 것은 유다서에서는 아직 바울의 이신칭의 사상과 같은 논쟁의 흔적이 없는 비교적 이른 시기 유대적 전통이 지배하는 공동체이기 때문이다. 반면, 골로새 교회는 천사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유대적 배경과 부르기아 지방의 천상적 존재 숭배의 경향이 혼합되어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의 배타성이 훼손되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단순히 두 문서에 등장하는 거짓 교사들을 규정할 때, 단순히 천사숭배와 천사배격의 입장으로 대립시키기보다 비교적 이른 시기에 아직 유대적인 천사 숭배 사상이 여전히 유효한 유다 공동체와 비교적 후대의 골로새 공동체 간의 시간적 간격으로 인해 이와 같은 모습이 나타나게 되었다고 해석하는 것이 설득력 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role and treatment of angels who occupied an important place in the New Testament. As already mentioned in the books of Acts and Galatians, angels appear as messengers of the law, and in Hebrews, as a being compared to Jesus, its status was higher than expected in the early Christian era. The authors of the New Testament react differently to these elevated angels. Most typically, the author of the book of Colossians rejects the worship of angels, and in the case of Judas, he appears to have a positive response to the angel. We will look at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is conflict. To this end, I interpret the controversial “θρησκείᾳ τῶν ἀγγέλων” in Colossians 2:18 as a so-called ‘Objective Genitive’, and I believe that there was actually a movement to worship angels in the church of Colossae. And the reason the author of Colossians opposes this angel worship is because the false teachers compared Jesus to angels and taught him as one of the mediators. Rather, it rejects the worship of angels by demonstrating the excellence of Jesus Christ (Col 1:15-20). This angel worship appears to be a mixture of the tendency to worship the celestial honors of the Brugia region near Colossae, and the Jewish ideas that were positive about angel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Book of Jude, a rather positive assessment of the angels. Angels who receive negative evaluations in the book of Jude are the so-called “fallen angels”, because they are compared to false teachers who have sneaked into the community. However, the author of Jude positive stance on angels is because he declares a curse on false teachers who denounce “glory” (1:8), or “angels.” As such, it can be regarded as a mixture of the Jewish background of angel worship and the worship of celestial beings in the Burgias. On the other hand, in the book of Jude, the immorality of the false teachers who have clearly infiltrated them is proclaiming a curse on them by comparing them with the corrupt angels, and their greatest error lies in not acknowledging the authority of the community in Jude, but rather deviating from their position. Also, the criticism of the “angels” (glory) without knowing it is considered to have dealt a serious blow to the Jewish community in the Jewish tradition where angels are viewed highly. As scholars argue, there is a commonality between the adversaries of the Colossae church and the author of the book of Jude. Therefore, it is more persuasive to interpret that this appearance was manifested by time intervals rather than simply defining the false teachers in both documents as a position of angel worship and angelic exclusion.

      • KCI등재

        대승불교 초기경전에 나타난 경전 숭배 -『법화경』을 중심으로 -

        신명희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0

        이 논문은 대승불교 경전 가운데 하나인 『법화경(法華經)』이 주요 텍스트이다. 『법화경』에 나타난 경전 숭배가 어떻게 형성ㆍ발전되었고, 법화행자로서 어떤 행을 실천하며, 그 실천한 행법에 어떤 공덕이 있는가를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B.C. 50년 무렵, 대승불교 교단이 발전하는 종교적 장소가 불탑이었다. 대승불교 교단은 불탑을 중심으로 경전을 결집하고, 성립하였다. 그런데 점차 불탑(佛塔) 신앙보다는 경전 숭배로 발전되었다. 탑은 두 가지 양태이다. 부처님의 사리가 모셔진 스투파(stūpa)와 대승불교가 일어난 직후 성행하게 된 경탑(經塔)을 가리키는 차이트야(caitya)이다. 대승불교 경전은 불탑 신앙과 경전 숭배가 혼재되어 있으면서 경전 숭배를 강조하고 있다. 『법화경』에서는 전반부 제 10 「법사품」 이전까지는 불탑 신앙이 중심이고, 중반부[11품~20품]에는 불탑과 경전 숭배가 혼재되어 있으며, 후반부[21품~ ]에는 경전 숭배가 강조되어 있다. 경전을 불탑 안에 모시고 공양하기 때문에 경전 숭배 또한 불탑 신앙의 연장이라고 볼 수 있다. 『법화경』에서는 경전 숭배를 나타내면서 경전이 있는 어떤 곳이든 여래가 모셔진 곳이므로 사리를 봉안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그런데 경전을 숭배하는 『법화경』 법사들은 박해와 질타를 받는데, 법화행자는 어떤 박해에도 굴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면서 인욕을 강조하였다. 이렇게 경전을 숭배하면서 경전 숭배 실천법으로 오종 수행을 제시하고 있다. 오종 수행은 수지受持ㆍ독경(讀經)ㆍ송경(誦經)ㆍ해설(解說)ㆍ서사(書寫)이다. 한편 『법화경』에서는 5종 수행의 공덕이 나타나 있다. 경전 숭배한 공덕으로 수기를 받아 성불할 수 있다는 점, 보살로서 안락한 삶을 보장받는다는 점, 부처를 친견한다는 점, 보살로서 수행하는데 걸림이 없다고 하였다. In this thesis, ‘The Sutra of the Lotus’, which is one of the scriptures of the Mahayana Buddhism, is the main text. It had been written with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how the worship of the scriptures that appear in The Sutra of the Lotus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what practice is put into practice as a Buddhist, and what element there is in the good deed of having practiced. Around 50 years B.C., the religious place where the Mahayana Buddhism order had developed was a pagoda. The Mahayana Buddhism order had concentrated and established a scripture by being centered on a pagoda. But, gradually, rather than the pagoda faith, the worship of the scriptures had appeared. The tower had two kinds of aspects. They are the stupa, where the Buddha's sarira had been enshrined, and the caitya which points at the Buddhist scripture tower, which got around to being prevailing right after the Mahayana Buddhism had taken place. Regarding the scriptures of the Mahayana Buddhism, while the Buddhist tower faith and the scriptures worship had been mixed, the worship of the scriptures has been emphasized. In ‘The Sutra of the Lotus’, until before the No.10 legal item of the first half, the Buddhist tower worship is the center. And, in the middle part, the Buddhist tower and the worship of the scriptures have been mixed. And, in the latter part, the worship of the scriptures has been emphasized. Because the scriptures are enshrined inside the Buddhist tower and are offered to the Buddha,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worship of the scriptures, also, is an extension of the Buddhist faith. In ‘The Sutra of the Lotus’, while representing the scripture worship, wherever the place there is the scripture, because it is a place where the Buddha is enshrined, there is no need to enshrine the relics of the Buddha. But, the ‘The Sutra of the Lotus’ Buddhist priests who worship the scripture receive the persecution and the rebukes. While saying that they must not succumb to any persecution, a person who does the Buddhist paintings had emphasized the bearing of the insults. While worshiping the scripture in this way, as the methods of putting into practice the worship of the scripture, 5 kinds of the practice have been presented. The 5 kinds of the practices are the suji, the poison song, the sutra recital, the commentary, and the narrative books. Meanwhile, in ‘The Sutra of the Lotus’, the good deeds of the 5 kinds of the practices appear. The point that, with the good deed that had been carried out, the Buddhahood can be attained by receiving the handwriting. The point that the guarantee of the comfortable life can be received as the Bodhisattva. The point that the Buddha is seen personally. And it was said that there is no obstacle in practising as the Bodhisattv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